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438B1 -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438B1
KR101276438B1 KR1020060102945A KR20060102945A KR101276438B1 KR 101276438 B1 KR101276438 B1 KR 101276438B1 KR 1020060102945 A KR1020060102945 A KR 1020060102945A KR 20060102945 A KR20060102945 A KR 20060102945A KR 101276438 B1 KR101276438 B1 KR 10127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mop
support member
steam
attach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400A (ko
Inventor
양병선
권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438B1/ko
Priority to AU2007309899A priority patent/AU2007309899B8/en
Priority to PCT/KR2007/005212 priority patent/WO2008050999A1/en
Priority to RU2009119521/12A priority patent/RU2414165C2/ru
Priority to EP07833521.3A priority patent/EP2120668B1/en
Publication of KR2008003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재와 커버부재 및 벨크로부재로 구성되는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인서트(insert) 사출에 의한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은, 걸레(190)가 밀착되어 부착되는 벨크로부재(242)와, 상기 벨크로부재(24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6)와, 상기 벨크로부재(242)를 감싸는 커버부재(244)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부재(242)는 상기 지지부재(246)의 일면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25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의 성형방법은, 벨크로부재(242)를 지지부재(246)에 부착하는 부착단계(S300)와;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인서트단계(S310)와; 벨크로부재(242) 주위에 수지가 충진되도록 하는 사출단계(S320)와; 수지를 고화시켜 커버부재(244)를 형성하는 고화단계(S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벨크로부재의 고정이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청소기, 벨크로, 성형, 노즐, 걸레

Description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그 성형방법 {Attachment means for rag of vacuum clean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되는 노즐의 외관사시도.
도 3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되는 노즐의 부분 절개사시도.
도 4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되는 노즐의 분해사시도.
도 5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되는 노즐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되는 노즐의 정단면도.
도 7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되는 노즐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되는 걸레판과 걸레의 조립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되는 걸레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성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과정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성형방법이 수행되는 상태를 보인 각 과정에서의 성형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본체 60. 연장관
70. 연결호스 80. 동작핸들
100. 노즐 110. 베이스팬
112. 흡입구 114. 이동바퀴
116. 연결관 118. 완충부재
120. 스팀발생장치 130. 스팀케이스
132. 스팀베이스 134. 스팀커버
136. 스팀발생부 138. 물저장부
140. 히터 142. 히터지지대
144. 스팀가이드 146. 흡수필터
150. 물투입구 152. 투입구밸브
160. 흡입유로관 170. 판수용부
172. 스팀안내부재 174. 스팀분출공
180. 걸레판 182. 노출구
184. 부재관통구 186. 탈거레버
190. 걸레 200. 외부케이스
210. 중앙커버 212. 디스플레이부
220. 하부커버 222. 안착부
224. 안착면 230. 상부커버
240. 부착수단 242. 벨크로부재
244. 커버부재 246. 지지부재
250. 가이드수단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재와 커버부재 및 벨크로부재로 구성되는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인서트(insert) 사출에 의한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흡인력을 이용한 진공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팀청소기 등 다양한 종류가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스팀청소기에는 걸레가 부착되어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걸레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레버를 구비하여 걸레의 양단을 고정하거나, 벨크로(velcro)를 이용하여 걸레를 고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걸레를 별도의 레버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일일이 끼우거나 교체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레를 벨크로(velcro)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벨크로(velcro)를 지지판에 부착만 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고열에 의해 벨크로(velcro)가 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재와 커버부재에 의해 벨크로부재가 고정되는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에 의해 벨크로부재가 고정되는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의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은, 걸레가 밀착되어 부착되는 벨크로부재와, 상기 벨크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벨크로부재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벨크로부재와 지지부재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벨크로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의 성형방법은, 벨크로부재를 지지부재에 부착하는 부착단계와; 상기 부착단계에 의해 서로 고정된 상기 벨크로부재와 지지부재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인서트단계와;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부로 사출하여, 상기 벨크로부재 주위에 수지가 충진되도록 하는 사출단계와; 상기 사출단계에 의해 금형 내부에 충진된 수지를 고화시켜 커버부재를 형성하는 고화단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벨크로부재의 고정이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은, 청소기의 명칭을 불문하고,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청소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스팀에 의한 청소 및 진공에 의한 이물 흡수가 동시에 가능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걸레 부착수단이 채용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50)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과 연결되어 공기와 이물을 안내하는 신축성 재질의 연결호스(70)와,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노즐(10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노즐(100)과 본체(50)는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노즐(100)과 본체(50) 사이에는 상기 연장관(60)과 연결호스(70) 등이 구비되어 공기와 이물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연장관(60)의 일단(선단)은 상기 노즐(100)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50)의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호스(70)의 일단(후단)이 결합된다.
