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647B1 - 쿠션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쿠션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647B1
KR101278647B1 KR1020130011386A KR20130011386A KR101278647B1 KR 101278647 B1 KR101278647 B1 KR 101278647B1 KR 1020130011386 A KR1020130011386 A KR 1020130011386A KR 20130011386 A KR20130011386 A KR 20130011386A KR 101278647 B1 KR101278647 B1 KR 10127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ushion member
cushion
receiving groov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성
Original Assignee
장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성 filed Critical 장지성
Priority to KR102013001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 작용을 하는 쿠션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밑창의 바디 뒷꿈치부에 형성된 수용홈에 간편하게 수용되어 장착됨으로써 쿠션을 제공하고,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부재의 두께가 얇아 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신발 밑창을 별도로 두껍게 제작해야할 필요가 없고, 쿠션부재의 스프링이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있어 신발을 신었을 때 즉시 효과적인 쿠션을 제공하고, 스프링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로 짧아지는 원뿔형 스프링을 사용하여 하중이 가해질 때 그 압축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고 스프링의 원형링들이 서로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도 없는 쿠션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 밑창은 뒷꿈치부에 수용홈을 갖는 바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와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조립 연결하는 조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쿠션 신발 밑창{Cushion outer soles}
본 발명은 완충 작용을 하는 쿠션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밑창의 바디 뒷꿈치부에 형성된 수용홈에 간편하게 수용되어 장착됨으로써 쿠션을 제공하고,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부재의 두께가 얇아 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신발 밑창을 별도로 두껍게 제작해야할 필요가 없고, 쿠션부재의 스프링이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있어 신발을 신었을 때 즉시 효과적인 쿠션을 제공하고, 스프링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차로 짧아지는 원뿔형 스프링을 사용하여 하중이 가해질 때 그 압축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고 스프링의 원형링들이 서로 부딪혀 발생되는 소음도 없는 쿠션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밑창과, 착용하는 사람의 발등을 감싸주는 갑피와 밑창 위에 깔려 착용자의 발이 신발에 잘 맞도록 하고, 발냄새와 세균의 번식을 완화 제거하는 깔창을 포함한다.
이 중 밑창은 그 바닥면이 지면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탄력성을 갖고 마모를 고려하여 합성고무 계열로 제작되는데,
그 탄력성, 즉, 충격을 흡수 완하하는 쿠션 기능이 그리 강하지 못하여, 보행시에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의 상당부분이 착용자의 발목과 무릎에 그대로 전해진다.
그래서 공개특허 제2012-0011464호 "신발의 완충장치", 등록특허 제0578331호 "완충용 스프링이 장착된 신발용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등은 신말의 밑창에 스프링을 내장하여 쿠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와 등록특허는 가장자리를 서로 봉합하여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상단시트와 하단시트, 그리고 그 밀폐공간에 내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신발의 밑창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 완화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와 등록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우선, 스프링이 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단시트와 하단시트의 가장자리를 봉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작업이다.
