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949B1 - 차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949B1
KR101276949B1 KR1020120139903A KR20120139903A KR101276949B1 KR 101276949 B1 KR101276949 B1 KR 101276949B1 KR 1020120139903 A KR1020120139903 A KR 1020120139903A KR 20120139903 A KR20120139903 A KR 20120139903A KR 101276949 B1 KR101276949 B1 KR 101276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river
serv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길종
지영수
김민철
한윤권
Original Assignee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GPS 위성, 하이패스 단말 및 전자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관련 위치 정보, 하이패스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운전자로부터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상기 하이패스 정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하는 차량 단말 시스템;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상기 하이패스 정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및 운전자의 운행과 관련한 통계/분석 기능 및 운전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통계/분석 및 운전자 인증에 관한 결과를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관리 시스템{VEHICL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차량 관제 시장은 단순 위치 추적 서비스에서 벗어나 실질적으로 기업의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IT 기술의 융합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기술의 융합은 각 부문 기술의 안정적인 연동과 통합이 전제되었을 때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자동차전장, GIS, M2M 단말, 임베디드 S/W 및 시스템 S/W 기술 등 유관 분야의 첨단 요소 기술과 각 요소 기술의 통합 노하우를 총체적으로 집결하여, 업무 차량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솔루션을 정립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관리적 측면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차량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보유 자원의 가치 창출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용적 측면에서는 시스템 운영 비용의 과다 지출을 개선하고, 업무 차량의 비효율적 운영에 따른 비용 증가에 대한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편의적 측면에서는 차량 단말 시스템의 정보 처리를 최대한 자동화하고, 운전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제 단말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62537호(발명의 명칭: 차량 관제 시스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속하고 정확한 차량 관리, 업무 차량의 비효율적 운영에 따른 비용 증가에 대한 관리, 및 정보 처리의 자동화로 운전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GPS 위성, 하이패스 단말 및 전자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관련 위치 정보, 하이패스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운전자로부터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상기 하이패스 정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하는 차량 단말 시스템;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상기 하이패스 정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및 운전자의 운행과 관련한 통계/분석 기능 및 운전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통계/분석 및 운전자 인증에 관한 결과를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운전자 인증에 관한 결과를 토대로 차량 관제 단말 장치와 차량 시동 제어 장치 간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차량 관제 단말 장치와 지리정보시스템(GIS) 간의 연동을 통해 상기 통계/분석에 관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 실시간 상태 정보, 불량 운행 정보, 차량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차량 예약 정보를 화면상의 지도 프로그램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은 본부별로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차량 각각에 탑재된 차량 관제 단말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유지비 데이터 및 차량 정비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각각을 본부별로 나누고, 수신된 상기 차량 유지비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정비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월별/분기별로 차량 유지비 및 정비 이력에 관한 변화 내역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그래프를 포함하는 스프레드시트로 가공하여 관제 모니터 장치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레포팅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차량 관제 단말 장치와 RF 리더기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원증의 RF 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거나,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와 NFC 리더기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원증의 NFC 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급되는 임시번호를 토대로 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차량 관제 단말 장치 간의 P2P(peer to peer) 통신을 통해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상습 과속, 예약/정비 일시 도래 및 과태료 관련 정보를 차량 관제 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팝업 알람으로 표출하고, 상기 팝업 알람과 함께 사전 녹음된 알람음 및 음성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의 퇴근, 주차, 입고를 포함하는 차량 동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을 경유하여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의 차량 관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 관제 서버는 상기 차량 동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및 운전자의 동태를 분석하여 관제 모니터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의 전원이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된 구조로 인해,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신호를 수신한 후에 일정 시간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운전자의 사원 인증 정보를 임시 저장하여 상기 운전자의 인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은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및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공회전, 과속 및 과태료 위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잘못된 운전습관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를 관제 모니터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속하고 정확한 차량 관리, 업무 차량의 비효율적 운영에 따른 비용 증가에 대한 관리, 및 정보 처리의 자동화로 운전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단말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관제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차량 관련 위치 정보, 하이패스 정보, 차량 상태 정보, 사원 인증 정보 등을 이동통신 기지국(120)을 통해 차량 관제 시스템(13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차량 내부에 탑재된 부가 장치로부터 상기의 정보들을 획득하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부가 