상기 연장관(60)의 다른 일단(후단)에는 동작핸들(80)이 구비된다. 상기 동작핸들(80)은 사용자가 청소작업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동작핸들(8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8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82)를 조작하여 청소기의 동작 여부와 청소기의 강약 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팀발생장치(12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5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공기 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52) 등의 다수 부품이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흡인력이 발생하면, 상기 노즐(100)을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어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 등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50)로 유입되며, 상기 본체(50)로 유입된 이물은 상기 집진유니트(52) 내부에 구비된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러져 집진유니트(52) 내부에 쌓이게 된다.
도 2 내지 도 8에는 상기 노즐(1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와 도 3에는 상기 노즐(100)의 외관사시도 및 부분 절개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노즐(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과 도 6에는 노즐(100)의 측단면 및 정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와 도 8에는 노즐(100)의 저면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노즐(100)은 바닥면의 이물이 공기와 함께 상기 본체(50)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110)과,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2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은 사각형상을 가지며, 선단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상기 베이스팬(110) 하측의 공기와 이물이 베이스팬(11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후단에는 이동바퀴(114)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114)는 상기 노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로 한 쌍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10)의 선단 좌우에는 한 쌍의 보조바퀴(114')가 설치되어 노즐(100)의 이동을 돕는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중앙부 후단에는 연결관(116)이 후방으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116)은 상기 연장관(60)과 상기 노즐(100)이 결합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16)의 선단은 상기 노즐(100)의 후단과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연장관(60)의 선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16)은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노즐(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을 상기 연장관(60)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10) 테두리에는 완충부재(118)가 부착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팬(110)의 전면과 좌우 측면에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 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118)가 부착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18)는 상기 노즐(100)이 벽면 등과 같은 외부 물체와 충돌할 경우에 노즐(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노즐(100)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케이스(130)에 의해 대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케이스(130)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팀베이스(132)와, 상기 스팀베이스(132)의 상측에 결합되는 스팀커버(13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의 공간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형성하는 스팀발생부(136)와, 상기 스팀발생부(136)로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부(138)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의 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상대적으로 좌측에는 스팀발생부(136)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물저장부(138)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팀발생부(136)는 상기 노즐(100)의 좌측단 부근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부(138)는 상기 노즐(1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스팀발생부(136)와 물저장부(138)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부(136)는 전후 길이가 상기 물저장부(138)의 길이보다 크며, 좌우 길이는 상기 물저장부(138)의 길이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 생부(136)의 높이는 상기 물저장부(138)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에는 수증기(水蒸氣)가 형성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140)도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팀발생부(136)에는 히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1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물을 증기로 변환시킨다. 상기 히터(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후단부에는 히터지지대(142)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지지대(142)는 상기 스팀베이스(13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히터(140)의 양단을 고정 지지한다.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중앙 부근에는 스팀가이드(144)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가이드(144)는 상기 스팀베이스(132)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중공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수증기(水蒸氣)가 이동된다. 즉, 상기 스팀발생부(136)에서 형성된 수증기(水蒸氣)가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상기 스팀베이스(132)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바닥에는 흡수필터(146)가 구비된다. 상기 흡수필터(146)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바닥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터(140)의 하측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수필터(146)의 하면은 상기 스팀베이스(132)에 접 하고, 상면은 상기 히터(140)에 접한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필터(146)는 물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수필터(146)는 마치 스펀지(sponge)와 같이 물기를 머금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140)와 접한 상태에서도 연소되지 않는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석면(石綿)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팀발생부(136)는 물론 상기 물저장부(138)의 물이 상기 흡수필터(146) 내부로 흡수된다. 즉, 상기 물저장부(138)의 물도 상기 스팀발생부(136)로 이동하여 흡수필터(146)에 스며든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필터(146)에 흡수된 수분은 상기 히터(140)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함으로써 수증기(水蒸氣)로 변환된다.
