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296B1 -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296B1
KR101959296B1 KR1020120079840A KR20120079840A KR101959296B1 KR 101959296 B1 KR101959296 B1 KR 101959296B1 KR 1020120079840 A KR1020120079840 A KR 1020120079840A KR 20120079840 A KR20120079840 A KR 20120079840A KR 101959296 B1 KR101959296 B1 KR 10195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nection
contact
contact information
community servic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263A (ko
Inventor
강지영
김경화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96B1/ko
Priority to CN201310311664.5A priority patent/CN103581426A/zh
Priority to EP13177689.0A priority patent/EP2690845A1/en
Priority to US13/948,556 priority patent/US20140024362A1/en
Publication of KR2014001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하나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contact object)가 제공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원하는 컨택트 오브젝트를 지정한 후 휴대단말을 사용자 귀에 대는 제스처가 감지될 시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대방과의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가 변화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ALLING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간단한 제스처(gesture)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단말은 음성통화, 영상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 재생, 동영상 재생, 인터넷, 전자상거래, 음악 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친구 찾기 서비스, 메신저, 사전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은 음성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단말 사용자와 음성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휴대단말에서는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폰북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통화 연결을 명령(즉, 발신을 요청하는 통화 버튼)을 입력할 시 입력되거나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대 휴대단말로 통화 연결을 위한 시그널을 발신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단말은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 시그널에 따라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통상의 휴대단말의 사용자는 통화 연결을 위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통화 로그(call log)가 기록된 리스트, 폰북 리스트 및 메시지 리스트 등에서 통화 연결을 희망하는 항목을 검색하여 선택하고, 이후 입력된 전화번호 또는 선택된 전화번호로 발신을 요청하는 통화 버튼을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화 연결 동작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 또는 선택하는 과정을 걸친 후 통화 버튼을 입력하는 과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특히, 휴대단말의 소형화로 인해 통화 버튼의 크기도 작아지는 실정에서 상기의 통화 버튼 입력에 따른 불편함은 더욱 부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화 버튼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상관없이 버튼이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 의도와는 상관없이 통화 발신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일대일 또는 일대다 채팅 기반의 SNS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채팅 기반의 SNS를 사용하는 중에 일대일 채팅 환경에서 상대방 또는 일대다 채팅 환경에서 특정 상대방에게 통화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그 절차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와 B 사용자가 SNS를 이용한 채팅 중에, A 사용자가 B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상기 B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선택한 후 통화 버튼에 의한 통화 연결을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A 사용자와 B 사용자가 SNS를 이용한 채팅 중, A 사용자가 B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위해서는, 채팅 창에 보이는 사용자 식별 아이템을 선택하여 서브메뉴(1:1 대화, 통화, 음성쪽지 등의 부가 기능) 팝업 창을 화면 상에 나타내고, 상기 팝업 창에서 통화 탭(예컨대, 통화 아이콘, 또는 상대방 전화번호 아이콘 등)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SNS를 사용하는 중에 별도의 팝업 창을 표시한 상태에서, 팝업 창의 여러 메뉴들 중 통화 탭을 선택하는 반복적인 입력 행위가 이루어져 하며, 특히 여러 메뉴들 중 통화 탭 외에 다른 기능의 탭이 잘못 선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기존 방식에서는 채팅 중인 상대방에 대한 전화번호가 휴대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화 연결 자체를 지원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자동으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특정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자동으로 통화 연결을 처리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제스처만으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의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위한 발신이 자동 실행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가 제공되고 있을 때, 통화 연결을 원하는 컨택트 오브젝트가 지정되고 휴대단말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제스처가 감지될 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지정된 컨택트 오브젝트의 연락처 정보를 외부로부터 자동 획득하고,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통화 연결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휴대단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가 변화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 표시 및 휴대단말의 자동 통화 연결 수행 시 관련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한 자동 통화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 선택이 일정 유지되면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하나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지정한 후 간단한 사용자 제스처만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컨택트 오브젝트에서 통화 연결을 원하는 상대방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간편한 동작을 통해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하나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가 제공되고 있을 때, 통화 연결을 원하는 컨택트 오브젝트가 지정되고 휴대단말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제스처가 감지될 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이면서 사용성이 높은 통화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도, 사용자 입장에서 반복적인 입력 절차 없이도 간단한 제스처만으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과 자동으로 통화 연결을 위한 발신이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택트 오브젝트가 지정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자동 통화 연결을 실행함에 따라, 잘못된 통화 연결의 오류를 줄여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가 휴대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자동 통화 연결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택트 오브젝트의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외부로부터 자동 획득하고,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통화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해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통화를 발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통화 연결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이 지원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연락처 