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084B1 -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084B1
KR101274084B1 KR1020110041655A KR20110041655A KR101274084B1 KR 101274084 B1 KR101274084 B1 KR 101274084B1 KR 1020110041655 A KR1020110041655 A KR 1020110041655A KR 20110041655 A KR20110041655 A KR 20110041655A KR 101274084 B1 KR101274084 B1 KR 101274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lide
case
guide member
hin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977A (ko
Inventor
김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네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네카
Priority to KR102011004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08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케이스가 본체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레일의 수를 2개로 줄여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롱스트록크형(long stroke type)의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쪽 끝단부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재 또는 본체케이스에 고정되게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고정편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의 일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드케이스와 함께 이동하는 스프링커버와; 상기 슬라이드케이스와 상기 스프링커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 또는 스프링커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커버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중 일정 구간까지 압축되다가 일정 구간을 지나는 지점에서부터 팽창하면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Slide Hinge Module for Porterble Terminal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와 본체케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슬라이딩 운동(sliding)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키패드와 배터리, 메인보드 등이 장착되는 본체케이스에 대해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되는 슬라이드케이스가 수평하게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된 휴대단말기이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개폐 작동은 본체케이스와 슬라이드케이스 사이에 구성되는 힌지모듈에 의해 구현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짧은 이동거리(stroke)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단면도로, 키패드와 메인보드, 배터리 등이 내장되는 본체케이스(1)의 일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a)와, LCD 등의 디스플레이창이 장착된 슬라이드케이스(2)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a)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하는 힌지플레이트(2a)와, 상기 가이드부재(1a)와 힌지플레이트(2a)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이 본체케이스(1)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드케이스(2) 측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사용자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슬라이드케이스(2)를 일방향으로 밀어내면, 슬라이드케이스(2)에 고정된 힌지플레이트(2a)가 본체케이스(1)의 가이드부재(1a)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되, 이 때 상기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케이스(2)가 이동방향으로 가속되는 힘을 받아 반자동으로 슬라이드케이스(2)가 이동하는 구동메커니즘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이동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지만,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되면 스프링(3)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프링(3)을 건드려 고장 등의 원인이 된다.
이에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케이스(1)와 슬라이드케이스(2) 사이에 스프링(3)을 가리는 스프링커버(4)를 설치하여 슬라이드케이스(2)가 기존보다 긴 이동거리로 슬라이딩하여 개방되었을 때 스프링커버(4)에 의해 스프링(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롱스트록크형(long stroke type)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롱스트록크형 슬라이드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의 일단은 이동체인 스프링커버(4) 또는 슬라이드케이스(2)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고정체인 본체케이스(1) 또는 본체케이스(1)의 가이드부재(1a)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양측 가이드부재(1a)의 내측부에 스프링고정편(5)을 설치하여 스프링(3)의 일단부를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롱스트록크형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상기 스프링고정편(5)들에 의해 총 4개의 가이드레일(1b)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에 본체케이스(1)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되었을 때 4개의 가이드 공간(g1, g2)이 형성되어 외관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은 긴 스트록크를 가지며, 슬라이드케이스가 본체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레일의 수를 2개로 줄여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롱스트록크형(long stroke type)의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와 본체케이스 사이에 구성되어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쪽 끝단부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재 또는 본체케이스에 고정되게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고정편과; 상기 슬라이드케이스의 일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드케이스와 함께 이동하는 스프링커버와; 상기 슬라이드케이스와 상기 스프링커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 또는 스프링커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고정편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커버가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중 일정 구간까지 압축되다가 일정 구간을 지나는 지점에서부터 팽창하면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고정편이 가이드부재의 양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일단부가 가이드부재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스프링커버의 양측 단부가 바로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안내되므로 슬라이드케이스에 본체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개방되었을 때, 외부에서 단 2개의 가이드 공간만 보이게 되므로 외관미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편해지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짧은 이동거리(stroke)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긴 이동거리를 갖는 롱스트록크형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개방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적용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들로서, 도 4는 휴대단말기가 닫혀진 상태이고, 도 5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가 본체케이스에 대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방된 상태이고, 도 6은 슬라이드케이스가 개방 상태에서 본체케이스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일부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스프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7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슬라이딩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7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틸팅(tilting)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적용되는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4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2)와 본체케이스(1)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Y축 방향(세로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이고, 도 6은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Z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케이스(1)는 주로 키패드(1a), 배터리(미도시), 메인보드(미도시) 등이 장착되는 구성부이며,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는 전방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2a) 등이 장착되는 구성부이나, 본체케이스(1) 및 슬라이드케이스(2)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하다.