상기 스팀커버(134)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커버(134)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상측을 덮는 스팀부커버(134')와, 상기 물저장부(138)의 상측을 덮는 저장부커버(134")로 나누어지는데, 좌측의 상기 스팀부커버(134')와 우측의 저장부커버(134")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스팀부커버(134')의 높이가 저장부커버(134")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상기 스팀커버(134)에는 물투입구(1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팀커버(134)의 우측단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투입구(1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물투입구(150)는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투입구(150)의 내측에는 나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투입구(150)는 투입구밸브(15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나사면이 형성된 원형의 투입구밸브(152)가 상기 물 투입구(150)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물투입구(150)가 차폐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물저장부(138) 상측에는 흡입유로관(1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팀커버(134)의 저장부커버(134") 상측에는 흡입유로관(16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흡입유로관(16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상기 노즐(100)의 후방으로 안내한다.
상기 흡입유로관(160)은 상기 노즐(100)의 중앙부를 전후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 흡입구(112)와 결합된다. 즉, 상기 흡입유로관(160)의 선단은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흡입구(112)의 상단과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부에는 사각형상의 판수용부(170)가 상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아래에서 설명한 걸레판(180)이 수용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판수용부(170)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레판(180)이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판수용부(170) 전체가 금속재질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만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수용부(17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지 않고 판수용부(170) 상측에 별도의 금속재질이 내장되거나 판수용부(170) 저면에 별도의 금속재질이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판수용부(170)의 중앙부에는 스팀안내부재(172)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측으로 이동한 수증기(水蒸氣)가 좌우로 분산되어 퍼지도록 안내한다.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하면에는 다수의 스팀분출공(17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에 의해 안내되는 수증기(水蒸氣)가 상기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사각평판 형상의 걸레판(180)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걸레판(180)은 걸레(19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판으로, 저면에는 다수의 노출구(182)가 관통 형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판(180) 저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는 각각 3개씩 총 6개의 노출구(182)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출구(182)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부착수단(240)의 벨크로부재(242)가 하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걸레판(180)은 상기 노즐(100)의 저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판(180)의 내부에는 좌우로 길게 영구자석이 설치된다.
이러한 영구자석은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판수용부(170)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판수용부(17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레판(180)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므로, 상기 걸레판(180)을 상기 판수용부(170) 근처로 가져가면 상기 걸레판(180)이 자력(磁力)에 의해 저절로 상기 판수용부(170)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걸레판(180)의 중앙부에는 부재관통구(184)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걸레판(180)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좌우길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부재관통구(184)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재관통구(184) 를 통해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저면이 상기 걸레판(180) 하부로 노출된다.
상기 걸레판(180)의 후단에는 탈거레버(186)가 후방으로 일정 크기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탈거레버(186)는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노즐(100)의 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걸레판(180)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된 다음, 다시 후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되어 전체적으로 '「'자 형상(우측방에서 볼 때)으로 성형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기 노즐(100)의 전후는 물론 좌우와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110)과 결합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우측단 부근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가 안착되는 밸브안착부(202)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안착부(202)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의 하단부가 관통하는 밸브관통공(2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중앙부에는 전후로 가로질러 중앙커버(21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커버(210)에는 디스플레이부(21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전원의 공급 여부와 물부족(물 보충) 여부를 표시한다.
