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841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841B1
KR101279841B1 KR1020060100449A KR20060100449A KR101279841B1 KR 101279841 B1 KR101279841 B1 KR 101279841B1 KR 1020060100449 A KR1020060100449 A KR 1020060100449A KR 20060100449 A KR20060100449 A KR 20060100449A KR 101279841 B1 KR101279841 B1 KR 10127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edited
image
edi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335A (ko
Inventor
김도령
정재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8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공동편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와 편집할 이미지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편집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파일을 편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전송된 이미지파일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편집전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만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미지 전송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이미지편집, 공동편집, 차이정보, 이미지전송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IMAGE COMMUNITY EDITING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송수신부
120 : 입력부 130 : 제어부
140 : 오디오처리부 150 : 메모리부
160 :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점차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따라서 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 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는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전화번호부(phone book),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기능을 비롯하여 이미지 편집기능까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기능은 이미지를 편집,저장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였지만, 이미지 편집을 여러 단말기와 공동편집하는 기능이 다소 부족하였다.
이를 극복한 것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동일한 사진을 블루투스나 SMS(Short Message Service),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을 통해 공동으로 편집하는 기능이 있었다.
하지만, 단말기간에 한번 편집할 때마다 전체 이미지를 주고 받는 것은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전송속도도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편의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집전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만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미지 전송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 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동편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와 편집할 이미지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편집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파일을 편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전송된 이미지파일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송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인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 가운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과 상기 하나의 단말기에서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차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와 편집할 이미지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송수신부, 편집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파일을 편집하는 입력부, 전송한 이미지파일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전송된 이미지파 일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송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 가운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과 상기 하나의 단말기에서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가 차이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이미지파일을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미지파일과 상기 이미지파일의 편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송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인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cellu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4G(OFDM;Orthogonal Frequency Divition Multiplexing)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하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송수신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오디오처리부(140), 메모리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송수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채널복호(channel do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와 편집할 이미지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기능을 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기 가운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전송한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입력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입력으로 사용되는 숫자 버튼(0~9)과, 특수키 버튼(*, #, ...), 한글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 버튼,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키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130)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키패드뿐만 아니라 터치 방식 등도 가능하며, 키패드,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조이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소정의 키 버튼을 누를 때 눌려진 키 버튼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는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이미지파일을 호출하도록 키입력을 받으며, 편집명령을 입력하여 이미지파일을 편집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편집된 이미지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키 입력을 받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구현되는 여러 기능을 제어하며, 다른 구성요소와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각종 신호를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이미지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이미지를 편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와 같이 편집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 원본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편집전 이미지파일로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와 같이 업데이트된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 어하는 기능을 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Coder-Decoder)과 통화발신, 수신 또는 다운로드에 대한 벨소리 또는 음성정보를 처리하도록 스피커 및 마이크와 연결되는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13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5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램(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저장장치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운용을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게임 등이 저장된다. 다시 말하면, 메모리부(1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메모리 즉, 플래쉬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시스템 파라메터(system parameter)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150)는 각종 사용자 이미지파일을 비롯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된 각종 이미지파일들을 저장한다.
상세히는 외부로 전송한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외부로 전송한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미지파일은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 단말기를 통해 편집되어 저장된 이미지파일이다.
표시부(16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 화면 또는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부(130)는 이미지 편집모드 화면, 이미지 편집과정 화면, 이미지 저장화면 및 이미지파일 송수신화면 등을 비롯하여 이미지 편집과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부(120)로부터 이미지 편집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이미지 편집모드로 진입하여 이미지 편집화면을 표시한다(S210). 이때 입력부(120)로부터 이미지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각종 이미지파일을 불러올 수 있는 호출메뉴를 비롯하여 저장, 컬러변경, 회전 및 전송 등 각종 메뉴가 활성화 되도록 한다.
이미지 편집화면에서 공동으로 편집할 이미지파일을 불러와 상대방 단말기와 공유하기 위해 이미지파일을 전송한다(220). 이때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각종 이 미지 가운데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호출하도록 호출메뉴를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호출된 이미지파일을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이미지파일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로부터 전송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수신자주소(단말기전화번호)를 입력할수 있도록 입력항목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수신자주소를 입력함으로써 공동으로 편집하고자 하는 상대단말기에 이미지파일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S210단계에서 불러온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편집명령을 입력하고 편집된 이미지파일을 저장한다(S230). 이때 이미지편집화면에서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형태로 밝기, 채도, 액자 넣기, 선명도 및 컬러변경 등의 편집메뉴를 이용하여 편집한 후, 저장명령을 입력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를 통해 편집된 이미지정보만을 전송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파일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추출한다(S240). 상기 원본 이미지파일은 S220단계에서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 이미지파일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추출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S205). 여기서도 역시 상대방 단말기의 주소를 입력한 후, 송수신부(110)을 통해 무선통신방식으로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무선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RFID)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 가운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전송한 이 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송수신부(110)을 통해 수신하여 편집전 이미지파일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편집전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만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미지 전송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이미지 공동 편집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편집전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만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미지 전송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편집전 이미지파일과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만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의 부하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와 편집할 이미지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이미지파일을 전송하는 단계;
    편집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파일을 편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공동편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공동편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 가운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과 상기 하나의 단말기에서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공동편집 방법.
  4.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와 편집할 이미지파일을 공유하기 위해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송수신부;
    편집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파일을 편집하는 입력부;
    상기 전송한 이미지파일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과 상기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 가운데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이미지파일과 상기 하나의 단말기에서 편집된 이미지파일의 차이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가 차이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편집전 이미지파일을 업데이트하고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파일과 상기 이미지파일의 편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00449A 2006-10-16 2006-10-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 KR10127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449A KR101279841B1 (ko) 2006-10-16 2006-10-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449A KR101279841B1 (ko) 2006-10-16 2006-10-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335A KR20080034335A (ko) 2008-04-21
KR101279841B1 true KR101279841B1 (ko) 2013-06-28

Family

ID=3957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449A KR101279841B1 (ko) 2006-10-16 2006-10-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297B1 (ko) 2008-09-12 201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출력장치, 영상편집장치, 영상편집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과 영상편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772A (ko) * 2001-03-22 2001-07-13 김종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사진 데이터의 전송 저장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7636A (ko) * 2004-02-19 2004-04-01 이승훈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파일 편집시스템 및 편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772A (ko) * 2001-03-22 2001-07-13 김종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사진 데이터의 전송 저장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7636A (ko) * 2004-02-19 2004-04-01 이승훈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파일 편집시스템 및 편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335A (ko) 200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1840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mobile devices responsive to user input through movement thereof
EP2095618B1 (en) Carrier type selection for a call initi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KR20060027474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폰북 등록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EP1501265A2 (en) Handheld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263602A (ja) 移動通信端末機およびその呼による画像表示方法
KR1012798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공동 편집 방법
KR100654186B1 (ko) 이미지콜 서비스에서의 적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제어 방법
KR10063375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이미지를폰북에 추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52179B1 (ko) 이미지콜 서비스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59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멀티화면 제공방법
KR20060108988A (ko) 플랫폼 계층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KR101276879B1 (ko) 메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76880B1 (ko) 폰북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JP2007318683A (ja) 通信システム
KR101024211B1 (ko) 고유 인디케이터 변경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0759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를 특정 메시지수신함에저장하는 방법
KR1012581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위치가 포함된 메시지처리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100594003B1 (ko) 휴대폰의메모리복사방법
KR1006460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핀홈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80015193A (ko) 편집 모드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01282A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2005012085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선택 및 전송방법
KR2005007217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다양한 이모티콘을 이용한 메시지작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