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886B1 -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886B1
KR101278886B1 KR1020110078769A KR20110078769A KR101278886B1 KR 101278886 B1 KR101278886 B1 KR 101278886B1 KR 1020110078769 A KR1020110078769 A KR 1020110078769A KR 20110078769 A KR20110078769 A KR 20110078769A KR 101278886 B1 KR101278886 B1 KR 10127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supply pipe
groundwater
treatment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688A (ko
Inventor
이길용
고경석
윤윤열
조수영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7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8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는 제1 공급관과 제2 공급관으로부터 지하수를 공급받는 수처리 탱크와, 제2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지하수에 처리액을 주입하는 처리액 공급수단과, 수처리 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제1 공급관과 제2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지하수를 서로 혼합시키는 혼합부와, 혼합부로부터 낙하하는 지하수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성하는 수차 수단과, 수차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수단 및 배기수단과, 수처리 탱크 내부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수처리 탱크로부터 오버플로우 하는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장 수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에 의하면, 혼합부 및 교반 수단에 의해 지하수와 처리액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고, 포집부에 의해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며, 수차 수단을 이용하여 유지비용이 감소하고 친환경적이며, 배기 수단에 의해 살균 및 정화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SMALL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GROUND WATER}
본 발명은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에 소독 및 살균을 실시하여 사용하기 위한 간이식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 가구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수돗물을 이용하는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형상의 위치나 경비 등의 문제로 지방 농상공인들은 여전히 지하수를 식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수처리장이 구비되지 않은 지방 지역에서는, 각 부락 단위로 대형 지하수 저장탱크를 설치하고, 대형 관정에서 양수된 물을 고지대의 대형 지하수 저장탱크 내에 저장함으로써, 각 가구에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지하수 저장탱크는 장기간 지하수를 저장하게 되고, 지하수 자체에도 많은 이물질이 포함되기 때문에, 지하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많은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소독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지하수 처리장치는 양수된 지하수에 단순히 소독액을 공급함으로써 소독을 실시하는데, 이 경우 소독액이 지하수에 충분히 섞이지 않으므로 살균 및 소독 효과가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지하수를 양수하는 과정에서 토양 내의 이물질들이 같이 양수되어 지하수 처리장치에 쌓이는데, 지하수 처리장치 내에 쌓인 이물질들을 별도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수된 지하수에 소독액이 골고루 섞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처리 장치 내에 쌓인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는 제1 공급관 및 제2 공급관을 통해 지하수를 공급받는 수처리 탱크;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관을 통과하는 지하수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 공급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관 또는 제2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의 낙차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수차 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에 구비되고, 상기 수차 수단과 연동되어 지하수를 교반시키는 교반 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탱크에 의해 처리된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장 수조;및 상기 수처리 탱크와 상기 저장 수조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처리 탱크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지하수를 상기 저장 수조로 유입시키는 오버플로우 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처리 탱크는 상기 수차 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수처리 탱크 내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처리 탱크는 상기 수처리 탱크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집부는 외부와 연결되는 이물질 배출관에 의해 연결되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처리 탱크는 상기 제1 공급관의 말단과 상기 제2 공급관의 말단이 만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관으로부터의 지하수와 상기 제2 공급관으로부터의 지하수를 혼합시키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부는 상기 제1 공급관과 연결되는 혼합부 본체; 상기 혼합부 본체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급관과 마주보며,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혼합부 본체의 하단과 연결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부 본체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단부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분산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처리 탱크의 하부와 상기 저장 수조를 연결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유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교반 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처리 탱크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에 연결되어 상기 구획판의 하방을 통해 지하수가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교반 수단은 상기 구획판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수개의 회전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처리액 공급수단은 상기 제2 공급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관 내부 중앙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도록 형성되는 오리피스 수단과, 상기 오리피스 수단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이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처리액 공급수단은 상기 수처리 탱크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액 공급관과, 상기 처리액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처리액 공급관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에 의하면, 처리액이 포함된 지하수와 포함되지 않은 지하수를 혼합부에 의해 혼합시키고 교반 수단에 의해 다시 한번 지하수를 교반시킴으로써 지하수와 처리액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고, 포집부에 의해 수처리 탱크 내의 이물질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며, 수차 수단을 이용하여 지하수 낙하에 의한 회전력을 사용하여 교반 수단 및 배기 수단을 구동시키므로 유지비용이 감소하고 친환경적이며, 배기 수단에 의해 라돈과 같은 공기 중의 유해물질도 제거함으로써 살균 및 정화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의 혼합부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의 수차 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의 정화 작용을 보인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수처리된 지하수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조(1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수조(10)에는 내부에 저장된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1)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수조(10)의 상방에는 지하수를 수처리하여 상기 저장수조(10)로 공급하기 위한 수처리 탱크(20)가 구비된다. 상기 수처리 탱크(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지하수에 소독액을 주입하고, 수차 수단(60)에 의한 동력을 이용하여 지하수와 소독액을 지속적으로 교반시킴으로써 소독액에 의한 소독 및 살균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처리 탱크(20)에는 두 가지 유로로 지하수가 공급된다. 지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지하수는 공급관(30)을 통해 공급되는데, 상기 공급관(30)은 제1 공급관(31)과 제2 공급관(33)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급관(31)은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관통공(21)을 통해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2 공급관(33)은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상면에 형성된 제2 관통공(23)을 통해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내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급관(31)의 말단과 상기 제2 공급관(33)의 말단은 상기 수처리 탱크(20) 내부에 구비되는 혼합부(40)에서 만난다.
