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853B1 -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853B1
KR101274853B1 KR1020110097480A KR20110097480A KR101274853B1 KR 101274853 B1 KR101274853 B1 KR 101274853B1 KR 1020110097480 A KR1020110097480 A KR 1020110097480A KR 20110097480 A KR20110097480 A KR 20110097480A KR 101274853 B1 KR101274853 B1 KR 10127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input signal
external de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671A (ko
Inventor
차성웅
Original Assignee
차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웅 filed Critical 차성웅
Priority to KR102011009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8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37Direct connection machines, e.g. completely connected computers, point to point communica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말 및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1 단말은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입력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SYSTEM AND TERMINAL DEVICE SHARING THE INPUT DEVI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단말 장치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
이동 통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중화가 이루어져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휴대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휴대폰이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단순히 이동 중에 음성 통화를 하는 기능만이 중요시 되었으나,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에 일정 관리 기능, 카메라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등 새로운 기능이 휴대폰의 기능에 부가되어, 휴대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서 일상에서의 필수품이 되었다.
특히, 스마트 폰이 보급됨에 따라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의 소셜 네트워크 및 메신저 사용이 보편화되어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경우가 많은데, 회사에서 업무 중에 별도로 휴대폰을 조작하게 되어 업무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집적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컴퓨터가 점차 소형화, 고성능화, 저렴화되면서, 데스크탑 컴퓨터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고 휴대가 용이한 노트북, 태블릿 PC,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PC를 함께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마트 폰, PDA, 스마트 TV 등을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별로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외부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입력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별도의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점에서 사용자의 불편이 큰 실정이다.
예를 들어, 노트북에서 문서 작업을 하고 있는 도중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 사용자와 실시간 문자 대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나 전화를 수신 거부 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별도로 조작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또는 터치 패드를 별도로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마트 TV를 이용하여 방송 시청 중에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리모콘 또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검색식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말 장치간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공유하기 위한 단말 장치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말, 및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1 단말은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입력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는, 입력 장치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기설정된 신호가 발생하면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외부 장치 중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 경우에,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신호가 발생하면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외부 장치 중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 경우에,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말 장치간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사무실, 집 등에서 특정 단말 장치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장치를 공유하기 위한 단말 장치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 장치간 키보드를 공유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 장치간 마우스를 공유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에서 입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조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 개의 단말 장치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컴퓨터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 이외에 애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폰, 스마트 TV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래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은 입력 장치(300), 상기 입력 장치(3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말(100) 및 상기 제 1 단말(100)이 수신한 입력 신호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제 2 단말(200)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에서는 제 2 단말(200)을 하나를 도시하였으나, 복수 개의 제 2 단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300)는 터치패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터치 패드(touchpad)는 평판 모양의 센서를 손가락으로 대는 것으로, 마우스 포인터의 조작을 하는 포인팅 장치의 하나이다. 메이커에 따라 슬라이드 패드, 트랙 패드라고도 불린다. 또한, 조이스틱(joystick)은 게임의 콘트롤러라고 불리는 컴퓨터의 입력 장치들 가운데 하나로서, 축을 사용하여 방향을 입력할 수 있으며, 주로 비디오 게임의 제어할 때 개인용 컴퓨터로 상태를 읽을 수 있는 누름 단추를 하나 이상 가지고 있다. 그리고, 포인팅 스틱(pointing stick)은 노트북 컴퓨터에 채용하고 있는 포인팅 장치의 하나이고, 트랙볼(Trackball)은 마우스와 같은 컴퓨터를 제어하는 데 쓰이는 포인팅 장치의 일종이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간 상술한 입력 장치를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 2 단말(200)이 제 1 단말(100)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단말(200)이 제 1 단말(100)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번호, 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단말(200)은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AP(Access Point),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100)을 선택할 수 있다.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즉, 인터넷규약주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라우터이든 일반 서버이든, 모든 기계는 이 특수한 번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단말(200)은 특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제 1 단말(100)을 검색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특정 IP 주소는 제 1 단말(100)의 IP 주소일 수 있고, 상기 제 1 단말(100)에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단말(100)과 연결된 AP(Access Point)의 IP 주소일 수 있다.