도 9에는 상기 걸레판(180)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판(180)은,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커버(220)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커버(230) 그리고, 상기 걸레(190)를 부착 고정하는 부착수단(2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커버(220)와 상부커버(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을 가 지며 다수의 스크류(screw)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걸레판(180)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부착수단(240)은 상기 하부커버(220)와 상부커버(23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부착수단(240)은 상기 걸레판(180)의 저면에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버(220)의 하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벨크로부재(242)의 일부가 상기 노출구(182)를 통해 상기 하부커버(220)의 하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하부커버(220)의 상면에는 다수의 안착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2)는 상기 다수의 부착수단(24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착부(222)는 상기 부착수단(240)의 수량과 대응되도록 총 6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222)의 테두리는 상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상기 부착수단(240)의 좌우 및 전후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222)의 내주면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부착수단(240)을 지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안착부(222)의 내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노출구(182)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구(182)를 형성하는 상기 안착부(222)의 내주면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단부의 크기가 하단부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즉, 상기 노출구(182)의 상단부 크기는 하단부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이러한 상하의 크기 차이로 인해 중앙 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22)의 중앙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가 지는 안착면(224)이 상기 안착부(22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2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부착수단(240)의 지지부(244a) 테두리가 걸어져 지지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상기 부착수단(240)의 사시도와 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에는 상기 부착수단(240)의 전체 외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상기 부착수단(24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상기 부착수단(24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수단(240)은, 상기 걸레(190)가 밀착되어 부착되는 벨크로부재(242)와, 상기 벨크로부재(242)를 감싸는 커버부재(244) 그리고, 상기 벨크로부재(24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6) 등으로 구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의 벨크로부재(242)가 지지부재(246)의 저면에 부착된 채로 지지되며,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외측에는 커버부재(244)가 구비되어 벨크로부재(242)의 테두리를 감싼다.
상기 벨크로부재(242)는 일명 벨크로(velcro) 또는 '찍찍이'라고도 불리는 매직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190)의 상면에는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대응되는 벨크로(velcro)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벨크로부재(242)에 상기 걸레(190)가 부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벨크로부재(2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는 가이드홈(25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52)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돌기(254)와 더불어 가이드수단(250)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 드홈(252)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돌기(254)와 더불어 상기 벨크로부재(242)가 상기 지지부재(246)의 저면에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부재(244)는, 상기 노출구(182)의 상단부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사각평판의 지지부(244a)와, 상기 노출구(182)의 하단부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고정부(244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44a)의 테두리는 상기 안착면(224)에 얹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244a)는 상기 노출구(182)의 하단부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면(224)에 얹어져 지지된다.
상기 고정부(244b)는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부분으로, 중앙부에는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부(244b')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244)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데, 이러한 사출 성형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246)는 외관이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재(244)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지지부재(246)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홈(248)이 좌우에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46)의 테두리에는 상기 커버부재(244)의 인서트(insert) 사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사출가이드(246')가 외측으로 다수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46)의 저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254)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54)는 상기 가이드홈(252)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252)에 삽입되어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 부재(246)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54)는 상기에서 설명한 가이드홈(252)과 더불어 가이드수단(2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46)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입홀(246")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254)의 중앙부에는 투입홀(246")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투입홀(246")은 상기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44)가 성형되는 경우에 상측의 수지가 상기 투입홀(246")을 통해 하측으로도 유입되어 상기 부착수단(240)의 저면에 중앙고정부(244')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고정부(244')는 상기 커버부재(24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커버부재(244)의 내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중앙 부분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254)의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중앙 부분이 상기 지지부재(246)의 중앙부분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걸레판 및 이러한 걸레판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를 회전시켜 상기 물투입구(150)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물투입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부(138)에 적당량의 물이 수용되면, 다시 상기 투입구밸브(152)를 이용하여 상기 물투입구(150)를 차폐한다.
