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366B1 - 개폐기 유닛 및 스위치 기어 - Google Patents

개폐기 유닛 및 스위치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366B1
KR101277366B1 KR1020120001305A KR20120001305A KR101277366B1 KR 101277366 B1 KR101277366 B1 KR 101277366B1 KR 1020120001305 A KR1020120001305 A KR 1020120001305A KR 20120001305 A KR20120001305 A KR 20120001305A KR 101277366 B1 KR101277366 B1 KR 10127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witchgear
electrode
fixed electrode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137A (ko
Inventor
다이스께 스가이
다까시 사또오
도모아끼 우쯔미
다까시 시로네
가즈히로 사또오
다까후미 호소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8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Patch Board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개폐기 유닛 또는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 유닛은, 직선 형상으로 복수의 개폐기가 배치되는 개폐기 유닛이며, 하나의 개폐기의 가동 전극과 다른 개폐기의 고정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기 유닛 및 스위치 기어 {SWITCHING DEVICE UNIT AND SWITCH GEAR}
본 발명은, 개폐기 유닛 및 스위치 기어에 관한 것이다.
수전 설비에 있어서는, 부하 전류 혹은 사고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 부하의 보수 점검을 행할 때에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 계통 전압ㆍ전류의 검출 장치, 또한 보호 릴레이 등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납된 폐쇄형 배전반(스위치 기어라고 칭함)을 설치하고 있다.
스위치 기어는, 한정된 설치 스페이스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 소형화된 것이 요망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스위치 기어의 크기를 결정할 때에, 차단부 등의 개폐기를 포함하는 개폐기 유닛이 스위치 기어 내에서 큰 체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개폐기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여기서, 종래의 개폐기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직선 형상으로 2개의 접점부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가동 전극봉이 상하에 존재하고, 상하의 가동 전극봉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평형 접점이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표 제2009-50829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고정 전극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조이기 때문에, 모선이나 케이블이 분산되어 버려, 고전압부가 커져 버려, 소형화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개폐기 유닛 또는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 유닛은, 직선 형상으로 복수의 개폐기가 배치되는 개폐기 유닛이며, 하나의 개폐기의 가동 전극과 다른 개폐기의 고정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 기어는, 상기 개폐기 유닛과, 상기 개폐기 유닛에 접속되는 모선과, 상기 개폐기 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개폐기 유닛 또는 스위치 기어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일 실시 형태의 몰드 스위치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는 어디까지나 실시의 예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의 구체적 형태에 한정한다는 취지가 아닌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기어(1)는, 개폐기 유닛에 상당하는 몰드 스위치(2)와, 몰드 스위치(2)에 전력 계통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80)과, 몰드 스위치(2)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측으로 배전하는 케이블(90)과, 몰드 스위치(2) 내의 개폐기를 조작하는 조작 장치(5, 6)와, 조작 장치(5, 6)와 몰드 스위치(2) 내 개폐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51, 61) 및 이들을 내포하는 하우징(21)으로 개략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 스위치(2)는, 전류의 투입ㆍ차단 기능을 갖는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투입ㆍ단로ㆍ접지의 3포지션으로 전환 가능한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와, 부하측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기(7)와, 모선(80)과 접속되는 모선 접속용 부싱(8)과, 부하측으로 전류를 보내는 케이블(90)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을 에폭시 수지(10)에 의해 일체로 몰드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는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는, 고정측 세라믹스 절연통(30b), 가동측 세라믹스 절연통(30a), 고정측 단부판 및 가동측 단부판을 접속하여 구성되는 진공 용기(30) 내에, 고정측 전극(31), 가동측 전극(32), 고정측 전극(31)과 접속되는 고정측 도체(22), 가동측 전극(32)과 접속되는 가동측 도체(34) 및 세라믹스 절연통(30a, 30b)을 전극의 개폐시의 아크로부터 보호하기 하기 위한 아크 실드(36)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측 도체(34)는 금속 벨로즈(35)를 통하여, 진공 용기(30) 밖으로 도출되고, 플렉시블 도체(11)를 통하여 케이블 접속용 부싱 중심 도체(33)와 접속되어, 모선측으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측으로 배전한다. 