AP는 무선 랜을 구성하는 장치 중 하나로서, 유선 랜과 무선 랜을 연결시켜주는 장치이다. AP는 대체로 독립형 장치로서, 이더넷 허브나 서버에 꽂아 쓸 수 있고 지정된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일반적으로 IP 주소는 유동적으로 변할 수도 있어서, 특정한 단말 장치에 항상 연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 추가적인 식별 번호 또는 위치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단말 장치 즉, 제 1 단말(100)을 선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IP 주소 이외에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1 단말(100)을 선택할 수 있다.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이하 'MAC 주소'라고 함)는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대부분의 네트워크 어댑터(NIC)에 부착된 준고유 식별자로서, 특정한 네트워크 어댑터의 이름같이 동작하는 숫자이다. 즉, MAC 주소는 장비의 고유값이다. 그에 따라, AP의 IP 주소와 제 1 단말(100)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말(100)로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즉,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은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 항법 시스템이다. 항공기, 선박, 자동자 등의 네비게이션 장치에 주로 쓰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에서도 GPS 수신기가 내장되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무선 인터넷과 GPS를 결합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를 이용하여 제 2 단말(200)에서 제 1 단말(100)로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P 주소, MAC 주소 및 GPS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제 2 단말(200)에서 지정된 제 1 단말(100)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컴퓨터와 스마트 폰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회사와 집의 컴퓨터를 제 1 단말(100)로 지정해두고, 스마트 폰을 제 2 단말(200)로 이용하면 특히 유용하다. 집이나 회사에는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을 지정해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사용자의 자신의 스마트 폰을 항상 소지하므로, 집이나 회사에 도착하면 자동으로 스마트 폰이 집이나 회사 내의 개인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에 접속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업무 중에 스마트 폰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없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단말(100)이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1 단말(100)은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한 제 2 단말(200)은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제 2 단말(2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TV 등과 같이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연결하여 쓸 수 없는 단말 장치의 경우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도 입력 신호에 따라 단말 장치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입력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제 1 단말(100), 스마트 폰이 제 2 단말(200)이고 제 1 단말(100)에 연결된 입력 장치(300)가 마우스인 경우를 가정한다. 입력 장치(300)에서 발생한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200)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단말(200)은 마우스 이벤트를 터치 이벤트로 변환함으로써 입력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 과정을 통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고, 공유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제 2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기능블록도로, 도 2를 참조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100)은 유저 인터페이스(110), 공유설정부(120), 컨트롤러(130) 및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 장치(3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10)는 상기 입력 장치(30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데, 입력 장치는 터치패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술한 바이다.
또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장치(300)의 입력 신호를 컨트롤러(13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3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에 따라, 마우스와 같이 포인팅 장치에 해당하는 입력 장치에 대해서는 이차적인 커서를 추가하여 입력 장치 포인터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키보드와 같이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에 대해서는 깜박이는 밑줄 또는 수직선으로 되어 있는 문자 커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유설정부(120)는 입력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설정부(120)에 의해서 입력 장치(300)의 입력 신호를 공유하기로 한 경우에만 제 2 단말(200)로 입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공유설정부(120)에서 입력 장치(300)의 입력 신호를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하여, 제 1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공유설정부(120)에서 공유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공유설정부(120)에서 공유로 설정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가 제 1 단말(100)에서 작용할지 제 2 단말(200)에서 작용할지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30)는 스크린상에서 특정 영역을 설정해두고, 마우스와 같이 포인팅 장치에 해당하는 입력 장치가 특정 영역에서 신호를 발생하면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30)는 스크린상에서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부분 중심으로 들어오는 부분을 특정 영역으로 설정해두고, 마우스가 특정 영역에서 클릭 또는 드래그를 하면 제 2 단말(200)로 그 입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40)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할 수 있고 이를 위해,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40)는 상기 컨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4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30)로 전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 2 단말(200)은 단말선택부(210), 통신부(220), 신호변환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선택부(210)는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IP 주소는 제 1 단말(100)의 IP 주소일 수 있고, 상기 제 1 단말(100)에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단말(100)과 연결된 AP(Access Point)의 IP 주소일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100)이 지정된 IP 주소만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IP 주소만으로 단말을 선택할 수 있으나, 지정된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MAC 주소 또는 무선 인터넷과 GPS를 결합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를 이용하여 제 1 단말(100)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단말선택부(210)에서 제 1 단말(100)을 선택하면, 상기 제 1 단말로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접속이 성공하면 상기 제 1 단말(100)로부터 상기 제 1 단말(100)에 연결된 입력 장치(300)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제 1 단말과 접속 요청 신호 및 입력 신호 등을 송수신하기 위하여 