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767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767B1
KR101274767B1 KR1020110118355A KR20110118355A KR101274767B1 KR 101274767 B1 KR101274767 B1 KR 101274767B1 KR 1020110118355 A KR1020110118355 A KR 1020110118355A KR 20110118355 A KR20110118355 A KR 20110118355A KR 101274767 B1 KR101274767 B1 KR 10127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display device
display
optical len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969A (ko
Inventor
문병섭
허진녕
박범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7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는 LED 램프소자와 연결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외면부와 함입 형성되는 내면부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렌즈부의 내면부의 표출각 조정부에 의해 정보 인지자의 가시거리 내에 표출면이 형성되도록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하고, 상기 LED 광원의 파장 종류에 따라 최대의 광도를 가지도록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LED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집광시킴으로써 표출면과 운전자를 기준으로 50m ~ 200m 지점에 광축을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이 향상되고 발광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광원의 파장 종류에 따른 밝기가 최대가 되도록 광학렌즈의 형상 및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광도 설계가 가능하고, 일반 렌즈에 비해 약 2배의 광효율이 발생하므로 일반렌즈에 비해 50%의 소비전력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GLASS ASPERIC LENS FOR DISPLAY DEVICE AND LE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칩 LED의 광원을 광원렌즈의 파장별 굴절을 이용하여 개선하고 칩 LED에서 발산되는 빛을 집광시키는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LED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 램프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전광판은 표지판 전면부에 부착되는 LED 램프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홍보정보, 안내정보, 지시정보 및 기상정보 등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광판은 LED 광원부, 제어 컨트롤러부, 구동 소프트 웨어, 기구물 및 부속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전광판에 사용되는 LED 광원부는 빨강(R), 초록(G), 파랑(B) 램프형 LED를 적용하여 칼라를 구현하고 있으며 이는 3색의 LED를 각각 1개씩 적용하여 모듈로 구성할 수 있고, 3색의 LED를 각각 다른 수량으로 적용하여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듈에 적용되는 램프형 LED는 상하좌우 각각 30도, 45도, 50도 등으로 집광되어 빛을 발산하므로 원거리에서 시인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LED 소자는 소자 자체의 저렴한 비용과, 적은 소비전력 및 적절한 휘도 등과 같은 장점을 가지므로 대형 전광판의 픽셀소자로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다양한 칼라를 구현하기 위하여 최소 3개의 램프를 적용하여야 하므로 크기가 커지고 회로구현이 복잡하며 선명도가 떨어지고 내구년한이 지나 폐기할 때 폐기물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칩 LED를 적용하여 전광판을 구성한다. 칩 LED는 1개 칩에 빨강(R), 초록(G), 파랑(B)색이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빛이 발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로구현이 용이하고 색상 표출 능력이 우수하며 폐기물이 적게 나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LED 전광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판(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운전자의 가시거리(a)는 표출면과 운전자를 기준으로 50m ~ 200m 지점에 광축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LED 전광판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발산각도는 50°~ 55°로 형성되므로 원거리 표출시 광량이 감소되어 운전자의 가시거리 내에서 광을 집중하여 발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가시거리 내에 광량이 집중되지 못하면, LED 전광판의 발광효율이 감소하고, 운전자가 명확하게 전광판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전광판(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LED 전광판에서 발산되는 빛의 발산각도가 조정되도록 광학렌즈의 형상 및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칩 LED는 빨강(R), 초록(G), 파랑(B)의 3가지 색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3가지 색상은 파장대별로 밝기가 최대한 되는 발산각도가 각각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광학렌즈의 형상 및 구조 설계시 이를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렌즈의 발산각도를 하향 조정하여 발광 면적을 집중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시야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장에 따른 밝기가 최대가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렌즈의 구조 및 형상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는 LED 광원의 표출각을 조정하는 비구면 광학렌즈에 있어서, LED 램프소자와 연결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외면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면으로부터 함입되고, 정보 인지자의 가시거리 내에 표출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하고, 상기 LED 광원의 파장 종류에 따라 최대의 광도를 가지도록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하는 내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면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면으로부터 함입된 부분의 형상에 따라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하는 표출각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출각 조정부는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 40°, 상측 방향으로 + 10°, 하측 방향으로 - 40°의 범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출각 조정부는 다수개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에 따라 구획되는 다수개의 구획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획면은 상기 빨강(R) 광원에 대응되는 제1 구획면; 상기 초록(G) 광원에 대응되는 제2 구획면;및 상기 파랑(B) 광원에 대응되는 제3 구획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출각 