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444B1 - 볼 밸브 - Google Patents

볼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444B1
KR101275444B1 KR1020100096595A KR20100096595A KR101275444B1 KR 101275444 B1 KR101275444 B1 KR 101275444B1 KR 1020100096595 A KR1020100096595 A KR 1020100096595A KR 20100096595 A KR20100096595 A KR 20100096595A KR 101275444 B1 KR101275444 B1 KR 10127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ssembled
seat housing
hous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533A (ko
Inventor
윤병화
Original Assignee
윤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화 filed Critical 윤병화
Priority to KR102010009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4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44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밸브(Ball valve)에 관한 것으로,
몸체(1)의 좌우에 고정되며 밸브 시트(15)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용 볼트(23)들이 조립되는 나사구멍(3a)들이 형성된 슬리이브(3)와;
상기 슬리이브(3)들의 안쪽으로 조립되며 제1 가압용 볼트(23)가 관통하는 구멍(10)들과 감압용 볼트(28)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0a)들이 상기 구멍(10)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돌출단(9)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오-링(12)이 조립되는 경사 홈(11)이 형성되며 제2 가압용 볼트(22)들이 조립되는 나사구멍(8a)들을 가지는 시트 하우징(8)과;
상기 시트 하우징(8)에 형성된 나사구멍(8a)에 조립되는 제2 가압용 볼트(22)들이 관통하는 구멍(21)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 하우징(8)의 외측에 조립되는 패킹 글랜드(19)들과;
상기 시트 하우징(8)과 패킹 글랜드(19)들의 안쪽으로 조립되며 배관의 플랜지와 고정되는 플랜지(18)를 가진 채 상기 시트 하우징(8)의 안쪽에서 이동이 가능한 연결관(17)들과;
상기 연결관(17)과 시트 하우징(8) 사이에 조립되는 오-링(12)들과;
상기 패킹 글랜드(19)를 관통한 채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나사구멍(8a)에 조립되어 상기 오-링(12)을 가압함으로써 시트 하우징(8)의 내부에서 연결관(17)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가압볼트(22)들과;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돌출단(9)의 구멍(10)을 관통한 채 상기 슬리이브(3)의 나사구멍(3a)에 조립되어 시트 하우징(8)을 가압함으로써 밸브 시트(15)를 가압하도록 하기 위한 제1 가압볼트(23)들과;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돌출단(9)의 나사구멍(10a)에 조립된 채 위치고정너트(28a)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정회전을 시키면 시트 하우징(8)을 슬리이브(3)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여 시트 하우징(8)이 밸브 시트(15)에 가하는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한 감압 볼트(28)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색인어] 볼 밸브

Description

볼 밸브{Ball Valve}
.
본 발명은 볼 밸브(Ball valve)에 관한 것인 바, 국소적 누수현상 발생 시 밸브를 분해하여 조치하지 않고 밸브의 몸체 외부에서 차단이 가능한 기능성, 배관으로부터 밸브를 분리시킬 때와 조립시킬 때의 편리성, 밸브에 작용하는 압력변화에 따른 밸브 시트를 가압하거나 감압할 수 있는 기능성, 밸브 시트의 내구성 상승을 위한 기능성, 유지보수의 편리성 등이 종래의 볼 밸브에서는 추구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볼 밸브는, 볼에 구멍을 뚫고 볼에 고정된 축을 회전시켜 배관과 도통되게 하거나 배관을 차단시키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볼 밸브는, 국소적 누수현상 발생 시 밸브를 분해하여 밸브 시트를 교체하여야 하고 본 발명과 같이 밸브의 몸체 외부에서 볼트를 조이면 국소적인 차단이 이루어지는 기능이 없어 불편하고, 배관으로부터 밸브를 분리시킬 때 배관에 고정된 플랜지와 밸브에 고정된 플랜지는 고정형이기 때문에 작업성이 불량하여 불편하며, 본 발명과 같이 밸브에 작용하는 압력변화에 따른 밸브 시트를 가압하거나 감압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누수가 될 확률이 높고, 배관에 고정시킬 때에도 불편함과 아울러 전반적으로 사용성과 유지보수성 등에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볼 밸브로부터 비롯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진보된 볼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몸체(1) 내부에 직립으로 조립되는 상부 축(26)과 하부 축(27)의 사이에 고정되는 개폐용 볼(2)과, 몸체(1)의 상부에 볼트(29)를 통해 조립되는 본넷(25) 및 상기 본넷(25) 위에 설치되는 개폐장치(24)와, 볼(2)의 양쪽에 조립되며 완만한 곡면(5)을 가지고 렌치볼트(7)에 의해 볼(2)과 조립되는 볼 시트(4)와, 볼 시트(4)의 곡면(5)과 접촉 및 대응되는 경사 면(16)을 가지는 밸브 시트(15)가 조립되며 몸체(1)에 고정되는 시트 하우징(8)으로 된 볼 밸브에 있어서,