다음으로, 일반적으로 스프링은 압축되는 초기에는 적은 힘으로도 상대적으로 압축길이가 길지만, 초기 이후에는 압축길이가 짧아진다. 다시 말해, 가하는 하중을 선형적으로 늘릴 때 적은 힘이 가해지는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보다 긴 길이로 압축되면서도 축적되는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래서 상기 공개특허와 등록특허 같이 스프링을 단순하게 상단시트와 하단시트의 밀폐공간에 내장시켜 놓은 경우에 상당한 중량이 나가는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때에 즉시로 쿠션을 제공하지 못하면서 큰 폭으로 압축되기만 하는 문제가 있고, 어느 정도 압축되어 효과적인 쿠션을 제공할 시점이 될 때에는 신발 밑창 두께의 한계로 더 이상 압축될 여지가 남아있지 않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개특허와 등록특허는 스프링으로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같은 원기둥 형상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될 수 있는 길이의 한계와, 압축시 스프링의 원형링들이 서로 부딪혀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원기둥 형상의 스프링은 압축시에 스프링을 구성하는 원형링들이 서로 적층되어 겹치게 됨으로써, 원형링들이 적층된 높이 이하로 압축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적층되는 원형링들은 서로 접촉되어 소음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면서 압축 전의 길이는 길어 쿠션 제공을 위한 밑창의 높이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쿠션 신발 밑창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쿠션 제공원으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그 복원력이 약화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스프링은 상하부를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통해 접촉 지지하여 신발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기 전에도 이미 어느 정도 압축되어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때에 즉시로 효과적인 쿠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고, 스프링은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눌리는 압축길이는 길면서 압축된 상태의 높이는 최소화되는 원뿔형 스프링을 사용하여 압축길이 대비 쿠션 효율이 뛰어나고 압축에 따른 소음의 발생이 없고, 쿠션부재의 뚜게가 얇아 이를 수용 장착하는 밑창의 바디가 추가로 두꺼워질 필요가 굳이 없고, 쿠션부재의 원뿔형 스프링과 상하부플레이트가 간편하게 서로 조립결합되고 밑창 바디에 용이하게 장착되는 쿠션 신발 밑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 밑창은
뒷꿈치부에 수용홈을 갖는 바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와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조립 연결하는 조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재의 스프링은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짧아져, 압축시 상부의 원형링이 하부의 원형링 내측에 배치되는 원뿔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쿠션부재의 두께는 상기 수용홈의 깊이 보다 길어,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는 상기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바디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쿠션부재의 돌출부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깔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쿠션부재의 두께는 상기 수용홈의 깊이 보다 짧아, 상기 수용홈의 상부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쿠션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를 갖는 깔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 밑창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스프링의 상하부를 압축 지지하여 스프링이 하중이 가해지기 전에 이미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있어 신발 착용에 따른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즉시로 압축길이 대비 효과적인 쿠션을 제공하고, 원뿔형 스프링을 사용하여 그 압축길이가 최대화되어 높이가 낮은 원뿔형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충분한 쿠션의 제공이 가능하여 쿠션부재의 두께가 얇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신발 밑창의 두께가 쿠션 제공을 위해 필요 이상으로 두꺼울 필요가 없고,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는 서로 간편하게 조립결합되고, 조립결합된 쿠션부재는 밑창 바디 수용홈에 간편하게 수용되어 장착되는 쿠션 신발 밑창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 밑창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1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 밑창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 밑창은 바디(10)와 쿠션부재(20), 깔창(3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바디(10)는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발바닥 형상을 갖고, 그 상부면에는 깔창(30)이 깔리고, 착용자의 발등을 덮는 갑피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신발의 밑창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다만, 상기 바디(10)의 뒷꿈치부 상부면에는 상기 쿠션부재(20)가 안착되어 장착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쿠션부재(20)는 상기 바디(10)의 뒷꿈치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에 안착 수용되어 상부에서 가해지는 신발 착용자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 완화시킨다.
상기 쿠션부재(20)는
압축되어 복원되려는 복원력으로 쿠션을 제공하는 스프링(25),
상기 스프링(25)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접촉지지하는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3),
상기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3)를 조립시키는 조립수단(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25)은 신발 착용시 상기 깔창(30)을 통해 가해지는 신발 착용자의 하중을 탄성 지지하여 쿠션을 제공하는데,
신발 밑창으로 상기 바디(10)는 그 두께에 제한이 있고, 그에 따라 바디(10)에 내장되는 쿠션부재(20) 역시 그 두께는 더 제한되고, 쿠션부재(20)의 두께는 스프링(25)에 의해 결정이 되므로,
상기 스프링(25)은 제한된 두께(즉, 하중이 가해지기 전의 상하 높이) 내에서 하중이 가해질 때 압축길이가 최대화(즉, 하중이 가해질 때 눌려 두께가 최소화 - 압축 전후의 상하 높이(두께) 차가 최대화)되어 보다 양질의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처럼 압축길이가 최대화되어 양질의 쿠션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프링으로는 원뿔의 형상, 즉, 도면과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그 직경이 점차 짧아지면서 나선형으로 감기는 형상으로 원뿔형 스프링(25)이 사용될 수 있다.