상기 혼합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상기 제1 공급관(31)의 말단과 연결되고, 상면이 제2 공급관(33)과 마주본다. 상기 혼합부(4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대략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구형상으로 형성된 혼합부 본체(41)와, 상기 혼합부 본체(41)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고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상단부(43)와 하단부(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부(43)에는 상기 제2 공급관(33)의 말단이 위치되고, 상기 하단부(45)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분산망(47)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부(40)의 상면을 통해 제2 공급관(33)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되고, 상기 혼합부(40)의 측면을 통해 상기 제1 공급관(31)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되어 상기 혼합부(40) 내에서 혼합된다.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제2 공급관(33)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 내에는 소독액과 같은 처리액이 포함되고, 상기 제1 공급관(31)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 내에는 소독액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상기 혼합부(40) 내에서 지하수와 소독액이 보다 잘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급관(33)과 상기 수처리 탱크(20)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소독액과 같은 처리액을 혼합시키기 위한 처리액 공급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처리액 공급수단(50)은 상기 제2 공급관(33) 내부에 구비되는 오리피스 수단(51)을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 수단(51)은 내부 중앙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좁아지는 내부 중앙부에 외부의 처리액 공급관(55)과 연결되는 연결유로(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 수단(51) 내부 중앙부에 지하수가 통과하면,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연결유로(53)를 통해 처리액이 유입된다.
상기 처리액 공급관(55)과 연결유로(53)는 공급되는 처리액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한 처리액 공급관(55)과 연결유로(53)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처리액 공급관(55)과 연결유로(53)를 포함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처리액 공급관(55) 중 소독액을 공급하기 위한 처리액 공급관(55)은 별도의 처리액 저장탱크(57)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액 공급관(55)에는 별도의 밸브부(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내부에는 상기 수처리 탱크(20)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수차 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수차 수단(60)은 상기 혼합부(40)의 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수차 수단(60)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낙하하는 물을 이용하여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일반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수차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원통형의 수차 형태는 대략 원통형의 수차 본체(61)와 상기 수차 본체(61)의 측면에서 내부로 함입된 다수개의 저수부(6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방에서 낙하하는 물이 저수부(63)에 저장되고, 중력에 의해 저수부(6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차 본체(61)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저수부(63)는 일측면의 경사가 타측면의 경사와 다르도록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차 본체(61)는 상기 수처리 탱크(2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봉(65)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한다.
상기 회전봉(65)의 일단은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회전봉(65)의 일단에는 밸트와 풀리와 같은 구동 어셈블리(70)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회전봉(65)의 회전력이 아래에서 설명할 교반 수단(90) 내지 배기 수단(80)을 회전시킨다.