다음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시키면, 이러한 전원은 상기 본체(50) 및 상기 노즐(100)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조립 체(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00)의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의 이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상기 흡입유로관(160)을 통과하여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를 거쳐 상기 본체(5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5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집진유니트(52) 내부에 구비된 필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러져 집진되고,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장치(120)가 작동한다. 즉 외부의 전원이 상기 히터(140)로 공급되어 히터(140)가 가열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물투입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물저장부(138)에 물이 공급된 상태이며, 상기 흡수필터(146)에는 이러한 물이 충분히 흡수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히터(140)가 가열되면, 이러한 히터(140)와 접하고 있는 상기 흡수필터(146)에 흡수되어 있는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히터(140)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는 물은 상기 스팀케이스(130) 내부에 저장된 전체의 물이 아니라, 상기 흡수필터(146)에 흡수된 상기 히터(140)의 주변에 있는 물이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터(140)의 저면은 상기 흡수필터(146)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히터(140)가 가열되면 상기 히터(140) 주변에 위치한 물, 즉 상기 흡수필터(146)에 함유된 물이 우선적으로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로 전환된다. 따라서, 빠른 시간(실험에 의하면, 약 10~20초 이내)내에 물 이 증발되어 스팀화된다.
상기 히터(140)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水蒸氣)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팀안내부재(17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스팀안내부재(172)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팀안내부재(172) 내부의 수증기(水蒸氣)는 좌우로 분산되어 상기 다수의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수증기(水蒸氣)는 상기 걸레(19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걸레(190)는 고온의 수증기(水蒸氣)를 함유하여 물걸레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면을 닦게 되면,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이 상기 걸레(190)에 의해 쉽게 분리되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를 통해서는 수증기(水蒸氣)의 형성 여부가 표시된다. 즉, 상기 히터(140)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가 형성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 이러한 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는 물부족 여부도 표시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저장부(138) 내부에 설치되는 수위센서의 측정에 의해 물부족이 감지되면, 이러한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를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 표시된 각종 정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걸레판(180)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파트 등과 같이 장판이 깔린 바닥 면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걸레(190)를 상기 걸레판(180) 저면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걸레판(180)을 상기 노즐(100) 저면에 형성된 판수용부(170)에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걸레판(180)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금속재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걸레판(180)을 상기 노즐(100)의 저면 근처로 가져가면, 상기 걸레판(180)이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판수용부(170)에 끌려가 장착된다.
다음으로 카펫 등이 깔리 바닥면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레판(180)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청소작업을 한다. 즉, 이때에는 상기 걸레(190)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걸레(190)가 청소작업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때에는 사용자는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노즐(100)의 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발가락이나 손 등을 이용하여 상기 걸레판(180)의 탈거레버(186)를 하측으로 민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판수용부(170)로부터 분리되어 탈거된다. 즉, 상기 걸레판(180)은 상기 노즐(100)의 저면에 자력(磁力)에 의해 장착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자력(磁力)보다 큰 힘을 가하면 상기 걸레판(180)이 저절로 상기 노즐(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부착수단(240)이 성형방법에 대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부착수단(240)의 성형방법은, 도 1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크로부재(242)를 지지부재(246)에 부착하는 부착단계(S300)와; 상기 부착단 계(S300)에 의해 서로 고정된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인서트단계(S310)와;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부로 사출하여, 상기 벨크로부재(242) 주위에 수지가 충진되도록 하는 사출단계(S320)와; 상기 사출단계(S320)에 의해 금형 내부에 충진된 수지를 고화시켜 커버부재(244)를 형성하는 고화단계(S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단계(S300)는 도 14의 (a)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46)의 상면(도 11에서는 저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이면을 부착하는 과정이다. 이때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50)이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부착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246)의 가이드돌기(254)가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가이드홈(252)에 삽입되도록 맞추면 상기 벨크로부재(242)는 자연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인서트단계(S310)는,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는 삽입과정(S312)과,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테두리가 하측으로 벤딩되도록 눌러 고정하는 고정과정(S314)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삽입과정(S312)은 도 14의 (a)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46)의 상면에 벨크로부재(242)가 부착된 상태로 금형 내부로 지지부재(246) 및 벨크로부재(242)를 삽입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크로부재(242)가 수평으로 펼쳐져 있으므로, 인서트(insert)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테두리를 하측으로 눌러야 한다. 즉, 도 14의 (b)와 같이, 상측 금형(도시되지 않 음)이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테두리 전후좌우를 하측(화살표 '↓' 참조)으로 눌러, 벨크로부재(242)의 테두리가 하측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 과정이 상기 고정과정(S314)이 된다.