장치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장치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20)을 통해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으로부터 상기의 정보들, 즉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상기 하이패스 정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차량 및 운전자의 운행과 관련하여 통계/분석 및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통계/분석 및 인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버들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통계/분석 및 운전자 인증에 관한 결과를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에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20)을 통해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통계/분석 및 운전자 인증에 관한 결과를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통계/분석 및 운전자 인증에 관한 결과를 관제 모니터 장치(150)에 인터넷(140)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150)는 경영 관리 조직, 업무 차량 이용자, 및 스마트폰/태블릿 이용자의 모니터 장치(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본부별로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차량 각각에 탑재된 차량 관제 단말 장치(도 2의 "210" 참조)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으로부터 차량 유지비 데이터 및 차량 정비 이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각각을 본부별로 나누고, 수신된 상기 차량 유지비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정비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월별/분기별로 차량 유지비 및 정비 이력에 관한 변화 내역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분석 결과를 그래프를 포함하는 스프레드시트로 가공(편집)하여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150)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레포팅(reporting)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및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공회전, 과속 및 과태료 위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잘못된 운전습관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분석의 결과를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1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잘못된 운전습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업무 차량 이용자(운전자)의 업무 실적에 반영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업무 차량에 대한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운전자 인증에 관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와 차량 시동 제어 장치(도 2의 "240" 참조) 간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운전자 인증이 실패한 경우, 상기 차량 시동 제어 장치에 시동 제한 명령 신호를 보내어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와 지리정보시스템(GIS) 간의 연동을 통해 상기 통계/분석에 관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 실시간 상태 정보, 불량 운행 정보, 차량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차량 예약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의 정보들을 토대로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15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와 RF 리더기(도 2의 "230" 참조)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원증의 RF 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와 NFC 리더기(23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원증의 NFC 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급되는 임시번호를 토대로 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차량 관제 단말 장치 간의 P2P(peer to peer) 통신을 통해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운전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러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임시번호를 발급하고, P2P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 사이에 통신망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발급된 임시번호를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는 상기 발급된 임시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차량의 상습 과속, 예약/정비 일시 도래 및 과태료 관련 정보를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팝업 알람으로 표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팝업 알람과 함께 사전 녹음된 알람음 및 음성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의 퇴근, 주차, 입고를 포함하는 차량 동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120)을 경유하여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의 차량 관제 서버(도 3의 "340" 참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 관제 서버는 상기 차량 동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및 운전자의 동태를 분석하여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1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의 전원이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된 구조로 인해,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신호를 수신한 후에 일정 시간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운전자의 사원 인증 정보를 임시 저장하여 상기 운전자의 인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단말 시스템(11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110)은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 및 부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장치는 차량 내부에 탑재되는 하이패스 단말(220), RF/NFC 리더기(230), 차량 시동 제어 장치(240) 및 전자 제어 시스템(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서 GPS 위성(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차량 내부에 탑재되는 부가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뎀부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220), RF/NFC 리더기(230), 상기 차량 시동 제어 장치(240) 및 상기 전자 제어 시스템(250)을 포함하는 부가 장치와,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 간의 접점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에 일체형 구조로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GPS 위성(201)으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는 차량의 현재/과거 위치 좌표값,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값에 근접한 관심지점/시설물 위치 좌표값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지도정보시스템(GIS)과의 연동을 통해 화면에 차량의 실시간 위치, 과거 위치 추적 데이터, POI(Point Of Interest), 및 시설물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챠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220)과 연계하여 하이패스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이패스 정보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220)에 삽입된 하이패스 카드의 거래 내역 정보, 과금 정보, 잔액 정보 및 상기 하이패스 단말(220)의 