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357B1 - 통증 위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통증 위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357B1
KR101276357B1 KR1020110099595A KR20110099595A KR101276357B1 KR 101276357 B1 KR101276357 B1 KR 101276357B1 KR 1020110099595 A KR1020110099595 A KR 1020110099595A KR 20110099595 A KR20110099595 A KR 20110099595A KR 101276357 B1 KR101276357 B1 KR 101276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patient
display unit
body portion
ca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358A (ko
Inventor
박준상
Original Assignee
박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상 filed Critical 박준상
Priority to KR1020110099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3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Abstract

본 발명은 통증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통증 위치를 원활하게 표시한 후, 주사를 놓을 수 있는 위치도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는, 하부에 통점확인면(110)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표시하는 주사위치표시부(200),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하는 통증표시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 외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위치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하는 통증부위표시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증 위치 표시장치{APPARATUS FOR EXPRESSION LOCATION OF PAIN}
본 발명은 통증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통증 위치를 원활하게 표시한 후, 주사를 놓을 수 있는 위치도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육통이란 근육에 생기는 통증을 의미하며, 다양한 질병이나 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하나의 증상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해당 근육의 과도한 사용이다.
하지만 감염성 질환을 비롯한 수없이 많은 질환이나 장애에서도 근육통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함께 발생하는 다른 증상이나 증후들을 참고하여 원인을 밝혀야 한다.
이러한 근육통은, 근육통 자체를 치료하기보다는 근육통을 유발하는 원인들을 제거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과사용에 의한 근육통에는 해당 근육의 휴식이 필요할 것이고 감염성 질환이 원인인 경우 해당 감염을 치료해야 하며 약물 사용이 원인인 경우 해당 약물을 끊어야 한다.
근육통의 치료를 위해서 주사를 맞는 경우에는, 근육통이 완화 되도록 하기 위해서 근육통이 발생 된 부위에 주사를 맞게 된다.
이렇게 근육통의 치료를 위해 맞는 주사는 TPI(trigger point injection)라고해서, 근막통증증후군(MPS)이 있을 때 근육을 풀어주는 주사이다.
또한, 근육통 이외에 알레르기 검사나 척수와 관련되어 주사기를 환자의 정확한 신체 부에 놓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신체에 주사기를 놓기에 앞서 의사가 환자의 통증 부위 및 주사기 투여 위치를 선정하게 되는데, 의사가 주사위치를 파악한 후 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서 손톱으로 위치표시를 하거나 볼펜 등으로 위치표시를 하였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환자의 통증 부위를 표시할 경우, 정확한 통증 부위의 주사기 투여 위치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환자의 통증부위가 확보하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의 통증의 정도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2001-95457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는, 환자의 통증 부위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도 정확하게 확인한 후, 주사기를 투여할 수 있도록 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는,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통증 정도를 표시하고, 주사기를 투여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는, 하부에 통점확인면(110)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표시하는 주사위치표시부(200),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하는 통증표시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 외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위치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하는 통증부위표시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사위치포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는 봉 형태의 제1각인체(210), 상기 제1각인체(210) 하부에 구비되는 제1각인면(220), 상기 제1각인체(210)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제1누름공(230), 상기 누름공(230) 하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각인체(210)가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스프링(240) 및 상기 제1각인체(210) 테두리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240)의 상부에서 상기 제1스프링(240)을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제1가압판(250) 및 상기 제1각인체(210) 외면을 감싸면서도 이격 되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스프링(24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판(2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각인면(220)은, '十' 형상을 갖는다.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는 원통 형태의 제2각인체(310), 상기 제2각인체(310)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각인면(320), 상기 제2각인체(310)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2누름공(330), 상기 제2누름공(330)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스프링(340) 및 상기 제2스프링(34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형성되는 제2지지판(360)을 포함한다.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는, 상기 몸체부(100)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연결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게 배치되는 원통 형태의 제3각인체(410), 상기 제3각인체(410) 하부에 구비되는 제3각인면(420), 상기 제3각인체(410) 상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3누름공(430), 상기 제3누름공(430)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3스프링(440) 및 상기 제3스프링(44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제3지지판(460)을 포함한다.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와 상기 통증표시부(300) 및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 내부에는, 잉크(50)와, 상기 잉크(50)를 흡수하는 흡수지(70)가 내장된다.