상기 사출단계(S320)는 상기 커버부재(244)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때에는 상기 지지부재(246)에 상기 벨크로부재(242)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46)의 주위를 용용된 수지가 감싸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투입홀(246")을 통해 하측(도 14에서)의 수지가 상측으로도 이송되어 상기 중앙고정부(244')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투입홀(246")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246)의 상측으로 이송된 수지는 상기 가이드돌기(254)의 외부를 감싸게 되어 상기 중앙고정부(244')를 형성하며,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54) 주변의 벨크로부재(242)는 자연적으로 수지와 함께 용융되어 상기 지지부재(24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사출단계(S320)에 의해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부로 투입한 다음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도록 하여 용융된 수지를 고화시킨다. 이렇게 되면, 금형 틀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기 커버부재(244)가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부재(244)는 상기 지지부재(246) 및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착수단(240)은 인서트(insert)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244)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할 때,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44)와 벨크로부재(242) 및 지지부재(246)가 일체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에 의하면, 벨크로부재가 지지부재 및 커버부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같이 단지 벨크로부재를 지지판에 부착하는 구조에 비해 고온에서도 벨크로부재의 분리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벨크로부재와 지지부재에는 양 부품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벨크로부재가 지지부재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므로, 부착이 견고해짐은 물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부착수단 성형방법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부착수단을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벨크로부재를 지지부재나 커버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비용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출성형에 의해 벨크로부재와 지지부재 및 커버부재가 일체를 이루므로, 벨크로부재의 고정이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인서트 사출에 의해 벨크로부재의 테두리가 커버부재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일체를 이루므로, 벨크로부재의 탈거는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걸레(190)가 밀착되어 부착되는 벨크로부재(242)와,
    상기 벨크로부재(24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6)와,
    상기 벨크로부재(242)를 감싸는 커버부재(244)를 포함하고,
    상기 벨크로부재(242)는 상기 지지부재(246)의 일면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25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250)은,
    상기 벨크로부재(242)를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홈(252)과,
    상기 지지부재(246)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25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2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5. 벨크로부재(242)를 지지부재(246)에 부착하는 부착단계(S300)와;
    상기 부착단계(S300)에 의해 서로 고정된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인서트단계(S310)와;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부로 사출하여, 상기 벨크로부재(242) 주위에 수지가 충진되도록 하는 사출단계(S320)와;
    상기 사출단계(S320)에 의해 금형 내부에 충진된 수지를 고화시켜 커버부재(244)를 형성하는 고화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성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단계(S310)는,
    상기 벨크로부재(242)와 지지부재(246)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는 삽입과정(S312)과,
    상기 벨크로부재(242)의 테두리가 하측으로 벤딩되도록 눌러 고정하는 고정과정(S3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성형방법.