정보 획득에 의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에 의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세 변화에 대응하는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커뮤니티 서비스 타입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인터넷 통화 또는 셀룰러 통화에 의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하나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contact object)가 제공되고 있을 때,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원하는 컨택트 오브젝트를 지정한 후 휴대단말을 사용자 귀에 대는 제스처가 감지될 시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대방과의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외부(예컨대, 컨택트 서버)로부터 자동 획득하고,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며, 사용자 이름, 닉네임, 전화번호, 메일 주소, 사용자 이미지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정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는 휴대단말 내부에서 상기 컨택트 정보에 매핑되는 연락처 정보를 가지거나, 또는 외부의 컨택트 서버에서 상기 컨택트 정보에 매핑되는 연락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과 그의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과 그의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저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센서부(170), 제어부(CONTROLLER)(180), 그리고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단말과 다른 휴대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5), 위치 산출 모듈(117), 그리고 방송 수신 모듈(1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통화 신호, 화상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1)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전송되는 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푸시(push)되는 푸시 정보 등의 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internet) 접속 및 다른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link)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 휴대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 랜(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113)은 본 발명의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기능 운용과 관련된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산출 모듈(115)은 휴대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위치 산출 모듈(115)은 3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산출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휴대단말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수신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휴대단말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9)은 방송 채널(예컨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예컨대,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 및/또는 상기 방송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 등)를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휴대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휴대단말이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모드가 실행되는 과정에서 통화 연결 및 통화 연결에 대해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운용되는 표시부(130)의 화면 예시에 대해 후술될 것이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13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이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touchscreen)'이라 칭함)에, 표시부(1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13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13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미도시)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표시부(130)의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8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SPK)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SPK)는 휴대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예컨대, 통화 연결 수신, 통화 연결 발신, 메시지 수신, 음악 파일 재생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마이크(MIC)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MIC)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전화번호(연락처 정보),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컨택트(contact)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에는 휴대단말 기능 운용에 따른 사용 빈도(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사용빈도, 전화번호, 메시지,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빈도 등), 중요도 및 우선순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5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pattern)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 또는 XD 카드)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은 인터넷 상에서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170)는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 근접(또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70)는 휴대단말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170)는 다양한 센서들(예컨대,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71),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173),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175))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70)를 항상 동작시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의되는 사용자 설정, 본 발명의 자동 통화 연결 기능 개시 시점,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센서부(170)가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170)는 하나의 칩(chip)에 복수의 센서들(예컨대, 가속도 센서(171), 지자기 센서(173), 근접 센서(175))이 일체화되거나, 또는 복수의 센서들이 별도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70)는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70)는 상기 가속도 센서(171), 지자기 센서(173), 그리고 근접 센서(175)를 비롯하여,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그리고 타이머(timer)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사용자 제스처 기반 통화 연결 기능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실행하고 관련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contact object)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될 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의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을 위한 자동 발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가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외부(예컨대, 컨택트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과 관련된 일련의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외부로부터 연락처 정보가 획득될 시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을 위한 자동 발신을 제어하고, 통화가 종료될 시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상기 저장부(150)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것과 관련된 일련의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한 자동 통화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 