단말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고, 도 1의 차량 관제 시스템(130)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즉,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입력된 사원 인증 정보를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에 전송하고, 상기 사원 인증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로부터 상기 운전자에 대한 인증 수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인증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 시동 제어 장치(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운전자가 미인증자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차량 시동 제어 장치(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운전자가 인증자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 제한이 언락(unlock)되도록 상기 차량 시동 제어 장치(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차량의 전자 제어 시스템(ECU)(250)으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의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는 엔진 분당 회전수, 배터리 충전 상태, 차량 주행 거리, 주행 가능 거리, 타이어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차량의 퇴근, 주차, 입고를 포함하는 차량 동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동태 정보는 상기 RF/NFC 리더기(230)에 의한 사원증의 RF/NFC 태그 인식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상기 차량의 동태 및 상기 차량 동태 정보에 따른 운전자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는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동태 및 운전자 동향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차량 관제 시스템(13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130)은 라우터(310), 방화벽(320), 릴레이 서버(330) 및 차량 관제 서버(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 서버(330)는 도 2의 차량 관제 단말 장치(210)와 상기 차량 관제 서버(340)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서버로서, 상기 라우터(310) 및 상기 방화벽(320)을 통해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차량 관제 서버(34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관제 서버(330)는 분석 서버(341), 데이터베이스(DB) 서버(342), 및 관제/웹(Web) 서버(3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341)는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상기 하이패스 정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및 운전자의 운행과 관련한 통계/분석 기능 및 운전자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분석 서버(341)는 본부별로 고유 식별번호가 부여된 차량 각각에 탑재된 차량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차량 유지비 데이터 및 차량 정비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각각을 본부별로 나누어, 수신된 상기 차량 유지비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정비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월별/분기별로 차량 유지비 및 정비 이력에 관한 변화 내역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341)는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및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공회전, 과속 및 과태료 위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잘못된 운전습관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DB 서버(342)는 상기 분석 서버(341)에서 수신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DB 서버(342)는 상기 분석 서버(341)에서 통계/분석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화 한 정보들을 상기 분석 서버(341)와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관제/웹 서버(343)는 도 1의 관제 모니터 장치(1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서버로서,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에 상기 통계/분석의 결과인 관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제/웹 서버(343)는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웹 서버(343)는 상기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로부터 차량 관제 관련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제/웹 서버(343)는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로부터 운전 경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서버(330), 상기 방화벽(320), 상기 라우터(310) 등을 거쳐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 관제 단말 장치는 상기 운전 경고 신호에 따라 화면에 경고 메시지나 경고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잘못된 운전습관 등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여 차량 관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차량 단말 시스템
120: 이동통신 기지국
130: 차량 관제 시스템
140: 인터넷
150: 관제 모니터 장치
201: GPS 위성
210: 차량 관제 단말 장치
220: 하이패스 단말
230: RF/NFC 리더기
240: 차량 시동 제어 장치
250: 전자 제어 시스템
310: 라우터
320: 방화벽
330: 릴레이 서버
340: 차량 관제 서버
341: 분석 서버
342: DB 서버
343: 관제/Web 서버

Claims (10)

  1.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연결되는 차량 단말 시스템과 차량 관제 시스템 그리고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관제 모니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GPS 위성, 하이패스 단말 및 전자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관련 위치 정보, 하이패스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운전자로부터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상기 하이패스 정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하는 차량 단말 시스템; 및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위치 정보, 상기 하이패스 정보,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및 운전자의 운행과 관련한 통계/분석 기능을 수행하고, RF 리더기에 의한 사원증의 RF 태그 인식 또는 NFC 리더기에 의한 사원증의 NFC 태그 인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와 연관된 사원 인증 정보를 입력받아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거나,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급되는 임시번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P2P(peer to peer) 통신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임시번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운전자가 미인증자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한하고, 상기 인증 수행부의 인증 수행 결과 상기 운전자가 인증자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 제한이 언락(unlock)시키고, 상기 차량의 전자 제어 시스템(ECU)으로부터 엔진 분당 회전수, 배터리 충전 상태, 차량 주행 거리, 주행 가능 거리 및 타이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과태료 정보 알림, 정비 일시 도래 알림 및 과속 위험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의 퇴근, 주차, 입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동태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관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동태 및 상기 차량 동태 정보에 따른 운전자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관제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통계/분석 및 운전자 인증에 관한 결과를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통계/분석에 관한 결과에 근거하여 차량 실시간 상태 정보, 불량 운행 정보, 차량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차량 예약 정보를 화면상의 지도 프로그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제 시스템은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으로부터 차량 유지비 데이터 및 차량 정비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고유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각각을 본부별로 나누고, 수신된 상기 차량 유지비 데이터 및 상기 차량 정비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월별/분기별로 차량 유지비 및 정비 이력에 관한 변화 내역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그래프를 포함하는 스프레드시트로 가공하여 상기 관제 모니터 장치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레포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제 서버는