또한, 가동측 전극(32)은, 절연 조작 로드(52)에도 연결되어 있어, 조작 장치(5)로부터의 조작력이 연결 장치(51)를 경유하여 절연 조작 로드(52)에 전달된다.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는, 모선 접속용 부싱 중심 도체(23)와 접속되어 있고, 이 중심 도체(23)를 통하여 모선측과 접속되는 고정 전극(40)과, 가동 전극(43)의 가이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접지 전위로 하고 있는 접지측 고정 전극(42)과, 그들의 축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접속 도체(44)를 통하여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측의 고정측 도체(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중간 고정 전극(41)을 구비하고 있고, 내부는 기중 절연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고정 전극은, 내경을 모두 동일하게 하고,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고정 전극에 대하여, 가동 전극(43)이 직선 형상으로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 내를 이동함으로써, 투입ㆍ단로ㆍ접지의 3위치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동 전극(43)은, 기중 절연 조작 로드(62)와 연결되어 있고, 기중 절연 조작 로드(62)는 연결 장치(61)를 통하여 조작 장치(6)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중 절연 조작 로드(62)는 조작 장치(6)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 중, 상기의 각 고정 전극과 접촉하는 부위를 스프링 콘택트(24)로 구성함으로써,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의 가동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접촉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는 부하측에 배치되는 개폐기이고,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는 모선측에 배치되는 개폐기이다.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 사이의 전기적 접속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 고정 전극(41)은, 가동 전극(43)의 위치에 상관없이 가동 전극(43)과 접촉하고 있고, 양자는 항상 동일 전위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고정 전극(41)은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측의 고정측 도체(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고정 전극(41)과 항상 동일 전위의 상태에 있는 가동 전극(43)에 대해서도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측의 고정측 도체(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서로 접근하고 있는 고정측 도체(22)와 고정 전극(40) 사이는, 에폭시 수지(10)에 의한 고체 절연에 의해 절연을 유지하고 있다.
모선 접속용 부싱(8)은, 모선 접속용 부싱 중심 도체(23)의 주위를 에폭시 수지(10)로 덮음으로써, 또한,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은, 케이블 접속용 부싱 중심 도체(33)의 주위를 에폭시 수지(10)로 덮음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접속용 부싱(9)에는, 내부를 통과하는 케이블 접속용 부싱 중심 도체(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부하측의 전위를 측정하는 전압 검출기(7)를 배치하고 있다. 양쪽 부싱은, 동일 면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동일한 측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싱의 길이에 대해서는, 모선 접속용 부싱(8)보다도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을 길게 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스위치 기어 2면의 반마다 설치된 모선 접속용 부싱(8)간을 모선(80)으로 서로 접속하여 열반(列盤) 구성한 2면의 스위치 기어(1)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블 접속용 부싱(9)에 케이블(90)을 지면 하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부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을 모선 접속용 부싱(8)보다도 길게 구성함으로써, 케이블(90)을 지면 상방향으로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의 온 오프는, 연결 장치(51)를 통하여 전자기 조작 방식의 제1 조작 장치(5)에 의해 조작되고, 3포지션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에 있어서의 통전하기 위한 폐쇄 위치, 벼락 등의 서지 전압에 대하여 점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 위치 및 접지로 하기 위한 접지 준비 위치로의 전환은, 연결 장치(61)를 통하여 모터 구동 방식의 제2 조작 장치(6)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제1 조작 장치(5)에 전자기 조작 방식, 제2 조작 장치(6)에 모터 구동 방식을 적용하였지만, 전동 스프링 방식 등의 다른 조작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몰드 스위치(2)에 의한 투입ㆍ차단ㆍ단로ㆍ접지의 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는 투입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투입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조작 장치(5)를 조작하여, 연결 장치(51)를 통하여 절연 조작 로드(52)를 고정측 전극(3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조작시킨다. 