표시,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입력 수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가 변화되는 입력 수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 획득, 그리고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복수인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연락처 정보를 결정하여 자동 통화 연결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 영상통화 연결 또는 자동 음성통화 연결 수행을 제어할 수 잇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휴대단말의 자동 통화 연결 개시 시 실행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인터넷 통화 지원 여부, 인터넷 통화 지원 시 설정된 우선순위의 통화 방식, 그리고 전계 상황을 고려하여 자동 통화 연결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랩톱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 제어 방법은 디지털 TV(Digital Television), DS(Digital 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 등과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20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채팅 기반 커뮤니티, 피드 기반 커뮤니티, SNS(예컨대,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싸이월드(Cyworld), 카카오톡(kakao Talk) 등) 기반 커뮤니티, 웹(web) 기반 커뮤니티, 리스트(예컨대, 메시지 리스트, 콜 리스트) 기반 커뮤니티, 사진 기반 커뮤니티, 그리고 메일 기반 커뮤니티 등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에 대응된 실행 화면이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03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들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2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앞서와 같이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될 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2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를 분석하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의 컨택트 정보(예컨대, 사용자 이름, 닉네임, 전화번호, 메일 주소, 사용자 이미지 등)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추출된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락처 정보 획득은 상기 컨택트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이름, 닉네임 등을 이용하여 저장부(150) 검색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택트 정보를 통해 전화번호가 검출될 시 검출된 전화번호를 연락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부(150) 및 상기 컨택트 정보에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전화번호가 검출되지 않을 시 외부(예컨대, 컨택트 서버 등)와 연동하여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정보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가 획득될 시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209단계). 즉, 제어부(180)는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수신처로 하고, 상기 수신처에 대응하는 상대 휴대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 발신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 중 채팅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가 실행되고 그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제공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 3 내지 도 6에서 채팅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한 동작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피드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SNS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웹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리스크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사진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그리고 메일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가 실행된 상태에서도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3은 휴대단말이 채팅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실행중일 때의 휴대단말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채팅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를 실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에 채팅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의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특정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선택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채팅 중인 상대방을 나타내는 컨택트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고 터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발생되는 제스처 이벤트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을 사용자 귀에 대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5는 휴대단말의 사용자가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사용자 귀에 대는 제스처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컨택트 오브젝트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 이벤트(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상기 도 5와 같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한 입력(터치)을 일정 유지하면서, 휴대단말의 자세를 변화하는 제스처 이벤트(예컨대, 휴대단말을 사용자 귀에 가져가는 동작)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은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통해 상기 선택 이벤트가 입력될 시 휴대단말의 자세 측정을 위한 센서부(170)(예컨대, 가속도 센서(171), 지자기 센서(173), 근접 센서(175))에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에 따른 상기 제스처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센서부(170)(예컨대, 가속도 센서(171))는 휴대단말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가속도 센서(171)가 3축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면,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휴대단말이 기울어지는 자세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5의 예시에서, 휴대단말은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통해 상기 선택 이벤트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상기 제스처 이벤트가 입력될 시 상기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컨택트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제스처 수행 시 휴대단말의 파지 형태에 따라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입력된 터치가 해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선택 이벤트가 입력되고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제스처 이벤트가 입력되어 통화 연결을 위한 발신 기능이 개시되면, 컨택트 오브젝트의 선택이 해제(즉, 터치 이벤트 입력이 해제)되더라도 개시된 발신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휴대단말을 귀에 가져다 대는 제스처 동작 시 파지 형태의 변화에 따라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계속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한 컨택트 오브젝트의 일정 유지 후 해제하는 것에 따라 사용자의 파지 형태를 자유롭게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연결 과정이 진행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통화 연결의 계속 진행 여부 또는 부가 기능(예컨대, 스피커폰 모드 전환 기능, 뮤트(mute) 기능)의 제어를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휴대단말은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획득되면, 도 6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즉, 상기 도 5에 나타낸 휴대단말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은 선택 이벤트 및 제스처 이벤트 입력에 따라 상기 도 6과 같이 전환된다.
