KR101280359B1 -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359B1
KR101280359B1 KR1020120093013A KR20120093013A KR101280359B1 KR 101280359 B1 KR101280359 B1 KR 101280359B1 KR 1020120093013 A KR1020120093013 A KR 1020120093013A KR 20120093013 A KR20120093013 A KR 20120093013A KR 101280359 B1 KR101280359 B1 KR 10128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elevation
elevating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호
Original Assignee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요크를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100)는, 요크(22)가 전면에 고정지지 되고, 또 후면으로는 승강 조작공(112)이 형성된 브라켓(114)이 구비되며, 기체(12)의 지주부(16) 전면 개방 벽(11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110)와; 상기 지주부의 측벽에 회동 조작 가능하게 고정단부(122)가 관통 설치되고, 타단부로는 손잡이(124)가 마련되게 절곡 형성된 승강 조작레버(120)와; 상기 지주부의 내 측으로 관통 설치된 고정단부(122)에 일 단부가 함께 회동 조작되도록 고정핀(132)으로 고정지지 되고, 타 단부로는 관통공(134)이 형성된 회동 지지편(130)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110)의 브라켓(114)에 형성된 승강 조작공(112)과 상기 회동 지지편의 타 단부로 형성된 관통공(134)과의 사이에 양 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관통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114)의 상부로 관통 설치된 부분으로는 핀축(142)으로 고정 지지하고 동시에 브라켓의 하부로 관통 설치된 부분으로는 스프링(144)을 이탈 방지구(146)로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 설치한 승강 조작봉(140);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110)의 배면과 기체의 지주부(16) 내벽 면과의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승강 조작레버(120)의 상승 조작시 승강 플레이트의 상승 조작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인장 스프링(1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YOKE ASCENT AND DESCENT DEVICE OF CONFECTIONERY AND BREADMAKING FOR MIXER}
본 발명은 제과 제빵용 믹서의 믹싱볼이 장착되는 요크의 승강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크의 승강 조작 구조를 간단화 하면서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제과 제빵용 믹서는 한꺼번에 많은 량의 제과 제빵 재료를 반죽하거나 휘핑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제과 제빵재료는 통상적으로 요크에 탈착되는 믹싱 볼에 넣어지고, 또 믹싱기구들에 의해 반죽 또는 휘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믹싱 볼은 재료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승강 조작되는 요크로부터 탈착되어 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때 믹싱 볼이 탈착되는 요크는 믹싱 작업 별도의 핸들 조작을 통해 전후 승강 조작되어 진다. 그 이유는 믹싱 작업 과정에서 믹싱 볼의 내부에 믹싱기구가 회전 조작되어 지기 때문에 믹싱 볼로부터 믹싱재료를 인출하거나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요크를 하강시켜야 한다. 이때 요크를 신속하게 승강 조작하는 것은 믹싱 작업의 능률을 높이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종래 제시되고 있는 요크 승강 조작 구조들은, 그 승강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조잡하게 이루어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7-60311호에 개재된 ‘반죽기계’에는 본체의 일 측면에 회전하는 높이조절핸들과, 높이조절핸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워엄과, 용기걸이대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회전함으로써 용기 걸이대의 승 하강운동을 유발시키는 나사봉과, 가이드바로 구성된 용기 승 하강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는 핸들 및 기어 방식에 의한 승 하강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믹싱 작업 도중 외부 요인에 의해 핸들이 거꾸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용기가 받침되는 용기받침이 작업 도중 하강하게 되는 문제를 피하기 어렵게 되고, 또 워엄 축의 뒤틀림이나 워엄과의 맞물림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승 하강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와 더불어 워엄이나 나사봉의 제작에 따른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7-6031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 물림 방식에서 탈피하여 요크의 승강 조작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요크의 승강 조작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요크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임의적으로 하강되는 것이 방지되어 요크의 조작 편리성 및 믹싱 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과 제빵용 믹서의 지주부 전면으로 구비되는 요크를 승강 조작하는 요크 승강 조작장치는, 요크가 전면에 고정지지 되고, 또 후면으로는 승강 조작공이 형성된 브라켓이 구비되며, 기체의 지주부 전면 개방 벽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지주부의 측벽에 회동 조작 가능하게 고정단부가 관통 설치되고, 타단 부로는 손잡이가 마련되게 절곡 형성된 승강 조작레버와; 상기 지주부의 내 측으로 관통 설치된 고정단부에 일단 부가 함께 회동 조작되도록 고정핀으로 고정지지 되고, 타단 부로는 관통공이 형성된 회동 지지편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브라켓에 형성된 승강 조작공과, 상기 회동 지지편의 타단부로 형성된 관통공과의 사이에 양 