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572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572B1
KR101275572B1 KR1020060131042A KR20060131042A KR101275572B1 KR 101275572 B1 KR101275572 B1 KR 101275572B1 KR 1020060131042 A KR1020060131042 A KR 1020060131042A KR 20060131042 A KR20060131042 A KR 20060131042A KR 101275572 B1 KR101275572 B1 KR 10127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mobile communication
contac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580A (ko
Inventor
원진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57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다수의 전원단자를 구비하여, 다수의 연결단자를 통해 본체 내부의 메인보드의 다수의 영역으로 전원이 직접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전압 강하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하고 전원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전원단자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배터리가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배터리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단자 및 배터리 전원단자의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보드의 구조가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보드의 단면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배터리 연결 구조가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13: 전원단자 20: 배터리
21,22,23: 배터리 전원단자 25: 전원연결부
30: 메인보드 M: 이동통신 단말기
P1,P2,P3: 연결패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및 배터리에 다수의 전원단자를 구비하며 배터리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전원 공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여 원거리에 위치되는 타인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인터넷 접속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고, mp3 플레이어의 탑재에 따른 음악재생 기능이 추가되고, 카메라가 구비되어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그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면서, 그에 따른 소비전력이 크게 증가되어 소비전력 제어 및 배터리 용량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시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경우에 따라 배터리가 내장되기도 한다. 배터리는 충전전류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가능 하도록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장착 시, 배터리에 구비된 배터리 단자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구비된 전원 연결단자가 상호 접촉되어, 배터리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렇게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내에서 전원 연결단자로부터 전원이 필요한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전원 연결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은 메인보드의 다수의 레이어 중 전원레이어로 연결되고, 각각 RF통신부,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부, 제어부 등으로 분리되어 공급된다.
이때,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다수의 지점으로 전원이 분리되어 공급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전원이 분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부 영역에서 전압강하가 발생되는 경우, 예를 들어 RF통신부의 경우, 무선통신 수행시 마다 전압강하가 발생되면, 다른 영역에 노이즈로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지점에서 각 영역으로 공급되는 전원라인이 별도로 각각 형성되어야 하므로 메인보드의 레이어가 증가되게 되어 메인보드 설계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다수의 전원단자를 구비하여, 다수의 전원단자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보드의 다수의 영역에 직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가 본체의 어느 일면에 탈부착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가 접하는 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다 수의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장착 시, 상기 배터리 전원단자가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의 메인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가 상기 메인보드의 다수의 영역으로 직접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RF통신부, 데이터를 변환하는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동작상태가 화면 출력되는 표시부, 입출력 및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통신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통신부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고, 입출력데이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RF통신부,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 제어부, 메모리, 입력부, 표시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자소자가 실장되고, 상호 연결되도록 신호라인이 형성된 메인보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느 일면에 탈부착 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와 배터리가 접하는 본체의 케이스에 다수의 전원단자가 구비되어 배터리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가의 다수의 영역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이하, 배터리 및 본체 간의 전원단자 연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서 생략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배터리가 도시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M)와, 본체(M)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를 포함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는 배터리(20) 장착 시, 본체(M)와 배터리(20)가 접하는 면에 다수의 전원단자(11 내지 13)가 구비되어, 배터리(20)로부터 다수의 전원단자(11 내지 13)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보드의 각 영역으로 직접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본체(M)에 접하는 배터리(20)의 면에는 본체 전원단자(11 내지 13)에 대응되는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가 구비 된다.
이때, 본체(M)의 케이스와, 배터리(20)의 케이스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배터리(20) 장착 시, 다수의 홀을 통해 본체(M)의 전원단자(11 내지 13) 및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가 상호 접촉된다. 배터리(20)의 접지 단자(24)와, 본체(M) 접지 단자(14) 또한 상호 접촉된다.
여기서, 본체(M) 및 배터리(20)에 형성되는 전원단자(11 내지 23)의 위치 메인보드 상에 실장 되는 각 전자소자의 배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시한다. 즉, 메인보드에서 직접 전원이 공급되는 영역, 예를 들어 RF통신부, 제어부,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의 전자소자가 배치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전원단자의 위치가 가변된다.