KR1020060102945A 2006-10-23 2006-10-23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그 성형방법 KR10127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45A KR101276438B1 (ko) 2006-10-23 2006-10-23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그 성형방법
AU2007309899A AU2007309899B8 (en) 2006-10-23 2007-10-23 Attachment apparatus for rag of vacuum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07/005212 WO2008050999A1 (en) 2006-10-23 2007-10-23 Attachment appratus for rag of vacuum cla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U2009119521/12A RU2414165C2 (ru) 2006-10-23 2007-10-23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лфетки пылесос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07833521.3A EP2120668B1 (en) 2006-10-23 2007-10-23 A rag plate having an attachment apparatus for a r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45A KR101276438B1 (ko) 2006-10-23 2006-10-23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그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400A KR20080036400A (ko) 2008-04-28
KR101276438B1 true KR101276438B1 (ko) 2013-06-19

Family

ID=3932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945A KR101276438B1 (ko) 2006-10-23 2006-10-23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20668B1 (ko)
KR (1) KR101276438B1 (ko)
AU (1) AU2007309899B8 (ko)
RU (1) RU2414165C2 (ko)
WO (1) WO2008050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09B1 (ko) * 2007-02-08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0920860B1 (ko) * 2008-09-22 2009-10-09 안정섭 벨크로파스너의 부착방법 및 그 구조
CN104490347A (zh) * 2014-12-23 2015-04-08 中山市新活力智能家居电器有限公司 一种地面清洁器
KR102589361B1 (ko) * 2018-07-12 2023-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474A (ko) * 1999-06-04 2001-01-05 배길성 진공청소기의 걸레청소용 브러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1095A (en) * 1980-10-31 1982-03-23 Argo Dorothy P Scrubb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vibrating terry cloth
JP4485726B2 (ja) * 1999-08-25 2010-06-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回転可能かつ枢転可能なクリーニング部を具えた表面クリーニング装置
US6792648B2 (en) * 2000-03-28 2004-09-21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Floor cloth for use in vacuum cleaner and apparatus of vacuum cleaner for rotatably driving the floor cloth
KR100480918B1 (ko) * 2003-06-27 2005-04-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50012047A (ko) * 2003-07-24 2005-01-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회전 물걸레 청소유닛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KR100746080B1 (ko) * 2005-12-06 2007-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474A (ko) * 1999-06-04 2001-01-05 배길성 진공청소기의 걸레청소용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0668A1 (en) 2009-11-25
AU2007309899A1 (en) 2008-05-02
AU2007309899B2 (en) 2010-04-22
RU2009119521A (ru) 2010-11-27
RU2414165C2 (ru) 2011-03-20
EP2120668B1 (en) 2013-09-18
EP2120668A4 (en) 2011-05-04
WO2008050999A1 (en) 2008-05-02
AU2007309899B8 (en) 2010-05-06
KR20080036400A (ko) 200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75013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tray
EP3162262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864010B2 (ja) 掃除機据置台
US6467122B2 (en) Deep cleaner with tool mount
KR101276438B1 (ko) 청소기의 걸레 부착수단 및 그 성형방법
KR20070077007A (ko) 청소기의 걸레판
KR101248679B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RU2007118377A (ru) Пылесос
JP2015093270A (ja) 車両用灰皿洗浄装置
KR101199659B1 (ko) 청소기의 노즐
US20050050671A1 (en) Extraction cleaner exhaust ducting
KR101222723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0410157Y1 (ko) 스팀겸용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KR100821727B1 (ko) 청소기의 청소노즐
KR20070058802A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10125335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101269274B1 (ko) 청소기의 노즐
KR20070060674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100734569B1 (ko) 완충부재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KR101250081B1 (ko) 청소기의 노즐
KR100734568B1 (ko) 스팀청소기의 물탱크 및 이를 이용한 스팀청소기
KR101282470B1 (ko)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0833359B1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20070058801A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20070076727A (ko) 진공청소기의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