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994B1 -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 Google Patents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994B1
KR101275994B1 KR1020120000753A KR20120000753A KR101275994B1 KR 101275994 B1 KR101275994 B1 KR 101275994B1 KR 1020120000753 A KR1020120000753 A KR 1020120000753A KR 20120000753 A KR20120000753 A KR 20120000753A KR 101275994 B1 KR101275994 B1 KR 10127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rface
air
inlet
electrode
bio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으로부터 높은 농도의 바이오 입자를 수집할 수 있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전하 또는 양전하로 대전된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오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에 있어서, 반경 R1을 갖는 구의 일부 표면의 형태인 제1전극면; 상기 R1의 원점과 동일한 원점을 가지며, 상기 R1보다 작은 반경 R2를 갖는 구의 일부 표면의 형태이며, 상기 제1전극면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인 제2전극면; 상기 제1전극면과 상기 제2전극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측면; 상기 제1전극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안내하는 유입구; 상기 제1전극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 및 상기 제1전극면과 제2전극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Electrostatic bioaerosol concentrator}
본 발명은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력을 통하여 부착되는 공기 중의 바이오 입자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오 입자들을 수집하기 위한 방법 중 전기식 집진기 (electrostatic precipitator) 를 들 수 있다.
상기 방식은 바이오 입자를 대전시키고, 상기 바이오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별도의 전기장을 포함하는 집진기 내부로 유도시켜 바이오 입자를 포집하는 것으로 현재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전기집진기 형태의 바이오 입자 채집기는 입자를 채집할 전극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넓어 입자 채집에는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채집된 입자의 농축에는 불리한 측면이 있다.
공개특허 제2007-0036653에는 공기 중 입자 수집 장치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공기 중 입자의 대전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 대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포집된 입자들을 액체에 침전시키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전기식의 특성들이 잘 구현되는 구조이며,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들을 수집하는 것에서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즉, 공기 중의 포함된 입자의 제거에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중의 바이오 입자들의 종류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바이오 입자의 채집뿐만 아니라 채집된 입자로부터 바이오 입자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의 후속 절차가 필요하다. 공기 중의 바이오 입자의 농도가 일반적으로 아주 작은 점을 고려할 때, 공기중의 바이오입자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채집된 바이오 입자의 농도를 높이는 것이 꼭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전기 집진기를 이용하여 바이오 입자를 수집하는 경우에는 바이오 입자의 분석을 위하여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여 바이오 입자의 분석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오 입자의 효율적인 채집과 함께 채집된 입자의 농도를 증가시켜 후속 공정에서 입자의 특성이 빠른 시간 내에 파악될 수 있는 별도의 바이오 입자 집적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 중으로부터 높은 농도의 바이오 입자를 수집할 수 있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전하 또는 양전하로 대전된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오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에 있어서, 반경 R1을 갖는 구의 일부 표면의 형태인 제1전극면; 상기 R1의 원점과 동일한 원점을 가지며, 상기 R1보다 작은 반경 R2를 갖는 구의 일부 표면의 형태이며, 상기 제1전극면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인 제2전극면; 상기 제1전극면과 상기 제2전극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측면; 상기 제1전극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안내하는 유입구; 상기 제1전극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 및 상기 제1전극면과 제2전극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전극면과 상기 제2전극면에 각각 다른 극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전극면의 표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면과 상기 제2전극면은 전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은 전도성 재질이며, 상기 측면과 상기 제1전극면 사이, 상기 측면과 상기 제2전극면 사이에는 절연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는 포집된 바이오 입자가 별도의 조작이 필요 없이 바로 분석이 가능할 정도의 농도를 가지므로 바이오 분석 장치의 크기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측정 시간을 줄여주며, 더 나아가 실시간으로 공기중 바이오 입자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극면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R1의 구의 일 표면의 형상을 갖는 제1전극면(10), 반경 R2의 구의 일표면 형상을 갖는 제2전극면(20), 상기 제1전극면(10)과 상기 제2전극면(2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측면(30), 상기 제1전극면(10)의 중앙에 형성된 유입구(40), 상기 유입구(40) 주위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유출구(50) 및 상기 제1전극면(10)과 제2전극면(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전극면(10)은 반경 R1의 구 표면의 일부로 평면도의 형태는 원형이나, 상기 평면은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그리고 재질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나, 구조적 강성을 고려하여 금속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극면(10)의 대향되는 위치에 제2전극면(20)이 위치한다. 상기 제2전극면(20)은 역시 반경 R2를 갖는 구 표면의 일부로 평면도의 형태는 상기 제1전극면(10)과 동일한 형상이나, R2의 크기는 상기 R1보다 작게 형성하여 결국 제2전극면(20)의 표면 면적은 제1전극면(10)의 표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R1과 R2의 원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다.
따라서, 제2전극면(20)은 제1전극면(10)의 축소된 형태이며, 축소 정도는 R1과 R2의 크기 선정으로 조절된다.
한편, 상기 제1전극면(10)과 상기 제전극면(20) 사이의 공간(12)은 측면(30)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측면(30)은 원뿔의 전개도 형태이며, 내부에 유입된 바이오 입자가 부착되지 않도록 전도성 재질이 바람직하며, 제1전극면(10)과 제2전극면(20)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상기 전극면(10, 20)과 접하는 부분에 절연재(70)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측면(30)은 필요한 경우 그라운드와 접지시켜 제1전극면(10)과 제2전극면(20)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극면(10)의 중앙 부에는 유입구(40)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40)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이며, 상기 유입구(4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간(12)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40)의 형상은 원통형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어떤 형상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40)의 바깥에는 환형의 유출구(50)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12)에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간다.
상기 유입구(40)와 유출구(50)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는 이유는 유입구(4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가능한 한 오랜 시간 동안 상기 공간(12)에 체류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한 경우, 상기 유입구(40)와 유출구(50)에는 밸브를 설치하여 공기의 유입 유출을 일시 정지시켜 전기장 하에서 적절한 시간 동안 상기 공간(12)에 체류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40)와 유출구(50)는 필요한 경우 다른 위치에 유입구(40)와 유출구(50)가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전극면(10) 상에 유입구(40)와 유출구(50)를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1전극면(10) 상에 유입구(40), 측면(30)에 유출구(50)를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간(12)에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원부(60)는 상기 제1전극면(10)에 음극을, 그리고 제2전극면(20)에는 양극을 인가한다. 상기 전극은 필요한 경우 반대로도 인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제1전극(10)과 제2전극(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통상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오 입자는 음극으로 대전시키므로, 상기 공기가 유입구(40)를 통하여 상기 공간(12)에 체류하는 경우 공기 중에 포함된 대전된 바이오 입자는 제2전극면(20)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제2전극면(20)의 표면은 상기 제1전극면(10)에 비하여 좁은 면적을 가지며, 전기장은 제1전극면(10)과 제2전극면(20)에 균일하게 작용하고, 상기 측면(30)은 전도성 재질이며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으므로, 결국, 음극으로 대전된 바이오 입자는 상기 제2전극면(20)에 집중되어 포집되고, 이렇게 포집된 바이오 입자는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제1전극면 12: 공간
20: 제2전극면 30: 측면
40: 유입구 50: 유출구
60: 전원부 70: 절연재
100: 집전기

