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823B1 - 주사바늘폐기장치 - Google Patents

주사바늘폐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823B1
KR101279823B1 KR1020110110428A KR20110110428A KR101279823B1 KR 101279823 B1 KR101279823 B1 KR 101279823B1 KR 1020110110428 A KR1020110110428 A KR 1020110110428A KR 20110110428 A KR20110110428 A KR 20110110428A KR 101279823 B1 KR101279823 B1 KR 10127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huck
jaw
bit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081A (ko
Inventor
차명선
Original Assignee
차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명선 filed Critical 차명선
Priority to KR102011011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8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바늘폐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단에 목부가 형성된 주사기바디부와 상기 목부에 결합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결합된 주사바늘을 갖는 주사기로부터 주사바늘을 분리하여 폐기하기 위한 주사바늘폐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주사바늘이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주사기를 삽입하기 위한 주사기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사기삽입공의 둘레영역에는 상기 주사기삽입공을 통해 주사기를 삽입할 때 상기 주사기바디부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턱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면부와 상기 천정면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바닥면부와 상기 천정면부와 상기 바닥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갖는 중공의 장치하우징과; 상기 주사기삽입공의 하측 영역에서 상기 장치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사기삽입공에 주사기를 삽입할 때 상기 주사바늘의 종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주사바늘이 통과하는 슈트바늘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활강슈트와; 상기 바닥면부에 기립 설치된 고정지지부와; 바늘낙하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척고정판을 가지고, 상기 바늘낙하안내공이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지부에 설치된 가동지지부와; 척바늘통과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척바디부와 각각 바늘압착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호 대향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기 척바늘통과공에 노출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호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척바디부에 설치된 복수의 집게턱과 회전링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척바늘통과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척바디부에 설치된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바늘압착면이 이반한 상태가 되는 물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집게턱을 상기 바늘압착면이 접근한 상태가 되는 물림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링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물림위치에 배치된 집게턱을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링운동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을 통과한 주사바늘에 정렬되도록 상기 척바디부를 통해 상기 척고정판에 설치되는 바늘척과; 척핸들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척핸들과 상기 척핸들에 연결된 척핸들구동모터축을 갖는 양방향의 척핸들구동모터를 가지고, 상기 척핸들기어가 상기 회전링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척핸들구동모터가 상기 척고정판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지지부에 설치된 회전링구동부와;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을 통과한 주사바늘에 대한 상기 집게턱의 압착동작이 완료되는 바늘압착완료위치와 상기 집게턱에 압착된 주사바늘에 대한 압착해제동작이 완료되는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 사이로 상기 가동지지부를 이송구동하는 가동지지부구동부와; 압착판과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판에 의해 일단이 밀폐되도록 상기 압착판에 결합되고 상기 압착판에 인접한 하부영역에 폐바늘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바늘배출공으로부터 이격된 상부영역에는 바늘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하우징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턱에 물려있는 주사바늘이 낙하하여 상기 바늘수령공을 통해 상기 실린더하우징바디부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하도록 상기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하우징과, 상기 실린하우징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진입한 주사바늘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압착판에 접근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압착판으로부터 상기 바늘수령공보다 더 멀리 이격된 후퇴위치 사이를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전진위치와 상기 후진위치사이를 상기 피스톤을 직선이동시키는 피스톤구동부와, 상기 압착판의 내표면에 부착된 고정전극판과, 상기 고정전극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설치된 가동전극판과, 상기 고정전극판과 상기 가동전극판에 연결된 가열전압공급부를 갖는 바늘압착가열부와; 외부로부터의 주사기삽입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의 이송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와,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서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링구동부의 회전구동동작을 제어하는 물림위치이동제어단계와,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의 이송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와,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에서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링구동부의 회전구동동작을 제어하는 물림해제위치이동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후퇴위치에서 상기 전진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구동부의 직선구동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다시 이동할 때까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후퇴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구동부의 직선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바늘폐기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하나의 바늘폐기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주사바늘 전체구간을 폐기처리할 수 있으며, 주사바늘을 폐기하는 동안 허브를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해 진다.

Description

주사바늘폐기장치{Needle Destroyer}
본 발명은 주사바늘폐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바늘을 저항 가열하는 방법으로 폐기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약액(주사약)을 생물체의 체내에 주입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사기는 약액이 저장되는 주사기바디부(201)와, 주사기바디부(201)에 결합된 허브(202)와, 허브(202)에 결합된 주사바늘(203)을 갖고 있다(도12 참조).
주사기바디부(201)는 전단에 목부(201a)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는 목부(201a)에 결합된다.
한편 사용한 주사기의 주사바늘은 병균 등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사기를 사용한 후에는 주사바늘을 폐기처리한다.
주사바늘을 폐기처리하는 방법의 하나로 주사바늘을 저항 가열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24는 종래 주사바늘폐기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5는 종래 주사바늘폐기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주사바늘폐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中空)의 장치하우징(110)과, 장치하우징(110)에 지지되도록 장치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활강슈트(122), 원통롤러(121), 접시롤러(126),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및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와, 장치하우징(1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전면커버(123)와, 전면커버(123)의 배면에 형성된 바늘회수통(124)과, 원통롤러(121)를 회전구동하는 원통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장치하우징(110)은 천정면부(111)에 주사기삽입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활강슈트(122)는 주사기삽입공(111a)의 하측 영역에서 장치하우징(1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원통롤러(121)는 활강슈트(122)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접시롤러(126)는 원통롤러(121)보다 높은 위치에서 활강슈트(122)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는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가 원통롤러(121)와 접시롤러(126)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에는 교류상용전압을 원통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의 동작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와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가 구현되어 있다.