즉, 제어부(180)는 앞서와 같이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선택 이벤트 입력)에 의해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 입력(제스처 이벤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도 6과 같은 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도 4와 같은 휴대단말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은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 6과 같이 통화 연결을 위한 발신 화면으로 전환된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자동 통화 연결 진입 이전에 실행 중이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통화 발신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도 6과 같이 통화 연결 진행에 따른 통화 발신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 진행 종료, 스피커폰 모드 전환, 뮤트, 그리고 홀드 등과 같은 부가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이 지원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채팅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비롯하여, SNS(예컨대, 페이스북)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도 7), 웹(예컨대, 뉴스피드, 웹페이지)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도 8, 도 9), 리스트(예컨대, 메시지 리스트, 콜 리스트)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도 10, 도 11), 메일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도 12), 그리고 사진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도 13) 등과 같이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이 지원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SNS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는 통화 연결을 희망하는 컨택트 오브젝트를 지정하고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제스처만으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의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위한 발신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은 SNS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컨택트 오브젝트가 제공되고 있을 때, 컨택트 오브젝트가 지정되고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컨택트 오브젝트의 연락처 정보를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 리스트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 그리고 메일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도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 및 사용자 제스처에 따라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진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이미지(예컨대, 얼굴 이미지)로 구성된 컨택트 오브젝트들 중 통화 연결을 희망하는 컨택트 오브젝트(예컨대, 얼굴 이미지)를 지정하고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제스처만으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의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위한 발신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은 사진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컨택트 오브젝트가 제공되고 있을 때, 컨택트 오브젝트가 지정되고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에 따른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컨택트 오브젝트의 연락처 정보를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획득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진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와 같은 경우에서는, 제어부(180)는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 작업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컨택트 오브젝트가 지정되고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될 시, 사용자가 지정하는 영역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해당 영역의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얼굴 인식을 통해 얼굴의 특징을 분석하고,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분석된 얼굴의 특징에 대응하는 데이터(예컨대, 각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컨택트 정보)를 비교 검색하여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14에서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가 휴대단말의 저장부(150)에 없는 경우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외부(예컨대, 컨택트 서버)를 통해 획득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140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앞서 도 3 내지 도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커뮤니티 서비스의 실행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에 대응된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403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들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14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앞서와 같이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될 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고(1407단계) 저장부(150)에 상기 컨택트 정보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14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를 분석하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의 컨택트 정보(예컨대, 사용자 이름, 닉네임, 전화번호, 메일 주소, 사용자 이미지 등)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추출된 컨택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부(150)를 검색하여, 상기 컨택트 정보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한 절차에 따라 휴대단말의 저장부(150) 내에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면(1409단계의 YES), 상기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1411단계).
제어부(150)는 상기한 절차에 따라 휴대단말의 저장부(150) 내에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1409단계의 NO),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를 외부의 컨택트 서버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1413단계). 이때, 제어부(150)는 설정된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컨택트 서버와 연동(또는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모듈(111) 또는 무선 랜 모듈(113)을 통해 상기 컨택트 서버와 접속하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로부터 추출된 상기 컨택트 정보에 대한 연락처 정보 검색을 컨택트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컨택트 서버는 상기 컨택트 정보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예컨대, 컨택트 정보 DB)를 검색하여 그의 결과를 휴대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된 연락처 정보가 상기 컨택트 서버로부터 획득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141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의 컨택트 정보 기반의 연락처 정보 검색 요청에 대한 컨택트 서버의 응답으로부터 연락처 정보가 획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컨택트 서버로부터 연락처 정보가 획득되지 않을 시(1415단계의 NO), 에러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14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선택된 컨택트 정보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없음을 통지하는 에러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정보는 화면을 통한 팝업 메시지 출력 및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 오디오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feedback)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메시지 및 음성 오디오와 같은 시각 및 청각적 피드백을 비롯하여, 진동과 같은 촉각적 피드백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컨택트 서버로부터 연락처 정보가 획득될 시(1415단계의 YES),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1419단계).