몸체(1)의 좌우에 대칭으로 고정되며 밸브 시트(15)를 가압하기 위한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들이 조립되는 나사구멍(3a)들이 형성된 슬리이브(3)와;
상기 슬리이브(3)의 안쪽으로 조립되며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가 관통하는 구멍(10)들 및 상기 구멍(10)들의 사이에 위치한 채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0a)들이 형성되도록 한 돌출단(9)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오-링(12)이 조립되는 오-링 삽입홈(11)이 형성되며 오-링 가압볼트(22)들이 조립되는 나사구멍(8a)들을 가지는 원통형의 시트 하우징(8)과;
상기 시트 하우징(8)에 형성된 나사구멍(8a)에 조립되는 오-링 가압볼트(22)들이 관통하는 구멍(21)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 하우징(8)의 외측에 조립되는 패킹 글랜드(19)와;
상기 시트 하우징(8)과 패킹 글랜드(19)의 안으로 조립되며 외측의 단부에는 배관의 플랜지와 연결되는 플랜지(18)가 고정되고, 상기 시트 하우징(8)과 패킹 글랜드(19)의 안으로 삽입되는 연결관(17)과;
상기 하우징(8)의 오-링 삽입홈(11)에 조립되는 오-링(12)과;
상기 패킹 글랜드(19)를 관통한 채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나사구멍(8a)에 조립되며, 패킹 글랜드(19)가 상기 오-링(12)을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압축팽창되는 오-링(12)의 가압력에 의해 연결관(17)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오-링 가압볼트(22)들과;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돌출단(9)의 구멍(10)을 관통한 채 상기 슬리이브(3)의 나사구멍(3a)에 조립되어 시트 하우징(8)을 볼 시트(4) 쪽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슬리이브(3)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들과;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돌출단(9)의 나사구멍(10a)에 조립된 채 위치고정너트(28a)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위치고정너트(28a)를 풀고 미세하게 정회전을 시키면 시트 하우징(8)을 슬리이브(3)로부터 미세하게 빠져나오도록 하여 시트 하우징(8)의 밸브 시트(15)가 볼 시트(4)의 곡면(5)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국소적 누수현상 발생 시 볼 밸브를 분해하여 밸브 시트를 교체하지 않고 볼 밸브의 몸체 외부에서 볼트를 조이면 국소적인 차단이 이루어지는 기능과, 이동이 자유로운 연결관을 적용하여 배관라인으로부터 볼 밸브를 분리시킬 때와 배관라인에 볼 밸브를 조립시키기가 편리한 기능과, 볼 밸브에 작용하는 압력변화에 따른 밸브 시트를 가압하거나 감압할 수 있어 누수현상을 미연에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과, 밸브 시트의 내구성이 크게 상승되는 기능과, 유지보수성이 뛰어난 기능 등을 갖추고 있어 종래의 볼 밸브에서 비롯된 다수의 문제를 해결하는 진보된 볼 밸브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8을 기준하여 오-링 가압볼트(22)와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가 나타나도록 절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를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볼 밸브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8을 기준하여 오-링 가압볼트(22)와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가 나타나도록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5를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6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오-링 가압볼트(22)와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의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근거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첫째 연결관(17)이 시트 하우징(8) 내부에서 즉, 도3을 기준하여 좌우로 이동이 되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연결관(17)이 위치이동을 할 수 있게 되면 연결관(17)의 플랜지(18)와 배관라인의 플랜지(미 도시함)를 조립시킬 때, 오-링 가압볼트(22)들을 풀어서 오-링(12)이 연결관(17)에 가하고 있는 압력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연결관(17)을 시트 하우징(8) 안으로 끝까지 삽입시킨 후, 배관라인의 플랜지 사이에 본 발명의 볼 밸브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연결관(17)을 시트 하우징(8)으로부터 다시 빼내어 배관라인의 