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168B1 -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168B1
KR101280168B1 KR1020110104200A KR20110104200A KR101280168B1 KR 101280168 B1 KR101280168 B1 KR 101280168B1 KR 1020110104200 A KR1020110104200 A KR 1020110104200A KR 20110104200 A KR20110104200 A KR 20110104200A KR 101280168 B1 KR101280168 B1 KR 10128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handle
fixed blade
auxiliary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9559A (ko
Inventor
변종원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1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25G1/043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for screwdrivers, wrenches or spa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손잡이에 날개부를 수평형성시켜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회전력전달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를 보다 원활히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라이버{DRIV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손잡이에 날개부를 수평형성시켜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회전력전달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를 보다 원활히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는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버는 나사를 죄고 푸는데 사용되는 공구로서, 용도에 따라서 일자드라이버와 십자드라이버가 있으며, 이러한 드라이버는 나사의 일자홈 또는 십자홈에 끼워져 나사를 풀거나 조이는 드라이버 비트와; 상기 드라이버 비트를 손으로 잡아 돌리기 위한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버로서 나사를 풀거나 조일 때 작용하는 회전력은 손잡이가 굵을 경우에는 큰 회전력으로 나사를 풀거나 조일 수 있는 반면에, 손잡이의 굵기가 가늘 경우에는 회전력이 적게 작용하기 때문에 나사를 원활히 풀거나 조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손잡이에 날개부를 수평형성시켜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회전력전달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를 보다 원활히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는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드라이버 비트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날개부재와,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날개부재로 구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의 일측과 상기 일측 날개부재의 타측 사이 및 상기 손잡이의 타측과 상기 타측 날개부재의 일측 사이에 각각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 날개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고정날개와; 상기 일측 고정날개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보조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날개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고정날개와; 상기 타측 고정날개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보조날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 보조날개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보조날개의 타측이 상기 일측 고정날개의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타측 보조날개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보조날개의 일측이 상기 타측 고정날개의 타측에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일측 고정날개의 내부에 상기 일측 보조날개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타측 고정날개의 내부에 상기 타측 보조날개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 고정날개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일측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고정날개의 내부에 타측이 개방된 타측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보조날개와 상기 타측 보조날개는 각각 상기 일측 수용홈과 상기 타측 수용홈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일측 고정날개의 내주면 상부와 내주면 하부에 상기 일측 수용홈과 연통되는 일측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타측 고정날개의 내주면 상부와 내주면 하부에 상기 타측 수용홈과 연통되는 타측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일측 보조날개의 외주면 상부와 외주면 하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측 삽입홈내에 각각 삽입되는 일측 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보조날개의 외주면 상부와 외주면 하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측 삽입홈내에 각각 삽입되는 타측 볼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날개부는 상기 손잡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 상기 가이드홈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손잡이에 날개부를 수평형성시켜 상기 날개부를 통해 상기 손잡이에 회전력전달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를 보다 원활히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일측 보조날개와 타측 보조날개가 인입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 A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드라이버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손잡이(10), 드라이버 비트(20) 및 날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손잡이(1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수직연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라이버 비트(20) 또한 상하방향을 일정길이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비트(20)의 상부는 상기 손잡이(10)의 하부 중심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날개부(30)는 상기 손잡이(10)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된다.
상기 날개부(30)는 일측 날개부재(310)와 타측 날개부재(320)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 날개부재(310)의 타측은 상기 손잡이(10)의 일측면에 일체연결형성된다.