유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통신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근거리 통신인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통신 등이 많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변환부(23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한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200)에서 인식 가능한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 2 단말(200)에서 키보드, 마우스 등에서의 입력 신호에 대하여 컨트롤하는 모듈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변환부(230)는 상기 입력 신호를 제 2 단말(20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한 입력 신호인 마우스 이벤트를 제 2 단말(200)에서 인식 가능한 터치 이벤트로 변환한다거나, 수신한 입력 신호인 키보드 이벤트를 제 2 단말(200)에서 인식 가능한 가상 키보드의 키값에 대한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240)는 입력 신호와 제어 신호의 매칭 테이블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40)는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 장치간 키보드를 공유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단말(100)인 데스크톱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서 작업을 하는 도중에 제 2 단말(200)인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실시간 대화를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입력 장치를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이 공유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없이, 제 1 단말(100)에 연결된 키보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하여 실시간 대화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컴퓨터 작업 중에 사용하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바로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업무 진행의 방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 장치간 마우스를 공유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 1 단말(100)인 데스크톱 컴퓨터를 이용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 2 단말(200)인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거나, 전화를 받거나,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수신 거부를 하거나 하는 등의 다른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가 있다.
실질적으로 스마트 폰을 조작하는 것은 간단한 터치로 가능하지만 제 1 단말(100)의 사용을 멈추고 스마트 폰에 대해서 조작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제 1 단말(100)와 제 2 단말(200)이 입력 장치(300)를 공유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100)에서 사용하던 마우스 포인터(400)를 상기 제 2 단말(200)로 옮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폰을 조작하기 위하여 별도의 터치 등을 수행하는 것보다 훨씬 간편하고 빠르게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로, 제 1 단말과 제 2 단말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설명한다.
제 1 단말에서 외부 장치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공유하기로 설정한다(S500).
제 2 단말은 입력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하고(S510), 상기 제 1 단말로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520). 이때 상기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은 통신할 수 있는 신호가 잡히는 임의의 단말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IP 주소, MAC 주소, GPS 등을 이용하여 특정 단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에서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S530), 상기 입력 신호가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540). 상기 스크린상에서 특정 영역을 설정하여 특정 영역 내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제 2 단말로 입력 신호를 송신한다(S550).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한 제 2 단말은 상기 입력 신호를 제 2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S560).
지금까지는 제 2 단말에서 입력 장치를 공유할 제 1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 1 단말에서 입력 장치를 공유할 제 2 단말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한 것과 동일 및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기능 블록도로, 도 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로서의 제 1 단말을 설명한다. 다만,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600)는 유저 인터페이스(610), 컨트롤러(6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630), 공유설정부(640) 및 메모리(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610)는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데,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패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620)는 기설정된 신호가 발생하면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외부 장치 중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공유설정부(640)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공유 여부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메뉴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상기 공유설정부(640)에서 공유를 설정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50)는 통신 가능한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IP 주소, MAC 주소 및 GPS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620)는 상기 메모리(650)를 참조하여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IP 주소, MAC 주소 및 GP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620)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 경우에,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6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에서 발생한 신호이거나, 기설정된 키값을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즉, 키보드 상에서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가상의 버튼을 누르면 특정 외부 장치로 입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에 해당하는 입력 장치가 스크린상의 특정 영역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면 특정 외부 장치로 입력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영역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에서 입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조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700)의 스크린상에서 영역(710, 720)을 설정하여, 포인팅 장치에 해당하는 입력 장치가 상기 영역(710, 720)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면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므로 특정 외부 장치로 입력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포인팅 장치에 해당하는 포인터도 특정 외부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 개의 단말 장치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을 나누어 영역별로 입력 신호를 전송할 외부 장치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제 1 영역(810a)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 1 외부 장치(810)으로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 장치(800)는 입력 장치를 제 1 외부 장치(810)와 공유한다. 