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875B1 -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875B1
KR101276875B1 KR1020060076816A KR20060076816A KR101276875B1 KR 101276875 B1 KR101276875 B1 KR 101276875B1 KR 1020060076816 A KR1020060076816 A KR 1020060076816A KR 20060076816 A KR20060076816 A KR 20060076816A KR 101276875 B1 KR101276875 B1 KR 101276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pecific
thumbnail
original imag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290A (ko
Inventor
류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8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원본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상기 생성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특정 이미지의 표시를 요청하는 순간 오랜 기다림의 시간없이 선택한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썸네일, thumbnail

Description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 방법{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aing thumbnail imag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리스트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와 특정 원본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썸네일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휴대용 단말기 110 : 사용자 조작부
120 : 표시부 130 : 신호 처리부
140 : 메인 저장부 150 : 리스트 생성부
190 : 제어부
본 발명은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와 관련된 기술이 급격히 발달하고 사용자들의 생활수준 또한 향상됨에 따라 단순한 전화연결 외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수요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중 하나로 피사체를 촬상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 크기로 스케일링하여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
자세히는, 종래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창에 먼저 표시한다. 표시되는 파일 리스트 중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가 선택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창에 맞게 이미지 데이터를 리사이징(resizing)하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창에 전체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를 리사이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 크기에 비례한다. 즉,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 크기가 클수록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지연되며, 휴대용 단말기는 지연되는 시간동안 모래시계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중임을 알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화면 처리를 위하여 지연되는 시간동안 모래시계와 같은 이미지만을 보면서 선택된 이미지가 표시되기까지 기다리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표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 모래시계와 같은 이미지를 대신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원본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상기 생성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의 표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요청되면,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 중 기준 사이즈보다 큰 원본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되는 동안 상기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처리하며,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의 신호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신호처리된 특정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의 편집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썸네일 이미지에 대해서도 상기 요청된 편집이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썸네일 표시 방법은,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가 표시가능하도록 신호처리되는 동안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어 저장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신호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 중 기준 사이즈보다 큰 원본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의 신호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신호처리된 특정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의 편집이 요청되는 단계; 및 상기 편집이 요청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썸네일 이미지에 대해서도 상기 요청된 편집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조작부(110), 표시부(115), 카메라부(120), 신호처리부(130), 메인 저장부(140), 리스트 생성부(150), 통신부(160), 마이크(170), 스피커(175), ROM(180), RAM(185)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사용자 조작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요청하며, 다수의 숫자키, 방향키, 기능키 등을 갖는다. 특히, 사용자 조작부(110)는 메인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의 표시를 요청한다.
표시부(115)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카메라부(120)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 저장된 이미지, 원본 이미지에 대한 파일 리스트 등을 표시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에 의해 구현된다.
카메라부(120)는 전하결합소자(Charged Coupled Device : CCD)(미도시)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에 대한 광신호를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카메라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촬영모드에 따라 적응적으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다. 이하에서는 정지영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카메라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정지영상은 원본 이미지로서 메인 저장부(140)에 저장되거나 표시부(115)에 표시된다.
신호 처리부(130)는 카메라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원본 이미지에 대해 노이즈 제거, 색보정, AWB(Auto White Balance)와 같은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된 원본 이미지는 표시부(115)에 표시되며, 사용자 조작부(110)로부터 저장 요청이 수신되면 JPG, GIF, PNG, WBMP, SVB 등의 확장자를 갖는 파일 형태로 압축된 후 메인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는 후술할 리스트 생성부(150)가 최초로 도 2a의 (a) 또는 (b)와 같은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안, 구비된 인코더(미도시)를 이용하여 각 원본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JPEG(Joint Picture Expert Group) 방식의 파일로 생성한다.
여기서, 원본 이미지는 디코딩이 가능하고 리사이징(resizing)되지 않은 파일이며, 썸네일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의 복사된 파일 형태를 가지나, 원본 이미지 보다 작은 파일 크기를 가지는 이미지로서 표시부(115)에 표시될 때 리사이징과정을 거치지 않고 풀화면으로 표시되며, 원본 이미지와 1:1로 매핑되는 파일명을 갖는다. 일 예로, 원본 이미지가 (1600×1200) 해상도의 16bit bmp 파일 특성을 가지는 경우, 신호 처리부(130)는 (176×220) 해상도의 16bit jpg 파일 특성을 가지는 축소된 파일 크기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썸네일 이미지는 모든 원본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기준 크기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만 생성되도록 설계가능하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는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통신부(160)로 제공하며, 통신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스피커(175)로 제공한다.