전면커버(123)는 바늘회수통(124)의 상단이 활강슈트(122)의 하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원통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저속(60RPM)의 일방향 모터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주사바늘폐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오프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온상태로 조작한다.
온오프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온상태로 조작되면 원통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원통롤러(121)는 구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원통롤러구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온오프스위치를 통해 소정의 구동전압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주사기삽입공(111a)을 통해 주사바늘(203)이 원통롤러(121)와 접시롤러(126)에 접촉하도록 주사기를 삽입한다.
주사바늘(1203)이 원통롤러(121)와 접시롤러(126)에 접촉하면 주사바늘(203)에 의해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 사이에는 폐루프가 형성된다.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 사이에 폐루프가 형성되면 주사바늘은 저항가열에 의해 단단한 정도가 약해지고, 단단한 정도가 약해지는 동안 원통롤러(121)에 의해 분쇄된다.
바늘분쇄물은 활강슈트(122)를 타고 바늘회수통(124)으로 낙하한다.
마지막으로 전면커버(123)를 장치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한 후 바늘회수통(124)에 낙하한 바늘분쇄물을 수거하여 처리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주사바늘폐기장치는 2001년 특허출원 제 56967호(발명의 명칭 : 1회용 주사바늘 소각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주사바늘폐기장치에 따르면, 주사바늘이 저항가열된 후 원통롤러(121)에 의해 분쇄되는 과정을 통해 폐기처리되기 때문에 바늘폐기효율이 저하되고 하나의 바늘폐기결과물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주사바늘(203)과 허브(202)가 주사기바디부(201)에 결합된 상태로 주사바늘이 폐기처리되기 때문에 주사바늘 전체구간을 폐기처리할 수 없고(허브에 인접한 주사바늘부분은 원통롤러에 의해 분쇄되지 않음) 주사기바디부(201)로부터 허브(202)를 분리하는 과정을 다시 거쳐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바늘(203)을 폐기처리하는 동안 사용자가 주사기를 가압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늘폐기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하나의 바늘폐기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주사바늘 전체구간을 폐기처리할 수 있으며, 주사바늘을 폐기하는 동안 허브를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주사바늘폐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단에 목부가 형성된 주사기바디부와 상기 목부에 결합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결합된 주사바늘을 갖는 주사기로부터 주사바늘을 분리하여 폐기하기 위한 주사바늘폐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주사바늘이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주사기를 삽입하기 위한 주사기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사기삽입공의 둘레영역에는 상기 주사기삽입공을 통해 주사기를 삽입할 때 상기 주사기바디부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턱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면부와 상기 천정면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바닥면부와 상기 천정면부와 상기 바닥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갖는 중공의 장치하우징과; 상기 주사기삽입공의 하측 영역에서 상기 장치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사기삽입공에 주사기를 삽입할 때 상기 주사바늘의 종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주사바늘이 통과하는 슈트바늘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활강슈트와; 상기 바닥면부에 기립 설치된 고정지지부와; 바늘낙하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척고정판을 가지고, 상기 바늘낙하안내공이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지부에 설치된 가동지지부와; 척바늘통과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척바디부와 각각 바늘압착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호 대향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기 척바늘통과공에 노출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호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척바디부에 설치된 복수의 집게턱과 회전링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척바늘통과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척바디부에 설치된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바늘압착면이 이반한 상태가 되는 물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집게턱을 상기 바늘압착면이 접근한 상태가 되는 물림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링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물림위치에 배치된 집게턱을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링운동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을 통과한 주사바늘에 정렬되도록 상기 척바디부를 통해 상기 척고정판에 설치되는 바늘척과; 척핸들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척핸들과 상기 척핸들에 연결된 척핸들구동모터축을 갖는 양방향의 척핸들구동모터를 가지고, 상기 척핸들기어가 상기 회전링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척핸들구동모터가 상기 척고정판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지지부에 설치된 회전링구동부와;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을 통과한 주사바늘에 대한 상기 집게턱의 압착동작이 완료되는 바늘압착완료위치와 상기 집게턱에 압착된 주사바늘에 대한 압착해제동작이 완료되는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 사이로 상기 가동지지부를 이송구동하는 가동지지부구동부와; 압착판과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판에 의해 일단이 밀폐되도록 상기 압착판에 결합되고 상기 압착판에 인접한 하부영역에 폐바늘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바늘배출공으로부터 이격된 상부영역에는 바늘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하우징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턱에 물려있는 주사바늘이 낙하하여 상기 바늘수령공을 통해 상기 실린더하우징바디부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하도록 상기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하우징과, 상기 실린하우징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진입한 주사바늘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압착판에 접근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압착판으로부터 상기 바늘수령공보다 더 멀리 이격된 후퇴위치 사이를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전진위치와 상기 후진위치사이를 상기 피스톤을 직선이동시키는 피스톤구동부와, 상기 압착판의 내표면에 부착된 고정전극판과, 상기 고정전극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설치된 가동전극판과, 상기 고정전극판과 상기 가동전극판에 연결된 가열전압공급부를 갖는 바늘압착가열부와; 외부로부터의 주사기삽입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의 이송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와,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서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링구동부의 회전구동동작을 제어하는 물림위치이동제어단계와,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의 이송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와,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에서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링구동부의 회전구동동작을 제어하는 물림해제위치이동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후퇴위치에서 상기 전진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구동부의 