이에 의해, 절연 조작 로드(52)의 선단에 고정측 전극(31)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동측 전극(32)은 고정측 전극(31)으로부터 접촉 분리되어,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 내에서 차단 동작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단로 동작이 행해진다. 투입 상태로부터 단로 상태로의 이행 동작은, 차단 동작에 이어서 행해진다. 이때, 조작 장치(6)를 조작하여, 연결 장치(61)를 통하여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의 기중 절연 조작 로드(62)를 고정 전극(4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에 의해, 가동 전극(43) 및 가동 전극(43)에 설치되는 스프링 콘택트(24)와 고정 전극(40)의 극간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어, 단로 상태로 이행하고, 스프링 콘택트(24)를 접지측 고정 전극(42) 및 고정 전극(4O)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관한 개폐기 유닛에 따르면,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의 전극간을 차단 상태로 한 후에, 기중 절연 조작 로드(62)를 단로 상태로 하는 이중의 단로 구조로 되어 있고, 가동 전극(43) 및 가동 전극(43)에 설치되는 스프링 콘택트(24)와 고정 전극(40)의 극간 거리에 대해서는,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가 예를 들어 진공 누설을 일으킨 경우에도 단로 상태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차단 위치에 있어서의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의 전극간 거리보다도 넓은 것으로 해 두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접지 상태로 이행한다. 접지 상태로의 이행은, 우선 상기 단로 동작에 이어서, 조작 장치(6)를 조작하여, 연결 장치(61)를 통하여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의 기중 절연 조작 로드(62)를 고정 전극(4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더 구동하여, 기중 절연 조작 로드(62)측의 스프링 콘택트(24)가 접지측 고정 전극(42)과 접촉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접지측 고정 전극(42)→스프링 콘택트(24)→가동 전극(43)→중간 고정 전극(41)→접속 도체(44)→고정측 도체(22)→고정측 전극(31)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이들은 접지 전위로 된다. 즉, 이때,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의 전극간에는 고정측 전극(31)의 접지 전위와 부하측의 전위가 인가되는 가동측 전극(32)의 전위차가 인가되어 있고, 이 시점에서는 부하측은 접지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장치(5)를 조작하여, 연결 장치(51)를 통하여 절연 조작 로드(52)를 고정 전극(31)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조작시켜, 절연 조작 로드(52)의 선단에 고정측 전극(31)과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동측 전극(32)을 고정측 전극(31)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측 전극(31)과 가동측 전극(32)이 도통하고, 부하측이 접지되어, 접지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투입부터 접지까지는 항상 행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투입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나 단로 상태로 이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수순 중, 차단 상태나 단로 상태까지에서 정지시키면 된다. 또한, 접지→단로→차단→투입의 동작(접지⇒투입까지의 모두뿐만 아니라, 도중만 단로⇒투입 등도 포함함)에 대해서는, 상기 수순과 반대의 수순으로 행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에 대하여, 한쪽의 가동 전극과 다른 쪽의 고정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에 의해, 고전압부인 모선이나 케이블이 몰드 스위치(2)의 단부끼리로 분산되지 않고, 집약화할 수 있어, 몰드 스위치(2)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축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개폐기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축 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해서는 대폭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몰드 스위치(2)는 스위치 기어 전체 중에서 큰 체적을 차지하므로 스위치 기어 전체의 소형화도 아울러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쪽의 가동 전극과 다른 쪽의 고정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것에 수반하여, 한쪽의 고정 전극과 다른 쪽의 고정 전극에 대해서는, 절연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가동 전극과 다른 쪽의 고정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한 경우라도, 절연 파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의 구체적 형태로서 에폭시 수지(10)에 의한 고체 절연을 행하고 있다. 