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551B1 -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551B1
KR101275551B1 KR1020060039661A KR20060039661A KR101275551B1 KR 101275551 B1 KR101275551 B1 KR 101275551B1 KR 1020060039661 A KR1020060039661 A KR 1020060039661A KR 20060039661 A KR20060039661 A KR 20060039661A KR 101275551 B1 KR101275551 B1 KR 101275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information
server
indoor units
set temperature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324A (ko
Inventor
김해진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55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상청 서버로부터 각 지역별 기상정보가 다운로드 된 서버로 연결된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 동작 조건을 재설정함으로써, 기상변화에 따른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최적의 공조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른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중앙제어기, 서버, 기상청 서버, 기상정보, 설정온도

Description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ir conditioner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제어기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제어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중앙제어기 11: 제어부
12: 판단부 13: 메모리
14: 통신모듈 20: 서버
21: 처리부 22: 위치 감지부
23: 데이터베이스부 24: 통신모듈
30: 기상청 서버 40: 실외기
50: 실내기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실외기 및 실내기 동작을 재설정함으로써, 기상변화에 따른 효율적 제어가 가능한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은 공기조화를 위해 설치되는 다수개의 실내기와,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는 실외기를 포함하며, 이때 다수 실외기와 연결되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기 조화 시스템은 한정된 공간에서 사람 또는 지정된 물건에 대하여 온도, 습도, 공기유통, 공기청정 등 초기 입력된 조건에 따라 대기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실내 공기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조화 시스템은 기상조건과 같은 외부환경에 따라 기 설정된 동작에 따라 동작되기 때문에, 갑작스런 기상변화에 대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공기 조화 시스템은 난방동작을 수행 시, 난방설정온도를 일률적으로 설정해 놓은 경우, 외부환경에 상관없이 하루 종일 실내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위지되도록 난방 사이클이 형성됨으로써 최적의 공조 환경을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연결된 다수 실내기의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가 자동으로 재설정되도록 함으로써, 기상변화에 따른 효율적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그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이 절감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가 저장되고, 요청에 따라 저장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기상정보 요청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기상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중앙제어기가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중앙제어기가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다수 실내기의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와, 기상정보가 저장되는 기상청 서버(30)와, 기상청 서버(30)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가 저장되는 서버(20)와, 서버(20)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기(1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는 기상청 서버(30)로부터 수신된 각 지역의 기상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2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24)과, 중앙제어기(10)로부터 수신된 요청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지역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22)와,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23)에 저장된 기상정보 데이터 중 감지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출하여, 중앙제어기(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처리부(21)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제어기(10)는 연결된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상태 및 동작모드를 감지하는 판단부(12)와, 연결된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14)과,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기상정보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서버(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1)는 기상정보에 따라 해당 지역에 위치한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 정보를 감지하여, 다수 실내기(50)의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상정보는 실외온도, 습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1)는 연결된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 정보를 감지하여 메모리(13)에 저장되도록 하고,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의 위치정보 또한 메모리(13)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는 연결된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의 요청에 따라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신호가 서버(20)로 전송되도록 한다.
기상청 서버(30)는 각 지역의 기상상태에 따른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저장된 기상정보 데이터를 서버(20)로 제공한다.
또한, 기상청 서버(30)는 요청 지역의 기상정보 변경 시, 설정에 따라 변경된 기상정보가 서버(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서버(20)는 기상청 서버(30)에 접속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요청 시마다 해당 중앙제어기(10)로 저장된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즉, 처리부(21)는 기상청 서버(30)에 접속 시, 기상청 서버(30)로부터 수집된 각 지역별 기상정보를 요청하고, 서버(20)로부터 기상정보 수신 시, 기상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23)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23)는 수신된 각 지역별 기상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며, 기상청 서버(30)로부터 새로운 기상정보 수신 시,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가 업데이트 되어 저장된다.