직선구동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다시 이동할 때까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후퇴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구동부의 직선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폐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링운동변환부는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서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집게턱을 상기 척바디부에 대하여 상승시키고 상기 집게턱이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승하는 거리를 압착거동스트로크라고 할 때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에서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상기 집게턱을 상기 척바디부에 대하여 하강시키며; 상기 척핸들구동모터축은 모터회전자에 결합된 축핸들원동모터축부와, 일단이 상기 척핸들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보다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낮게 설정되는 바늘압착준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의 회전력이 차단하고 상기 바늘압착준비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물림해제위치이동제어단계가 실시되는 동안에는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보다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높게 설정되는 압착해제준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차단되고 상기 바늘압착해제준비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에 결합된 축핸들종동모터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는 상기 가동지지부에 설치된 지지부구동축과, 상기 지지부구동축에 결합된 지지부구동피니언과,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원동기어와, 상기 지지부구동원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지지부구동축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종동기어와, 상기 지지부구동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상기 고정지지부에 형성된 지지부구동랙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는 상기 가동지지부에 설치된 지지부구동축과,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단반경점이 상기 고정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부구동축에 결합된 편심캠과,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원동기어와, 상기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와 상기 물림위치이동제어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동안 상기 편심캠이 정방향으로 1/2회전하고 상기 물림해제위치이동제어단계와 상기 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동안 상기 편심캠이 역방향으로 1/2 회전하는 기어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구동원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지지부구동축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기를 장치하우징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바늘척을 사용하여 주사기바디부로부터 허브와 주사바늘을 분리시킨 후, 저항가열동작과 피스톤의 압착동작을 통해 주사바늘을 폐기처리시킴으로써, 바늘폐기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하나의 바늘폐기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주사바늘 전체구간을 폐기처리할 수 있으며, 주사바늘을 폐기하는 동안 허브를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폐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폐기장치의 부분절취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의 요부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척, 회전링구동부 및 가동지지부구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척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척과 회전링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의 A-A선 단면도,
도8은 도6의 B-B선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압착가열부의 단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피스톤, 연접봉 및 가동전극판의 상세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럭도,
도12, 도13, 도14, 도15, 도16, 도17, 도18, 도19, 도20 및 도2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폐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늘척, 회전링구동부 및 가동지지부구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4는 도23에 도시된 편심캠의 상세도,
도25는 종래 주사바늘폐기장치의 결합사시도,
도26은 종래 주사바늘폐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폐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폐기장치의 부분절취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의 요부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척, 회전링구동부 및 가동지지부구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척의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척과 회전링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도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8은 도6의 B-B선 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압착가열부의 단면도이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피스톤, 연접봉 및 가동전극판의 상세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폐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부(11)와 바닥면부(12)를 갖는 중공(中空)의 장치하우징(10)과, 장치하우징(10)에 설치된 온오프스위치(21)와, 장치하우징(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활강슈트(22, chute), 피시비(도시되지 않음), 허브회수통(23), 바늘회수통(24) 및 주사기삽입감지센서(25)와, 바닥면부(12)에 기립 설치된 고정지지부(26)와, 고정지지부(26)에 설치된 가동지지부(30)와, 가동지지부(30)에 설치된 바늘척(40) 및 회전링구동부(50)와, 가동지지부(30)를 이송구동하는 가동지지부구동부(70)와, 바닥면부(12)에 설치된 실린더하우징(81)을 갖는 바늘압착가열부(80)와, 온오프스위치(21)의 조작신호와 주사기삽입감지센서(25)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가동지지부(30), 가동지지부구동부(70) 및 바늘압착가열부(8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8)를 갖고 있다.
장치하우징(10)은 천정면부(11)와 바닥면부(12)에 더하여 천정면부(11) 및 바닥면부(12)를 연결하는 측면부(13)를 갖고 있다.
천정면부(11)에는 허브(202)와 주사바늘(203)이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주사기를 삽입하기 위한 주사기삽입공(11a)이 형성되어 있고, 주사기삽입공(11a)의 둘레영역에는 주사기삽입공(11a)을 통해 주사기를 삽입할 때 주사기바디부(201)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턱(11b)이 형성되어 있다.
온오프스위치(21)는 푸시버튼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활강슈트(22)는 주사기삽입공(11a)의 하측 영역에서 장치하우징(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활강슈트(22)는 주사기삽입공(11a)에 주사기를 삽입할 때 주사바늘(203)의 종단이 노출되도록 주사바늘(203)이 통과하는 슈트바늘통과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에는 제어부(28), 척핸들구동모터스위칭부(62), 피스톤구동모터스위칭부(86) 등이 구현되어 있다.
이런 구성을 갖는 피시비(도시되지 않음)는 바닥면부(12)의 하부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허브회수통(23)과 바늘회수통(24)은 각각 장치하우징(1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서랍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주사기삽입감지센서(25)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26)는 바닥면부(12)에 기립 형성되어 있는 좌지지기둥(26a)과 우지지기둥(26b)을 갖고 있다.
우지지기둥(26b)은 상단 좌측영역에 이송보조홈(26c)이 절취형성되어 있다.
가동지지부(30)는 척고정판(31)과, 척고정판(31)에 결합된 좌승강안내관(32) 및 우승강안내관(33)을 갖고 있다.