상기 수처리 탱크(20)에서 상기 수차 수단(60)의 상방에는 배기구(25)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25)에는 배기 수단(80)이 구비된다. 상기 배기 수단(80)은 지하수 내에 포함된 라돈과 같은 유해물질이 분리되어 공기 중으로 배출되었을 때, 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수차 수단(60)에 지하수가 충돌하면, 지하수 내의 라돈과 같은 유해물질이 공기 중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배기 수단(80)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배기 수단(80)은 송풍팬과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차 수단(60)에 의해 생성된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즉, 상기 수차 수단(60)과 상기 배기 수단(80)은 구동 어셈블리(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처리 탱크(20)에서 상기 수차 수단(60)의 하방에는 지하수와 처리액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교반수단(90)은 교반 스크류와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수차 수단(60)과 연결되므로 상기 수차 수단(60)에 의한 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교반수단(90)은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27)과 연결된다. 상기 구획판(27)은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내부를 비대칭적으로 구획하고,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구획된 내부 중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상기 교반수단(9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27)의 하단은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내측면과 이격되므로 그 사이를 통해 지하수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수단(90)은 상기 구획판(27) 방향으로 갈수록 스크류의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교반수단(90)에 의해 지하수가 상기 구획판(27)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획판(27)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공간 중 상기 교반수단(90)이 위치되는 공간의 반대편 공간에는 유출구(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29)에는 오버플로우 관(35)이 연결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관(35)은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연결되는데, 상기 오버플로우 관(35)을 통해 물이 오버플로우하여 저장수조(10)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오버플로우 관(35)이 연결높이는 상기 수처리 탱크(20) 내의 수위에 대응된다.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호퍼 형태의 포집부(100)가 연결된다. 상기 포집부(100)는 상기 수처리 탱크(20) 하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100)에는 배출 밸브(101)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 밸브(101)에는 이물질 배출관(103)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탱크(20)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상기 포집부(100)에 포집되고, 상기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 배출관(10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 탱크(20)의 포집부(100)에는 별도의 유도관(110)이 연결된다. 상기 유도관(110)은 상기 오버플로우 관(35)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수조(10)와 연결된다.
상기 수처리 탱크(20) 내에 지하수는 상기 오버플로우 관(35)을 통해 월류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포집부(100)에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고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고인 지하수는 동절기에 동파의 원인이 되거나 지하수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서서히 상기 유도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수조(1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공급관(30)에는 상기 저장수조(10) 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120)에 의해 상기 공급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지하수 원정로부터 펌핑되어 공급되는 지하수는 공급관(30)을 통해 수처리 장치로 공급되는데, 제1 공급관(31)을 통해 수처리 탱크(20)의 측면으로 유입되고, 제2 공급관(33)을 통해 수처리 탱크(20)의 상면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 공급관(33)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는 처리액 공급수단(50)에 의해 처리액을 공급받는다. 지하수가 상기 처리액 공급수단(50)의 오리피스 수단(51)을 통과하면 압력차에 의해 소독액이나 산소와 같은 처리액이 유입된다.
상기 제1 공급관(31) 및 제2 공급관(33)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는 혼합부(40)에서 만나서 서로 혼합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40)에서 혼합된 지하수는 상기 혼합부(40) 하방의 수차 수단(60)으로 낙하한다.
상기 수차 수단(60)은 지하수의 낙차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차 수단(60)과 구동 어셈블리(70)에 의해 연결된 배기 수단(80) 및 교반수단(90)이 상기 수차 수단(60)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상기 수차 수단(60)에 충돌한 지하수 내부의 라돈이 공기 중으로 배출되므로, 배기 수단(80)을 이용하여 라돈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수차 수단(60)을 통과한 지하수는 수처리 탱크(20) 하부에 저장되고, 상기 교반수단(90)에 의해 교반된다. 상기 교반수단(90)은 지하수를 구획판(27)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구획판(27)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지하수는 수처리 탱크(20) 내부에 충돌한 후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획판(27)의 하방의 연결통로를 통해 오버플로우 관(35)으로 이동한다.