하부에 통점확인면(110)이 원통형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표시하는 주사위치표시부(200),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면서, 반원 기둥 형태로 상호 대항 되게 배치되어, 상호 별개로 작동되되 각각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하는 통증표시부(300a, 300b) 및 상기 몸체부(100) 하부에 인접되게 연결되어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위치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하는 통증부위표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각각 유동 되는 반원 기둥 형태의 각인체(310a, 310b), 상기 각인체(310a, 310b) 하부에 구비되는 각인면(320a, 320b), 상기 각인체(310a, 310b)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누름공(330a, 330b), 상기 누름공(330a, 330b)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340a, 340b) 및 상기 스프링(340a, 340b)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형성되는 지지판(360a, 360b)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는, 환자의 통증 부위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표시하고, 그에 따라 주사기를 투여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한 후, 정확하게 환자의 통증 위치에 주사기를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통증부위 치료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는,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통증 정도를 표시하면서도, 그 표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요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다른 요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또 다른 요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를 통해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실시 예를 통해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환자의 통증 위치를 원활하게 표시한 후, 주사를 놓을 수 있는 위치도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는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통증 위치 표시장치 [ 특히, 주사위치표시부, 통증표시부, 통증부위표시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환자의 근육통의 치료를 위해서 주사를 맞는 경우에는, 근육통이 완화 되도록 하기 위해서 근육통이 발생 된 부위에 주사를 맞게 된다.
이렇게 근육통의 치료를 위해 맞는 주사는 TPI(trigger point injection)라고해서, 근막통증증후군(MPS)이 있을 때 근육을 풀어주는 주사이다.
또한, 근육통 이외에 알레르기 검사나 척수와 관련되어 주사기를 환자의 정확한 신체 부에 놓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일 예로, 근육통이 있는 환자의 통증 부위에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치료를 하는 의사가 환자의 통증부위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하부에 통점확인면(110)이 구비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부(100)를 의사가 손으로 파지한 채로,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통점확인면(110)을 환자의 신체에 밀착과 분리를 반복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를 확인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의사가 상기 몸체부(100)를 파지한 채로 환자의 통증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부(100)를 수직방향으로 세운 채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가 되는 상기 통점확인면(110)이 환자의 신체에 밀착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상기 통점확인면(110)은, 연질의 합성수지와 실리콘 또는 고무 재가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의사가 상기 몸체부(100)를 파지한 채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가압하게 되면, 환자는 통증을 느끼는 것을 의사에게 말하게 되고 의사는 이를 참고하여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의사가 인지하게 되면, 통증 부위에 주사기를 통해 주사약을 투여하기 위한 표시를 하게 된다.
이렇게 환자의 통증부위에 상기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주사위치표시부(200)이다.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상기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도장과 같이 잉크로 찍어 표시하게 된다.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주사기표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는 봉 형태의 제1각인체(210)와, 상기 제1각인체(210) 하부에 구비되는 제1각인면(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각인체(210) 내부에는, 다양한 색상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잉크(50)와, 상기 잉크(50)를 흡수하는 흡수지(70)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각인체(210) 내부에 내장된 상기 잉크(50)는 상기 제1각인체(210) 내부에 내장된 상기 흡수지(70)에 스며든 후 소량이 상기 제1각이면(220)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각인면(220)으로 유동 된 상기 잉크(50)는, 상기 제1각인면(220)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상기 제1각인면(220)으로 유동 된 상기 잉크(50)가 환자의 신체에 찍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각인면(22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제1각인면(220)은, 환자의 통증 부위에 상기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각인면(220)은, 상기 주사기 바늘이 진입되는 부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십(十)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각인면(220)의 형상과 재질은 일 예일 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는, 상기 제1각인체(210)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제1누름공(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공(230) 하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각인체(210)가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스프링(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각인체(210) 테두리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240)의 상부에서 상기 제1스프링(240)을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제1가압판(250)을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제1각인체(210) 외면을 감싸면서도 이격 되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스프링(24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판(260)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의사는 환자의 통증 부위를 인지하게 되면 그 위치에서, 상기 제1누름공(230)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1각인면(220)을 포함하는 상기 제1각인체(210)가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상기 제1각인체(210)가 노출되면 상기 제1각인체(210) 하부에 연결형성된 상기 제1각인면(220)이 환자의 통증부위에 밀착되어 환자의 통증부위에는 상기 잉크(50)가 찍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신체에 상기 잉크(50)가 찍힌 부분은 상기 주사기의 바늘이 진입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주사약 투여 위치의 표시부분이다.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의사가 인지하게 되면, 통증 부위에 주사기를 통해 주사약을 투여하기 위한 표시를 함과 동시에 환자의 통증부위 표시를 하게 된다.