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관통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의 상부로 관통 설치된 부분으로는 핀축으로 고정 지지하고 동시에 브라켓의 하부로 관통 설치된 부분으로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이탈 방지구로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 설치한 승강 조작봉;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후면과 기체의 지주부 내부 간벽 과의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승강 조작레버의 상승 조작시 승강 플레이트의 상승 조작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인장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주부의 개방 벽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개방 벽의 양 측으로 구비되는 레일 홈에 대하여 승강 플레이트의 양 측면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레일이 상호 끼워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주부의 내 측으로 관통 설치되는 승강 조작레버의 고정단부는, 지주부의 외측에서 지주부의 내측으로 걸림되도록 관통 설치되는 지지관체에 의해 보호 지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크의 승강 조작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면서도 승강 조작을 보다 편리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또 상승된 요크의 임의적인 하강이 방지됨에 따라 믹싱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크 승강 조작장치가 구비된 제과 제빵용 믹서에 있어서, 요크가 상승 조작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크 승강 조작장치에 의해 요크가 승강 되기 전 후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요크가 상승되기 전의 조립 측 단면도 및 배면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요크가 상승되고 난 후의 조립 측 단면도 및 배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조립 상태를 보인 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에 대한 승강 조작레버의 조립 고정 상태를 보인 도 5a의 “A”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조작에 따른 회동 지지편의 회동 조작 상태를 보인 발췌 확대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크 승강 조작장치(100)가 설치되는 제과 제빵용 믹서(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믹서(10)는 기체(12)를 포함하고, 이 기체는 하단으로 받침대(14)가 설치되어 있는 지주부(16)를 포함하고, 지주부의 상단 일 측으로는 두부(18)가 구비되어 있다. 지주부(16)의 전면으로는 승강 조작레버(120)의 조작으로 승강 조작됨과 동시에 제과 제빵재료가 담겨지는 믹싱 볼(20)이 받침되는 요크(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두부(18)에는 기체의 내부에 장치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되는 주축의 하부로 편심 회전되게 설치되는 보조축(2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보조축에는 믹싱기구(26)가 분리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이때 믹싱기구(26)는 믹싱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사이즈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휩(whip), 훅(hook), 비터(beater)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과 제빵용 믹서(10)는, 승강 조작레버(12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요크(22)에 장치되는 믹싱 볼(20)을 상승시킨 다음 전원을 공급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보조축(24)이 주축을 따라 편심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이에 구비된 믹싱기구(26)가 회전하면서 믹싱 볼(20)에 담겨진 재료를 반죽하거나 휘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재료의 반죽이나 휘핑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전원을 오프한 다음 승강 조작레버(120)를 승강 조작하여 요크(22)를 하강시키고, 이에 장치되는 믹싱 볼로부터 재료를 인출하거나 믹싱 볼 자체를 요크로부터 분리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제과 제빵 재료의 반죽이나 휘핑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재료의 믹싱 작업 전후 상기 요크(22)는 믹싱 볼(20)의 교체나, 믹싱 볼로부터 믹싱재료의 인출 및 투입을 위해 요크 승강 조작장치(100)에 의해 승강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과 제빵용 믹서(10)에 장치된 요크 승강 조작장치(1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제과 제빵용 믹서 요크 승강 조작장치(100)는, 요크(22)가 전면에 고정지지 되고, 또 후면으로는 승강 조작공(112)이 형성된 브라켓(114)이 구비되며, 기체(12)의 지주부(16) 전면 개방 벽(11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110)와; 상기 지주부의 측벽에 회동 조작 가능하게 고정단부(122)가 관통 설치되고, 타단부로는 손잡이(124)가 마련되게 절곡 형성된 승강 조작레버(120)와; 상기 지주부의 내 측으로 관통 설치된 승강 조작레버(120)의 고정단부(122)에 일 단부가 함께 회동 조작되도록 고정핀(132)으로 고정지지 되고, 타 단부로는 관통공(134)이 형성된 회동 지지편(130)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110)의 브라켓(114)에 형성된 승강 조작공(112)과 상기 회동 지지편의 타 단부로 형성된 관통공(134)과의 사이에 양 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관통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114)의 상부로 관통 설치된 부분으로는 핀축(142)으로 고정 지지하고 동시에 브라켓의 하부로 관통 설치된 부분으로는 스프링(144)을 이탈 방지구(146)로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 설치한 승강 조작봉(140);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110)의 배면과 기체의 지주부(16) 내부 간벽(17) 