또한, 처리부(21)는 중앙제어기(10)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기상정보 요청신호 수신 시, 데이터베이스부(23)에 저장된 각 지역의 기상정보 중 위치 감지부(22)를 통해 감지된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출하고,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가 중앙제어기(10)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중앙제어기(10)는 요청에 따라 서버(20)로부터 기상정보가 수신되면, 기상정보에 따라 연결된 다수 실내기(50)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각 실외기(4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1)는 기상정보에 따라 해당 지역에 위치한 다수 실내기(50) 및 실외기(40) 정보를 감지하여, 다수 실내기(50)의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1)는 기상정보에 포함된 실외온도에 따라 해당 지역에 위치한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를 재설정한다.
판단부(12)는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기 전, 연결된 다수 실내기(50)의 동작모드, 기설정온도, 최저설정온도, 최고설정온도 등을 감지한다.
제어부(11)는 판단부(12)의 판단 결과에 따라 난방모드로 동작 시,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를 감지된 실외온도 보다 일정치 이상으로 설정하고, 냉방모드 동작 시에는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를 감지된 실외온도 보다 일정치 이하로 설정한다.
즉, 제어부(11)는 서버(20)로부터 기상정보 수신 시, 다수 실내기(50)가 난방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다수 실내기(50)의 난방 설정온도를 감지된 실외온도 보다 α만큼 높게 설정한다.
단, 제어부(11)는 감지된 실외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다수 실내기(50)의 난방 최저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며, 감지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다수 실내기(50)의 난방 최고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다수 실내기(50)의 난방 최저설정온도가 18도이고, 난방 최고설정온도가 30도인 경우, 감지된 실외온도에 따라 재설정된 난방 설정온도(실외온도+α)가 최저설정온도(18도) 이하이면,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가 난방 최저설정온도인 18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재설정된 난방 설정온도(실외온도+α)가 최고설정온도(30도) 이상이면,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가 난방 최고설정온도인 30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반면, 제어부(11)는 다수 실내기(50)가 냉방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다수 실내기(50)의 냉방 설정온도를 감지된 실외온도 보다 β만큼 낮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감지된 실외온도가 28도이고, β값이 10인 경우,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를 감지된 실외온도 보다 10도 낮은 18도(=28-β)로 설정한다.
단, 제어부(11)는 감지된 실외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다수 실내기(50)의 냉방 최저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며, 감지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다수 실내기(50)의 냉방 최고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다수 실내기(50)의 냉방 최저설정온도가 15도이고, 난방 최고설정온도가 25도인 경우, 감지된 실외온도에 따라 재설정된 냉방 설정온도(실외온도-β)가 최저설정온도(15도) 이하이면,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가 냉방 최저설정온도인 15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재설정된 냉방 설정온도(실외온도-β)가 최고설정온도(25도) 이상이면,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가 냉방 최고설정온도인 25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는 α 또는 β를 일정수치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에 따라 감지된 실외온도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α 또는 β의 수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즉, 다수 실내기(50)가 난방모드로 동작 시, 감지된 실외온도가 0 내지 10도 사이인 경우 α=10, 실외온도가 10 내지 20도 사이인 경우 α=5, 실외온도가 20 내지 30도 사이인 경우 α=2 과 같이, α값이 단계별로 가변되도록 한다.
또한, 다수 실내기(50)가 냉방모드로 동작 시, 감지된 실외온도가 10 내지 20도 사이인 경우 β=1, 실외온도가 20 내지 25도 사이인 경우 β=4, 실외온도가 25 내지 30도 사이인 경우 β=8 과 같이, β값이 단계별로 가변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는 상기와 같이 재설정된 다수 실내기(50)의 설정온도에 따라 공기 조화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연결된 다수 실외기(40)로 전송되도록 하여, 다수 실내기(50)가 명령에 따라 동작되도록 한다.
한편, 중앙제어기(10)는 설정에 따라 연결된 다수 실내기(50) 중 특정 실내기(50)에 대해서는 수신된 기상정보에 상관없이 기 설정된 설정온도에 따라 난방 또는 냉방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제어기의 난방 또는 냉방모드에서의 설정온도 재설정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중앙제어기(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모드 동작 시 서버(20)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를 판독하여, 기상정보에 포함된 실외온도에 따라 다수 실내기(50)의 난방 설정온도(T1)를 재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1)는 최저설정온도(TLOW)가 16도, 최대설정온도(THIGH)가 30도이고, 'α=15'가 되도록 설정된 경우, 감지된 실외온도 'T'가 '1<T<15'이면 난방 설정온도(T1)를 감지된 실외온도(T) 보다 15도 높게 'T1=T+15'로 설정한다.