상기 타측 날개부재(320)의 일측은 상기 손잡이(10)의 타측면에 일체연결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날개부(30)와 함께 상기 손잡이(1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30)와 함께 상기 손잡이(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미도시)를 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날개부(30)와 함께 상기 손잡이(1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30)와 함께 상기 손잡이(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미도시)의 조임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10)에 수평형성된 상기 날개부(30)를 통해 상기 손잡이(10)로의 사용자에 의한 회전력전달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미도시)를 보다 원활히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30)를 통해 상기 손잡이(10)로의 사용자에 의한 회전력전달을 보다 더욱 배가시켜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미도시)를 보다 더욱 원활히 조이거나 풀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10)와 상기 날개부(30) 사이에 경사부(40)가 일체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경사부(40)는 일측 경사부(410)와 타측 경사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경사부(410)는 상기 손잡이(10)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 날개부재(310)의 타측면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경사부(410)의 후면과 상기 일측 날개부재(310)의 후면이 둔각(도 2의 α1)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일측 경사부(410)는 사선(/)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경사부(420)는 상기 손잡이(10)의 타측면과 상기 타측 날개부재(320)의 일측면 사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경사부(420)의 전면과 상기 타측 날개부재(320)의 전면이 둔각(도 2의 α2)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타측 경사부(420)는 사선(/)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날개부재(310)는 일측 고정날개(311)와 일측 보조날개(3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는 상기 손잡이(10)의 일측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는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날개부재(320)는 타측 고정날개(321)와 타측 보조날개(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는 상기 손잡이(10)의 타측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는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협소한 공간내에 상기 날개부(30)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킨 후 협소한 공간내에서 상기 날개부(30)와 함께 상기 손잡이(10)를 보다 용이하게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날개부(30)는 접힘 및 펼침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와 접한 상태로 접혀진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가 사용자에 의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보조날개(321)의 타측이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와 접하지 않은 상태로 펼쳐진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가 사용자에 의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여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와 접한 상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의 일측이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일측 후면과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타측 전면에는 회전방지판(330, 340)이 일정길이로 각각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회전방지판(330)은 상기 일측 보조날개(321)의 타측 후면과 접하여 상기 일측 보조날개(321)가 180°를 초과한 상태로 회전하여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회전방지판(340)은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의 일측 전면과 접하여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가 180°를 초과한 상태로 회전하여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일측 보조날개(312)와 타측 보조날개(322)가 인입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정단면도이다.
또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내부에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내부에는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일측 수용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내부에는 타측이 개방된 타측 수용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는 상기 일측 수용홈(313)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는 상기 타측 수용홈(323)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로부터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가 너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내주면에 일측 삽입홈(314)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의 외주면에 일측 볼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삽입홈(314)은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내주면 상부 일측과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내주면 하부 일측에 상기 일측 수용홈(313)과 연통되도록 각각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볼부재(80)는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의 외주면 상부 타측과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의 외주면 하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스프링 등을 포함한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측 삽입홈(314)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의 외주면 상부 타측과 상기 일측 보조날개(312)의 외주면 하부 타측에는 상기 일측 볼부재(80)를 각각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한 상기 탄성부재(70)가 수용되는 홈(316)이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로부터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가 너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내주면에 타측 삽입홈(324)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의 외주면에 타측 볼부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삽입홈(324)은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내주면 상부 타측과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내주면 하부 타측에 상기 타측 수용홈(323)과 연통되도록 각각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볼부재(100)는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의 외주면 상부 일측과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의 외주면 하부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스프링 등을 포함한 탄성부재(9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타측 삽입홈(324)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의 외주면 상부 일측과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의 외주면 하부 일측에는 상기 타측 볼부재(100)를 각각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을 포함한 상기 탄성부재(90)가 수용되는 홈(326)이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드라이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 A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30)의 교체보수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상기 날개부(30)는 상기 손잡이(1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각각 'T'형상의 가이드홈(50)이 상기 손잡이(10)의 중심부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T'형상의 상기 가이드홈(50)은 상기 손잡이(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30)의 일측 날개부재(310)의 타단부와 상기 날개부(30)의 타측 날개부재(320)의 일단부에는 각각 'T'형상의 가이드돌기(60)가 형성될 수 있다.