플랜지와 연결관(17)의 플랜지(18)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매우 간단하며 편리하게 조립을 시킬 수가 있는 것이고, 이후 오-링 가압볼트(22)들을 다시 조이면 패킹 글랜드(19)가 오-링(12)을 가압하여 오-링(12)이 압축되면서 팽창되도록 하여 오-링(12)이 연결관(17)을 강하게 잡아주도록 함에 따라 연결관(17)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살피면, 종래에는 볼 밸브를 배관라인의 플랜지에 조립시킬 때 본 발명과 같이 연결관(17)의 구성이 없기 때문에 배관라인의 플랜지 사이에 볼 밸브의 플랜지를 정확하게 맞추어 삽입시키기가 어렵고, 배관라인의 플랜지 사이에 볼 밸브를 위치시킨 다음, 배관라인의 플랜지와 볼 밸브의 플랜지 사이에 패킹이나 얇은 철판을 중복되게 끼워서 볼 밸브를 조립시키거나 별도의 플랜지 고정형 관체를 더 만들어서 끼워 넣는 등의 비합리적이고 불편하며 정확도가 저조하고 불안전한 작업을 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관(17)을 위와 같은 요령에 따라 배관라인의 플랜지와 조립을 시킨 후 다시 오-링 가압볼트(22)들을 조이면 패킹 글랜드(19)가 오-링(12)을 가압하기 때문에 그 위치에서 연결관(17)은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오-링(12)은 시트 하우징(8) 안에서 연결관(17)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과 함께 시트 하우징(8)과 연결관(17) 사이 그리고 시트 하우징(8)과 패킹 글랜드(19)의 구멍(20) 사이의 조립 틈새를 통해 누수현상(누유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시트 하우징(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단(9)의 구멍(10)을 관통하여 슬리이브(3)의 나사구멍(3a)에 조립된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들의 조임력에 슬리이브(3)에 고정됨과 동시에 밸브 시트(15)를 볼 시트(4)의 곡면(5)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볼 시트(4)의 곡면(5)과 시트 하우징(8)의 경사 면(14) 사이의 틈새를 통해 볼 밸브의 몸체(1) 안으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위와 같이 몸체(1) 안으로 누수현상이 발생될 경우 배관라인의 플랜지로부터 연결관(17)의 플랜지(18)를 분리시키고 본 발명의 볼 밸브를 배관라인으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킨 다음, 오-링 가압볼트(22)를 풀어서 연결관(17)을 시트 하우징(8)으로부터 분해를 한 후 시트 하우징(8)의 내부를 살피게 되면, 밸브 시트(15)의 어떤 위치에서 누수가 발생되는지를 알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누수가 발생되는 지점을 확인하면 그 부분을 확인하고, 누수발생지점 및 그 주위의 위치에 조립되어 있는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들을 더욱 강하게 조여주면 그 부분의 밸브 시트(15)는 볼 시트(4)의 곡면(5)에 더욱 강한 압력을 가하게 되어 누수현상을 차단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심한 누수현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밸브 시트(15)를 교체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데,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상술한 것처럼 배관라인으로부터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볼 밸브를 분리시켜 밸브 시트(15)를 교체할 수 있고, 배관라인에 다시 본 발명의 볼 밸브를 조립시킬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신속하고 정확하며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인데, 이는 본 발명의 상술한 연결관(17)의 구성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 본 발명의 도7을 살피면 시트 하우징(8)의 나사구멍(10a)에는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가 조립되어 있는데, 이것은 위치고정너트(28a)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어서 살피면,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의 끝 부분은 도7과 같이 슬리이브(3)의 세로 면(3b)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고정너트(28a)를 풀고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를 시계방향으로 조이면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는 슬리이브(3)의 세로 면(3b)에 접촉된 채 미세한 각도만큼 회전을 하지만 세로 면(3b)에 의해 전진을 할 수가 없으므로 결국 시트 하우징(8)을 슬리이브(3)로부터 미세하게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됨에 따라 시트 하우징(8)은 슬리이브(3)로부터 미세한 거리를 빠져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 시트(15)가 볼 시트(4)의 곡면(5)에 가하고 있는 압력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시트 하우징(8)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을 한 후 다시 위치고정너트(28a)를 