제어부(150)는 상기 자동 통화 연결 시 또는 상기 자동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가 종료 시에 상기 컨택트 서버로부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저장부(150)에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142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획득된 연락처 정보에 대해 자동 저장 여부를 사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획득된 연락처 정보의 자동 저장 설정 시 그 저장 시점으로 자동 통화 연결 시 백그라운드 처리에 의한 저장, 통화 종료 시 백그라운드 처리에 의한 저장, 그리고 통화 종료 시 사용자 선택에 의한 저장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50)는 외부로부터 획득된 연락처 정보에 의한 자동 통화 연결 처리 시 상기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의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획득된 연락처 정보 저장 시 상기 연락처 정보와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택트 오브젝트의 컨택트 정보를 매핑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15에서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매핑된 연락처 정보가 복수인 경우에 설정된 방식에 따른 어느 하나의 연락처 정보를 결정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자그이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1501단계). 여기서, 상기 연락처 정보 검색은 휴대단말의 저장부(150) 검색 또는 외부 컨택트 서버와의 연동에 의한 검색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연락처 정보 검색에 따라 연락처 정보가 획득될 시(1503단계)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복수인지 판단할 수 있다(1505단계). 여기서,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는 휴대단말의 저장부(150)로부터의 획득되는 연락처 정보이거나, 또는 외부의 컨택트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획득되는 연락처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하나인 경우(1505단계의 NO),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1507단계).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복수인 경우(1505단계의 YES), 획득된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 중 우선순위를 판단하고(1509단계), 최 우선순위에 따른 연락처 정보를 자동 통화 연결을 위한 연락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15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대표번호로 설정된 연락처 정보를 최 우선순위의 연락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 중 대표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최상단의 전화번호를 최 우선순위의 연락처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 중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최 우선순위의 연락처 정보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락처 정보의 우선순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전화번호를 최 우선순위의 연락처 정보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 중 자동 통화 연결을 위한 최종 연락처 정보가 결정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정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1513단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16에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자동 통화 연결 시 센서부(170)를 통해 감지되는 휴대단말의 상태(또는 자세) 변화에 따른 상태 정보에 따라 자동 음성통화 연결을 수행하거나, 또는 자동 영상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상기 도 16에서는 자동 통화 연결을 위한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 검출 시, 검출된 휴대단말의 상태(자세) 변화 타입을 식별(예컨대,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동작, 또는 휴대단말의 전면을 바라보는 동작 구분)하고, 상태(자세) 변화 타입에 따라 영상통화 자동 발신 또는 음성통화 자동 발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고(1601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603단계).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또는 자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16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앞서와 같이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될 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16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저장부(150) 또는 외부 컨택트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 타입을 판단(예컨대,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동작 또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전면을 바라보는 동작 구분)하여(1609단계),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복합 정보 검출에 의한 상태 변화인지 또는 단일 정보 검출에 의한 상태 변화인지 판별할 수 있다(16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제스처에 의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센서부(170)의 복수의 센서들에 의한 복합 정보가 검출되는지 또는 센서부(170)의 단일 센서에 의한 단일 정보가 검출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정보는 가속도 센서(171) 또는 지자기 센서(173)에 의한 제1 상태정보와 근접 센서(175)에 의한 제2 상태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일 정보는 가속도 센서(171) 또는 지자기 센서(173)에 의한 제1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센서부(170)를 통해 휴대단말의 위치가 변화하는 위치 상태정보와 휴대단말에 특정 물체(예컨대, 사용자 인체(얼굴))의 근접에 의해 조도가 변화하는 근접 상태정보 등과 같이 적어도 2개의 상태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복합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오브젝트를 지정한 상태에서 휴대단말을 귀에 대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80)는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센서부(170)를 통해 휴대단말의 위치가 변화하는 위치 상태정보와 같이 하나의 상태정보가 전달될 시 상기 단일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오브젝트를 지정한 상태에서 휴대단말을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부(130)를 바라보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 타입이 복합 정보에 의한 상태 변화가 아니면(1611단계의 NO) 즉, 단일 정보에 의한 상태 변화이면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이 영상통화 기능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1613단계). 제어부(180)는 자동 영상통화 연결을 결정하면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영상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1615단계).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자동 영상통화 연결 시도에 따른 관련 정보 피드백을 제공하고(1617단계),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61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영상통화 연결 시도 중임을 알리는 관련 화면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관련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부가 기능(예컨대, 영상 대체, 영상통화 연결 시도 종료, 뮤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 타입이 복합 정보에 의한 상태 변화이면(1611단계의 YES)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이 음성통화 기능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1621단계). 제어부(180)는 자동 음성통화 연결을 결정하면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음성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1623단계).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자동 음성통화 연결 시도에 따른 관련 정보 피드백을 제공하고(1625단계),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61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음성통화 연결 시도 중임을 알리는 관련 화면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관련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부가 기능(예컨대, 스피커폰 모드 전환, 음성통화 연결 시도 종료, 뮤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17에서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외부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을 위한 동작인지를 구분하고, 외부 통화 연결 요청을 위한 동작이 아닌 경우 커뮤니티 서비스 타입(예컨대, 일대일 커뮤니티 서비스, 일대다 커뮤니티 서비스)에 따라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고(1701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가 변화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703단계).
제어부(180)는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시 외부 다른 휴대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 중인지 판별할 수 있다(1705단계). 즉, 상기 외부 다른 휴대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위한 발신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1705단계의 YES)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통화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1707단계), 상기 다른 휴대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1709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휴대단말을 사용자 귀에 대는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통화 연결 요청을 자동 수락하여 통화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이 없는 경우(1705단계의 NO)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1711단계).
