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609B1 -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 Google Patents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609B1
KR101277609B1 KR1020110082536A KR20110082536A KR101277609B1 KR 101277609 B1 KR101277609 B1 KR 101277609B1 KR 1020110082536 A KR1020110082536 A KR 1020110082536A KR 20110082536 A KR20110082536 A KR 20110082536A KR 101277609 B1 KR101277609 B1 KR 10127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direction
nose
protrusions
nasal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122A (ko
Inventor
윤인모
Original Assignee
윤인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모 filed Critical 윤인모
Priority to KR102011008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6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 몸체와 상기 실 몸체로부터 상기 실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원추형 가시 형태의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성형수술용 수술실로 된,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형물에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실 몸체 표면 상의 제1 가상선 및 그 선에 대향하는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2 가상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의 경사는 제1 경사방향 및 제1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제2 경사방향이 교대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제1 경사방향 및 제1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제2 경사방향이 랜덤하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제1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수와 제2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수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은 오랜 기간 동안 안전성이 입증된 성형수술용 수술실이기 때문에 그것의 삽입에 의하여 이물감 및 염증반응 등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형물은 그것의 단순한 삽입에 의하여 목적이 달성되기 때문에 코 피부 또는 연골의 절개가 필요없어 편리하고 또한 안전하며, 수술절차가 간단하여 수술비용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Implant Inserted Into Alar Margin To Get A Good Shape of Nose}
본 발명은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도한 비익의 원형 모양으로부터 콧볼, 콧날개, 비익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하여 원추형 가시 형태의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성형수술용 수술실을 비익에 삽입하는 보형물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코는 사람의 인상 내지 아름다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과도하게 확대된 콧볼, 확장되고 만곡된 비익 등과 같은 펑퍼짐한 코를 교정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기존의 수술은 수술상의 많은 조작과 염증반응 등과 같은 부작용이라는 단점뿐만 아니라 수술후 코 부분의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않은 등 불편이 따르고 있다.
콧망울이 큰 경우에 콧망울을 축소시키게 되면 코가 예뻐지게 된다. 콧망울을 축소시키는 수술방법으로는 콧망울의 피부를 줄여주는 방법과 콧망울을 모아주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콧망울 아래쪽 피부를 쐐기 모양으로 잘라내고 다시 봉합하는 것이다. 절개선은 콧망울과 볼의 경계선에 남게 되어 거의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코끝을 이루는 비익 연골이 위로 올라가 있으면 코끝도 들려 보인다. 그러나 후자의 방법은 날개 연골의 위쪽을 잘라주고 다리를 아래쪽으로 고정하여 연골이 아래로 그리고 길어 보이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콧망울을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절개수술이 시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0761921호(2007년 09월 19일 등록)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 압박 다중 섬유유착봉합법에 이용하는 생체 삽입용 실과 그것을 생체에 삽입하기 위한 도구』를 개시한다. 이 특허에서 제시하는 생체 삽입용 실은 얼굴에서 코를 높이는 등 조직을 연장한 채로 그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방향성을 갖는 돌기가 형성된 실인데, 실축 상의 한 기준점에 대하여 구분되는 실의 두 영역에서 돌기의 경사방향은 서로 반대이고 서로 등을 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의 생체 삽입용 실을 콧대에 삽입한 후 콧대를 손으로 잡고 연장시킬 때에는 실의 돌기는 그러한 연장을 방해하지 않지만 늘어난 콧대가 다시 원상태로 수축될 때에는 그러한 수축에 저항함으로써 늘어난 콧대는 실의 돌기에 의하여 연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오똑한 코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간단한 시술에 의하여 부작용 없이 그리고 큰 이물감 없이 코를 세우는 효과가 달성된다.