조이면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는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시트 하우징(8)의 조정된 위치가 그 자리에서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밸브 시트(15)가 볼 시트(4)의 곡면(5)에 가하게 되는 압력을 가장 적정한 수준으로 미세하게 조절을 할 수가 있게 되어 시트 하우징(8)의 밸브 시트(15)가 볼 시트(4)에 가하는 압력을 자유롭게 미세조정을 수가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볼 밸브에 평상 시 이상의 큰 압력이 걸려야 할 경우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를 이용하여 밸브 시트(15)를 볼 시트(4)의 곡면(5)에 더욱 강하게 밀착시킬 수가 있고, 평상 시(時)의 압력으로 환원될 경우 또는 저압용으로 사용할 경우 밸브 시트(15)가 볼 시트(4)의 곡면(5)에 가하는 압력을 낮추어 적정한 압력만이 작용토록 할 수 있어 결국 밸브 시트(15)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트 하우징(8)은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들에 의하여 슬리이브(3)에 고정이 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를 위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미세한 각도로 정회전을 시켜 시트 하우징(8)의 위치를 위와 같이 미세조정을 할 수 있는 이유를 살피면, 시트 하우징(8)이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에 의해 슬리이브(3)에 고정은 되어 있지만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의 나사산과 슬리이브(3)의 나사구멍(3a)은 조립공차가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를 정회전을 시키면 시트 하우징(8)은 미세한 거리 즉, 예로써 1/100mm 내지 5/100mm의 범위 이내에서 움직일 수가 있는 것인 바, 이와 같이 미세한 거리로 시트 하우징(8)이 이동을 하더라도 밸브 시트(15)가 볼 시트(4)의 곡면(5)에 가하는 압력은 충분히 미세하게 조절이 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밸브 시트(15)에 경사 면(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 시트(4)에도 곡면(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시트 하우징(8)이 매우 미세하게 이동이 된다고 하여도 밸브 시트(15)의 경사 면(16)과 볼 시트(4)의 곡면(5) 사이에는 압력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15)가 볼 시트(4)의 곡면(5)에 가하는 압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인데, 볼 밸브의 시트 하우징(8)의 밸브 시트(15)와 볼 시트(4)의 곡면(5) 사이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은 제곱 mm 당 수 십 Kg에서 수 백 Kg의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위와 같이 시트 하우징(8)의 미세한 거리이동에 의해서도 밸브 시트(15)와 볼 시트(4)의 곡면(5) 사이에 작용하는 접촉압력이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의 정회전 방향으로의 회전각도와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의 조임압력을 서로 잘 맞추기만 하면 본 발명의 시트 하우징(8)의 밸브 시트(15)와 볼 시트(4)의 곡면(5)에 작용하는 접촉압력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있어 밸브 시트(15)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에 따라 누수현상을 합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면의 미 설명 부호 (6)과 (13)은 패킹이다.

Claims (1)

  1. 몸체(1) 내부에 직립으로 조립되는 상부 축(26)과 하부 축(27)의 사이에 고정되는 개폐용 볼(2)과, 몸체(1)의 상부에 볼트(29)를 통해 조립되는 본넷(25) 및 상기 본넷(25) 위에 설치되는 개폐장치(24)와, 볼(2)의 양쪽에 조립되며 완만한 곡면(5)을 가지고 렌치볼트(7)에 의해 볼(2)과 조립되는 볼 시트(4)와, 볼 시트(4)의 곡면(5)과 접촉 및 대응되는 경사 면(16)을 가지는 밸브 시트(15)가 조립되며 몸체(1)에 고정되는 시트 하우징(8)으로 된 볼 밸브에 있어서,
    몸체(1)의 좌우에 대칭으로 고정되며 밸브 시트(15)를 가압하기 위한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들이 조립되는 나사구멍(3a)들이 형성된 슬리이브(3)와;
    상기 슬리이브(3)의 안쪽으로 조립되며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가 관통하는 구멍(10)들 및 상기 구멍(10)들의 사이에 위치한 채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가 조립되는 나사구멍(10a)들이 형성되도록 한 돌출단(9)을 가지고, 안쪽으로는 오-링(12)이 조립되는 오-링 삽입홈(11)이 형성되며 오-링 가압볼트(22)들이 조립되는 나사구멍(8a)들을 가지는 원통형의 시트 하우징(8)과;
    상기 시트 하우징(8)에 형성된 나사구멍(8a)에 조립되는 오-링 가압볼트(22)들이 관통하는 구멍(21)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 하우징(8)의 외측에 조립되는 패킹 글랜드(19)와;