메인 저장부(140)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카메라부(120)에서 촬상된 다수의 원본 이미지 및 다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한다. 썸네일 이미지는 작은 사이즈를 가지므로 메인 저장부(140)의 전체 가용 메모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 않는다.
리스트 생성부(150)는 사용자 조작부(110)로부터 메인 저장부(14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의 파일 리스트 표시가 요청되면, 도 2a의 (a)와 같이 원본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그리드 뷰(Grid View)형태 또는 도 2b의 (b)와 같이 원본 이미지들의 파일명이 표시되는 파일명 보기 형태의 리스트 화면을 생성한다.
도 2a 및 도 2b의 (a) 또는 (b)와 같은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가 사용자 조작부(110)에 의해 선택되면, 신호 처리부(130)는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메인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 이와 더불어, 신호 처리부(130)는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를 메인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여 압축해제, 디코딩 등의 과정을 통해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
신호처리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는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의 신호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표시부(115)에 표시되며, 특정 원본 이미지의 신호 처리가 완료되면 특정 원본 이미지가 표시부(115)에 표시된다.
도 3은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특정 원본 이미지 또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15)에 표시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와 특정 원본 이미지의 크기는 서로 같다. 이로써, 특정 원본 이미지가 신호처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동안 사용자는 특정 원본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부(115)를 통해 볼 수 있으며, 특정 원본 이미지의 디코딩이 종료되면서 선명한 이미지의 특정 원본 이미지를 표시부(115)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원본 이미지로 대체되는 과정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을 만큼 빠르게 진행된다.
통신부(160)는 셀룰러 폰과 같이 통화가 가능한 외부 단말기(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모듈을 예로 들 수 있다. 통신부(160)는 사용자 조작부(110)로부터 외부 단말기(미도시)의 번호가 입력된 후 통신연결이 요청되면, 외부 단말기(미도시)와의 호(call) 설정을 이루어 통신을 수행한다.
마이크(170)는 외부 단말기(미도시)와 통화시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부(130)로 출력하며, 스피커(175)는 신호 처리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ROM(180)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술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펌웨어 등이 저장된다.
RAM(185)은 제어부(190)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이 ROM(180)으로부터 로딩되어 저장되거나, 제어부(19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19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기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하며, 상술한 각 블록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사용자 조작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사용자 조작부(110)로부터 파일 리스트 표시가 최초로 요청되는 경우, 리스트 생성부(150)가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안 메인 저장부(14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각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하며,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메인 저장부(140)에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어 저장하도록 메인 저장부(1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 중 기준 사이즈보다 큰 원본 이미지들만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사항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독출하여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한 후 표시하도록 신호 처리부(130) 및 표시부(11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표시된 파일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가 표시부(115)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되는 동안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신호처리하여 표시부(115)에 표시하도록 신호 처리부(130) 및 표시부(115)를 제어하며, 특정 원본 이미지의 신호처리가 완료되면 신호처리된 특정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표시된 파일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의 편집이 요청되면,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에 대해서도 요청된 편집이 적용되도록 처리한다. 편집의 예로는 파일의 이름이 변경되거나 삭제요청을 들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썸네일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의 표시가 사용자 조작부(110)로부터 최초로 요청되면(S410), 제어부(190)는 메인 저장부(14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리스트 생성부(150) 및 표시부(115)를 제어한다(S420).
S420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제어부(190)는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저장하도록 신호 처리부(130) 및 메인 저장부(140)를 제어한다(S430). S43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기준 사이즈보다 큰 원본 이미지들만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신호 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S410단계에서 생성된 리스트가 표시된 후, 표시된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의 표시가 사용자 조작부(110)로부터 요청되면(S440), 제어부(190)는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가 표시가능하도록 신호처리되는 동안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어 저장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신호 처리부(130) 및 표시부(115)를 제어한다(S450).