척고정판(31)에는 바늘낙하안내공(3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동지지부(30)는 바늘낙하안내공(31a)이 슈트바늘통과공(22a)에 정렬되고 좌승강안내관(32)에 좌지지기둥(26a)이 통과하고 우승강안내관(33)에 우지지기둥(26b)이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좌승강안내관(32)에 좌지지기둥(26a)이 통과하고 우승강안내관(33)에 우지지기둥(26b)이 통과한 상태에서 가동지지부(30)는 슈트바늘통과공(22a)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게 된다.
바늘척(40)은 척바늘통과공(41a)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척바디부(41)와, 척바디부(41)에 설치된 집게턱(42) 및 회전링(43)과, 회전링(43)의 회전운동을 집게턱(42)의 직선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링운동변환부(44)와, 척바디부(41)를 둘러싸고 있는 지지링(45)를 갖고 있다.
척바디부(41)는 외표면에 축지지공(41b)이 형성되어 있고, 척바늘통과공(41a)의 둘레영역에는 3개의 턱안착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각 턱안착공(도시되지 않음)은 척바늘통과공(41a)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척바늘통과공(41a)의 상측 영역 내표면은 관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다.
집게턱(42)은 3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봉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집게턱(42)의 상측 영역 내표면에는 경사를 이루도록 바늘압착면(42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집게턱(42)은 바늘압착면(42a)이 상호 대향하고 바늘압착면(42a)이 척바늘통과공(41a)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척바늘통과공(41a)의 상측 영역 내표면이 점점 작아지도록(관경이)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집게턱(42)이 상승할 때 바늘압착면(42a)은 접근하고, 집게턱(42)이 하강할 때 바늘압착면(42a)은 이반할 수 있게 된다.
회전링(43)은 상단에 회전링기어(43a)가 형성되어 있고, 척바늘통과공(41a)을 둘러싸도록 척바디부(41)에 설치된다.
회전링운동변환부(44)는 집게턱(42)의 외표면에 형성된 집게턱나사홈(44a)과, 회전링(43)의 내표면에 형성된 회전링나사산(44b)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링운동변환부(44)에 의해 물림해제위치(바늘압착면이 주사바늘로부터 이탈한 집게턱의 위치)에 배치된 집게턱(42)은 회전링(43)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물림해제위치(바늘압착면이 주사바늘을 압착하는 집게턱의 위치)로 이동하고, 물림위치에 배치된 집게턱(42)은 회전링(43)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바늘척(40)은 종래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드릴척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바늘척(40)은 집게턱(42)이 물림해제위치에 있을 때 집게턱(42) 사이로 슈트바늘통과공(22a)을 통과한 주사바늘(203)이 진입할 수 있도록 척바디부(41)를 통해 척고정판(31)에 설치된다.
회전링구동부(50)는 척핸들기어(51a)가 형성되어 있는 척핸들(51)과, 척핸들(51)에 연결된 척핸들구동모터축(61)을 갖는 양방향의 척핸들구동모터(60)를 갖고 있다.
척핸들(51)에는 지지돌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척핸들(51)은 척핸들기어(51a)가 회전링기어(43a)에 맞물리고 지지돌부(51b)가 축지지공(41b)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척핸들구동모터(60)는 척고정판(3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척핸들구동모터(60)는 척고정판(31)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척핸들구동모터축(61)은 모터회전자에 결합된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와, 일단이 척핸들(51)에 고정결합된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를 갖고 있다.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는 외표면에 하나의 원동축전동리브(61c)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는 우측 종단(축핸들원동모터축부에 인접한 종단)이 부분적으로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관형태 구간의 내표면에는 한 쌍의 종동축전동리브(61d)가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는 가동지지부(30)가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집게턱에 압착된 주사바늘에 대한 압착해제동작이 완료될 때 가동지지부가 점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집게턱(42)이 물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동축전동리브(61c)와 종동축전동리브(61d)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도록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가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정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경우 초기 270도 회전하는 동안에는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로부터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차단되고, 후기 90도 회전하는 동안에는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로부터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초기 270도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바늘압착준비위치로 이동한다(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 여기서 바늘압착준비위치는 집게턱(42)이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가동지지부(30)가 점하는 위치이다.
그리고 바늘압착준비위치는 집게턱(42)이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가 상승하는 거리를 압착거동스트로크라고 할 때 바늘압착완료위치(슈트바늘통과공을 통과한 주사바늘에 대한 집게턱의 압착동작이 완료될 때 가동지지부가 점하는 위치)보다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낮게 설정된다.
그리고 정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하는 동안 집게턱(42)은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하고(물림위치이동제어단계),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준비위치에서 바늘압착완료위치로 이동한다(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
그리고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정방향으로 360도 회전한 후 원동축전동리브(61c)와 종동축전동리브(61d)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원동축전동리브(61c)와 종동축전동리브(61d)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역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경우 초기 270도 회전하는 동안에는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로부터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차단되고, 역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하는 동안에는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로부터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초기 270도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바늘압착해제준비위치로 이동한다(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 여기서 바늘압착해제준비위치는 집게턱(42)이 물림위치에서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가동지지부(30)가 점하는 위치로서,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보다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높게 설정된다.