이하, 배터리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20)는 배터리(20)를 보호하는 배터리케이스(BH)에 다수의 홀(H1 내지 H3)이 형성되고, 배터리케이스(BH)에 형성된 다수의 홀(H1 내지 H3)에 삽입되어 본체(M)의 전원단자(11 내지 13)와 접촉되는 다수의 배터리 연결단자(21 내지 23)가 구비된다. 또한, 배터리(20)는 플러스전극(27)에 연결되어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가 고정 장착되며, 플러스 전극(27)의 전원을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로 인가하는 전원연결부(25)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20)는 마이너스전극(26)과, 마이너스 전극에 연결되는 접지단자(24)를 포함하며, 플러스 전극(27) 및 마이너스 전극(26)과 연결되고 외부 전원에 의해 충방전되어 본체(M)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와, 과전압 과전류로부터 충전지를 보호하는 보호회로를 포함하는 충전지부(BC)를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한다. 이때, 마이너스 전극(26)과 플러스 전극(27)은 충전지와 보호회로에 연결되며, 마이너스전극(26)은 접지단자(24)가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M)의 접지단자(14)와 접촉되어 신호를 단락시킨다.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 및 전원연결부(25)는 도전성의 금속 물질로 형성되며, 특히 전원연결부(25)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가 고정 장착된다. 전원연결부(25)는 플러스전극(27)에 접촉되어 배터리의 일면에 고정되어 장착되며, 그 형태는 배터리 케이스(BH)의 홀(H1 내지 H3)의 위치 및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20)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M)에 장착되는 경우 각 전원단자는 다음과 같이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기 및 배터리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MH)에 다수의 홀(H4 내지 H6)이 형성되고, 다수의 홀(H4 내지 H6)에 본체(M)의 전원단자(11 내지 13)가 삽입된다. 전원단자(11 내지 1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M)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보드(30)의 각 지점에 접촉된다.
이때, 배터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케이스(BH)에 형성된 다수의 홀(H1 내지 H3)을 통해 다수의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가 외부로 돌출되며,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는 배터리 케이스(BH)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연결부(25)에 고정되어, 충전지(28) 및 보호회로(29)가 연결된 플러스전극(27)에 연결된다.
배터리(20)가 본체(M)에 장착되면,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와, 본체의 전원단자(11 내지 13)가 상호 접촉되어 메인보드(30)의 접촉 패드(P1 내지 P3)로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배터리의 마이너스전극(26) 또한 본체의 메인보드의 접지단자(14)와 연결된다.
여기서, 본체의 전원단자(11 내지 13) 및 배터리의 배터리전원단자(21 내지 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돌출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의 전원단자(11내지 13)가 돌출형인 경우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는 패드 형의 단순 연결단자의 형태인 비 돌출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양 측 모두 돌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가 돌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가 돌출형인 경우, 도 3의 (b)와 같이, 경우에 따라 별도의 전원단자(11 내지 13)가 구비되지 않고,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가 메인보드(30)의 접촉 패드(P1 내지 P3)에 직접 접촉 될 수 있다.
메인보드에 형성되는 접촉 패드(P1 내지 P3)는 전원단자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원단자와 접촉 패드간의 연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체의 전원단자 및 배터리 전원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배터리의 전원단자의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전원단자 및 배터리 전원단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30), 케이스(MH) 및 배터리의 전원연결부(25)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로부터 돌출되어 타 면, 즉 타 전원단자 또는 접촉 패드와 접하는 접촉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110)로부터 접촉부(120)가 탄성에 의해 돌출되거나 누름 조작되도록 하는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부(110) 및 접촉부(12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이하, 고정부(110) 및 접촉부(120)가 배터리의 전원연결부(25)에 고정 장착되어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체(M) 케이스(MH)의 홀에 삽입되어 메인보드(30)의 접촉패드(P1 내지 P3)와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를 연결하는 전원단자(11 내지 13) 또한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10) 및 접촉부(120)는 직육면체, 원기둥과 같은 형태로 형성 될 수 있으나, 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고정부(110)가 배터리(20)의 전원연결부(25)에 고정 장착되어 전원연결부(25)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접촉부(120)로 인가하고, 접촉부(120)와 접하는 타 면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고정부(100)는 접촉부(12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부(111)가 일단에 형성된다.