원뿔형 스프링(25)은 압축되어 눌리는 때에 직경이 짧은 상부의 원형링이 그 아래의 원형링 내부에 배치되며 눌려짐으로써,
즉, 압축시 상부의 원형링이 그 아래의 원형링 위에 적층되는 것이 아니라 겹침 없이 그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압축시에 그 높이(두께)를 낮추어 압축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압축길이의 구현을 위해 일반적인 스프링(예;원기둥형 스프링) 보다 상하 높이(두께)가 낮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곧 쿠션부재(2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얇은 두께의 밑창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뿔형 스프링(25)은 압축시에 스프링의 원형링들이 적층되면서 서로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접촉에 따른 소음의 발생도 없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3)는 상기 원뿔형 스프링(25)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접촉지지하여, 그 사이에 개재되는 원뿔형 스프링(25)이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에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쿠션부재(20)에 하중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도 원뿔형 스프링(25)은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3)에 의해 살짝 눌려진 압축된 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착용에 따른 하중이 가해질 때 즉시로 효과적인 복원력(쿠션)을 발휘하고 있도록 한다.
스프링(25)은 눌려져야(압축되어야) 비로서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압축 초기(즉, 압축된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그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그래서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3)로 원뿔형 스프링(25)을 상하부에서 눌러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에 있도록 하면, 신발 착용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즉시로 강한 복원력을 발휘하여, 원뿔형 스프링(25)의 압축 길이 대비 쿠션(복원력)의 효율을 높이게 되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3)로 원뿔형 스프링(25)을 살짝 압축시켜 놓으면 쿠션부재(20)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고, 이는 곧 신발 밑창으로 바디(10)의 두께도 얇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1)는 상기 원뿔형 스프링(25)의 상부를 압축 지지하는 역할 이외에, 쿠션부재(20)의 상부를 편평하게 하고 원뿔형 스프링(25)의 뾰족한 상부가 직접 상기 깔창(3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발 착용시에 깔창(30) 상부에서 하중을 가하는 착용자의 발 뒷꿈치에 원뿔형 스프링(25)이 자극(통증)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3)는 상기 원뿔형 스프링(25)의 하부를 압축 지지하고, 그 위에 놓여진 원뿔형 스프링(25)이 제자리를 벗어나지 않고 배치되어 있도록, 최하부에 위치하는 원뿔형 스프링(25)의 원형링의 내부로 끼워지는 원형의 끼움돌기(23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조립수단(27)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3)를 간편하게 조립시키는 조립수단(27)으로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1)의 하부면과 하부플레이트(23)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암수결합방식으로 조립결합되는 암결합부(271)와 수결합부(275)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암결합부(271)를 상부플레이트(21)에 도시하고 수결합부(275)를 하부플레이트(23)에 도시하고 있으나 그 반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암결합부(271)는 입구(272)와, 상기 입구(272)와 연결되며 입구(272)의 내경 보다 긴 내경을 갖는 수용부(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결합부(275)는 상기 입구(272)로 삽입 관통되는 관통로드(276)와, 상기 관통로드(276)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273)에 수용되어 상기 입구(272)의 내벽에 걸리는 헤드(277)와, 상기 헤드(277)를 탄성을 가지며 서로 벌어진 다수의 분체(277a,b,c,d)가 되도록 절개하는 절개홈(2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277)는 상협하광구조, 즉, 단부인 상부에서 상기 관통로드(276)와 연결되는 후방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짧아지는 구조를 갖고, 헤드(277)를 구성하는 분체(277a,b,c,d)들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서로 벌어져 있는 평상시에는 후단(즉, 관통로드(276)와의 연결 부위)의 폭이 상기 암결합부(271)의 입구(272) 내경 보다 길고, 외력이 작용하여 서로 근접하여 오므려진 상태에서는 후단의 폭이 상기 암결합부(271)의 입구(272) 내경 보다 짧아서, 헤드(277)를 상기 입구(272)로 밀어 넣으면 분체(277a,b,c,d)들이 입구(272) 내면에 접촉되어 오므려지면서 상기 수용부(273) 내부로 삽입 수용되고, 수용부(273)로 수용된 헤드(277)의 분체(277a,b,c,d)들은 외력이 소멸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어 벌어짐으로써 입구(272)의 내벽에 걸려 수용부(273)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쿠션부재(20)는 상기 바디(10)의 수용홈(11)에 수용 안착되고, 수용홈(11)의 바닥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어 장착되고,