한편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역방향으로 360도 회전한 후 원동축전동리브(61c)와 종동축전동리브(61d)는 다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가동지지부구동부(70)는 베어링(76)을 통해 척고정판(31)에 설치된 지지부구동축(71)과, 지지부구동축(71)에 결합된 지지부구동피니언(72)과,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와,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에 맞물리도록 지지부구동축(71)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종동기어(74)와, 지지부구동피니언(72)에 맞물리도록 고정지지부(26)에 형성된 지지부구동랙크(75)를 갖고 있다.
지지부구동축(71)은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와 지지부구동종동기어(74)에 의해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회전할 때 회전하게 된다.
지지부구동피니언(72)은 스퍼기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는 스퍼기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구동랙크(75)는 이송보조홈(26c)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동지지부구동부(70)는 지지부구동축(71)의 회전시 지지부구동피니언(72)이 지지부구동랙크(75)에 맞물린 상태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지지부구동피니언(72)이 지지부구동랙크(75)에 맞물린 상태로 상승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로 이송되고, 지지부구동피니언(72)이 지지부구동랙크(75)에 맞물린 상태로 하강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바늘압착완료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바늘압착가열부(80)는 실린더하우징(81)에 더하여 실린더하우징(81)에 설치된 피스톤(82)과, 피스톤(82)을 직선이동시키는 피스톤구동부(83)와, 실린더하우징(81)에 결합된 고정전극판(84)과, 고정전극판(84)에 대향하도록 피스톤(82)에 설치된 가동전극판(85)과, 고정전극판(84)과 가동전극판(85)에 연결된 가열전압공급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실린더하우징(81)은 압착판(81a)과, 압착판(81a)에 결합된 관형태의 실린더하우징바디부(81b)와, 실린더하우징바디부(81b)에 형성된 호퍼(81e, hopper)를 갖고 있다.
압착판(81a)은 우호(優弧)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하우징바디부(81b)는 압착판(81a)과 같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하우징바디부(81b)는 압착판(81a)에 인접한 하부영역에 폐바늘배출공(81c)이 형성되어 있고, 폐바늘배출공(81c)으로부터 이격된 상부영역에는 바늘수령공(81d)이 형성되어 있다.
바늘수령공(81d)은 호퍼(81e)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하우징바디부(81b)는 압착판(81a)에 의해 일단이 밀폐되도록 압착판(81a)에 결합된다.
호퍼(81e)는 내부에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주사바늘이실린더하우징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하우징(81)은 집게턱(42)에 물려있는 주사바늘(203)이 낙하하여 바늘수령공(81d)을 통해 실린더하우징바디부(81b)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하도록 장치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피스톤(82)은 우호(優弧)단면의 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피스톤(82)은 실린더하우징바디부(81b)의 내부공간에서 압착판(81a)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피스톤구동부(83)는 중공축형의 피스톤구동모터축(83d)을 구비한 피스톤구동모터(83b)와, 피스톤(82)과 피스톤구동모터축(83d)을 연결하는 연접봉(83a)을 갖고 있다.
피스톤구동모터축(83d)의 내표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접봉(83a)은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피스톤구동모터축(83d)의 내표면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피스톤구동부(83)에 따르면 피스톤구동모터축(83d)이 회전하면 연접봉(83a)이 직선이동하고 피스톤구동모터축(83d)의 회전방향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피스톤(82)을 전진위치와 후진위치 사이를 반복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전극판(84)은 압착판(81a)에 설치된다.
가동전극판(85)은 피스톤(82)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가열전압공급부(도시되지 않음)는 온오프스위치(21)가 온 조작될 때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가 도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각각 단자고정전극판(84)과 가동전극판(8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열전압공급부(도시되지 않음)는 대략 6볼트정도의 출력을 갖는 배터리, 교류직류변환기 등을 사용하여 바닥면부(12)의 하부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28)는 입력단에 온오프스위치(21)와 주사기삽입감지센서(25)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척핸들구동모터스위칭부(62)와 피스톤구동모터스위칭부(86)를 통해 척핸들구동모터(60) 및 피스톤구동모터(83b)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척핸들구동모터스위칭부(62)는 제어부(2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척핸들구동전압공급부(63, 상용전원전압을 척핸들구동모터의 정방향구동전압과 역방향구동전압으로 변환함)의 정방향구동전압단자를 척핸들구동모터(60)에 연결하거나 또는 척핸들구동전압공급부(63)의 역방향구동전압단자를 척핸들구동모터(60)에 연결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척핸들구동모터스위칭부(62)를 구현하는 방법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소자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피스톤구동모터스위칭부(86)는 제어부(2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피스톤구동전압공급부(87, 상용전원전압을 피스톤구동모터의 정방향구동전압과 역방향구동전압으로 변환함)의 정방향구동전압단자를 피스톤구동모터(83b)에 연결하거나 또는 피스톤구동전압공급부(87)의 역방향구동전압단자를 피스톤구동모터(83b)에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폐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2 내지 도2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집게턱(42)은 물림해제위치에 배치되고,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온오프스위치(21)를 온상태로 조작하고, 주사기삽입공(11a)을 통해 주사바늘(203)이 슈트바늘통과공(22a)을 통과하도록 주사기를 삽입한다(도12 참조).
온오프스위치(21)가 온상태로 조작되면 제어부(28)에 동작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주사기삽입공(11a)을 통해 주사기가 삽입될 때 주사기삽입감지센서(25)는 주사기삽입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8)에 전달한다.