    상기 시트 하우징(8)과 패킹 글랜드(19)의 안으로 조립되며 외측의 단부에는 배관의 플랜지와 연결되는 플랜지(18)가 고정되고, 상기 시트 하우징(8)과 패킹 글랜드(19)의 안으로 삽입되는 연결관(17)과;
    상기 하우징(8)의 오-링 삽입홈(11)에 조립되는 오-링(12)과;
    상기 패킹 글랜드(19)를 관통한 채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나사구멍(8a)에 조립되며, 패킹 글랜드(19)가 상기 오-링(12)을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압축팽창되는 오-링(12)의 가압력에 의해 연결관(17)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오-링 가압볼트(22)들과;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돌출단(9)의 구멍(10)을 관통한 채 상기 슬리이브(3)의 나사구멍(3a)에 조립되어 시트 하우징(8)을 볼 시트(4) 쪽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슬리이브(3)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시트 하우징 고정 및 가압볼트(23)들과;
    상기 시트 하우징(8)의 돌출단(9)의 나사구멍(10a)에 조립된 채 위치고정너트(28a)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위치고정너트(28a)를 풀고 미세하게 정회전을 시키면 시트 하우징(8)을 슬리이브(3)로부터 미세하게 빠져나오도록 하여 시트 하우징(8)의 밸브 시트(15)가 볼 시트(4)의 곡면(5)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트 하우징 위치조정용 볼트(28)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KR1020100096595A 2010-10-01 2010-10-01 볼 밸브 KR10127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95A KR101275444B1 (ko) 2010-10-01 2010-10-01 볼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595A KR101275444B1 (ko) 2010-10-01 2010-10-01 볼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533A KR20120034533A (ko) 2012-04-12
KR101275444B1 true KR101275444B1 (ko) 2013-06-17

Family

ID=4613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595A KR101275444B1 (ko) 2010-10-01 2010-10-01 볼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4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2931A (ko) * 1987-04-21 1988-11-29 원본미기재 볼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2931A (ko) * 1987-04-21 1988-11-29 원본미기재 볼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533A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39104B1 (no) Stangkonnektorsammenstilling, ventilspindelkonnektorsammenstilling, fremgangsmåte for å redusere friksjonen mellom en ventilspindelsammenstilling og et ventilpakningssett og en reguleringsventilsammenstilling
US20080078460A1 (en) Positioning Device for Pressure Regulator
US20100270490A1 (en) Anti-gradient cupped seat for pressure regulator
NO20111038A1 (no) Aktuator med et overstyringsapparat
RU1210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а при ремонте шарового крана под давлением
KR20100133931A (ko) 고감도보호통용 대용량 연결관의 신축조절구조
KR101275444B1 (ko) 볼 밸브
JP4585432B2 (ja) 圧接継手およびこれを用いた水道配管機器の取付けユニット
KR20170003601U (ko) 신축조절기능을 가진 수도미터기하우징
JP2008014495A (ja) ねじ嵌合用クイックカップリング
US5878490A (en) Method for connecting piping system components with limited clearance for stud tensioner
US20130098473A1 (en) Tool for Removing and Installing Plugs and Method of Operation
JP5412864B2 (ja) 高圧水素ガス用の遮断弁
JP5631518B1 (ja) 水栓蛇口
JP2011169600A (ja) 水道メータ設置ユニット
RU22015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ны задвижек под давлением
JP5095381B2 (ja) 管接続部材の脱着装置
ITMI20110029A1 (it) Dispositivo di collegamento per bombole di varie forme e dimensioni
JP6809990B2 (ja) マニホールド型流体制御装置
RU209845U1 (ru) Клапан обратный газовый
CN216382807U (zh) 一种阀杆调整结构
CN211059422U (zh) 一种新型浮动式安全阀结构
JP5222549B2 (ja) 管接続部材の脱着装置
JP4326551B2 (ja) 逆止弁
KR200310699Y1 (ko) 밸브의 증압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