과의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승강 조작레버(120)의 상승 조작시 승강 플레이트의 상승 조작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인장 스프링(1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6)의 개방 벽(11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110)는, 상기 개방 벽의 양 측으로 구비되는 레일 홈(116a)에 대하여 승강 플레이트(110)의 양 측면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레일(110a)이 상호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안정된 승강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부(16)의 내 측으로 관통 설치되는 승강 조작레버(120)의 고정단부(122)는, 지주부의 외측에서 지주부의 내측으로 걸림되도록 관통 설치되는 지지관체(160)에 의해 회동 조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도 안전한 회동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관통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관체(160)에 관통 설치되는 승강 조작레버(120)의 고정단부(122)는 지지관체 외부로 관통 노출되는 부위를 핀(162)으로 고정 지지함으로써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도 있도록 조립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요크 승강 조작장치(100)를 이용한 요크(22)의 승강 조작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요크(22)가 하강된 상태를 설명하면, 승강 조작레버(120)는 도 2,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4)가 지주부(16)의 하 측으로 회동 조작된 상태이다. 이때 회동 지지편(13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조작봉(140)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부위가 하측으로 회동 조작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승강 조작레버(120)의 고정단부(122)의 수직 축선(P)을 기준으로 회동 지지편(130)이 a1 각도 만큼 내측으로 더 회동 조작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회동 지지편의 하강 회동 조작에 따라 승강 조작봉(140) 역시 그 회전 반경만큼 더 하강한 상태이고, 승강 플레이트(110) 역시 승강 조작봉의 하강 거리 만큼 지주부(16)의 개방 벽(116)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강 조작봉의 하강 이동은 이에 구비된 핀축(142)이 승강 플레이트(110)에 구비된 브라켓(114)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더 이상의 하강 이동이 방지되고, 승강 조작봉(140)은 브라켓(114)의 하부로 구비된 스프링(144)에 의해 탄력 받침되어 있게 된다.
또한 요크(22)의 하강 이동시에는 승강 플레이트(110)와 지주부(16)의 내부 간벽(17) 사이에 탄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인장 스프링(150)은 하강 이동된 거리만큼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요크(22)는 회동 지지편(130)이 수직축선(P) 보다 외 측으로 벗어나게 임의로 회동 조작되지 않는 이상 안정된 하강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다시 요크를 상승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강 조작레버(120)의 손잡이(124)를 잡고 도 3,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6)의 상부로 회동 조작한다. 그러면, 이와 동시에 승강 조작레버(120)의 고정단부(122)가 회동 조작되고, 이에 일 단부가 고정핀(132)으로 고정 설치된 회동 지지편(130)이 도 8b와 같이 고정단부(122)의 회전 반경만큼 함께 회동 조작된다. 즉, 회동 지지편(130)은 수직축선(P)을 기준으로 승강 조작봉(140)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부위가 a2 각도만큼 상부 내측으로 회동 조작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 지지편(130)의 회동 조작에 따라 이에 설치된 승강 조작봉(140) 역시 상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동시에 승강 조작봉의 타단 부가 연결 설치된 승강 플레이트(110) 역시 상 측으로 당겨지면서 상승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 조작봉(140)의 상승 조작시 브라켓(114)의 하부로 설치된 스프링(144)은 탄력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승강 플레이트(110)의 상승 조작시,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지주부(16) 내부 간벽(17) 사이에 탄력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인장 스프링(150) 역시 강제로 인장된 상태에서 원래대로 복귀되어 짐에 따라 요크(22)의 상승 조작이 그만큼 부드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승 조작된 요크(22)는 회동 지지편(130)이 수직축선(P)보다 외 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임의로 회동 조작되지 않는 이상 안정된 상승 조작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믹싱재료의 믹싱 작업시 요크가 임의적으로 하강되는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요크(22)의 승강 조작시 지주부(16)의 개방벽(116)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 플레이트(110)는, 개방벽(116)에 형성된 레일홈(116a)을 따라 승강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레일(110a)이 상호 이동 자재되기 때문에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인장 스프링(150) 역시 승강 플레이트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조작을 안정되게 유도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100)에 따르면, 승강 조작레버(120)의 간단한 회동 조작을 통해 고정단부(122)에 일 단부가 고정 설치된 회동 지지편(130)이 수직축선(P)을 기준으로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범위 내에서 그 타단부가 회동 조작되고 동시에 그 타 단부의 회동 조작 반경만큼 이에 연결된 승강 조작봉(140)의 타 단부가 동시에 상승 및 하강 이동되는 것에 의해 요크(22)가 설치된 승강 플레이트(110)가 승강되는 구조를 통해 요크의 승강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어서 요크의 승강 조작 구조를 간단히 개선하면서도, 승강 조작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상승 조작된 상태에서 요크(22)의 임의적인 하강이 방지됨에 따라 안정된 믹싱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제과 제빵용 믹서 16: 지주부