조정부는 상기 3개의 구획면에 따라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빨강(R)에 의한 표출각을 75°내지 95°로 형성하고, 초록(G)에 의한 표출각을 80°내지 100°로 형성하고, 파랑(B)에 의한 표출각을 95°내지 105°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획면은 상기 제1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1)와 상기 제3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3)는 동일하고, 상기 제2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2)는 제1 구획면 및 제3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1, L3)에 비해 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획면은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면으로부터의 상기 제1 구획면의 함입 깊이(h1)가 상기 제3 구획면의 함입 깊이(h3)와 동일하고, 상기 제2 구획면(132)의 함입 깊이(h2)가 상기 제1 구획면 및 상기 제3 구획면의 함입깊이(h1, h3)에 비해 더 길도록 형성되는(h1 = h3 < h2)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를 포함하고, LED 소자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다수개의 LED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LED 램프 유닛으로부터 종래에 상하 55°로 발산되는 광을 상측 20°, 하측 40°로 집광시킴으로써 표출면과 운전자를 기준으로 50m ~ 200m 지점에 광축을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이 향상되고 발광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광원의 파장 종류에 따른 밝기가 최대가 되도록 광학렌즈의 형상 및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광도 설계가 가능하며, 일반 렌즈에 비해 약 2배의 광효율이 발생하므로 일반렌즈에 비해 50%의 소비전력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광판의 효율적인 가시거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배면도.
도 8은 도 4의 측면도.
도 9는 도 4의 종축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횡축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에 의한 표출각을 보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에 의한 실험결과를 보인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렌즈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LED 전광판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전광판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다수개의 격자 구조가 형성되고, 각 격자 구조에는 LED 램프 유닛(2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바람직하게는 150mm * 75mm의 직사각형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LED 램프 유닛(20)은 가로 8개, 세로 4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고, 이러한 모듈을 다수개로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전광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LED 램프 유닛(20)은 일반적인 칩 LED 램프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LED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선이 형성된 배선기판; 상기 배선 기판 상에 실장되는 칩 LED 램프 소자; 상기 칩 LED 램프 소자의 외형을 보호하는 외부 캡;및 상기 외부 캡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칩 LED 램프 소자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집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LED 램프 유닛(20)에서 비구면 광학렌즈(100)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9에는 상기 비구면 광학렌즈(100)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비구면 광학렌즈(100)는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렌즈의 구면수차를 조정할 수 있고 렌즈가 구면이 아닌 광학용 비구면 렌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100)는 칩 LED 램프와 같은 광원에 의한 표출각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칩 LED 램프 소자가 제조상의 한계로 인해 상/하의 표출각이 동일하게 제조되어 정보 인지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표출각이 존재함으로써, 정보 인지자의 인지 범위를 벗어난 표출각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100)는 이러한 인지범위를 벗어난 상측 표출각을 하향 조정하고, 좌우로 불필요하게 방사되는 빛을 집중시켜 광효율을 높임으로써 정보 인지자가 보다 명료하게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칩 LED 램프소자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 in chip LED(SMD TYPE)은 표출각이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좌우 ± 60°, 상하 ± 60 °의 범위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100)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표출각을 조정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운전자의 가시거리 내에 표출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각기 다른 파장의 RGB 색상을 구현하는데, 각 파장에 따른 최대 광도 효과를 볼 수 있는 표출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비구면 광학렌즈(100)를 구성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100)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비구면 광학렌즈(100)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구면 광학렌즈(100)는 칩 LED 램프소자의 외부 캡에 장착되는 플레이트부(110)와 상기 플레이트부(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렌즈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10)와 렌즈부(120)는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어느 일면을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부(120)를 성형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10)에는 LED 램프 유닛(20)에 결합되기 위한 돌기와 같은 결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20)는 상기 플레이트부(110)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비구면 렌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20)는 상기 플레이트부(110)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외면부(121)와, 상기 플레이트부(110)로부터 함입형성되는 내면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외면부(1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외면부(121)는 비구면 렌즈의 특성상 정확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진 않는다.