주사기삽입신호가 전달받은 제어부(28)는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정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때까지 척핸들구동전압공급부(63)의 정방향구동전압단자가 척핸들구동모터(60)에 연결되도록 척핸들구동모터스위칭부(62)를 제어한다.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정방향으로 270도 회전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바늘압착준비위치로 이송된다(도13 및 도14 참조).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정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하는 동안 집게턱(42)은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15 및 도16 및 도17 참조).
집게턱(42)이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할 때 슈트바늘통과공(22a)을 통과한 주사바늘(203)은 집게턱(42)사이로 진입하여 집게턱(42)에 의해 압착된다.
그리고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정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하면서 집게턱(42)이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준비위치에서 바늘압착완료위치로 이송됨으로써,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완료된다.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완료될 때 슈트바늘통과공(22a)을 통과한 주사바늘(203)에 대한 집게턱의 압착동작이 완료된다.
제어부(28)는 물림위치이동제어단계가 완료된 후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역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때까지 척핸들구동전압공급부(63)의 역방향구동전압단자가 척핸들구동모터(60)에 연결되도록 척핸들구동모터스위칭부(62)를 제어한다.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역방향으로 270도 회전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바늘압착해제준비위치로 이송된다(도18 및 도19 참조).
가동지지부(30)가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바늘압착해제준비위치로 이송되는 동안 허브(202)는 주사기바디부(201)로부터 분리되고 주사바늘(203)은 허브(202)로부터 분리된다. 주사기바디부(201)로부터 분리된 허브(202)는 활강슈트(22)를 통해 허브회수통(23)에 수집된다.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역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하는 동안 집게턱(42)은 물림위치에서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20 및 도21 참조).
집게턱(42)이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할 때 주사바늘에 대한 집게턱(42)의 압착상태는 해제된다.
그리고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역방향으로 90도 더 회전하면서 집게턱(42)이 물림위치에서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해제준비위치에서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로 이송됨으로써, 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완료된다.
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완료될 때 주사바늘(203)에 대한 집게턱의 압착해제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주사바늘에 대한 집게턱(42)의 압착상태가 해제되면 주사바늘은 자유낙하하여 바늘수령공(81d)을 통해 실린더하우징바디부(81b)의 내부로 진입한다.
제어부(28)는 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종료된 후 일정시간(집게턱으로부터 자유낙하는데 걸리는 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게 설정됨)이 경과할 때 피스톤(82)이 후퇴위치에서 전진위치로 이동하도록 피스톤구동부(83)의 직선구동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피스톤(82)을 전진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동작은 피스톤구동전압공급부(87)의 정방향구동전압단자가 피스톤구동모터(83b)에 연결되도록 피스톤구동모터스위칭부(86)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피스톤(82)이 전진위치로 이동하는 중간에 주사바늘(203)의 양단은 고정전극판(84)과 가동전극판(85)에 접촉된다.
주사바늘(203)의 양단이 고정전극판(84)과 가동전극판(85)에 접촉되면, 주사바늘(203)은 압착되면서 저항가열에 의해 뭉쳐질 수 있도록 단단한 정도가 약해진다(가열전압공급부의 플러스단자와 마이너스단자 사이에 폐루프가 형성됨).
압착된 주사바늘은 폐바늘배출공(81c)을 통해 바늘회수통(24)에 수집된다.
한편 제어부(28)는 피스톤(82)이 전진위치에서 후퇴위치로 이동하도록 피스톤구동부(83)의 직선구동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피스톤(82)을 후퇴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동작은 피스톤구동전압공급부(87)의 역방향구동전압단자가 피스톤구동모터(83b)에 연결되도록 피스톤구동모터스위칭부(86)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허브회수통(23)과 바늘회수통(24)을 인출하여 폐바늘을 수거처리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구동피니언(72)과 지지부구동랙크(75)를 사용하여 가동지지부구동부(70)를 구현하고 있으나,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구동피니언(72)과 지지부구동랙크(75)를 생략하는 대신 편심캠(78)을 사용하여 가동지지부구동부(70)를 구현할 수 있다.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늘척, 회전링구동부 및 가동지지부구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3은 도22에 도시된 편심캠의 상세도이다.
도22 및 도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폐기장치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지지부구동부(70)는 척고정판(31)에 설치된 지지부구동축(71)과, 이송보조홈(26c)에 지지되도록 지지부구동축(71)에 결합된 편심캠(78)과,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와,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에 맞물리도록 지지부구동축(71)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종동기어(74)를 갖고 있다.
지지부구동축(71)은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와 지지부구동종동기어(74)에 의해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회전할 때 회전하게 된다.
편심캠(78)은 가동지지부(30)가 바늘압착준비위치에 배치되고 집게턱(42)이 물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단반경점(A)이 이송보조홈(26c)에 지지되도록 지지부구동축(71)에 결합된다.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는 지지부구동종동기어(74)에 대한 기어비가 1/2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가 1회전하는 동안, 지지부구동원동기어(73)는 1회전하고 지지부구동종동기어(74), 지지부구동축(71) 및 편심캠(78)은 각각 1/2 회전하게 된다.