17: 내부 간벽 22: 요크
100: 요크 승강 조작장치 110: 승강 플레이트
110a: 레일 112: 승강 조작공
114: 브라켓 116: 개방벽
116a: 레일홈 120: 승강 조작레버
122: 고정단부 124: 손잡이
130: 회동 지지편 132: 고정핀
140: 승강 조작봉 142: 핀축
144: 스프링 146: 이탈 방지구
150: 인장 스프링 160: 지지관체
P: 수직축선

Claims (3)

  1. 제과 제빵용 믹서(10)의 지주부(16) 전면으로 구비되는 요크(22)를 승강 조작하는 요크 승강 조작장치(100)는, 요크(22)가 전면에 고정지지 되고, 또 후면으로는 승강 조작공(112)이 형성된 브라켓(114)이 구비되며, 기체(12)의 지주부(16) 전면 개방 벽(11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플레이트(110)와; 상기 지주부의 측벽에 회동 조작 가능하게 고정단부(122)가 관통 설치되고, 타단부로는 손잡이(124)가 마련되게 절곡 형성된 승강 조작레버(120)와; 상기 지주부의 내 측으로 관통 설치된 고정단부(122)에 일 단부가 함께 회동 조작되도록 고정핀(132)으로 고정지지 되고, 타 단부로는 관통공(134)이 형성된 회동 지지편(130)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110)의 브라켓(114)에 형성된 승강 조작공(112)과 상기 회동 지지편의 타 단부로 형성된 관통공(134)과의 사이에 양 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관통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114)의 상부로 관통 설치된 부분으로는 핀축(142)으로 고정 지지하고 동시에 브라켓의 하부로 관통 설치된 부분으로는 스프링(144)을 이탈 방지구(146)로 이탈되지 않도록 탄력 설치한 승강 조작봉(140);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110)의 배면과 기체의 지주부(16) 내부 간벽(17)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승강 조작레버(120)의 상승 조작시 승강 플레이트의 상승 조작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인장 스프링(150); 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주부(16)의 내 측으로 관통 설치되는 승강 조작레버(120)의 고정단부(122)는, 지주부의 외측에서 지주부의 내측으로 걸림되도록 관통 설치되는 지지관체(160)에 의해 보호 지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20093013A 2012-08-24 2012-08-24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KR10128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13A KR101280359B1 (ko) 2012-08-24 2012-08-24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13A KR101280359B1 (ko) 2012-08-24 2012-08-24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359B1 true KR101280359B1 (ko) 2013-07-01

Family

ID=4899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013A KR101280359B1 (ko) 2012-08-24 2012-08-24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3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328B1 (ko) * 2013-07-12 2013-09-11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377481B1 (ko) 2013-12-09 2014-03-25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132U (ko) * 1998-12-31 2000-07-25 오세광 가정용 믹서기
KR200226691Y1 (ko) 2001-01-16 2001-06-15 김주호 반죽기의 반죽통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132U (ko) * 1998-12-31 2000-07-25 오세광 가정용 믹서기
KR200226691Y1 (ko) 2001-01-16 2001-06-15 김주호 반죽기의 반죽통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328B1 (ko) * 2013-07-12 2013-09-11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377481B1 (ko) 2013-12-09 2014-03-25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9881B2 (ja) 昇降可能な棚およびそれを有する冷蔵庫
KR101280359B1 (ko)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CN205359406U (zh) 用于洗碗机的碗篮和具有其的洗碗机
KR20120108077A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101268850B1 (ko) 제과 제빵용 믹서의 믹싱 볼 탈착장치
KR101024627B1 (ko) 회전 세척 및 탈수 기능을 갖는 걸레 세척통 조립체
JP2007102209A (ja) ディスプレイ用スタンド
KR101304328B1 (ko)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855416B1 (ko)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CN206086825U (zh) 一种新型多功能换水小车
KR101576018B1 (ko) 모빌형 시약장
KR20140004649U (ko) 제과 제빵용 믹서의 요크 승강 조작장치
JP3224663U (ja) 骨つぼ納具
WO2018107968A1 (zh) 洗衣机
JP2016156560A (ja) 遠心分離脱水装置
KR101377481B1 (ko) 제과 제빵용 믹서
KR20130002561U (ko) 반죽기의 상판부 테이블 장치
RU2008129219A (ru) Подземный контейне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опускания контейнера
KR200245001Y1 (ko) 슈트의 내용물 배출용 서스펜션
CN211421928U (zh) 集装箱房屋可调支撑机构
JP2020175091A (ja) サイズ調節可能なコーヒースプーン
CN219709540U (zh) 一种内星轮传动轴热处理用支架
CN205419668U (zh) 一种半自动上货升降装置
JPH0633673A (ja) ブラインド装置
JP6415064B2 (ja) キャスター出入り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