지하수가 상기 오버플로우 관(35)의 수위까지 도달하면, 상기 오버플로우 관(35)을 통해 저장수조(10)에 저장된다. 그리고, 포집부(100)에 포집된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관(10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수처리 탱크(20) 하부에 저장된 지하수는 유도관(110)을 통해 점차적으로 저장수조(10)로 유입되므로, 상기 포집부(100)에 고여있는 지하수로 인한 동파나 수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 수조 20 : 수처리 탱크
30 : 공급관 40 : 혼합부
50 : 처리액 공급수단 60 : 수차 수단
70 : 구동 어셈블리 80 : 배기 수단
90 : 교반 수단 100 : 포집부

Claims (13)

  1. 제1 공급관 및 제2 공급관을 통해 지하수를 공급받는 수처리 탱크;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관을 통과하는 지하수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 공급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관 또는 제2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의 낙차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수차 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에 구비되고, 상기 수차 수단과 연동되어 지하수를 교반시키는 교반 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탱크에 의해 처리된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장 수조; 및
    상기 수처리 탱크와 상기 저장 수조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처리 탱크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지하수를 상기 저장 수조로 유입시키는 오버플로우 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 탱크는
    상기 제1 공급관의 말단과 상기 제2 공급관의 말단이 만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관으로부터의 지하수와 상기 제2 공급관으로부터의 지하수를 혼합시키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탱크는
    상기 수차 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수처리 탱크 내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탱크는
    상기 수처리 탱크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외부와 연결되는 이물질 배출관에 의해 연결되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1 공급관과 연결되는 혼합부 본체;
    상기 혼합부 본체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급관과 마주보며,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혼합부 본체의 하단과 연결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 본체는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분산망을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9. 제1 공급관 및 제2 공급관을 통해 지하수를 공급받는 수처리 탱크;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관을 통과하는 지하수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 공급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관 또는 제2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의 낙차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수차 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에 구비되고, 상기 수차 수단과 연동되어 지하수를 교반시키는 교반 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탱크에 의해 처리된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장 수조; 및
    상기 수처리 탱크와 상기 저장 수조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처리 탱크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지하수를 상기 저장 수조로 유입시키는 오버플로우 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 탱크의 하부와 상기 저장 수조를 연결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유도관을 더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10. 삭제
  11. 제1 공급관 및 제2 공급관을 통해 지하수를 공급받는 수처리 탱크;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관을 통과하는 지하수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 공급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급관 또는 제2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의 낙차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수차 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에 구비되고, 상기 수차 수단과 연동되어 지하수를 교반시키는 교반 수단;
    상기 수처리 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탱크에 의해 처리된 지하수를 저장하는 저장 수조; 및
    상기 수처리 탱크와 상기 저장 수조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처리 탱크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지하수를 상기 저장 수조로 유입시키는 오버플로우 관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 수단은
    일단이 상기 수처리 탱크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에 연결되어 상기 구획판의 하방을 통해 지하수가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획판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수개의 회전 스크류를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 공급수단은
    상기 제2 공급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급관 내부 중앙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도록 형성되는 오리피스 수단과,
    상기 오리피스 수단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이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 공급수단은
    상기 수처리 탱크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액 공급관과,
    상기 처리액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처리액 공급관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KR1020110078769A 2011-08-08 2011-08-08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KR10127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769A KR101278886B1 (ko) 2011-08-08 2011-08-08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769A KR101278886B1 (ko) 2011-08-08 2011-08-08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688A KR20130016688A (ko) 2013-02-18
KR101278886B1 true KR101278886B1 (ko) 2013-06-26

Family

ID=4789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769A KR101278886B1 (ko) 2011-08-08 2011-08-08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8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52Y1 (ko) * 1984-04-16 1986-10-10 유봉상 수력식 무동력 혼화 응집장치
KR100309199B1 (ko) * 1999-07-21 2001-09-26 임정규 수처리공정에서의 관내 수처리제 혼합장치
KR100911416B1 (ko) * 2009-05-07 2009-08-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라돈 저감장치
KR20110103062A (ko) * 2010-03-12 2011-09-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소독수단을 구비한 지하수용 라돈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52Y1 (ko) * 1984-04-16 1986-10-10 유봉상 수력식 무동력 혼화 응집장치
KR100309199B1 (ko) * 1999-07-21 2001-09-26 임정규 수처리공정에서의 관내 수처리제 혼합장치
KR100911416B1 (ko) * 2009-05-07 2009-08-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라돈 저감장치
KR20110103062A (ko) * 2010-03-12 2011-09-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소독수단을 구비한 지하수용 라돈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688A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20140086573A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농산물 세척 및 살균장치
KR100644763B1 (ko) 야채 세척기
KR101628712B1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KR20110090665A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KR101498924B1 (ko) 액비 제조장치
US201300202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wash water recycling
CN103768622A (zh) 用于热处理容器中的产品的装置及分离单元的使用
US6979398B2 (en) System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KR101357802B1 (ko) 상수 저장용 물탱크
KR101278886B1 (ko) 지하수용 간이식 수처리 장치
KR101564845B1 (ko) Gm 탈취장치
KR20100116904A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KR101801910B1 (ko) 밀폐 순환형 고속 유기물 발효장치
KR20160000907A (ko) 이중 공기관을 구비한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및 폐수처리 시스템
US8440076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JP2007203218A (ja) 膜分離式水浄化装置
KR101385535B1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KR101165261B1 (ko) 진동 여과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액분리공정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KR101783260B1 (ko)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양식장
KR101289688B1 (ko) 탈부착형 여과기를 구비한 원심분리형 수처리 장치
KR101045238B1 (ko) 다목적 미세기포 발생장치
US20140367332A1 (en) Septic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sewage and grease
EP3702545A1 (en) Pur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