쿠션부재(20)의 두께가 수용홈(11)이 깊이와 같아 그 상부면이 상기 바디(10)의 상부면과 일치하거나, 두께가 수용홈(11)의 깊이 보다 길어 상부의 일부가 바디(10)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거나, 두께가 수용홈(11)의 깊이 보다 짧아 그 상부면이 수용홈(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데, 착용자의 하중을 지탱하여 쿠션을 제공하에는 그 두께사 수용홈의 깊이 보다 길어 상부의 일부가 바디의 상부면 위로 돌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깔창(30)은 상기 밑창의 바디(10) 상부면에 깔려 덮음으로써 상기 쿠션부재(20)를 은폐시키고, 착용자가 가하는 하중을 상기 쿠션부재(20)로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깔창(30)의 상부에는 신발 착용시 가해지는 하중이 쿠션부재(20)에 집중되어 전해지도록 하는 돌출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의 테두리 경계에는 돌출부(13)의 눌림을 용이하게 하는 오목홈(1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쿠션부재(20)의 상부 일부가 상기 바디(10)의 상부로 노출되어 돌출된 때에 돌출된 쿠션부재(20)의 돌출부를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재(20)의 상부가 상기 수용홈(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수용홈(11)의 상부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쿠션부재(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돌기(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 밑창에서,
쿠션부재(20)는 하부플레이트(23)의 끼움돌기에 원뿔형 스프링(25)을 끼워 배치시킨 후에,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의 암결합부(271)와 수결합부(275)를 서로 암수결합시켜 조립되고,
조립된 쿠션부재(20)는 바디(10)의 뒷꿈치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1)으로 삽입시켜 안착되고,
안착 시에 하부플레이트(23)의 하부면과 수용홈(11)의 바닥을 접착제로 서로 접착시켜 고정 장착되고,
밑창으로 바디(10)의 상부면에 깔창(30)을 밀어 넣어 깔음으로서 제작이 완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쿠션부재(20)는 조립도 간편하고 밑창 바디(10)에의 장착도 용이하여 생산성이 뛰어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쿠션 신발 밑창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1 : 수용홈
20 : 쿠션부재 21 : 상부플레이트
23 : 하부프레이트 25 : 원뿔형 스프링
27 : 조립수단 271 : 암결합부
275 : 수결합부
30 : 깔창 31 : 안착홈
32 : 가압돌기

Claims (4)

  1. 뒷꿈치부에 수용홈을 갖는 바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와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조립 연결하는 조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수단(27)은 상기 상부플레이트(21)의 하부면과 하부플레이트(23)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암수결합방식으로 조립결합되는 암결합부(271)와 수결합부(275)로 구성되고,

    상기 암결합부(271)는
    입구(272)와,
    상기 입구(272)와 연결되며 입구(272)의 내경 보다 긴 내경을 갖는 수용부(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결합부(275)는
    상기 입구(272)로 삽입 관통되는 관통로드(276)와,
    상기 관통로드(276)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273)에 수용되어 상기 입구(272)의 내벽에 걸리는 헤드(277)와,
    상기 헤드(277)를 탄성을 가지며 서로 벌어진 다수의 분체가 되도록 절개하는 절개홈(2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 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의 스프링은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짧아져, 압축시 상부의 원형링이 하부의 원형링 내측에 배치되는 원뿔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 밑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의 두께는 상기 수용홈의 깊이 보다 길어,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는 상기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바디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쿠션부재의 돌출부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깔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 밑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의 두께는 상기 수용홈의 깊이 보다 짧아, 상기 수용홈의 상부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쿠션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를 갖는 깔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 밑창.