다른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0679160호(2007년 1월 30일 등록, 국제공개번호 WO 2003/103733, 2003년 12월 18일 국제공개)는 『성형수술용 수술실』을 개시한다. 이 특허는 원추형 가시 형태의 돌기들의 경사방향이 계속적으로 교번하는 성형용 수술실을 다양한 예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술실은 피부 탄력의 감소 또는 상실로 발생하는 얼굴 주름이나 연부조직의 하수증 교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리프팅 작용, 즉 연부조직을 펴서 새로운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나이가 든 얼굴의 연약하고 늘어진 부분의 아래에 실을 삽입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주름을 집어 올려 얼굴의 처진 부위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는 성형수술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된 돌기가 형성된 성형용 수술실은 안면 및 콧대에 삽입되는 형태로 사용되어 왔으나, 넓고 굽은 콧망울, 비익 등의 교정을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어 사용된 적은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에 적용되던 코성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 피부 또는 연골의 절개 없이 간단하게 보형물을 비익에 삽입함에 의하여 콧볼의 미용적 교정을 향상시키는 코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 몸체와 상기 실 몸체로부터 상기 실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원추형 가시 형태의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성형수술용 수술실로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보형물에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실 몸체 표면 상의 제1 가상선 및 그 선에 대향하는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2 가상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의 경사는 제1 경사방향 및 제1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제2 경사방향이 교대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제1 경사방향 및 제1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제2 경사방향이 랜덤하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제1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수와 제2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수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 몸체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4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돌기들이 형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상선은 직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가상선을 따라 형성된 돌기들은 상기 실 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 또는 지그재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형물은 비익 만곡증, 비익연 만곡증, 콧볼 만곡증, 콧날개 만곡증과 같이 전반적인 넓은 코볼의 코폭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은 오랜 기간 동안 안전성이 입증된 성형수술용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형물은 주사바늘 정도 크기의 구멍을 통한 그것의 단순한 삽입에 의하여 교정이 완성되기 때문에 코 피부 또는 연골의 절개가 필요없어 편리하고 또한 안전하며, 수술절차가 간단하여 수술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형물이 비익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코 형상을 비교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에 적용되던 코볼, 코폭의 축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완성되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볼, 코폭의 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1)은 성형수술용 수술실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은 이러한 성형수술용 수술실이 수술용 바늘에 꿰어져 수술자리를 봉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코를 세우기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보형물(1)은 코의 비익에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길이는 1~3 cm 정도, 바람직하게는 2~3 cm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2.5 cm 정도가 적당하다.
성형수술용 수술실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 몸체(10)와 돌기들(20)을 포함한다. 돌기들(20)은 실 몸체(20)로부터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원추형 가시 형태를 가진다.
돌기들(20)은 실 몸체(20)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데, 실 몸체(20)의 제1 가상선(11) 및 제2 가상선(13) 상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상선은 실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형성된 돌기들(20)의 뿌리를 연결한 가상선을 의미한다. 제1 가상선(11)과 제2 가상선(13)은 실 몸체의 중심선(15)에 대하여 대향하는, 즉 맞은 편에 위치한다. 