에폭시 수지(10) 등 수지 몰드는 절연 특성이 높기 때문에, 절연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2개의 개폐기간을 축 방향으로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는 대형화되기 쉬운 개폐기를 축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어, 유용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3포지션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의 조합에 의해 투입ㆍ차단ㆍ단로ㆍ접지의 4개의 회로 조건을 구성하고 있다. 투입ㆍ차단ㆍ접지 성능을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에 집약하고, 통전ㆍ절연 성능을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3포지션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의 2개의 개폐 스위치에 의해 담보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 다단식 절연으로 할 수 있어, 안전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3포지션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를 2포지션형으로 해도, 단로 위치에서의 대지 절연이 1단으로 될 뿐이며,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개폐기를 동축 배치로 함으로써, 몰드 스위치(2)는 대략 원통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모선(80)이나 케이블(90)에 접속되는 부싱부는 제외함], 스위치 기어(1)에 배치되었을 때에 스위치 기어(1)의 몰드 스위치(2)의 축 방향 이외의 방향의 치수가 축소되어, 스위치 기어(1)가 소형ㆍ경량화된다. 또한, 몰드 스위치(2) 자체도 형상이 회전 대칭으로 되어,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예를 들어,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병행하여 도체가 배치되고, 도체에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동일 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통전한 경우,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와 도체간에는 흡인 방향 또는 반발 방향으로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의 전류를 차단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전류 차단시에 전극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전극간에 종자계를 발생시켜 소호시키는 방식이나 전극 원주 상에 아크를 구동시켜 확산ㆍ소호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지만, 이때 상술한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와 도체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은 아크에 횡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극간의 자장이 변화되어, 차단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종래,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와 병행하여 도체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전류 차단시의 전극간 자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와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의 절연 성능은 독립되어,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에서 전류를 차단할 때에 발생하는 아크에 횡방향의 전자기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일체 몰드하는 복수 개폐기를 동축 배치함으로써, 복수 개폐기간의 절연 구조가 심플해지기 때문에, 복수 개폐기 사이가 지나치게 대형화되지 않아, 에폭시 수지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열 효율의 향상이나 수지 사용량의 저감도 도모된다.
또한, 모선 접속용 부싱(8)과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을 동일 면에 배치하고, 또한, 동일한 측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시에 스위치 기어(1)에 대하여 일방향으로부터 작업할 수 있어, 설치ㆍ메인터넌스시 등의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을 모선 접속용 부싱(8)보다 길게 구성함으로써, 부하측에 접속되는 케이블(90)의 인출 방향, 모선(80)의 2단 구성 등의 고객의 설치 환경에 따른 다양한 사양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본 실시예의 스위치 기어 2면의 반마다 설치된 모선 접속용 부싱(8)간을 모선(80)으로 서로 접속하여 열반 구성한 배면도이며, 케이블 접속용 부싱(9)에 케이블(90)을 지면(紙面) 하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부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지만,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을 모선 접속용 부싱(8)보다도 길게 구성함으로써, 케이블(90)을 지면 상방향으로도 인출할 수 있다.