제어부(180)는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가 있으면(1711단계의 YES), 1719단계로 진행하여 이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선택된 오브젝트가 없으면(1711단계의 NO), 커뮤니티 서비스 타입을 판단하여(1713단계), 현재 실행 중인 커뮤니티 서비스가 일대일 커뮤니티 서비스인지 또는 일대다 커뮤니티 서비스인지 판별할 수 있다(1715단계).
제어부(180)는 실행 중인 커뮤니티 서비스가 일대다 커뮤니티 서비스인 것으로 결정하면(1715단계의 NO) 설정 방식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17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설정 방식에 대응하여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각 상대방을 지시하는 복수의 컨택트 오브젝트들 중 가장 최근의 이벤트 발생의 주체인 컨택트 오브젝트의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설정 방식에 대응하여 복수의 컨택트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연락처 정보들을 획득하여 다자간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설정 방식에 대응하여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지 않았음을 통지하는 것과 같이 자동 통화 연결을 위한 컨택트 오브젝트 선택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설정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무시하고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 방식은 자동 통화 연결 기능 운용에 대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행 중인 커뮤니티 서비스가 일대일 커뮤니티 서비스인 경우 상기 컨택트 서비스 화면에서 제공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고(1719단계),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1721단계).
한편, 상기에서는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만약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가 복수인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복수의 컨택트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연락처 정보들을 획득하고, 획득된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을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자동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18에서는 휴대단말의 자동 통화 연결 개시 시 실행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인터넷 통화 지원 여부, 인터넷 통화 지원 시 설정된 우선순위의 통화 방식(인터넷 통화 또는 셀룰러 통화 우선), 그리고 전계 상황을 고려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터넷 통화를 지원하고 무선 랜에 따른 전계 상황이 좋은 환경(신호 세기가 강한(설정된 기준치 이상) 환경)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터넷 통화를 지원하고 무선 랜에 따른 전계 상황이 좋지 않은 환경(신호 세기가 약한(설정된 기준치 미만) 환경)에서는 그 전계 상황에 따라 보다 원활한 통화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고(1801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803단계).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18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앞서와 같이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70)를 통해 사용자 제스처가 감지될 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18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저장부(150) 또는 외부 컨택트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연락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타입을 판단하여(1809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터넷 통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1811단계). 예를 들어, 채팅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의 경우 해당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인터넷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반면, 웹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의 경우 별도의 통화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타입을 판별하여 인터넷 통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터넷 통화를 지원하지 않을 시(1811단계의 NO)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반의 셀룰러 통화 연결을 자동 시도할 수 있다(1825단계).
제어부(180)는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터넷 통화를 지원할 시(1811단계의 YES) 설정된 우선순위의 통화 연결 방식을 확인하여(1813단계), 인터넷 통화 우선인지 또는 셀룰러 통화 우선인지 판별할 수 있다(1815단계).
제어부(180)는 설정된 우선순위의 통화 연결 방식이 셀룰러 통화 연결인 경우(1815단계의 NO)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반의 셀룰러 통화 연결을 자동 시도할 수 있다(1825단계).
제어부(180)는 설정된 우선순위의 통화 연결 방식이 인터넷 통화 연결인 경우(1815단계의 YES) 인터넷 기반의 전계 상황(즉, 무선 랜에 따른 수신신호 세기에 의한 전계 상황)을 체크하여(1817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1819단계).
제어부(180)는 인터넷 기반의 전계 상황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1819단계의 NO)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반의 셀룰러 통화 연결을 자동 시도할 수 있다(1825단계).
제어부(180)는 인터넷 기반의 전계 상황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1819단계의 YES)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통화 연결을 자동 시도할 수 있다(1821단계).