'T'형상의 상기 가이드돌기(60)는 사용자에 의해 'T'형상의 상기 가이드홈(50)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상기 손잡이(10)에 상기 날개부(30)를 수평형성시켜 상기 날개부(30)를 통해 상기 손잡이(10)에 회전력전달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나사 등을 포함한 고정부재(미도시)를 보다 원활히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손잡이, 20; 드라이버 비트,
30; 날개부.

Claims (9)

  1.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드라이버 비트(20)와;
    상기 손잡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날개부재(310)와, 상기 손잡이(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날개부재(320)로 구성되는 날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10)의 일측과 상기 일측 날개부재(310)의 타측 사이 및 상기 손잡이(10)의 타측과 상기 타측 날개부재(320)의 일측 사이에 각각 경사부(40)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날개부재(310)는 상기 손잡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고정날개(311)와;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보조날개(312);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 날개부재(320)는 상기 손잡이(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고정날개(321)와;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보조날개(322);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보조날개(3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보조날개(321)의 타측이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보조날개(322)의 일측이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타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일측 고정날개(311)의 일측 후면과 상기 타측 고정날개(321)의 타측 전면에 회전방지판(330, 34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104200A 2011-10-12 2011-10-12 드라이버 KR101280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00A KR101280168B1 (ko) 2011-10-12 2011-10-12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00A KR101280168B1 (ko) 2011-10-12 2011-10-12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559A KR20130039559A (ko) 2013-04-22
KR101280168B1 true KR101280168B1 (ko) 2013-06-28

Family

ID=4843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200A KR101280168B1 (ko) 2011-10-12 2011-10-12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1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1714U (ko) * 1974-02-21 1975-09-11
KR200199363Y1 (ko) * 2000-05-10 2000-10-02 쿠오-룽 리 접철식 킥 스쿠터
KR200266953Y1 (ko) * 2001-11-24 2002-03-06 장미원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유아용 젖병
JP4482181B2 (ja) * 1999-10-12 2010-06-16 株式会社中村製作所 手動式ドライ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1714U (ko) * 1974-02-21 1975-09-11
JP4482181B2 (ja) * 1999-10-12 2010-06-16 株式会社中村製作所 手動式ドライバー
KR200199363Y1 (ko) * 2000-05-10 2000-10-02 쿠오-룽 리 접철식 킥 스쿠터
KR200266953Y1 (ko) * 2001-11-24 2002-03-06 장미원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유아용 젖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559A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660B2 (en) Tool handle type tool box
US20080041746A1 (en) Toolbox
CA2642448A1 (en) Cleaning implement
US20090000432A1 (en) Tool Head Structure
US20100288087A1 (en) Tool handle
US20070062346A1 (en) Hand tool having a pivotable connection end and replaceable function head
KR200461856Y1 (ko) 의료용 수동 드라이버
CA2523445A1 (en) Screwdriver with hammer end
US8167669B1 (en) Grip of oar
KR101280168B1 (ko) 드라이버
CN211466281U (zh) 一种多功能拆装工具
US20070044599A1 (en) Head replaceable hand tools
US20170216999A1 (en) Power tool with a double operational structure
KR100615426B1 (ko) 지팡이
US7028592B2 (en) Tool element and screw for mating engagement therewith
KR200476659Y1 (ko) 착탈식 다목적 도구
US20030217437A1 (en) Handle for tool bits
JP2009172747A5 (ko)
US20120297940A1 (en) Internal hexagonal wrench power assisting shank
US7188550B2 (en) Open end adjustable spanner
KR102166242B1 (ko) 일체형 드라이버 비트 케이스
JP2016078168A (ja) スパイラル形状の衝撃緩衝領域を備えた工具
KR20210001171U (ko) 비트의 결착이 용이한 비트 교체형 정밀드라이버
AU2006100407A4 (en) Screw Feeder Adapter for a Power Screwdriver
CN210819315U (zh) 一种便捷式五金工具用螺丝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