가상선들(11 및 1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 몸체의 중심선(1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나선형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가상선들(11 및 13) 상에 형성된 돌기들(20)의 경사는 각각 제1 경사방향과 제2 경사방향이 교대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경사방향과 제2 경사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돌기의 경사방향은 실 몸체(10)와 돌기(20)가 이루는 각도로서 표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그 돌기의 각도가 예각(α)인 경우를 제1 경사방향으로 그리고 그 돌기의 각도가 둔각(β)인 경우를 제2 경사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상선들(11 및 13)을 따라 형성된 돌기들(20)은 실 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15)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돌기들(20)은 제1 경사방향 및 제1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제2 경사방향이 랜덤하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제1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수와 제2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수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경사방향이 랜덤하게 형성된다고 함은 제1 경사방향과 제2 경사방향이 교대로 배열되는 돌기들에 의한 작용 및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달성하지만 그와 같은 교대 배열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경사방향이 3~4개 정도 연속적으로 형성되더라도 그 다음 돌기의 경사가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그러한 연속된 돌기배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형물이 비익에서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는 제1 경사방향과 제2 경사방향이 교대로 배열되는 돌기들과 균등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실 몸체(10)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제1 및 제2 가상선들(11 및 13)을 서로 맞은 편에 배열하기 위해서는, 원형, 타원형 또는 4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보형물이 비익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코 형상을 비교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인의 통상적인 코의 형상은 콧대가 다소 낮고 콧망울이 옆으로 퍼져 콧구멍이 원형 또는 옆으로 누운 타원형 형상을 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낮고 뭉툭한 느낌을 준다. 이에 반하여 미적 기준에서 선호하는 코의 형상은 콧대가 높고 뽀족하며 콧구멍이 세워진 타원형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보형물을 사용하면, 이러한 선호하는 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단순하게 본 발명의 보형물을 코의 비익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보형물을 비익에 삽입하는 방법은 종래에 제안된 성형수술용 수술실을 얼굴, 콧대 등에 삽입하는 것과 유사하게 수행하면 된다. 예를 들어, 성형수술용 주사바늘에 수술실을 삽입한 후 그 주사바늘을 비익에 찌른 후 실의 굵기와 동일한 굵기를 가지는 가는 주입장치로 비익에 삽입된 수술실을 밀면서 주사바늘을 잡아빼면 삽입된 수술실은 비익에 삽입, 고정된 채로 주사바늘을 비익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보형물은 비익에서 조직을 지지하는 지지체 내지 기둥 역할을 함으로써 비익의 형상을 둥근 형에서 완만한 둥근 형으로 변경시키고 그러한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보형물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여러개의 보형물을 삽입하여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형물의 삽입에 의해서는 콧대가 높아져서 코가 세워지는 융비효과를 직접적으로 얻을 수는 없지만, 콧볼 축소에 의한 코폭 축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은 상대적으로 코의 형상이 날렵하게 보이도록 하여 피술자가 선호하는 예쁜 코 형상을 갖게 한다.
본 발명이 있기 전까지 돌기가 형성된 성형용 수술실을 안면 및 콧대에 삽입되는 형태로 사용된 적은 있으나, 콧볼 축소 및 비익의 만곡현상을 교정하기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어 사용된 적은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0679160호(2007년 1월 30일 등록, 국제공개번호 WO 2003/103733, 2003년 12월 18일 국제공개)에 기재된 안면에 삽입된 성형용 수술실은 피부 탄력의 감소 또는 상실로 발생하는 얼굴 주름이나 연부조직의 하수증 교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리프팅 작용, 즉 연부조직을 펴서 새로운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나이가 든 얼굴의 연약하고 늘어진 부분의 아래에 실을 삽입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주름을 집어 올려 얼굴의 처진 부위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는 성형수술에 사용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의 보형물은 하방으로 처진 안면피부의 연부조직을 리프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달성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메카니즘에 의하여, 즉 굽어진 비익에 짧은 수술실을 넣으면 수술실의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하여 비익이 펴지는 효과에 의하여 콧볼축소, 코폭축소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형물은 비익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즉시 콧볼이 축소되고, 뭉툭해 보이는 코가 날렵해지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보형물은 코를 세우기 위하여 비익을 잡아당겨 연장한 후 그렇게 연장된 상태에서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게 하는 생체 연부조직 연장술을 위한 항압박 다중 섬유 유착봉합법, 즉 등록특허공보 제0761921호(2007년 09월 19일 등록)에 기재된 성형수술방법에 적용된 것과는 원리적으로 전혀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비익의 조직에 큰 긴장감이 형성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게 되므로 성형수술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형물은 성형수술의 관점이 아닌 치료의 관점에서 비익 만곡증, 비익연 만곡증, 콧볼 만곡증, 콧날개 만곡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1: 보형물 10: 실 몸체
11: 제1 가상선 13: 제2 가상선
15: 실 몸체의 중심선 20: 돌기
α: 제1 경사방향 돌기의 각도 β: 제2 경사방향 돌기의 각도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실 몸체와 상기 실 몸체로부터 상기 실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원추형 가시 형태의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성형수술용 수술실로 된, 융비술에 의하여 코를 세우기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로서,