물론, 모선 접속용 부싱(8)을 케이블 접속용 부싱(9)보다 길게 해도 되지만, 고객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하측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자유롭게 배선할 수 있는 쪽이 장점이 있고, 모선이 케이블의 방해로 되지 않도록,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을 모선 접속용 부싱(8)보다 길게 구성하고 있다. 이때, 케이블 접속용 부싱(9)과 케이블을 회전 가능하게(예를 들어 T형 케이블 헤드를 사용하는 등) 접속시키면, 설치 장소(현지)에 간 후에 자유롭게 케이블 인출 방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유익하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몰드 스위치(2)의 상하를 반전시킨 몰드 스위치(102)를 적용하고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조작 장치(105, 106), 연결 장치(151, 161)도 상하를 교체하고 있다. 다른 부위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몰드 스위치(102)의 상하를 반전시켜도,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 개폐기에 대하여,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의 고정측 전극과 모선측에 접속되는 개폐기인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의 가동 전극을 접속하고 있고, 모선(80)에 대해서는 반 중앙에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객으로부터의 요망 등, 어떠한 이유에 의해, 몰드 스위치의 상하를 반전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도, 모선(80)의 위치는 반 중앙으로부터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변화되는 일이 없다. 한편, 케이블에 대해서는 상하 등 각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면, 케이블 접속용 부싱(9)이 어느 위치에 있어도 케이블 자체의 배선에 지장은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따르면, 모선측에 접속되는 개폐기이며, 투입ㆍ접지 기능을 갖는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의 가동 전극과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3)의 전극을 접속하였으므로, 복수의 개폐기가 동축에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경우라도, 모선측의 개폐기에 접지 기능을 갖게 함과 동시에, 부하측의 개폐기에만 차단 기능을 갖게 하는 회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직선 형상으로 복수의 개폐기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스페이스 상, 복수 개폐기의 각 가동 전극측이 각각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통상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모선측의 개폐기에 접지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모선측의 개폐기의 고정 전극측이 아니라, 가동 전극측이 부하측의 개폐기에 접속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 효과 외에, 모선측의 개폐기에 차단 특성을 갖게 할 필요가 없어져, 구조를 간소화한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지게 된다.
또한,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4)에 단로 기능도 갖게 함으로써, 별도로 단로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한층 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소형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현에는 각 스위치가 기중 절연ㆍ진공 절연ㆍ가스 절연 등 특정한 절연 방식이어야만 한다고 하는 제약은 없고, 절연 성능이 좋은 예를 들어 진공 절연을 사용함으로써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는 가일층의 효과는 발휘할 수 있다.
1 : 스위치 기어
2, 102 : 몰드 스위치
3 : 진공 절연 개폐 스위치
4 : (3포지션) 기중 절연 개폐 스위치
5 : (제1) 조작 장치
6 : (제2) 조작 장치
7 : 전압 검출기
8 : 모선 접속용 부싱
9 : 케이블 접속용 부싱
10 : 에폭시 수지
11 : 플렉시블 도체
22 : 고정측 도체
23 : 모선 접속용 부싱 중심 도체
24 : 스프링 콘택트
30 : 진공 용기
30a : 절연통
31 : 고정측 전극
32 : 가동측 전극
33 : 케이블 접속용 부싱 중심 도체
34 : 가동측 도체
35 : 금속 벨로즈
36 : 아크 실드
4O : 고정 전극
41 : 중간 고정 전극
42 : 접지 고정 전극
43 : 가동 전극
44 : 접속 도체
80 : 모선
90 : 케이블
151, 161 : 연결 장치
152, 162 : 기중 절연 조작 로드

Claims (11)

  1. 직선 형상으로 복수의 개폐기가 배치되는 개폐기 유닛이며,
    각 개폐기는 고정 전극과, 상기 고정 전극과 접촉 분리가 전환 가능한 가동 전극을 구비하고,
    하나의 개폐기의 고정 전극은 모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개폐기의 가동 전극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나의 개폐기의 가동 전극과 다른 개폐기의 고정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개폐기는 모선측에 배치되는 개폐기이고,
    상기 다른 개폐기는 부하측에 배치되는 개폐기이고,
    상기 모선측 개폐기가 모선과 접속되는 모선측 부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하측 개폐기가 부하측 케이블과 접속되는 부하측 부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선측 부싱과 상기 부하측 부싱이 동일 면이며, 또한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개폐기의 고정 전극과 상기 다른 개폐기의 고정 전극 사이는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개폐기의 고정 전극과 상기 다른 개폐기의 고정 전극 사이는 수지 몰드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유닛.