제어부(180)는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통화 연결 또는 이동통신 기반의 셀룰러 통화 연결 시도에 따른 관련 정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182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인터넷 통화 연결 시도 시 표시부(130)를 통해 인터넷 통화 연결 시도 중임을 알리는 관련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셀룰러 통화 연결 시도 시 표시부(130)를 통해 셀룰러 통화 연결 시도 중임을 알리는 관련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각 통화 연결 방식에 대한 화면과 함께 부가 기능(예컨대, 통화 연결 시도 종료, 뮤트, 스피커폰 모드 전환 등)을 제어하기 위한 관련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무선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저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센서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함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저장부에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연락처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를 외부의 컨택트 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해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복수인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연락처 정보를 결정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복수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하나이면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복수이면 상기 획득된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 중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 중 자동 통화 연결을 위한 최종 연락처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연락처 정보들 중 대표번호, 최상단의 전화번호, 이동통신 전화번호, 그리고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최종 연락처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함에 응답하여 자동 영상통화 연결 또는 자동 음성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복합 정보에 의한 상태 변화인지 또는 단일 정보에 의한 상태 변화인지 판별하는 과정;
    상기 단일 정보에 의한 상태 변화이면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영상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복합 정보에 의한 상태 변화이면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음성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의 자동 통화 연결 개시 시 실행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인터넷 통화 지원 여부, 인터넷 통화 지원 시 설정된 우선순위의 통화 방식, 그리고 전계 상황을 고려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터넷 통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터넷 통화를 지원하지 않을 시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반의 셀룰러 통화 연결을 자동 수행하는 과정;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터넷 통화를 지원할 시 설정된 우선순위의 통화 연결 방식이 인터넷 통화 우선인지 또는 셀룰러 통화 우선인지 판별하는 과정;
    상기 설정된 통화 연결 방식이 셀룰러 통화 연결인 경우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반의 셀룰러 통화 연결을 자동 수행하는 과정;
    상기 설정된 통화 연결 방식이 인터넷 통화 연결인 경우 인터넷 기반의 전계 상황을 판단하는 과정;
    상기 전계 상황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기반의 셀룰러 통화 연결을 자동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전계 상황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통화 연결을 자동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가 변화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시 외부 다른 휴대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 중인지 판별하는 과정;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따라 통화 연결 요청을 수락하여 상기 다른 휴대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이 없는 경우 현재 실행 중인 커뮤니티 서비스가 일대일 커뮤니티 서비스인지 또는 일대다 커뮤니티 서비스인지 판별하는 과정;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일대일 커뮤니티 서비스인 경우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제공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일대다 커뮤니티 서비스이면 설정 방식에 따른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별하는 과정;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가 있으면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서 선택된 오브젝트가 없으면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가 일대일 커뮤니티 서비스인지 또는 일대다 커뮤니티 서비스인지 판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에 제공된 복수의 컨택트 오브젝트들 중 가장 최근에 이벤트를 발생한 컨택트 오브젝트의 연락처 정보를 이용한 자동 통화 연결, 상기 복수의 컨택트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연락처 정보들을 이용한 다자간 통화 연결, 자동 통화 연결을 위한 컨택트 오브젝트 선택 가이드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서버로부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는
    채팅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피드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웹(web)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리스트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메일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그리고 사진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16. 휴대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휴대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저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함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한 자동 통화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연락처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를 외부의 컨택트 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상태가 변화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감지될 시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가 복수인 경우 우선순위에 따른 연락처 정보를 결정하여 자동 통화 연결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 움직임에 응답하여 자동 영상통화 연결 또는 자동 음성통화 연결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의 자동 통화 연결 개시 시 실행된 커뮤니티 서비스의 인터넷 통화 지원 여부, 인터넷 통화 지원 시 설정된 우선순위의 통화 방식, 그리고 전계 상황을 고려하여 자동 통화 연결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0. 통화 연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함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연락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된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과정은,
    저장부에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연락처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저장부에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컨택트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연락처 정보를 외부의 컨택트 서버와 연동하여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120079840A 2012-07-23 2012-07-23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95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840A KR101959296B1 (ko) 2012-07-23 2012-07-23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CN201310311664.5A CN103581426A (zh) 2012-07-23 2013-07-23 用于在电子装置中发起呼叫的方法和设备
EP13177689.0A EP2690845A1 (en) 2012-07-23 2013-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call in an electronic device
US13/948,556 US20140024362A1 (en) 2012-07-23 2013-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call in a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840A KR101959296B1 (ko) 2012-07-23 2012-07-23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263A KR20140013263A (ko) 2014-02-05