편심캠(78)의 이송보조홈(26c)에 대한 지지점이 단반경점(A)에서 장반경점(B)으로 달라지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바늘압착완료위치로 이송되고, 집게턱(42)은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편심캠(78)의 이송보조홈(26c)에 대한 지지점이 장반경점(B)에서 단반경점(A)으로 달라지는 동안 가동지지부(30)는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로 이송되고 집게턱(42)은 물림위치에서 물림해제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링구동부(50)에 연동하도록 가동지지부구동부(70)를 구성하고 있으나, 회전링구동부(5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별도의 모터, 유압기, 공압기 등을 동력원으로 가동지지부(30)를 이송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링구동부(50), 가동지지부구동부(70) 및 피스톤구동부(83)의 동력원으로 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유압기, 공압기 등 다른 동력원을 사용하여 회전링구동부(50), 가동지지부구동부(70) 및 피스톤구동부(83)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사기를 장치하우징(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바늘척(40)을 사용하여 주사기바디부(201)로부터 허브(202)와 주사바늘(203)을 분리시킨 후, 저항가열동작과 피스톤(82)의 압착동작을 통해 주사바늘을 폐기처리시킴으로써, 바늘폐기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하나의 바늘폐기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주사바늘 전체구간을 폐기처리할 수 있으며, 주사바늘을 폐기하는 동안 허브를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해진다.
그리고 척핸들구동모터축(61)을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와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로 분할하고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이 회전하는 동안 일정구간에서만 축핸들종동모터축부(61b)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한편 축핸들원동모터축부(61a)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동지지부(3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가동지지부구동부(70)는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10 : 장치하우징 22, 122 : 활강슈트
23 : 허브회수통 24, 124 : 바늘회수통
26 : 고정지지부 28 : 제어부
30 : 가동지지부 31 : 척고정판
40 : 바늘척 41 : 척바디부
42 : 집게턱 43 : 회전링
44 : 회전링운동변환부 50 : 회전링구동부
51 : 척핸들 60 : 척핸들구동모터
61 : 척핸들구동모터축 70 : 가동지지부구동부
71 : 지지부구동축 72 : 지지부구동피니언
73 : 지지부구동원동기어 74 : 지지부구동종동기어
75 : 지지부구동랙크 78 : 편심캠
80 : 바늘압착가열부 81 : 실린더하우징
82 : 피스톤 83 : 피스톤구동부
84 : 고정전극판 85 : 가동전극판
121 : 원통롤러 123 : 전면커버
126 : 접시롤러

Claims (3)

  1. 전단에 목부가 형성된 주사기바디부와 상기 목부에 결합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결합된 주사바늘을 갖는 주사기로부터 주사바늘을 분리하여 폐기하기 위한 주사바늘폐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주사바늘이 내부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주사기를 삽입하기 위한 주사기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사기삽입공의 둘레영역에는 상기 주사기삽입공을 통해 주사기를 삽입할 때 상기 주사기바디부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턱이 형성되어 있는 천정면부와 상기 천정면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바닥면부와 상기 천정면부와 상기 바닥면부를 연결하는 측면부를 갖는 중공의 장치하우징과;
    상기 주사기삽입공의 하측 영역에서 상기 장치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사기삽입공에 주사기를 삽입할 때 상기 주사바늘의 종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주사바늘이 통과하는 슈트바늘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활강슈트와;
    상기 바닥면부에 기립 설치된 고정지지부와;
    바늘낙하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척고정판을 가지고, 상기 바늘낙하안내공이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지부에 설치된 가동지지부와;
    척바늘통과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척바디부와 각각 바늘압착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호 대향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기 척바늘통과공에 노출되고 상기 바늘압착면이 상호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척바디부에 설치된 복수의 집게턱과 회전링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척바늘통과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척바디부에 설치된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바늘압착면이 이반한 상태가 되는 물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집게턱을 상기 바늘압착면이 접근한 상태가 되는 물림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링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물림위치에 배치된 집게턱을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링운동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을 통과한 주사바늘에 정렬되도록 상기 척바디부를 통해 상기 척고정판에 설치되는 바늘척과;
    척핸들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척핸들과 상기 척핸들에 연결된 척핸들구동모터축을 갖는 양방향의 척핸들구동모터를 가지고, 상기 척핸들기어가 상기 회전링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척핸들구동모터가 상기 척고정판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지지부에 설치된 회전링구동부와;
    상기 슈트바늘통과공을 통과한 주사바늘에 대한 상기 집게턱의 압착동작이 완료되는 바늘압착완료위치와 상기 집게턱에 압착된 주사바늘에 대한 압착해제동작이 완료되는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 사이로 상기 가동지지부를 이송구동하는 가동지지부구동부와;
    압착판과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판에 의해 일단이 밀폐되도록 상기 압착판에 결합되고 상기 압착판에 인접한 하부영역에 폐바늘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바늘배출공으로부터 이격된 상부영역에는 바늘수령공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하우징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턱에 물려있는 주사바늘이 낙하하여 상기 바늘수령공을 통해 상기 실린더하우징바디부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하도록 상기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하우징과, 상기 실린하우징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진입한 주사바늘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압착판에 접근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압착판으로부터 상기 바늘수령공보다 더 멀리 이격된 후퇴위치 사이를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전진위치와 상기 후진위치사이를 상기 피스톤을 직선이동시키는 피스톤구동부와, 상기 압착판의 내표면에 부착된 고정전극판과, 상기 고정전극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설치된 가동전극판과, 상기 고정전극판과 상기 가동전극판에 연결된 가열전압공급부를 갖는 바늘압착가열부와;