KR1020130011386A 2013-01-31 2013-01-31 쿠션 신발 밑창 KR10127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86A KR101278647B1 (ko) 2013-01-31 2013-01-31 쿠션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86A KR101278647B1 (ko) 2013-01-31 2013-01-31 쿠션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647B1 true KR101278647B1 (ko) 2013-06-25

Family

ID=4886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386A KR101278647B1 (ko) 2013-01-31 2013-01-31 쿠션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6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287B1 (ko) * 2017-10-31 2018-05-08 장지성 신발용 중창
KR102010241B1 (ko) * 2019-02-13 2019-08-13 정영석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KR20190138341A (ko) 2018-06-05 2019-12-13 신성 쿠션기능을 구비한 신발 밑창
KR102421694B1 (ko) * 2022-02-16 2022-07-15 김기연 완충 신발
KR20230078242A (ko) 2021-11-26 2023-06-02 신성 쿠션기능을 구비한 신발 밑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995Y1 (ko) 1997-01-06 1999-07-15 박정수 통풍식 신발용 펌핑어셈브리
KR200240542Y1 (ko) 1998-12-08 2001-11-22 이상경 스프링을장착한통풍깔창
KR20080102835A (ko) * 2007-05-22 2008-11-26 박철수 스프링의 교체가 용이한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995Y1 (ko) 1997-01-06 1999-07-15 박정수 통풍식 신발용 펌핑어셈브리
KR200240542Y1 (ko) 1998-12-08 2001-11-22 이상경 스프링을장착한통풍깔창
KR20080102835A (ko) * 2007-05-22 2008-11-26 박철수 스프링의 교체가 용이한 신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287B1 (ko) * 2017-10-31 2018-05-08 장지성 신발용 중창
KR20190138341A (ko) 2018-06-05 2019-12-13 신성 쿠션기능을 구비한 신발 밑창
KR102010241B1 (ko) * 2019-02-13 2019-08-13 정영석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WO2020166919A1 (ko) * 2019-02-13 2020-08-20 정영석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US11926116B2 (en) 2019-02-13 2024-03-12 Young Suk Jung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having resilient members embedded therein
KR20230078242A (ko) 2021-11-26 2023-06-02 신성 쿠션기능을 구비한 신발 밑창
KR102421694B1 (ko) * 2022-02-16 2022-07-15 김기연 완충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647B1 (ko) 쿠션 신발 밑창
JP3183882U (ja) 簡易空気注入弁の構造
CN102939024B (zh) 提高组装性及工作性能的耐冲击鞋
JP5416289B2 (ja) エアバッグを持つ履物の中底
JP2014521463A (ja) 衝撃吸収およびエネルギー・リターンを行う靴のソール
US20110219645A1 (en) Shoe having detachable cushioning member
KR100758023B1 (ko) 완충 작용을 갖는 인솔 및 그의 제조방법
US9370221B1 (en) Shock absorbing and pressure releasing damper apparatus for footwear
WO2010077033A3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JP2012525862A (ja) 靴用インサート
US20080189982A1 (en) Shoe spring sole insert
KR101528971B1 (ko) 완충기능을 가지는 신발
WO2017042846A1 (en) Shock absorber and propulsion thrust system optimized for footwear and sole
KR101600973B1 (ko) 신발창
KR200361981Y1 (ko) 신발의 충격흡수용 패드 구조
KR101469554B1 (ko) 쿠션기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밑창
KR101429377B1 (ko) 운동화용 아웃솔
KR200427271Y1 (ko)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KR102010241B1 (ko)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CN203446700U (zh) 鞋内底避震减压缓冲结构
US20220053881A1 (en)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KR20120063413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KR10099655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0973724B1 (ko) 신발창용 쿠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