  4. 직선 형상으로 복수의 개폐기가 배치되는 개폐기 유닛이며,
    각 개폐기는 고정 전극과, 상기 고정 전극과 접촉 분리가 전환 가능한 가동 전극을 구비하고,
    하나의 개폐기의 고정 전극은 모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개폐기의 가동 전극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나의 개폐기의 가동 전극과 다른 개폐기의 고정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전극과 상기 다른 개폐기의 고정 전극 사이에, 개폐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하나의 개폐기는 모선측에 배치되는 개폐기이고,
    상기 다른 개폐기는 부하측에 배치되는 개폐기이고,
    상기 모선측 개폐기가 모선과 접속되는 모선측 부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하측 개폐기가 부하측 케이블과 접속되는 부하측 부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선측 부싱과 상기 부하측 부싱이 동일 면이며, 또한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수지 몰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측 개폐기는 투입ㆍ접지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부하측 개폐기는 투입ㆍ차단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측 개폐기는 투입ㆍ단로ㆍ접지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부싱은 상기 모선측 부싱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유닛.
  9. 제1항에 기재된 개폐기 유닛과, 상기 개폐기 유닛에 접속되는 모선과, 상기 개폐기 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01305A 2011-01-06 2012-01-05 개폐기 유닛 및 스위치 기어 KR101277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0895A JP5380467B2 (ja) 2011-01-06 2011-01-06 開閉器ユニット及びスイッチギヤ
JPJP-P-2011-000895 2011-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137A KR20120080137A (ko) 2012-07-16
KR101277366B1 true KR101277366B1 (ko) 2013-06-20

Family

ID=4546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305A KR101277366B1 (ko) 2011-01-06 2012-01-05 개폐기 유닛 및 스위치 기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75550B2 (ko)
EP (1) EP2474991B1 (ko)
JP (1) JP5380467B2 (ko)
KR (1) KR101277366B1 (ko)
CN (1) CN102592879B (ko)
SG (1) SG182907A1 (ko)
TW (1) TWI5014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8124B2 (ja) * 2012-12-26 2016-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開閉装置
JP6328998B2 (ja) * 2014-05-22 2018-05-23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ユニット開閉器及び開閉装置並びに鉄道車両
JP6382069B2 (ja) * 2014-10-30 2018-08-2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スイッチギヤ
WO2016125328A1 (ja) * 2015-02-04 2016-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
CN105513881A (zh) * 2016-01-25 2016-04-20 巨东电气有限公司 一种新型空气绝缘极柱
CN107181194A (zh) * 2017-06-22 2017-09-19 广东紫光电气有限公司 一种直插双隔离铠装移动式真空高压开关设备
KR102007779B1 (ko) * 2018-02-06 2019-08-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지스위치를 갖는 개폐장치
JP6471253B2 (ja) * 2018-04-03 2019-02-13 株式会社東芝 タンク形真空遮断器
US10672573B1 (en) * 2019-06-27 2020-06-02 EMA Electromechanis, Inc. Gas insulated grounding switch
US10784063B1 (en) * 2019-06-27 2020-09-22 EMA Electromechanics, Inc. Air insulated grounding switch
EP3896711B1 (en) * 2020-04-14 2023-07-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electric shield for a switching device
US11862944B1 (en) 2022-06-17 2024-01-02 Jst Power Equipment, Inc. Switchgear device with ground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4868A2 (en) * 1980-12-03 1986-12-17 Bridgestone Tire Company Limited Pneumatic tires
KR20040007319A (ko) * 2002-07-12 2004-01-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진공 스위치 기어
JP2006238522A (ja) 2005-02-22 2006-09-07 Hitachi Ltd 真空スイッチギヤ
KR20120059401A (ko) * 2010-11-30 2012-06-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개폐기 유닛 및 개폐기 유닛을 탑재하는 스위치 기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3556A (en) * 1956-03-14 1959-11-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s
DE1206057B (ko) * 1958-04-29
US3123698A (en) * 1961-02-10 1964-03-03 Circuit breakers having interrupting contacts
US3792213A (en) * 1970-10-30 1974-02-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High-voltage circuit interrupter incorporating series vacuum interrupter elements
US3813506A (en) * 1973-04-12 1974-05-28 Gen Electric Vacuum-type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ability to interrupt capacitance currents
US6144005A (en) * 1997-07-23 2000-11-07 Hitachi, Ltd. Vacuum switch and a vacuum switchgear using the same
EP1119011A4 (en) * 1998-10-02 2004-03-03 Hitachi Ltd VACUUM SWITCH AND VACUUM SWITCHING APPARATUS USING THE VACUUM SWITCH
IT1313321B1 (it) * 1999-10-01 2002-07-17 Abb Ricerca Spa Apparecchiatura di interruzione e sezionamento isolata in gas.