이렇게 환자의 통증부위의 위치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하는 것이 통증부위표시부(400)이다.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는, 외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를 도장과 같이 잉크로 찍어 표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의 표시 색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몸체부(100)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연결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게 배치되는 원통 형태의 제3각인체(410)와, 상기 제3각인체(410) 하부에 구비되는 제3각인면(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3각인체(410) 내부에 내장된 상기 잉크(50)는 마찬가지로 상기 제3각인체(410) 내부에 내장된 상기 흡수지(70)에 스며든 후 소량이 상기 제3각이면(420)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3각인체(41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통점확인면(110)이 구비되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 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제3각인체(410)의 하부인 상기 제3각인면(420)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된 상기 통점확인면(110)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 상기 제3각인면(420)이 환자의 통증 부위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 제3각인면(420)이 상기 통점확인면(110)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3각인면(420)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게 되면, 상기 제3각인면(420)으로 유동 된 상기 잉크(50)가 환자의 통증 부위에 찍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각인면(42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제3각인면(420)은, 환자의 통증 부위에 도장과 같이 색상을 찍음으로써 환자의 통증 부위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각인면(420)은,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제3각인체(410)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되는 문양은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3각인면(420)의 형상과 재질은 일 예일 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는, 상기 제3각인체(410) 상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3누름공(430)과, 상기 제3누름공(430)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3스프링(4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스프링(44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제3지지판(4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의사는 환자의 통증 부위를 인지하게 되면 그 위치에서, 상기 제3각인체(410)를 파지한 후,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통점확인면(110)이 형성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제3각인체(410)이 유동 되면서 상기 제3각인체(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3각인면(420)이 환자의 통증 부위에 밀착되면서 환자의 통증부위에는 상기 잉크(50)가 찍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신체에 상기 잉크(50)가 찍힌 부분은 환자의 통증 위치를 상기 잉크(50) 색상을 통해 나타내는 통증 위치 표시가 된다.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의사가 인지하고, 환자의 통증 부위를 표시를한 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에 따라 추가적인 표시를 할 수 있다.
이렇게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에 따라 추가적인 통증 정도의 표시를 하는 것이 통증표시부(300)이다.
여기서,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의사가 기설정해놓은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표시 또는 미표시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여 환자의 통증 정도를 의사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도장과 같이 잉크로 찍어 표시하게 된다.
상기 통증표시부(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는 원통 형태의 제2각인체(310)와, 상기 제2각인체(310)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각인면(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각인체(310) 내부에는, 다양한 색상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잉크(50)와, 상기 잉크(50)를 흡수하는 흡수지(70)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각인체(210) 내부에 내장된 상기 잉크(50)는 상기 제2각인체(310) 내부에 내장된 상기 흡수지(70)에 스며든 후 소량이 상기 제2각이면(320)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각인면(320)으로 유동 된 상기 잉크(50)는, 상기 제2각인면(320)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상기 제2각인면(320)으로 유동 된 상기 잉크(50)가 환자의 신체에 찍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각인면(32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제2각인면(320)은,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각인을 생략할 수도 있고, 각인하여 표시를 할 수 있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각인면(320)이 환자의 신체에 찍히는 문양은 상기 제2각인체(310)의 평 단면인 내부가 빈 원형의 테두리 형태가 된다.