특정 원본 이미지의 신호처리가 완료되면(S460), 제어부(190)는 신호처리된 특정 원본 이미지를 S450단계에서 표시 중인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15)를 제어한다(S470).
또한, 사용자 조작부(110)로부터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하여 편집이 요청되면(S480), 제어부(190)는 편집이 요청된 특정 원본 이미지 뿐만 아니라,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에 대해서도 요청된 편집이 적용되도록 처리한다(S490). 예를 들어,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하여 삭제처리가 요청되면, 제어부(190)는 특정 원본 이미지와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도 삭제처리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모든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새로운 이미지 파일이 만들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이미지 파일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하여 저장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0)는 새로운 확장자를 가지는 이 미지 파일에 대해서도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preview하는 경우,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이미지를 다운받아 표시하는 경우 등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든 경우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표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동안 모래시계와 같은 이미지를 대신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신속히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특정 이미지의 표시를 요청하는 순간 오랜 기다림의 시간없이 선택한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처음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서 특정 원본 이미지로 대체되는 상황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식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이미지를 확인하는데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배경음악이 재생되는 중 파일의 크기가 큰 원본 이미지의 표시가 요청되는 경우, 원본 이미지에 해당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배경음악이 끊어지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이미지 파일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썸네일 이미지는 한번 생성되어 저장되면 추가적으로 생성하지 않고 표시가능하므로 프로그램 구동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의 원본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상기 생성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신호처리되는 동안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처리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의 신호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신호처리된 특정 원본 이미지를 상기 표시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의 표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요청되면,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 중 기준 사이즈보다 큰 원본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의 편집이 요청되면,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썸네일 이미지에 대해서도 상기 요청된 편집이 적용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6.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 특정 원본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가 표시가능하도록 신호처리되는 동안 상기 선택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어 저장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신호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의 신호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신호처리된 특정 원본 이미지를 상기 표시된 특정 썸네일 이미지를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썸네일 표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원본 이미지 중 기준 사이즈보다 큰 원본 이미지들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썸네일 표시 방법.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원본 이미지의 편집이 요청되는 단계; 및
    상기 편집이 요청된 특정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썸네일 이미지에 대해서도 상기 요청된 편집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썸네일 표시 방법.
KR1020060076816A 2006-08-14 2006-08-14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방법 KR10127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16A KR101276875B1 (ko) 2006-08-14 2006-08-14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16A KR101276875B1 (ko) 2006-08-14 2006-08-14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290A KR20080015290A (ko) 2008-02-19
KR101276875B1 true KR101276875B1 (ko) 2013-06-19

Family

ID=3938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816A KR101276875B1 (ko) 2006-08-14 2006-08-14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8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804A (ja) * 2003-01-29 2004-08-19 Sharp Corp 携帯端末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804A (ja) * 2003-01-29 2004-08-19 Sharp Corp 携帯端末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290A (ko) 200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8455B2 (ja) ディジタル画像共有化向けディジタルカメラ
US75084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5269180A (ja) 動画撮影装置、動画一覧表示方法、および、動画一覧表示プログラム
JP493236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76875B1 (ko) 썸네일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썸네일 표시방법
US2005000266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KR101149090B1 (ko) 개인적 촬영 조건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2005167641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画像セキュリティ設定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1255205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애니메이션 지아이에프 파일 생성 방법
KR1005956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KR100591812B1 (ko) 정지 영상 압축 및 변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403542B2 (ja) 携帯端末、ディレクトリ管理方法およびディレクトリ管理プログラム
JP2005327206A (ja) 携帯端末及びデータ記録方法
KR20050112998A (ko) 연속 촬영 영상의 선택 저장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55054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 저장시간단축 방법
JP200119734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362619B2 (ja) 動画撮影装置、動画記録方法および動画記録プログラム
US20070053007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2101327A (ja)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並びに通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20050005102A (ko) 영상데이터 프리뷰 자동 제어 방법
KR2004002545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 사진 촬영 방법
KR100620689B1 (ko) 고속으로 연속 촬영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0177743A (ja) 画像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263351A (ja) 画像送信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5295114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