FR2826503B1 (fr) * 2001-06-25 2003-09-05 Alstom Chambre de coupure avec ampoule a vide
JP2003047113A (ja) * 2001-07-31 2003-02-14 Meidensha Corp 開閉装置
JP2003123601A (ja) * 2001-10-12 2003-04-25 Hitachi Ltd 真空スイッチ及びその絶縁スペーサ
EP1538650B1 (en) * 2003-12-02 2017-11-08 Schneider Electric Energy Manufacturing Italia S.r.l. Isolator/circuit-breaker device for electric substations
CN100346436C (zh) * 2003-12-19 2007-10-31 三菱电机株式会社 断路器
JP4578344B2 (ja) * 2005-07-19 2010-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CN101258574A (zh) * 2005-09-12 2008-09-03 西门子公司 真空开关管
WO2007031040A1 (de) 2005-09-12 2007-03-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akuumschaltröhre
EP2048682B1 (en) * 2006-07-13 2011-01-05 Ormazabal Y Cia., S.L.U. Modular encapsulated electrical device for power distribution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4868A2 (en) * 1980-12-03 1986-12-17 Bridgestone Tire Company Limited Pneumatic tires
KR20040007319A (ko) * 2002-07-12 2004-01-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진공 스위치 기어
JP2006238522A (ja) 2005-02-22 2006-09-07 Hitachi Ltd 真空スイッチギヤ
KR20120059401A (ko) * 2010-11-30 2012-06-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개폐기 유닛 및 개폐기 유닛을 탑재하는 스위치 기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75550B2 (en) 2015-03-10
JP2012142236A (ja) 2012-07-26
KR20120080137A (ko) 2012-07-16
JP5380467B2 (ja) 2014-01-08
CN102592879B (zh) 2015-01-14
TW201240252A (en) 2012-10-01
CN102592879A (zh) 2012-07-18
EP2474991A1 (en) 2012-07-11
EP2474991B1 (en) 2015-08-26
SG182907A1 (en) 2012-08-30
TWI501492B (zh) 2015-09-21
US20120175234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366B1 (ko) 개폐기 유닛 및 스위치 기어
US8710388B2 (en) Switchgear and method for operating switchgear
US7829814B2 (en) Vacuum circuit interrupter grounding assembly
US6259051B1 (en) Vacuum switch and a vacuum switchgear using the same
JP4568765B2 (ja) 真空スイッチギヤ
JP2006238522A (ja) 真空スイッチギヤ
KR20090068154A (ko) 진공절연 스위치 기어
JP7261295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の高速接地スイッチ
US20120181156A1 (en) Gas-insulated high-voltage switching system
JP3891680B2 (ja) スイッチギヤ
KR100370103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단로기
CN110634704B (zh) 一种快速接地开关
JP5815449B2 (ja) 真空遮断器
US9065258B2 (en) Switch for solid insulated switchgear
JP5501312B2 (ja) 開閉器及びスイッチギヤ
KR200463210Y1 (ko) 가스절연개폐기의 접지장치
JP5899028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831850B1 (ko) 25.8kv 바이패스 가변 내장형 부하 개폐기
JP201302722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5953167B2 (ja) スイッチギヤ
JP2013161768A (ja) 真空開閉器、開閉器ユニット、開閉器ユニット複合体またはスイッチギヤ
CN103681148A (zh) 熔断器绝缘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