또한,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상기 잉크(50)를 상기 제2각인체(310)에 유입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환자의 통증 부위에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각인면(320)의 형상과 재질은 일 예일 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 제2각인체(310)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2누름공(330)을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제2누름공(330)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스프링(340)과, 상기 제2스프링(34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형성되는 제2지지판(360)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의사는 환자의 통증 부위를 인지한 후,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확인하여, 각인을 생략하거나 상기 제2누름공(330)을 누름으로써, 환자의 신체에 문양을 각인하게 된다.
상기 제2누름공(33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2각인면(320)을 포함하는 상기 제2각인체(310)가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상기 제2각인체(310)가 노출되면 상기 제2각인체(310) 하부에 연결형성된 상기 제2각인면(320)이 환자의 통증부위에 밀착되어 환자의 통증부위에는 상기 잉크(50)가 찍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신체에 상기 잉크(50)가 찍힌 부분은 의사가 기 설정해놓은 환자의 통증 정도를 표시한 부분이다.
상기 통증표시부(30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요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통증부위표시부(4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을 병행참조하여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외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를 도장과 같이 잉크로 찍어 표시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의 구성에 대한 내용은 중복설명이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의사가 상기 몸체부(100)의 외면을 한 손으로 파지한 채로, 환자의 신체의 일부에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통점확인면(110)을 밀착시켜 가압함으로써,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통점확인면(110)이 밀착된 위치에서 환자가 통증을 느낀다고 하면, 그 위치에서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제3각인체(410)를 파지한 후 상기 제3각인체(410)를 상기 통점확인면(110)이 위치된 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상기 제3각인체(410) 하부에 구비되는 제3각인면(420)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3각인체(410) 내부에 내장된 상기 잉크(50)가 상기 제3각인면(420)을 통해 유출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각인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각인면(420)을 통해 환자의 통증 부위에 문양이 표시된 후에는, 가압하던 상기 제3각인체(410)를 놓음으로써 상기 제3각인체(410)는 상기 제3스프링(44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환자의 통증 부위에 문양이 표시됨으로써, 차후 환자의 통증 치료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다른 요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을 병행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의사가 인지하게 되면, 통증 부위에 주사기를 통해 주사약을 투여하기 위한 표시를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구성에 대한 내용은 중복설명이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환자의 통증 부위에 주사기를 통해 주사약을 투여하기 위해서는, 의사가 상기 몸체부(100)를 파지한 채로,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가압하게 되면, 환자는 통증을 느끼는 것을 의사에게 말하게 되고 의사는 이를 참고하여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는, 상기 제1각인체(210)가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상기 제1각인면(220)을 통해 상기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도장과 같이 잉크로 찍어 표시하게 된다.
의사가 환자의 통증 부위를 확인하게 되면, 그 확인된 환자의 통증 발생 위치에서, 상기 제1누름공(230)을 하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각인체(210)는, 상기 제1누름공(230)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누름공(230)의 유동에 따라 상기 제1각인체(210)도 동일하게 연동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누름공(230)을 누르면 상기 제1각인체(210)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가압판(250)이 상기 제1가압판(250)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스프링(240)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1각인체(2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1각인면(220)은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면서 환자의 통증부위에 문양을 각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240)은,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형성된 상기 제1지지판(260) 상부에 지지 되고, 상기 제1스프링(240)의 상부에서 상기 제1스프링(240)을 가압하는 상기 제1가압판(250)을 탄성력에 의해 상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1각인면(220)을 통해 환자의 통증 부위에 문양이 표시된 후에는, 가압하던 상기 제1누름공(230)을 놓음으로써 상기 제1각인체(210)는 상기 제1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환자의 통증 부위에 주사기의 주사약을 투여할 수 있는 문양이 표시됨으로써,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며 통증 치료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또 다른 