접촉부(120)는 도 4의 (a)와 같이 스프링(130)에 의해 고정부(110)로부터 돌출되며, 이때 접촉부(120)가 외부로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121)가 형성된다. 걸림부(121)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면서 탈락방지부(111)에 접하여, 접촉부(120)가 더 이상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4의 (b)와 같이, 접촉부(120)가 외부의 힘에 의해 누름조작 되는 경우, 즉 배터리 장착 시 배터리(2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M)가 상호 접하게 되는 경우, 그 힘에 의해 접촉부(120)가 누름 조작되어 고정부(110) 내로 일부 삽입된다.
여기서, 접촉부(120) 및 스프링(130)은 배터리(20) 장착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단자(11 내지 13)와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간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고정부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배터리와 본체가 완벽하게 접하지 않고 간에 약간의 틈이 발생되더라도 스프링의 탄성에 따른 접촉부(110)의 돌출 및 누름조작됨으로 인하여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에 따라, 도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는 접촉부(120)가 본체(M)의 전원단자(11 내지 13)에 접하여 배터리(20) 전원을 메인 보드(3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원단자(11 내지 13)는 메인보드(30)에 형성된 접촉패드(P1 내지 P3)와 연결되어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단자(11 내지 13)는 단순 패드 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원단자와 같이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패드(P1 내지 P3)와 접하는 면 및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와 접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전원단자(11내지 13)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는 메인보드(30)의 접촉 패드(P1 내지 P3)에 접하여 메인보드(3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메인보드(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보드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30)는 다수의 전자소자가 실장되는데, 실장된 전자소자 중 전력소모가 큰 전자소자를 중심으로 전원사용 영역을 구분하여, 전력소모가 큰 전자소자 주변에 접촉패드(P1 내지 P3)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메인보드(30)에 실장된 제어부의 제1 전자소자(31), RF통신부의 제 2전자소자(32),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의 제3 전자소자(33)를 중심으로, 주변에 접촉 패드(P1 내지 P3)가 각각 구비되어, 배터리(20) 장착시 전원단자(11 내지 13) 및 배터리전원단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접촉패드(P1 내지 P3)로 전원이 공급된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하나의 연결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각각의 제 1 내지 제3 전자소자(31 내지 33)로 분리되어 공급된 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전자소자(31 내지 33)에 근접하여 접촉 패드(P1 내지 P3)가 구비됨으로서 배터리(20)로부터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 전원단자(11 내지 13) 및 접촉패드(P1 내지 P3)를 통해 다수의 영역으로 전원이 직접 공급되게 된다.
이때, 메인보드(30) 및 접촉패드(P1 내지 P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보드의 단면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의 (a)와 같이, 메인보드(30)에 실장된 전자소자(31)에 근접하여 접촉패드(P1)가 구비되고, 메인보드(30)의 다수의 레이어 중 제 2신호라인(SL2)이 형성된 레이어까지 비아홀(VH1)이 형성되어, 비아홀(VH1)을 통해 접촉패드(P1)와 다수의 레이어중 어느 레이어에 형성된 제2 신호라인(SL2)이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도 6의 (b)와 같이, 메인보드(30)의 다수의 레이어 중 제 1 레이어가 제거되어 제 2신호라인(SL2)에 직접 전원단자(11 내지 13) 및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보드(30)의 일부 레이어가 제거되어 드러나는 부분이 접촉패드(P1)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접촉패드(P1)에 전원단자(11 내지 13) 및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가 접촉되어, 배터리(20)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접촉패드(P1)는 전자소자(31)와 제 1 신호라인(SL1)으로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전자소자(31)로 공급한다. 또한, 접촉패드(P1)로 공급되는 전원은 제 2 신호라인(SL2)을 통해 제 2 내지 제3 전자소자를 제외한, 타 전자소자로 공급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배터리 연결 구조가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여기서, 도7의 (a)는 종래의 배터리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이고, 도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2)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간에 하나의 연결부(1)가 구비되며, 하나의 연결부(1)는 3핀 또는 4핀으로 구성되었다. 하나의 연결부(1)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된 메인보드(3)의 각 영역으로 전원이 분리되어 제 1 내지 제 3 전자소자(3a 내지 3c)로 공급된다. 이때,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다수의 지점으로 전원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전술한 봐와 같이 특정 부분에서의 전압강하가 다른 부분에 노이즈로 작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전원공급이 균등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원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M)에 형성된 다수의 전원단자(11내지 13)가 배터리의 다수의 배터리 전원단자(21 내지 23)와 각각 연결되어 다수의 지점에 직접 전원이 공급되므로 특정 지점에서의 전압강하가 다른 지점에 주는 영향이 적고 고른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M)는 제 1 내지 제 3 전자소자(31 내지 33)가 직접 배터리(20)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므로 특정 전자소자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감소되고, 그에 따른 노이즈 영향이 감소된다. 