    외부로부터의 주사기삽입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의 이송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와,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서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링구동부의 회전구동동작을 제어하는 물림위치이동제어단계와,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의 이송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와,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에서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링구동부의 회전구동동작을 제어하는 물림해제위치이동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후퇴위치에서 상기 전진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구동부의 직선구동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다시 이동할 때까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후퇴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구동부의 직선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폐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운동변환부는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서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집게턱을 상기 척바디부에 대하여 상승시키고 상기 집게턱이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승하는 거리를 압착거동스트로크라고 할 때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에서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상기 집게턱을 상기 척바디부에 대하여 하강시키며;
    상기 척핸들구동모터축은 모터회전자에 결합된 축핸들원동모터축부와, 일단이 상기 척핸들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보다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낮게 설정되는 바늘압착준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의 회전력이 차단하고 상기 바늘압착준비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물림해제위치이동제어단계가 실시되는 동안에는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보다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높게 설정되는 압착해제준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차단되고 상기 바늘압착해제준비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에 결합된 축핸들종동모터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는 상기 가동지지부에 설치된 지지부구동축과, 상기 지지부구동축에 결합된 지지부구동피니언과,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원동기어와, 상기 지지부구동원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지지부구동축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종동기어와, 상기 지지부구동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상기 고정지지부에 형성된 지지부구동랙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폐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운동변환부는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서 상기 물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집게턱을 상기 척바디부에 대하여 상승시키고 상기 집게턱이 물림해제위치에서 물림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승하는 거리를 압착거동스트로크라고 할 때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위치에서 상기 물림해제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상기 집게턱을 상기 척바디부에 대하여 하강시키며;
    상기 척핸들구동모터축은 모터회전자에 결합된 축핸들원동모터축부와, 일단이 상기 척핸들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보다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낮게 설정되는 바늘압착준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의 회전력이 차단하고 상기 바늘압착준비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물림해제위치이동제어단계가 실시되는 동안에는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보다 상기 압착거동스트로크 만큼 높게 설정되는 압착해제준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차단되고 상기 바늘압착해제준비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바늘압착해제완료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에 결합된 축핸들종동모터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지지부구동부는 상기 가동지지부에 설치된 지지부구동축과, 상기 가동지지부가 상기 바늘압착완료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집게턱이 상기 물림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단반경점이 상기 고정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부구동축에 결합된 편심캠과, 상기 축핸들원동모터축부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원동기어와, 상기 압착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와 상기 물림위치이동제어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동안 상기 편심캠이 정방향으로 1/2회전하고 상기 물림해제위치이동제어단계와 상기 압착해제완료위치이송제어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는 동안 상기 편심캠이 역방향으로 1/2 회전하는 기어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구동원동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지지부구동축에 결합된 지지부구동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폐기장치.
KR1020110110428A 2011-10-27 2011-10-27 주사바늘폐기장치 KR10127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28A KR101279823B1 (ko) 2011-10-27 2011-10-27 주사바늘폐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28A KR101279823B1 (ko) 2011-10-27 2011-10-27 주사바늘폐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81A KR20130046081A (ko) 2013-05-07
KR101279823B1 true KR101279823B1 (ko) 2013-06-28

Family

ID=4865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428A KR101279823B1 (ko) 2011-10-27 2011-10-27 주사바늘폐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8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223A (ko) * 2007-07-02 2010-05-07 유니트랙트 시린지 피티와이 엘티디 사전 충전된 후퇴 가능 주사기, 플런저 및 그 바늘 어셈블리
KR20110005122U (ko) * 2009-11-18 2011-05-25 지용주 이중마개 주사바늘 및 이를 구비한 안전 주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223A (ko) * 2007-07-02 2010-05-07 유니트랙트 시린지 피티와이 엘티디 사전 충전된 후퇴 가능 주사기, 플런저 및 그 바늘 어셈블리
KR20110005122U (ko) * 2009-11-18 2011-05-25 지용주 이중마개 주사바늘 및 이를 구비한 안전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81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3316B1 (en) Powder automatic mixing apparatus
US7421913B2 (en) Pipette
US8201314B2 (en) Hypodermic needle extra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device
KR101249725B1 (ko) 주사바늘분리처리기
US11607503B2 (en) Hypodermic needle destruction
US20050236289A1 (en) Injection needle removing apparatus for dental cartridge syringe
KR20180115934A (ko) 자동 주사장치
CN101674773B (zh) 产生体液样品并对其进行分析的仪器和系统
JP4578719B2 (ja) キャップを瓶容器又はバイアルから除去する動力式キャップ除去工具
US20120042753A1 (en) Electric can opener and method of opening a can
KR101279823B1 (ko) 주사바늘폐기장치
KR100350634B1 (ko) 주사바늘 분리기
EP2391412B1 (en) Hypodermic needle destruction
JP6789463B1 (ja) 電動注射器補助具
JP3171332U (ja) 注射針処理装置
KR20230124955A (ko) 핸드헬드형 캐퍼/디캐퍼 디바이스 및 방법
CN112237543B (zh) 一种智能肌肉注射设备
CN203828942U (zh) 用于采血笔的安全保护机构
CN213640504U (zh) 一种安全的便携式原汁机
CN111000724A (zh) 安瓿瓶配药机
CN213371277U (zh) 一种安全的便携式原汁机
CN113730734B (zh) 一种注射器批量回收处理装置
CN108715802A (zh) 一种生物技术领域用噬菌斑挪取装置
CN211159827U (zh) 一种便携式注射器针头分离装置
CN112933348A (zh) 一种医疗针头预处理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