요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통증표시부(3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을 병행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의사가 인지하게 되면, 통증 부위의 통증 정도를 확인하고 그 통증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를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를 통해 환자의 통증부위가 확인된 후, 그 확인된 위치를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로 표시하고,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잉크 색으로 그 통증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환자의 통증이 심하면 상기 통증표시부(300)를 동작하여 환자의 통증 부위에 기 정해진 색상을 각인하게 되고, 환자의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상기 통증표시부(300)의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통증의 정도에 따라, 상기 통증표시부(300)의 잉크 색상을 다르게 하되, 일 예로 파란색, 빨간색, 검은색 등의 다양한 색으로 설정하여 각기 환자의 통증 정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증표시부(30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부(100) 상부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상기 제2누름공(330)을 하 방향으로 눌러 상기 제2누름공(330)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2각인체(310)가 유동 됨으로써, 상기 제2각인체(310)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2각인면(320)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통증 부위에 상기 제2각인면(320)이 밀착되면서 문양을 각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누름공(330) 하부에는, 상기 제2스프링(340)이 가압배치되고, 상기 제2스프링(340)은 상기 몸체부(100) 상부 내면에 고정형성된 상기 제2지지판(360)에 지지 되어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2각인면(320)에 의해 환자의 통증 부위에 문양이 각인되면, 사용자가 상기 제2누름공(330)을 놓음으로써, 상기 제2스프링(340)은, 상기 제2누름공(330)을 상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제2각인체(310)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렇게, 환자의 통증 부위의 통증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의 문양이 표시됨으로써, 원활하게 통증 치료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를 통해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병행참조하여 6을 살펴보면,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와 상기 통증표시부(300) 및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를 통해 환자의 통증부위에 각인되는 문양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양을 각인하는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문양은,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정확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십(十)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증표시부(300)의 문양은, 원 기둥 형태의 상기 제2각인체(310)의 형태에 따라, 원형의 테두리가 각인되는 문양이 나타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의 문양도, 원 기둥 형태의 상기 제3각인체(410)의 형태에 따라, 원형의 테두리가 각인되는 문양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와 상기 통증표시부(300) 및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의 배치에 따라, 각각의 각인되는 문양이 대응되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양은, 상기 제1,2,3각인체(210, 310, 410) 내부에 저장되는 흡수성이 뛰어난 솜 또는 그와 유사한 스폰지와 같은 상기 흡수지(70)로 상기 잉크(50)가 흡수되어, 상기 잉크(50)가 상기 제1,2,3각인면(220, 320, 42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면서 나타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3각인면(220, 320, 420)은 상기 흡수지(70) 및 상기 잉크(50)와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문양은 상기 제1,2,3각인면(220, 320, 42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부위를 의사가 인지하고, 환자의 통증 부위를 표시를한 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에 따라 추가적인 표시를 할 수 있다.
이렇게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에 따라 추가적인 통증 정도의 표시를 하는 것이 통증표시부(300a, 300b)이다.
여기서,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의사가 기설정해놓은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표시 또는 미표시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여 환자의 통증 정도를 의사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면서, 반원 기둥 형태로 상호 대항 되게 배치되어, 상호 별개로 작동되되 각각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반원 기둥 형태로 상호 대항 되게 배치되어 상호 별개로 작동되고, 그에 따른 구성도 각각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각각 유동 되는 반원 기둥 형태의 각인체(310a, 310b)와, 상기 각인체(310a, 310b) 하부에 구비되는 각인면(320a, 320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상기 각인체(310a, 310b)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누름공(330a, 33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상기 누름공(330a, 330b)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340a, 340b)과, 상기 스프링(340a, 340b)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형성되는 지지판(360a, 360b)을 포함한다.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각각 별도로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도장과 같이 잉크로 찍어 표시하게 된다.