또한, 전원의 균등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RF통신부의 경우 항상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신호 송수신시 동작이 온오프 되므로, 그에 따른 전압 강하가 발생되더라도 타 부분에 대한 영향이 적다 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와 본체 간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단자가 다수 구비되어, 다수의 지점에서 메인보드로 직접 전원이 공급됨으로서, 하나의 지점에서 전원이 분리되는 공급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전압강하 및 그에 따른 노이즈 영향이 감소되고, 균등한 전원공급에 따른 전원의 안전화가 가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배터리가 본체의 어느 일면에 탈부착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가 접하는 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배터리 전원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장착 시, 상기 배터리 전원단자가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의 메인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류가 상기 메인보드의 다수의 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배터리는, 금속 도전성 물질로 상기 배터리의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내부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배터리 전원단자가 고정 장착되어 상기 내부 전극의 전원을 상기 다수의 배터리 전원단자로 인가하는 전원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메인보드에 실장되는 다수의 전자소자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배터리 전원단자와 접촉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연결된 전자소자로 공급을 하는 다수의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다수의 홀에 삽입되어, 어느 일면이 상기 다수의 배터리 전원단자와 각각 접촉되고, 타 면이 상기 접촉 패드와 접하는 다수의 전원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메인보드 상에 장착되는 급속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패드이고, 상기 메인보드의 다수의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레이어에 형성된 신호라인과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드는 상기 메인보드의 다수의 레이어 중 최상위 레이어의 일부 제거되어 내부의 신호라인이 외부로 드러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단자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장착 시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전원단자 및 상기 접촉패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내부에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적어도 어느 일면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31042A 2006-12-20 2006-12-20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75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042A KR101275572B1 (ko) 2006-12-20 2006-12-20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042A KR101275572B1 (ko) 2006-12-20 2006-12-20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580A KR20080057580A (ko) 2008-06-25
KR101275572B1 true KR101275572B1 (ko) 2013-06-14

Family

ID=3980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042A KR101275572B1 (ko) 2006-12-20 2006-12-20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5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670A (ja) * 1993-08-31 1995-03-17 Nec Corp 携帯無線通信装置
JP2006108103A (ja) * 2004-10-06 2006-04-20 Lg Electronics Inc バッテリー接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670A (ja) * 1993-08-31 1995-03-17 Nec Corp 携帯無線通信装置
JP2006108103A (ja) * 2004-10-06 2006-04-20 Lg Electronics Inc バッテリー接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580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2637B2 (ja) 電子装置用の入出力ポ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装置
CN108604750B (zh) 夹式电流接触器及包括其的保护装置
US6215274B1 (en) Enhanced battery pack monitoring interface
JP6499762B2 (ja) ボタン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端末
JP2008277965A (ja) 通信機器
KR1012755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88059B1 (ko)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지 모듈
CN109194788B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充电方法
CN114361613B (zh) 电池及终端设备
US8877368B2 (en) Thin battery
US8063329B2 (en) Ke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30157974A1 (en) Urgent power-supply arrangement using cascaded wireless mobile devices
WO2017197738A1 (zh) 改善电容器发声的装置及终端
US20020121878A1 (en) Battery cover with components mounted thereon
CN111431248A (zh) 电子设备的充电装置
US20210203030A1 (en) Battery pack
US9600756B1 (en) Wireless input device without internal power supply
KR200497166Y1 (ko) 접속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보조 전원 장치
JP2011259193A (ja) 携帯端末機
US20030134158A1 (en) Super battery module for mobile electronic apparatus
KR20180088957A (ko)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
US75926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integrated circuit from malfunctioning due to surge voltage
TW201633038A (zh) 電子裝置及其船塢座結構
KR200322832Y1 (ko) 배터리를 이용한 정전기 제거장치
JP2006244737A (ja) 電池パック、端末装置および端末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