상기 본체케이스(1)와 슬라이드케이스(2) 사이에는 본체케이스(1)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 및 틸팅 운동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본체케이스(1)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0)와,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양쪽 끝단부 외측에 고정되게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고정편(20)과,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게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10)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커버(30)와,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와 스프링커버(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스프링고정편(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커버(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스프링(40)와, 양측단부가 상기 스프링(40)들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커버(30)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스프링(40)들이 회전 운동할 때 Y축 방향으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레버(50)와, 상기 작동레버(50)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작동레버(50)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커버(3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34)을 개폐하는 FPCB커버(6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0)는 기다란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양측 단부에는 'ㄷ'자로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커버(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0)는 상기 본체케이스(1)의 양측 단부 각각에 X축(가로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틸트어셈블리(80) 상에 결합되어 Z축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상기 틸트어셈블리(80)는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에 본체케이스(1)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개방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부재(10)를 X축(가로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본체케이스(1)에 대해 슬라이드케이스(2)가 Z축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틸트어셈블리(80)는 공지의 틸트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틸트어셈블리(80)는 본체케이스(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힌지샤프트(82)와, 상기 힌지샤프트(8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10)의 하면과 결합되는 틸트브라켓(83)과, 상기 힌지샤프트(44)에 고정되게 끼워져 틸트브라켓(83)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와셔(84)와, 상기 힌지샤프트(8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틸트브라켓(83)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85)과, 상기 힌지샤프트(82)에 끼워져 힌지샤프트(82)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캠(85)의 캠면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캠면을 갖는 고정캠(86)과, 상기 고정캠(86)의 일측에서 상기 힌지샤프트(82)에 끼워져 상기 고정캠(86)을 회전캠(85) 쪽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판스프링와셔(87)와, 상기 힌지샤프트(82)의 말단부에 나선 결합되어 상기 판스프링와셔(87)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너트(88)를 포함한다.
상기 틸트어셈블리(80)의 고정브라켓(81)은 상기 본체케이스(1)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플레이트(9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진다.
상기 스프링고정편(20)은 대략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양측 단부, 엄밀히 말하면 가이드부재(10)의 가이드레일(11)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고정편(20)에는 상기 스프링(40)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연결핀(45)이 체결되는 체결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고정편(20)은 가이드부재(10)와 개별체로 만들어진 다음 용접 등에 의해 가이드부재(10)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가이드부재(10)와 일체로 만들어진 후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에서 90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고정편(20)은 가이드부재(10)에 고정되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 외측에서 본체케이스(1) 또는 본체케이스(1)에 고정된 고정구조물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커버(30)는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에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을 구현하는 작용과 함께 슬라이드케이스(2)가 개방되었을 때 스프링(4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스프링커버(30)는 슬라이드케이스(2)의 하면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케이스(2)의 하면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커버(3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 대략 'ㄷ'자형의 가이드홈부(31)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부(31)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0)의 가이드레일(11)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마모성 합성수지 재질의 가이드바아(3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커버(30)의 중앙부에는 본체케이스(1)와 슬라이드케이스(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미도시)이 통과하는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커버(30)의 중앙부에는 상기 FPCB커버(60)의 Y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FPCB커버 가이드(70)가 설치된다. 상기 FPCB커버 가이드(70)에는 상기 스프링커버(30)의 관통홀(34)과 연통되는 개구부(71)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FPCB커버(60)는 양단부가 상기 FPCB커버 가이드(70)의 안내를 받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개구부(71) 및 관통홀(34)을 개폐한다.
상기 스프링(40)은 2개 1조로 구성되며, 스프링커버(30)의 이동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드케이스(2)의 슬라이딩 운동시 스프링커버(3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즉, 상기 스프링(40)들은 스프링커버(30)가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중 일정 구간까지는 압축되다가 일정 구간을 지나는 지점에서부터 팽창하면서 탄성력을 가하여 슬라이드케이스(2)의 반자동 개폐를 구현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스프링(40)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단이 상기 스프링커버(30)에 제1연결핀(45)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프링하우징(42)과, 상기 스프링하우징(42)에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샤프트(44)와, 상기 샤프트(44)에 끼워진 코일 형태의 탄성체(43)와, 일단부가 제2연결핀(46)을 매개로 상기 스프링고정편(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하우징(42) 내측에서 상기 샤프트(44)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43)를 압축시키거나 팽창시키는 피스톤바아(41)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하우징(42)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레버(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48)이 결합되는 레버연결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연결부(47)는 상기 스프링(40)의 전체 길이의 대략 1/2 지점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50)는 상기 스프링(40)의 길이의 1/2 지점에 연결된다.
다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레버(50)는 기다란 바아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 상기 스프링(40)에 연결되는 연결핀(48)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공형의 홀(51)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닫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케이스(2)를 개방하기 위해 슬라이드케이스(2)를 Y축 방향으로 밀면, 도 5 및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에 고정된 스프링커버(30)가 슬라이드케이스(2)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스프링커버(30)의 양단부에 장착된 가이드바아(32)가 가이드부재(10)의 가이드레일(11)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에 연결되어 있는 연성회로기판(미도시)이 슬라이드케이스(2)와 함께 이동하여 펼쳐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커버(30)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40)들이 제1연결핀(4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40)이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40)의 피스톤바아(41)가 스프링하우징(42)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탄성체(43)가 서서히 압축된다.