일 예로, 환자의 통증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상기 각인체(310b)는 고정된 채로, 상기 각인체(310a)가 별도로 동작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문양을 각인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각인체(310a, 310b) 내부에는, 다양한 색상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잉크(50)와, 상기 잉크(50)를 흡수하는 흡수지(70)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인체(310a, 310b) 내부에 내장된 상기 잉크(50)는 상기 각인체(310a, 310b) 내부에 내장된 상기 흡수지(70)에 스며든 후 소량이 상기 각인면(320a, 320b)으로 각각 유동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각인면(320a, 320b)으로 유동 된 상기 잉크(50)는, 상기 각인면(320a, 320b)이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상기 각인면(320a, 320b)으로 유동 된 상기 잉크(50)가 환자의 신체에 찍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인면(320a, 320b)이 환자의 신체에 찍히는 문양은 상기 각인면(320a, 320b)의 평 단면인 내부가 빈 반원 테두리 형태가 상호 마주보며 원형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환자의 통증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상기 잉크(50)를 상기 각인체(310a, 310b)에 유입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환자의 통증 부위에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인면(320a, 320b)의 형상과 재질은 일 예일 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통증 위치 표시장치의 실시 예를 통해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되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병행참조하여 6을 살펴보면,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와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 및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를 통해 환자의 통증부위에 각인되는 문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문양은,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정확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십(十)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의 문양은, 상기 각인면(320a, 320b)이 환자의 신체에 찍히는 문양은 상기 각인면(320a, 320b)의 평 단면인 내부가 빈 반원 테두리 형태가 상호 마주보며 원형을 나타내게 된다.
만약,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 중에 상기 통증표시부(300a) 또는 상기 통증표시부(300b)의 문양 하나만 각인되게 되면, 반원 형태의 테두리 형태가 나타내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의 문양도, 원 기둥 형태의 상기 제3각인체(410)의 형태에 따라, 원형의 테두리가 각인되는 문양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와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 및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의 배치에 따라, 각각의 각인되는 문양이 대응되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양은, 상기 제1,3각인체(210, 410) 및 상기 각인체(310a, 310b) 내부에 저장되는 흡수성이 뛰어난 솜 또는 그와 유사한 스폰지와 같은 상기 흡수지(70)로 상기 잉크(50)가 흡수되어, 상기 잉크(50)가 상기 제1,3각인면(220, 420) 및 상기 각인면(320a, 320b)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면서 나타나게 된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과 기능을 통해, 환자의 통증 부위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표시하고, 그에 따라 주사기를 투여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한 후, 정확하게 환자의 통증 위치에 주사기를 투여할 수 있기 때문에 통증부위 치료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0 : 잉크 70 : 흡수지
100 : 몸체부 110 : 통점확인면
200 : 주사위치표시부 210 : 제1각인체
220 : 제1각인면 230 : 제1누름공
240 : 제1스프링 250 : 제1가압판
260 : 제1지지판
300 : 통증표시부 310 : 제2각인체
320 : 제2각인면 330 : 제2누름공
340 : 제2스프링 360 : 제2지지판
300a, 300b : 통증표시부 310a, 310b : 각인체
320a, 320b : 각인면 330a, 330b : 누름공
340a, 340b : 스프링 360a, 360b : 지지판
400 : 통증부위표시부 410 : 제3각인체
420 : 제3각인면 430 : 제3누름공
440 : 제3스프링 460 : 제3지지판

Claims (8)

  1. 하부에 통점확인면(110)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표시하는 주사위치표시부(200);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하는 통증표시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 외면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위치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하는 통증부위표시부(400)를 포함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는 봉 형태의 제1각인체(210);
    상기 제1각인체(210) 하부에 구비되는 제1각인면(220);
    상기 제1각인체(210)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제1누름공(230);
    상기 누름공(230) 하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각인체(210)가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1스프링(240); 및
    상기 제1각인체(210) 테두리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240)의 상부에서 상기 제1스프링(240)을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제1가압판(250); 및
    상기 제1각인체(210) 외면을 감싸면서도 이격 되게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스프링(24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판(260)을 포함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인면(220)은,