만일, 제어부(11))는 난방 설정온도(T1) 재설정 시, 판단부(12)의 판단 결과에 따라, 감지된 실외온도가 1도 이하이면 최저설정온도인 16도로 설정하고, 감지된 실외온도가 15도 이상이면 최고설정온도인 30도로 설정한다.
또한, 중앙제어기(10)의 다른 실시예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모드 동작 시, 마찬가지로 서버(20)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를 판독하여, 기상정보에 포함된 실외온도에 따라 다수 실내기(50)의 냉방 설정온도(T2)를 재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1)는 최저설정온도(TLOW)가 14도, 최대설정온도(THIGH)가 20도이고, 'β=10'이 되도록 설정된 경우, 감지된 실외온도 'T'가 '24<T<30'이면 냉방 설정온도(T2)를 감지된 실외온도(T) 보다 10도 낮게 'T2=T-10'으로 설정한다.
만일, 제어부(11)는 냉방 설정온도(T2) 재설정 시, 감지된 실외온도가 24도 이하이면 최저설정온도인 14도로 설정하고, 감지된 실외온도가 30도 이상이면 최고설정온도인 20도로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제어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기는 연결된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정보를 감지하고(S100), 해당 지역에 대한 기상정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10).
이때, 요청신호는 연결된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서버는 각 지역별 기상정보가 저장된 기상청 서버에 접속하여, 기상청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된 각 지역의 기상정보를 저장하고(S200, S300), 중앙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출하여, 중앙제어기로 전송한다(S210,S220).
중앙제어기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를 판독한다(S120).
이때, 수신된 기상정보 중 실외온도를 감지하여(S130), 감지된 실외온도에 따라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재설정한다(S140).
즉, 중앙제어기는 다수 실내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설정온도를 감지된 실외온도 보다 낮게 또는 높게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중앙제어기는 다수 실내기가 난방모드로 동작 시,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실외온도 보다 높게 재설정하고, 다수 실내기가 냉방모드로 동작시에는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실외온도 보다 낮게 재설정한다.
만일, 서버는 특정 지역에 대한 기상정보 변경 시(S310), 기상청 서버로부터 변경된 기상정보가 수신되면(S320),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업데이트하고(S230), 업데이트 된 기상정보를 해당 중앙제어기로 전송한다(S240).
한편, 중앙제어기는 서버로부터 새로운 기상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판독하여 감지된 실외온도에 따라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재설정하고(S120 내지S140), 연결된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로 해당 제어명령을 전송한다(S150).
또한, 중앙제어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로부터 감지된 실외온도에 따라, 중앙제어기에 연결된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S141).
이때, 제어부는 다수 실내기가 난방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설정에 따라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가 감지된 실외온도보다 일정치(α) 이상이 되도록 설정한다(S142).
또한, 제어부는 다수 실내기가 냉방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가 감지된 실외온도 보다 일정치(β) 이하가 되도록 설정한다(S143).
만일, 판단부는 감지된 실외온도에 따라 산출된 설정온도와 기설정된 최저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설정온도가 다수 실내기의 기설정된 최저설정온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144), 제어부를 통해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가 난방 또는 냉방모드에서의 최저설정온도가 되도록 재설정되도록 한다(S145).
반면, 판단부는 설정온도와 기설정된 최고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설정온도가 다수 실내기의 기설정된 최고설정온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146), 제어부를 통해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가 난방 또는 냉방모드에서의 최고설정온도가 되도록 재설정되도록 한다(S147).
제어부는 재설정된 설정온도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연결된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로 생성된 제어명령이 전송되도록 한다.