상기 스프링(40)이 도 13b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바아(41)는 스프링하우징(42)의 최내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고, 탄성체(43)는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위치를 천이점이라 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40)들이 제1연결핀(35)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레버(50)가 Y축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고, 작동레버(50)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FPCB커버(60)가 FPCB커버 가이드(70)의 안내를 받으며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작동레버(50)는 스프링(40)의 길이에 대해 대략 1/2 지점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50)에 고정되어 있는 FPCB커버(60)의 이동거리는 스프링커버(30)의 이동 거리의 대략 1/2이 되고, 스프링커버(30)의 관통홀(34) 및 FPCB커버 가이드(70)의 개구부(71)가 FPCB커버(60)에 의해 점차적으로 가려지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가 천이점을 지나게 되면, 스프링(40)의 피스톤바아(41)가 스프링하우징(42)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체(43)가 팽창하여 축적되어 있던 탄성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케이스(2)의 Y축 방향 이동이 가속된다.
도 13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가 본체케이스(1)에 대해 완전히 슬라이딩되면, FPCB커버(60)는 스프링커버(30)의 관통홀(34) 및 FPCB커버 가이드(70)의 개구부(71)의 대부분을 막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케이스(2)가 개방된 상태에서 연성회로기판(미도시)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를 본체케이스(1)에 대해 끝까지 슬라이딩시켜 개방한 다음, 사용자가 슬라이드케이스(2)에 Z축 방향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도 6과 도 14a 및 1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슬라이드케이스(2)가 틸트어셈블리(80)의 작용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의 배면에는 2개의 가이드 공간(g)이 보이게 되고, 스프링(40)은 스프링커버(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고정편(20)이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스프링(40)의 일단부가 가이드부재(10)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고, 스프링커버(30)의 양측 단부가 바로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안내되므로 슬라이드케이스(2)에 본체케이스(1)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개방되었을 때, 외부에서 단 2개의 가이드 공간(g)만 보이게 되므로 외관미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편해지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1 : 본체케이스 2 : 슬라이드케이스
10 : 가이드부재 11 : 가이드레일
20 : 스프링고정편 30 : 스프링커버
31 : 가이드홈부 32 : 가이드바아
40 : 스프링 41 : 피스톤바아
42 : 스프링하우징 43 : 탄성체
44 : 샤프트 50 : 작동레버
60 : FPCB커버 70 : FPCB커버 가이드
80 : 틸트어셈블리

Claims (6)

  1.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케이스(2)와 본체케이스(1) 사이에 구성되어 본체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케이스의 세로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0)와;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양쪽 끝단부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0) 또는 본체케이스(1)에 고정되게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고정편(20)과;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의 일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에 세로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슬라이드케이스(2)와 함께 이동하는 스프링커버(30)와;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와 상기 스프링커버(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케이스(2) 또는 스프링커버(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고정편(20)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커버(30)가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도중 일정 구간까지 압축되다가 일정 구간을 지나는 지점에서부터 팽창하면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고정편(20)은 'ㄱ'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양단부에는 상기 스프링커버(30)의 양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ㄷ'자형 단면의 가이드레일(1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고정편(20)은 상기 가이드레일(11)의 외측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커버(30)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와 슬라이드케이스(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이 통과하는 관통홀(34)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40)에는 상기 스프링커버(30)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스프링(40)이 회전 운동할 때 스프링커버(30)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레버(50)가 설치되며, 상기 작동레버(50)에는 작동레버(50)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커버(30)의 관통홀(34)을 개폐하는 FPCB커버(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0)은 일단이 상기 스프링커버(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프링하우징(42)과, 상기 스프링하우징에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샤프트(44)와, 상기 샤프트(44)에 끼워진 코일 형태의 탄성체(43)와,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고정편(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다른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하우징(42) 내측에서 상기 샤프트(44)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43)를 압축시키거나 팽창시키는 피스톤바아(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0)는 상기 본체케이스(1)의 양측 단부 각각에 가로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틸트어셈블리(80) 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20110041655A 2011-05-02 2011-05-02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101274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655A KR101274084B1 (ko) 2011-05-02 2011-05-02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655A KR101274084B1 (ko) 2011-05-02 2011-05-02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977A KR20120123977A (ko) 2012-11-12
KR101274084B1 true KR101274084B1 (ko) 2013-06-12

Family

ID=4750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655A KR101274084B1 (ko) 2011-05-02 2011-05-02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0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869A (ko) * 2008-04-16 2009-10-21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100023393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100054425A (ko) * 2008-11-14 2010-05-25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100107645A (ko) * 2009-03-26 2010-10-06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869A (ko) * 2008-04-16 2009-10-21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100023393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100054425A (ko) * 2008-11-14 2010-05-25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100107645A (ko) * 2009-03-26 2010-10-06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977A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6205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及びその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有する携帯端末機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793568B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583989B2 (en) Sliding-type hinge
KR101124792B1 (ko)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1202779B (zh) 滑动/旋转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移动终端
KR20070077542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6008979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716446B1 (ko) 슬라이드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274084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101241450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모듈
KR100866945B1 (ko) 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슬라이드형 휴대단말기
KR10084443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512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10165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152850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1253328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100656893B1 (ko) 핸드폰용 슬라이딩 조립체
KR101035124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모듈
KR100640446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46656B1 (ko) 휴대단말기용 롱스트로크 틸팅 힌지모듈
KR200402997Y1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KR20100044683A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244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