Claims (6)

  1. 음전하 또는 양전하로 대전된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오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에 있어서,
    반경 R1을 갖는 구의 일부 표면의 형태인 제1전극면;
    상기 R1의 원점과 동일한 원점을 가지며, 상기 R1보다 작은 반경 R2를 갖는 구의 일부 표면의 형태이며, 상기 제1전극면과 대응되는 동일한 형태인 제2전극면;
    상기 제1전극면과 상기 제2전극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측면;
    상기 제1전극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안내하는 유입구;
    상기 제1전극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 및
    상기 제1전극면과 제2전극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전극면과 상기 제2전극면에 각각 다른 극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전극면의 표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면과 상기 제2전극면은 전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전도성 재질이며, 상기 측면과 상기 제1전극면 사이, 상기 측면과 상기 제2전극면 사이에는 절연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또는 유출구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KR1020120000753A 2012-01-03 2012-01-03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KR10127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753A KR101275994B1 (ko) 2012-01-03 2012-01-03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753A KR101275994B1 (ko) 2012-01-03 2012-01-03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994B1 true KR101275994B1 (ko) 2013-06-17

Family

ID=4886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753A KR101275994B1 (ko) 2012-01-03 2012-01-03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9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572A (ja) 2004-12-08 2006-07-1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 捕集装置、バイオ濃縮装置及びバイオ濃縮方法
WO2006098397A1 (ja) 2005-03-17 2006-09-21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nazawa University 超微粒子用静電濃縮捕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サブミクロン粒子除去器
KR20080019573A (ko) * 2005-01-25 2008-03-04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동전기적 농축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JP2009274041A (ja) 2008-05-16 2009-11-26 Omron Corp サンプル濃縮装置及びサンプル濃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572A (ja) 2004-12-08 2006-07-1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 捕集装置、バイオ濃縮装置及びバイオ濃縮方法
KR20080019573A (ko) * 2005-01-25 2008-03-04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동전기적 농축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WO2006098397A1 (ja) 2005-03-17 2006-09-21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nazawa University 超微粒子用静電濃縮捕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サブミクロン粒子除去器
JP2009274041A (ja) 2008-05-16 2009-11-26 Omron Corp サンプル濃縮装置及びサンプル濃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37070U (zh) 超细粉尘静电除尘器
US9875873B2 (en) Particle charger
KR20100044028A (ko) 오존발생 저감용 전기집진장치
WO2018089666A1 (en) Electrostatic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er
CN104525372A (zh) 一种微细颗粒物电凝并装置
US10384214B2 (en) Electrostatic collector
KR101528773B1 (ko) 대기중의 바이오 입자 및 넌바이오 입자 실시간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CN204396169U (zh) 碳刷放电电极、荷电模块及空气净化器
CN107847945A (zh) 用于选择性纯化气溶胶的方法
TWI543818B (zh) 靜電集塵器結構
KR101275994B1 (ko) 전기식 바이오 입자 집적기
CN204353005U (zh) 一种微细颗粒物电凝并结构
CN211463518U (zh) 一种高效双区静电式油雾净化器
KR20130090516A (ko) 전기 집진기
KR102079297B1 (ko) 전기 응집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입자 응집방법
CN113908991A (zh) 一种离子风辅助收尘的电除尘器极配装置
KR101746148B1 (ko) 에어로졸의 하이드로졸화 장치 및 그 방법
JP4200373B2 (ja) 浮遊粒子状物質の捕集装置
CN207605877U (zh) 包括立体电极的高压静电空气净化器
CN204170851U (zh) 电除尘器
CN216173236U (zh) 一种双驱耦合静电除尘器
CN204866201U (zh) 湿式静电除尘除雾装置
CN204469898U (zh) 一种用于静电除尘器的集中控制电路
CN211613064U (zh) 一种基于紊流效应的电除尘凝聚装置
KR101464516B1 (ko) 두 개 이상의 엣지를 갖는 방전부가 형성된 전기집진기용 방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