반면에 제 2 영역(820a)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 2 외부 장치(820)로 입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 장치(800)는 입력 장치를 제 2 외부 장치(820)와 공유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단말 장치가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경우, 상기 공유설정부(640)는 상기 입력 장치를 공유할 외부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항상 함께 사용되는 외부 장치들에 대해서 별도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고, 그룹별 사용되는 장소에 대한 GPS 관련 정보, AP의 IP 주소 등도 함께 설정되어 상기 메모리(6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620)는 상기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 중에서 같은 그룹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을 포함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610)를 통해서 선택받은 외부 장치를 특정 외부 장치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장치를 공유할 외부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설정하고, 함께 사용되는 외부 장치들에 대해서 별도의 그룹을 설정하여 관리하면, 공유할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접속하는 시간을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간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로, 도 9를 참조하여 제 1 단말과 제 2 단말간 입력 장치를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 1 단말에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하는 것으로 설정하면(S900),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를 감지한다(S910). 상기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IP 주소, MAC 주소 및 GP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통신 가능한 신호의 존재 유무, 신호의 세기 등으로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가능한 외부 장치 중 특정 외부 장치 즉, 제 2 단말을 선택하여(S920),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930).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S940)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의 공유 여부를 판단하는데(S930), 공유하기로 설정되었는지, 공유를 선택하는 특정 버튼이 눌러졌는지, 공유하기 위한 특정 영역에 마우스 포인터가 존재하는지 등의 방법을 통해 공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가 공유를 해야하는 경우이면,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제 2 단말로 전송한다(S960). 상기 제 2 단말은 수신한 입력 신호를 인식 가능한 제어 신호를 변환(S970)하여 그에 따라 제 2 단말을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 도 10을 참조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한다(S1000).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하는 것으로 설정한 경우 설정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신호의 발생에 따라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감지한다(S1010). 그리고, 감지된 외부 장치 중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한다(S1020).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패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S1020)는 IP 주소, MAC 주소 및 GP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S1030),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지 판단한다(S1040).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스크린 상의 기설정된 영역에서 발생한 신호이거나, 기설정된 키값을 가지는 신호로서, 상기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 경우에, 입력 신호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S1050).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 도 11을 참조하여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에서 설명한 제어 방법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라면, 도 11에서 설명할 제어 방법은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이다.
IP 주소, MAC 주소 및 GP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단말 장치를 선택한다(S1100). 이와 같이 IP 주소, MAC 주소 및 GPS 등을 이용하여 특정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집이나 회사 등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오래 머무는 곳에서 자동으로 단말 장치간 입력 장치를 공유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선택한 단말 장치로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S1110), 상기 선택한 단말 장치와 연결된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를 상기 선택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1120).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가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인식할 수 있는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이때에 상기 변환을 위한 매칭 테이블이나 특정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함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API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따라서, 상기 API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단말 장치에서 제어가능한 명령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력 장치를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말 장치에서도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현재 마우스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없는데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입력 장치가 마우스인 경우에 입력 신호로서 마우스 이벤트가 발생한다. 상기 마우스 이벤트는 마우스가 이동하거나, 마우스의 버튼이 클릭되거나, 마우스 휠이 움직일 때 발생하고,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 장치는 상기 마우스 이벤트에 반응하여 프로그램이나 특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우스 이벤트는 스마트 폰에서 인식할 수 없어 마우스를 공유하기 위하여 마우스 이벤트를 전송해서 스마트 폰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폰에서는 수신한 마우스 이벤트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이나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우스 이벤트를 스마트 폰에서 인식 가능한 터치 이벤트로 전환한다. 마우스의 이동 좌표를 터치 스크린 좌표에 대응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우스 이벤트에 대해서는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및 트랙볼 등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입력 장치가 키보드인 경우 입력 신호로서 키보드 이벤트가 발생하는데, 상기 키보드 이벤트는 키보드의 특정 자판을 눌렀을 때 발생하고, 상기 외부 장치에서는 키보드 이벤트에 반응하여 프로그램이나 특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보드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마트 폰의 가상 키보드에 해당하는 키값과 매칭시키는 방법 등을 통하여 입력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제1단말
200 제2단말
300 입력 장치

Claims (19)

  1.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말; 및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말이 상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 1 단말은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입력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 1 단말은,