    상기 돌기들은 상기 실 몸체 표면 상의 제1 가상선 및 그 선에 대향하는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2 가상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기들의 경사는 제1 경사방향 및 제1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제2 경사방향이 교대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제1 경사방향 및 제1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제2 경사방향이 랜덤하게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제1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수와 제2 경사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의 수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보형물의 길이는 1~3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비술에 의하여 코를 세우기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몸체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4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이 형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상선은 직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상선을 따라 형성된 돌기들은 상기 실 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 또는 지그재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비익 만곡증, 비익연 만곡증, 콧볼 만곡증, 콧날개 만곡증, 둥근코볼을 치료하기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KR1020110082536A 2011-08-19 2011-08-19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KR10127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536A KR101277609B1 (ko) 2011-08-19 2011-08-19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536A KR101277609B1 (ko) 2011-08-19 2011-08-19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122A KR20130020122A (ko) 2013-02-27
KR101277609B1 true KR101277609B1 (ko) 2013-06-21

Family

ID=4789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536A KR101277609B1 (ko) 2011-08-19 2011-08-19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6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453A (ko) 2017-12-13 2019-06-2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성형용 임플란트 구조물
WO2022119108A1 (ko) * 2020-12-01 2022-06-09 유성식 코 성형 보형물 및 이를 이용한 코 성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7480A1 (en) * 2006-06-29 2008-01-31 Aspire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hinoplasty and treating internal valve stenosis
KR20110027744A (ko) * 2011-02-28 2011-03-16 이희영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7480A1 (en) * 2006-06-29 2008-01-31 Aspire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hinoplasty and treating internal valve stenosis
KR20110027744A (ko) * 2011-02-28 2011-03-16 이희영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453A (ko) 2017-12-13 2019-06-2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성형용 임플란트 구조물
WO2022119108A1 (ko) * 2020-12-01 2022-06-09 유성식 코 성형 보형물 및 이를 이용한 코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122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0115B2 (ja) 鼻インプラントと使用システム及び使用方法
AU2005230815B2 (en) Surgical thread
US8236027B2 (en) Surgical thread
CN111432750B (zh) 包括加强锚定的植发以及医疗安全特征
US20070219587A1 (en) Surgical Thread for Plastic, Dermatolog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and for Surgical Sutures
JP2022008835A (ja) 鼻インプラントとシステム及び使用方法
WO2005096956A1 (en) Surgical thread
US20230149156A1 (en) Nasal Implants and Methods of Use
KR101533074B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KR102114925B1 (ko) 성형 시술용 실 및 이를 이용한 시술도구
KR101277609B1 (ko) 콧볼축소를 위하여 비익에 삽입되는 보형물
KR20050074342A (ko) 수술용 실
JPWO2008053630A1 (ja) 乳房用プロテーゼおよびこのような乳房用プロテーゼを用いた豊胸術
US20180317912A1 (en) Dual Action Surgical Thread
KR20160137102A (ko) 리프팅용 생체 삽입용 실
WO2007053813A2 (en) Method of reducing nasal fluid resistance
WO2021050756A1 (en) Eight-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JP7477731B2 (ja) 鼻整形用リフティング糸およびこの製造方法
WO2014170921A1 (en) Thread for plastic, dermatologic or cosmetic surgery, in particular for use as a suture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lips
CN215688770U (zh) 一种眉弓假体
KR101275683B1 (ko) 주사장치
US20210346018A1 (en) Ten-dimensional barbed surgical thread
KR20220040316A (ko) 탄성력이 우수한 성형수술용 탄력실
KR20230004011A (ko) 메쉬를 이용한 코 성형용 리프팅 사
JP5128715B1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