만일,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된 기상정보가 수신된 경우(S148), 기상정보를 판독하여 실외온도를 재감지한 후, 재감지된 실외온도에 따라 다수 실내기의 난방 또는 냉방 설정온도를 재설정한다(S141 내지 S14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 조건을 재설정함으로써, 기상변화에 따른 효율적 제어가 가능하여 최적의 공조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른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가 저장되고, 요청에 따라 저장된 기상정보중 요청된 위치정보에 따라 기상정보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기상정보 요청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기상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기는, 상기 기상정보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해당 지역에 위치한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 최저설정온도 및 최소설정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 동작 시, 상기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포함된 실외온도보다 일정치 높게 재설정하고, 냉방모드 동작 시, 상기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포함된 실외온도보다 일정치 낮게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실외온도,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상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연결된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설정된 설정온도가 최고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설정온도를 상기 최고설정온도로 재설정하고,
    설정온도가 최저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설정온도를 상기 최저설정온도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된 각 지역의 기상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중앙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상정보 요청신호를 판독하여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감지된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8. 중앙제어기가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가 위치한 지역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중앙제어기가 상기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포함된 실외온도에 따라 상기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 최저설정온도 및 최소설정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재설정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기가 상기 설정온도를 재설정하는 경우 상기 다수 실내기의 동작모드를 감지하여, 난방모드 동작 시, 상기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상기 실외온도보다 일정치 이상으로 높게 설정하고, 냉방모드 동작 시, 상기 다수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상기 실외온도보다 일정치 이하로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기상청 서버로부터 각 지역별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각 지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제어기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기상정보 중 요청된 특정 지역의 기상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상청 서버로부터 각 지역의 변경된 기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저장된 기상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 된 기상정보를 상기 중앙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동작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60039661A 2006-05-02 2006-05-02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75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61A KR101275551B1 (ko) 2006-05-02 2006-05-02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61A KR101275551B1 (ko) 2006-05-02 2006-05-02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24A KR20070107324A (ko) 2007-11-07
KR101275551B1 true KR101275551B1 (ko) 2013-06-20

Family

ID=3906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61A KR101275551B1 (ko) 2006-05-02 2006-05-02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87B1 (ko) 2011-01-11 201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의 실외기 원격 제어 방법
KR101237787B1 (ko) * 2011-02-25 2013-02-28 컨스핀솔루션(주) 인터넷과 연동하는 스마트그리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373682B1 (ko) * 2017-06-01 202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경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환경 제어 방법
KR102373652B1 (ko) * 2017-09-05 202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470A (ko) * 2000-08-30 2002-03-07 구자홍 통신 연결용 공기조화기의 구동 시스템 및 방법
JP2004245556A (ja) * 2003-02-17 2004-09-02 Toshiba Corp オンライン空調温度設定システム、センターマシン及びオンライン空調温度設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470A (ko) * 2000-08-30 2002-03-07 구자홍 통신 연결용 공기조화기의 구동 시스템 및 방법
JP2004245556A (ja) * 2003-02-17 2004-09-02 Toshiba Corp オンライン空調温度設定システム、センターマシン及びオンライン空調温度設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24A (ko)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1707A1 (en) To control a communication rate between a thermostat and a cloud based server
US10802515B2 (en) Control techniques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based on environmental data
JP4274163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
US20190309975A1 (en) Adaptive comfort control system
US7956766B2 (en) Apparatus operating system
JP6058036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178235A (zh) 空调系统及其运行方法
JP4864019B2 (ja) 空調システムで所在環境の快適性を制御する方法
CN107576025B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系统、线控器及室内机
KR101275551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12413839B (zh) 基于天气预测的智能运行控制方法、空调器、介质及终端
JP2023060335A (ja) アダプタ
EP2584277B1 (en) Network system equipped with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12528B1 (en) Control system, installation equipment, remote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9312950B (zh) 空调系统
CN109213243B (zh) 智能家居温湿度无线自动控制系统
JP2020067207A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739239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機
CN111108489A (zh) 服务器、信息处理方法、网络系统以及空气净化器
JP2020009004A (ja) 空調制御システム、集中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146249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130426A1 (ja) コントローラ、輻射空気調和設備、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851553B1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415075B1 (ja) 空調システム
JP712004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