    '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표시부(300)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는 원통 형태의 제2각인체(310);
    상기 제2각인체(310)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각인면(320);
    상기 제2각인체(310)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제2누름공(330);
    상기 제2누름공(330)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2스프링(340); 및
    상기 제2스프링(34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형성되는 제2지지판(360)을 포함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는,
    상기 몸체부(100)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연결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게 배치되는 원통 형태의 제3각인체(410);
    상기 제3각인체(410) 하부에 구비되는 제3각인면(420);
    상기 제3각인체(410) 상부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3누름공(430);
    상기 제3누름공(430)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제3스프링(440); 및
    상기 제3스프링(44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제3지지판(460)을 포함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와 상기 통증표시부(300) 및 상기 통증부위표시부(400) 내부에는,
    잉크(50)와, 상기 잉크(50)를 흡수하는 흡수지(70)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
  7. 하부에 통점확인면(110)이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부위에 주사기의 주사약 투여위치를 표시하는 주사위치표시부(200);
    상기 주사위치표시부(200)의 둘레를 이격 된 채로 감싸면서, 반원 기둥 형태로 상호 대항 되게 배치되어, 상호 별개로 작동되되 각각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환자의 통증 부위에 표시하는 통증표시부(300a, 300b); 및
    상기 몸체부(100) 하부에 인접되게 연결되어 유동 되면서 환자의 통증 위치를 환자의 통증부위에 표시하는 통증부위표시부(400)를 포함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표시부(300a, 300b)는,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각각 유동 되는 반원 기둥 형태의 각인체(310a, 310b);
    상기 각인체(310a, 310b) 하부에 구비되는 각인면(320a, 320b);
    상기 각인체(310a, 310b)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누름공(330a, 330b);
    상기 누름공(330a, 330b)이 상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스프링(340a, 340b); 및
    상기 스프링(340a, 340b)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면에 고정형성되는 지지판(360a, 360b)을 포함하는 통증 위치 표시장치.
KR1020110099595A 2011-09-30 2011-09-30 통증 위치 표시장치 KR101276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595A KR101276357B1 (ko) 2011-09-30 2011-09-30 통증 위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595A KR101276357B1 (ko) 2011-09-30 2011-09-30 통증 위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358A KR20130035358A (ko) 2013-04-09
KR101276357B1 true KR101276357B1 (ko) 2013-06-18

Family

ID=4843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595A KR101276357B1 (ko) 2011-09-30 2011-09-30 통증 위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33B1 (ko) * 2015-03-31 2016-11-11 주식회사 현대메디텍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메조건
KR101667957B1 (ko) * 2015-03-31 2016-10-20 주식회사 현대메디텍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메조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237A (en) * 1995-04-27 1996-10-29 Beckenstein; Michael S. Marking device for breast surgery
US6056737A (en) * 1999-03-12 2000-05-02 Gerald M. Rosen Skin-marking devices and their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237A (en) * 1995-04-27 1996-10-29 Beckenstein; Michael S. Marking device for breast surgery
US6056737A (en) * 1999-03-12 2000-05-02 Gerald M. Rosen Skin-marking devices and thei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358A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3109C1 (ru) Медицинское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элемент, снижающий болевые ощущения
KR101276357B1 (ko) 통증 위치 표시장치
US20080139981A1 (en) Trigger point therapy device
ATE443546T1 (de) Liegestütz-trainingseinheit und gerät
CN107080659A (zh) 一种神经内科诊疗装置
CN107689177B (zh) 一种钢琴指力练习器
CN203898700U (zh) 一种针灸辅助扎针装置
JP4899048B2 (ja) 鍼治療訓練システム
CN208193508U (zh) 身体拉伸训练器材
CN210904445U (zh) 一种打针不痛的皮肤压力刺激器
CN209220600U (zh) 足下垂矫正护具
KR100944118B1 (ko) 지압기
Kim Effects of Acupressure and Lymphatic Massage on Chronic Neck Pain, Stress and Sleep Quality in Middle-aged Women
KR200405321Y1 (ko) 지압부재가 구비된 필기구
CN207220841U (zh) 放血笔
KR200218997Y1 (ko) 발바닥 지압기
KR20200016483A (ko) 신체 지압 기구
CN211535456U (zh) 一种神经内科病人康复用肌肉拉伸装置
CN107853808A (zh) 一种组合保健鞋垫
CN208339884U (zh) 螺旋式急救药物注射笔
KR20180002858U (ko) 캐릭터 주사기
CN216417290U (zh) 一种耳尖采血专用针
KR200356687Y1 (ko) 지압침이 구비된 필기구
JP2009261706A (ja) 健康器具
KR200221191Y1 (ko) 지압명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