    입력 장치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공유설정부,
    상기 공유설정부에서 공유로 설정한 경우에, 상기 접속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로 전송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패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은,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하는 단말선택부;
    상기 선택한 제 1 단말로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통신 가능한 제 1 단말을 선택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6. 입력 장치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설정된 신호가 발생하면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외부 장치 중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컨트롤러;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및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공유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 경우에,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상기 공유설정부에서 공유를 설정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패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통신 가능한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에서 발생한 신호이거나, 기설정된 키값을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
  11. 삭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설정부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를 공유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 중에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거나, 상기 리스트 상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선택받은 외부 장치를 특정 외부 장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
  14. 기설정된 신호가 발생하면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외부 장치 중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가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인 경우에,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특정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외부 장치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외부 장치와 수신한 입력 신호를 공유하는 것으로 설정한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터치패드,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포인팅 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신호는,
    상기 수신한 입력 신호가 스크린상의 기설정된 영역에서 발생한 신호이거나, 기설정된 키값을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addr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4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97480A 2011-09-27 2011-09-27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7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480A KR101274853B1 (ko) 2011-09-27 2011-09-27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480A KR101274853B1 (ko) 2011-09-27 2011-09-27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71A KR20130033671A (ko) 2013-04-04
KR101274853B1 true KR101274853B1 (ko) 2013-06-13

Family

ID=4843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480A KR101274853B1 (ko) 2011-09-27 2011-09-27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397A (ko) * 2022-10-27 202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609A (ko) * 2002-08-31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20080008001A (ko) * 2006-07-19 2008-01-23 윤해진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080071780A (ko) * 2007-01-31 2008-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유입력장치
JP2011040072A (ja) 2009-08-18 2011-02-24 Sony Corp 無線コンピュータマウスのための無線通信及び全地球測位を行う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609A (ko) * 2002-08-31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20080008001A (ko) * 2006-07-19 2008-01-23 윤해진 입출력수단의 공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080071780A (ko) * 2007-01-31 2008-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유입력장치
JP2011040072A (ja) 2009-08-18 2011-02-24 Sony Corp 無線コンピュータマウスのための無線通信及び全地球測位を行う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71A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326B2 (en)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EP3029889B1 (en)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and device thereof
US9386428B2 (en) Call forwarding apparatus and method
US8116686B2 (en) Instant message audio conn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959296B1 (ko)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156321B1 (ko) 발견된 디바이스 리스트를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1203280B1 (ko) 주위 장치들에 기초한 장치 동작
EP24374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service zone
US20120190379A1 (en) Intelligent Management of Location Sensor
KR20160033138A (ko) 다수의 sim 카드에 대한 지능형 유저 인터페이스
KR20160033137A (ko) 입력 인자의 풍부한 상황을 지원하는 지능형 sim 선택
US201202587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Establishing A Data Session Via An Ad Hoc Wireless Network For A Scheduled Meeting
KR20150040128A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에 의한 BLE(Bluetooth Low Energy) 패킷 브로드캐스트 방법, 디바이스에 의한 AP(application processor)의 동작 모드 조절 방법
KR20140104858A (ko)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방법 및 장치
EP25646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services outside of cellular coverage
CN103634643A (zh) 遥控智能电视卸载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JP6074041B2 (ja) 共通アカウントでの通信サービス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WO2019196253A1 (zh) 一种组网方法及设备
KR1021170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274853B1 (ko) 입력 장치를 공유하는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015692A (ja) 通信アプリケーション間の状態情報共有・処理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EP252347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establishing a data session via an ad hoc wireless network for a scheduled meeting
WO2022178938A1 (zh) 一种小区驻留控制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2738857A (zh) 网络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JP2017135607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