상기 내면부(123)는 상기 외면부(121)의 내측면으로써, 상기 외면부(121)와의 사이에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면부(123)에는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할 수 있는 표출각 조정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표출각 조정부(130)는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하여 정보 인지자의 가시거리 내에 표출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RGB 파장별 특성에 따라 최대의 광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표출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출각 조정부(130)는 정보 인지자의 가시거리 내에 표출면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좌우 ± 40°, 상 + 10°, 하 - 40°로 형성시킨다. 상기 표출각 조정부(130)의 표출각은 상기 내면부(123)와 광원까지의 거리, 상기 내면부(123)의 면적, 곡률각도, 형상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출각 조정부(130)에 의해 RGB 파장별로 최대의 광도 효과를 내기 위하여, 상기 표출각 조정부(130)는 다수개의 구획면(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면(131, 132, 133)은 광원의 파장 종류에 따라 표출각을 달리하도록 형성된다. 먼저, 빨강(R)에 의한 표출각은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75°내지 95°로 형성되고, 초록(G)에 의한 표출각은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80°내지 100°로 형성되고, 파랑(B)에 의한 표출각은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95°내지 105°로 형성될 때, 각 파장별로 최대의 광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광원의 표출각이 일정 범위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구획면(131, 132, 133)이 각각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면(131, 132, 133)은 광원의 파장 종류(RGB)에 따라 일측으로부터 제1 구획면(131), 제2 구획면(132), 제3 구획면(13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면(131)은 빨강(R) 광원에 대응되고, 상기 제2 구획면(132)은 초록(G) 광원에 대응되고, 상기 제3 구획면(133)은 파랑(B) 광원에 각각 대응된다. 만약, 광원의 파장 종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그에 따라 구획면의 대응 갯수도 상이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구획면(131)의 종방향 길이(L1)와 상기 제3 구획면(133)의 종방향 길이(L3)는 동일하고, 상기 제2 구획면(132)의 종방향 길이(L2)는 제1 구획면(131) 및 제3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1, L3)에 비해 길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후면으로부터의 상기 제1 구획면(131)의 함입 깊이(h1)는 상기 제3 구획면(133)의 함입 깊이(h3)와 동일하고, 상기 제2 구획면(132)의 함입 깊이(h2)는 상기 제1 구획면(131) 및 상기 제3 구획면(133)의 함입깊이(h1, h3)에 비해 더 길다(h1 = h3 < h2).
다만, 상기에서 언급한 각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 및 함입깊이는 상기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 파장의 특성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구획면(131, 132, 133)의 형상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표출각이 파장 종류에 따라 각각 일정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100)를 이용하여 빨강(R)에 의한 표출각이 75°내지 95°로 형성되고, 초록(G)에 의한 표출각이 80°내지 100°로 형성되고, 파랑(B)에 의한 표출각이 95°내지 105°로 형성됨으로써, 각 파장별로 최대의 광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100)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좌우 ± 40°, 상 + 10°, 하 - 40°로 조정함으로써, 좌우 ± 20°, 상 + 50°, 하 - 20°에 해당하는 인지범위를 벗어난 광을 모아서 발광함으로써 동일 전력의 밝기에 비해 약 2 배의 광 효율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100)에는 일정간격으로 부식처리(메쉬처리)될 수 있다. 상기 비구면 광학렌즈(100)에 부식처리가 되면, 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부식처리 부분을 통과하면서 좌/우/상/하로 분산되면서 산란되기 때문에 왜란 및 눈부심 현상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를 이용한 휘도 시험결과는 이하와 같다.
아래의 표 1은 3in Chip LED를 이용하여 3 가지 광원 파장에 따른 광학렌즈별 휘도 실험 결과이다.
Figure 112011089708716-pat00001
(단위 : cd/M2)
표 1에 기재된 실험결과는 CS-1000 MINOLTA SPECTRORADIO METER 라는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휘도 결과로서, 광원파장별로 본 발명에 의한 광학렌즈를 미사용한 경우와, 투명 렌즈를 사용한 경우와, 메쉬처리된 부식 렌즈를 사용한 경우에서의 색좌표 및 휘도값을 정면, 10°기울기, 20°기울기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표 1에 나타난 실험결과를 보다 간략하게 나타낸 결과값이 아래의 표 2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11089708716-pat00002
상기 표 1, 표 2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광원 파장에 따라 약 1.42 배 ~ 약 2.42 배 정도로 광효율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부식처리된 비구면 광학렌즈와 부식처리되지 않은 비구면 광학렌즈는 광원파장에 따라 26% ~ 36%의 광효율이 감소되는 현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부식강도를 10% 정도로 했을 때, 16% ~ 26%의 광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비구면 광학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보 인지자의 가시거리를 벗어난 광을 모아 발광하게 되므로 동일 전력의 밝기에 비해 약 2배의 광효율이 발생하므로 일반렌즈에 비해 50%의 소비전력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LED 램프 유닛
100 : 광학렌즈 110 : 플레이트부
120 : 렌즈부 121 : 외면부
123 : 내면부 130 : 표출각 조정부
131 : 제1 구획면 132 : 제2 구획면
133 : 제3 구획면

Claims (9)

  1. 빨강(R) 광원과 초록(G) 광원 및 파랑(B) 광원을 포함하는 LED 광원의 표출각을 조정하는 비구면 광학렌즈에 있어서,