KR101959296B1 true KR101959296B1 (ko) 2019-03-18

Family

ID=4887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840A KR101959296B1 (ko) 2012-07-23 2012-07-23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24362A1 (ko)
EP (1) EP2690845A1 (ko)
KR (1) KR101959296B1 (ko)
CN (1) CN1035814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290B1 (ko) 2014-02-14 2021-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그룹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07650B1 (ko) * 2014-03-06 2020-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시지의 송수신 신호 및 통화 요청에 관한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US10075588B2 (en) * 2015-10-15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communication events
US10827064B2 (en) 2016-06-13 2020-11-03 Google Llc Automated call requests with status updates
US10560575B2 (en) * 2016-06-13 2020-02-11 Google Llc Escalation to a human operator
US10582262B2 (en) * 2016-06-30 2020-03-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atellite video content delivery system
CN107635055B (zh) * 2016-07-19 2020-06-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通话状态的提示方法及装置
CN108900469B (zh) * 2018-05-31 2021-03-19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连接进度页面展示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WO2020211082A1 (zh) * 2019-04-19 2020-10-22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呼叫方法、呼叫终端及存储装置
US11468893B2 (en) 2019-05-06 2022-10-11 Google Llc Automated calling system
US11158321B2 (en) 2019-09-24 2021-10-26 Google Llc Automated calling system
CN114631300A (zh) 2020-03-20 2022-06-14 谷歌有限责任公司 由自动化助理代表人类参与者进行半委托呼叫
CN112035202B (zh) * 2020-08-25 2021-11-2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好友活跃信息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303749B1 (en) 2020-10-06 2022-04-12 Google Llc Automatic navigation of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tree on behalf of human user(s)
USD1033444S1 (en) 2021-11-24 2024-07-02 Waymo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7865A1 (en) * 2007-07-13 2009-0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aking calls using the preferred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3732A1 (en) * 2002-10-22 2012-07-05 Sullivan Jason 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sources and interactivity in computer systems
KR100585839B1 (ko) * 2004-02-27 2006-06-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아이알씨 연동을 통한 채팅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CN100592703C (zh) * 2007-04-06 2010-02-24 华为技术有限公司 呼叫控制的方法及电路交换域适配器及终端设备
US9241063B2 (en) * 2007-11-01 2016-01-19 Google Inc. Methods for responding to an email message by call from a mobile device
CN100586211C (zh) * 2007-11-28 2010-01-27 杭州东信北邮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客户端模块实现实名呼叫业务的方法和系统
KR20090058073A (ko) * 2007-12-04 2009-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101505198B1 (ko) * 2008-08-18 201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526988B1 (ko) * 2008-09-02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통화 제공 방법
CN101720054A (zh) * 2008-10-09 2010-06-02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结合电子地图的实时通讯方法及其电子装置
US8370762B2 (en) * 2009-04-10 2013-02-05 Cellco Partnership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KR101624920B1 (ko) * 2009-11-16 2016-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US8131298B1 (en) * 2009-12-04 2012-03-06 Advanced Ground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of providing a cellular phone/PDA communication system
CN102196080A (zh) * 2010-03-05 2011-09-21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移动电话及其自动接听来电的方法
US8358977B2 (en) * 2010-04-22 2013-0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 of mobile computing device sensors to initiate a telephone call or modify telephone operation
US20110276924A1 (en) * 2010-05-10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context links
KR20120010057A (ko) * 2010-07-23 2012-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 착발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20012552A (ko) * 2010-08-02 201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 호 제어 방법
US9754326B2 (en) * 2011-11-10 2017-09-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gregate provider for social activity feeds and contact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7865A1 (en) * 2007-07-13 2009-0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aking calls using the preferred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81426A (zh) 2014-02-12
US20140024362A1 (en) 2014-01-23
EP2690845A1 (en) 2014-01-29
KR20140013263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296B1 (ko) 휴대단말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EP3982247A1 (en) Screen proj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20522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 in electronic device
EP267268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83703B1 (ko) 친구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214894B1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task-performing subjects
US8547342B2 (en) Gesture-based delivery from mobile device
KR1017153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375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34069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US1045549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32097B1 (ko) 음성을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40099589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5024393A1 (zh) 发送短信的方法、装置及终端
US201501633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009055A (ko)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200729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9525A (ko) 통신 메시지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15083B1 (ko) 전자 장치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12639A (ko) 라디오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CN112380588B (zh) 隐私信息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120015679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통화 요율 안내 방법
KR101599856B1 (ko) 이동 단말기, 차량에 부착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5822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463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