    상기 차량 동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및 운전자의 동태를 분석하여 관제 모니터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신호를 수신한 후에 일정 시간 차량 관제 단말 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운전자의 사원 인증 정보를 임시 저장하여 상기 운전자의 인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0. 삭제
KR1020120139903A 2012-12-04 2012-12-04 차량 관리 시스템 KR101276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03A KR101276949B1 (ko) 2012-12-04 2012-12-04 차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03A KR101276949B1 (ko) 2012-12-04 2012-12-04 차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949B1 true KR101276949B1 (ko) 2013-06-24

Family

ID=4886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903A KR101276949B1 (ko) 2012-12-04 2012-12-04 차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9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847B1 (ko) * 2013-08-01 2015-07-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000A (ko) * 2014-10-31 201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제적인 운전 유도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차량, 및 이의 방법
KR101801716B1 (ko) * 2016-06-16 2017-12-28 최진호 법인 차량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456A (ko) * 2007-02-16 2008-08-20 (주)유비트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주행상태감지방법
KR20090058213A (ko) * 2007-12-04 2009-06-09 (주)아이이지컨설팅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KR20110062077A (ko) * 2009-12-02 2011-06-10 유비벨록스(주) 차량용 스마트 키와,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일정관리 시스템 및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20075555A (ko) * 2010-11-23 2012-07-09 김수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456A (ko) * 2007-02-16 2008-08-20 (주)유비트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주행상태감지방법
KR20090058213A (ko) * 2007-12-04 2009-06-09 (주)아이이지컨설팅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KR20110062077A (ko) * 2009-12-02 2011-06-10 유비벨록스(주) 차량용 스마트 키와,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일정관리 시스템 및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20075555A (ko) * 2010-11-23 2012-07-09 김수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847B1 (ko) * 2013-08-01 2015-07-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000A (ko) * 2014-10-31 201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제적인 운전 유도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차량, 및 이의 방법
KR101637712B1 (ko) * 2014-10-31 201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제적인 운전 유도 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차량, 및 이의 방법
CN106184228A (zh) * 2014-10-31 2016-12-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引导经济驾驶的系统、适用该系统的车辆及方法
US9770985B2 (en) 2014-10-31 2017-09-26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guiding economic driving, vehicle applied to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106184228B (zh) * 2014-10-31 2021-11-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引导经济驾驶的系统、适用该系统的车辆及方法
KR101801716B1 (ko) * 2016-06-16 2017-12-28 최진호 법인 차량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0474B2 (en) Method for collecting data and system for accomplishing the same
Campolo et al. SMaRTCaR: An integrated smartphone-based platform to support traffic management applications
US9990781B2 (en) Vehicle information system
Händel et al. Smartphone-based measurement systems for road vehicle traffic monitoring and usage-based insurance
Zingirian et al. Sensor clouds for intelligent truck monitoring
US9456302B2 (en) Geospatial asset track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anipulating and presenting telematic metadata
US20180108189A1 (en) Telematics-based vehicle value reports
US8212691B2 (en) Controll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a portable privacy key
EP3350779A1 (en) Cloud integrated vehicle platform
US200900891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service appointments based on diagnostic trouble codes
US201803762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ocation and activity of devices
CN104917808A (zh) 一种基于车联网的救援调度方法及系统
US111326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sharing location and activity of devices
CN102169628A (zh) 一种事件核实方法、事件核实服务器及位置服务终端
WO2018168365A1 (ja) 情報分析装置及び経路情報分析方法
US20210107530A1 (en) Distributed in-vehicle realtime sensor data processing as a service
CA3197075A1 (en) Remote mobile device management
KR101276949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US20170262820A1 (en) Smart transport solution
CA30204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logging asset activity
EP4196749A1 (en) Automotive data sharing and consent management platform
CN104205084A (zh) 从基于处理器的设备收集数据
CN115348149A (zh) 车联网中的设备监控方法、装置及终端设备
Sumra Applications of internet of vehicle (IoV): a survey
CN113830209A (zh) 异常移动检测方法、装置、车辆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