    LED 램프소자와 연결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외면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면으로부터 함입되고, 정보 인지자의 가시거리 내에 표출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하고, 상기 LED 광원의 파장 종류에 따라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하는 내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면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면으로부터 함입된 부분의 형상에 따라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조정하는 표출각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출각 조정부는 다수개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에 따라 구획되는 다수개의 구획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각 조정부는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표출각을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 40°, 상측 방향으로 + 10°, 하측 방향으로 - 40°의 범위로 형성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면은
    상기 빨강(R) 광원에 대응되는 제1 구획면;
    상기 초록(G) 광원에 대응되는 제2 구획면; 및
    상기 파랑(B) 광원에 대응되는 제3 구획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각 조정부는
    상기 3개의 구획면에 따라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빨강(R)에 의한 표출각을 75°내지 95°로 형성하고, 초록(G)에 의한 표출각을 80°내지 100°로 형성하고, 파랑(B)에 의한 표출각을 95°내지 105°로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면은
    상기 제1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1)와 상기 제3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3)는 동일하고, 상기 제2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2)는 제1 구획면 및 제3 구획면의 종방향 길이(L1, L3)에 비해 길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면은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면으로부터의 상기 제1 구획면의 함입 깊이(h1)가 상기 제3 구획면의 함입 깊이(h3)와 동일하고, 상기 제2 구획면(132)의 함입 깊이(h2)가 상기 제1 구획면 및 상기 제3 구획면의 함입깊이(h1, h3)에 비해 더 길도록 형성되는(h1 = h3 < h2)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9.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를 포함하고, LED 소자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다수개의 LED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18355A 2011-11-14 2011-11-14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7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355A KR101274767B1 (ko) 2011-11-14 2011-11-14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355A KR101274767B1 (ko) 2011-11-14 2011-11-14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969A KR20130052969A (ko) 2013-05-23
KR101274767B1 true KR101274767B1 (ko) 2013-06-17

Family

ID=4866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355A KR101274767B1 (ko) 2011-11-14 2011-11-14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74B1 (ko) 2007-02-20 2007-09-05 주식회사 세코닉스 Led용 집광렌즈
KR20080062086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큐브 및 이를 이용한 평면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
JP2009259448A (ja) 2008-04-14 2009-11-05 Puratekku:Kk 照明モジュール、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0961676B1 (ko) 2009-11-04 2010-06-09 (주) 아주광학 배광을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등용 렌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086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큐브 및 이를 이용한 평면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
KR100756174B1 (ko) 2007-02-20 2007-09-05 주식회사 세코닉스 Led용 집광렌즈
JP2009259448A (ja) 2008-04-14 2009-11-05 Puratekku:Kk 照明モジュール、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0961676B1 (ko) 2009-11-04 2010-06-09 (주) 아주광학 배광을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등용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969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658B1 (ko) 엘이디용 렌즈 및 그것을 사용한 엘이디 표시장치
KR20110109767A (ko) 발광 장치 및 그 렌즈
CN100529879C (zh) 直下式背光模组
CN205450514U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设备
JP2019135512A (ja) 立体表示装置、及び空中立体表示装置
US20140340893A1 (en) Light-guiding structure and light-emitting device
JP2015515110A (ja) つらら型拡散ユニットを搭載するled照明エンジン
KR101208703B1 (ko) 전광판용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전광판
CN106597755A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205069035U (zh) 一种led显示屏显示单元
US8711057B2 (en) Color LED display device without color separation
CN110349501A (zh) 车辆用显示装置
CN101576228A (zh) 发光元件、背光模组与液晶显示装置
KR101395216B1 (ko) 플랙시블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12747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비구면 광학렌즈 및 이를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17007A (ko) Led군집의 배광 제어용 렌즈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led군집 조명
CN203857354U (zh) 增强色彩亮度的四色led矩阵灯
KR101063928B1 (ko)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134876A1 (en) Display apparatus
CN103574504A (zh) 光学透镜及使用该光学透镜的照明器材
KR20140080828A (ko) 발광요소가 회전되는 회전식 등명기
CN106164577B (zh) 光学透镜及用于背光的led灯模块
CN113574312A (zh) 发光设备
US20150055336A1 (en) Pixel structure and display using the same
CN205844703U (zh) 一种新型直下式液晶屏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