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788B1 - Treating method of hydrous waste - Google Patents

Treating method of hydrous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788B1
KR101272788B1 KR1020110042477A KR20110042477A KR101272788B1 KR 101272788 B1 KR101272788 B1 KR 101272788B1 KR 1020110042477 A KR1020110042477 A KR 1020110042477A KR 20110042477 A KR20110042477 A KR 20110042477A KR 101272788 B1 KR101272788 B1 KR 101272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icklime
waste
containing waste
slaked l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3678A (en
Inventor
신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Publication of KR2011012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6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02F11/14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using calc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6Electrochemical treatment, e.g. electro-oxidation or electro-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오염 성분 함유수 그 밖의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수성 폐기물(1)에 생석회(2)를 접촉시키는 수분저감공정과, 상기 생석회(2)가 흡수 반응하여서 생성한 소석회(3)의 분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2)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구비하면서, 상기 재생공정에서는 소석회(3)와 입상의 가열매체(4)를 가열하도록 하였다. 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 입상의 가열매체를 에어블로하도록 하여도 좋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pollutant-containing water and other water-containing waste, which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reduction step of contacting the quicklime (2) to the water-containing waste (1), and by heating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calcined lime (3) generated by the quicklime (2) absorption reaction reaction quicklime (2) In the regeneration step, the slaked lime 3 and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were heated. In the regeneration step, the granular heating medium may be blown with air.

Description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TREATING METHOD OF HYDROUS WASTE}TREATING METHOD OF HYDROUS WASTE}

본 발명은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water-containing waste.

종래, 현상폐액 등의 폐액(廢液), 소각로의 배기가스 처리수, 사업장 등의 배수(排水), 매립지 침출 배수, 매립 토양의 세정 배수 등에 포함된 방향족계 화합물, 유기염소화합물, 농약, 다이옥신, PCB, 수용성 폴리머 등, 질산이온 등의 난분해성 물질의 전기화학적 산화분해에 관한 출원이 있었다(특허문헌1).Conventionally, aromatic compounds, organic chlorine compounds, pesticides, dioxins, etc. contained in waste liquids, such as developing wastes, wastewater treatment of incinerators, wastewater from workplaces, landfill leachate drainage, and landfill wash water. There has been an application for the electrochemical oxidative decomposition of hardly decomposable substances such as nitrate ions such as, PCB, and water-soluble polymers (Patent Document 1).

이 출원은 폐기물 처리후의 매립지로부터의 침출 배수, 현상폐액, 화학공장의 배수를 비롯한 폐액 또는 배수중의 상기 난분해성 화합물은 종래 널리 이용되고 있는 생물처리법, 응집법으로는 충분히 처리하는 것이 곤란한 점을 감안하여, 높은 전류밀도로 전기분해를 하여 현상폐액 등의 폐액 등을 전기화학적으로 산화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난분해성 물질을 함유하는 폐액 또는 배수를 전해장치 내에 도입하여 높은 전류밀도로 전기분해하여, 폐액 또는 배수에 차아할로겐산 또는 활성 산소를 생성시켜 강력한 산화분해작용을 주어 전해처리수 중의 차아할로겐산은 유기물 등에 접촉하여서 시간 경과에 따라 분해되어서 히드록시 라디칼 등의 활성 산소를 생성하여서 난분해성 화합물을 산화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This application considers tha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treat the hardly decomposable compounds in the waste liquid or the waste liquid, including the leachate drainage from the landfill after waste treatment, the developing waste liquid, the chemical plant drainage, and the conventionally widely used biotreatment and flocculation method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electrochemically oxidatively decomposing waste liquids, such as developing wastes, by electrolysis at a high current density. By electrolysis at a density, hypohalogenic acid or active oxygen is generated in the waste liquid or drainage to give a strong oxidative decomposition effect. It is able to oxidatively decompose hardly decomposable compounds .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분해에 의한 배수의 처리(오염성분을 저감한다)는 제어가 좀처럼 힘든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treatment of wastewater (reducing pollutant components) by electrolysis has a problem that is hard to control.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126860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26860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오염성분 함유수 그 밖의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pollutant-containing water and other water-containing waste, which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than befor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following technical means.

(1)본 발명의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은 함수성 폐기물에 생석회를 접촉시키는 수분저감공정과, 상기 생석회가 흡수 반응하여서 생성한 소석회의 분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구비하면서, 상기 재생공정에서는 소석회와 입상(粒狀)의 가열 매체를 가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The method for treating water-containing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reducing step of contacting quicklime with water-containing waste, and a regeneration step of regenerating quicklime by heating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slaked lime produced by the quicklime absorption reaction. In the regeneration step, the hydrated lime and the granular heating medium are heated.

여기에서, 상기 함수성 폐기물(「고형분」이 주체인 경우나 「수분」이 주체인 경우 등이 있다)로서, 화학공장이나 액정제조공장 등의 공장 배수 등의 오염성분 함유수, 공장이나 주유소 철거지의 A중유·등유 등에 의한 기름 오염 토양이나 그 삼출수, 매실 조미 가공 폐액(높은 COD와 높은 식염농도를 갖는다), 돼지·닭의 분뇨, 그 밖의 가축의 분뇨, 가정의 음식물 쓰레기, 패스트푸드점이나 그 밖의 음식점의 케첩 그 밖의 잔반, 병원의 오염혈액, 어패류의 폐기물, 가축 그 밖의 사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Here, as the water-containing waste (the case where the "solid" is the main subject or the case where the "moisture" is the main subject, etc.), the 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such as wastewater of a factory, such as a chemical plant or a liquid crystal manufacturing plant, a factory or a gas station demolition site Contaminated soil by heavy oil, kerosene, etc., its effluent, plumed seasoning waste (has high COD and high salt concentration), manure of pigs and chickens, manure of other livestock, household food waste, fast food restaurants Examples include ketchup and other residues of restaurants, contaminated blood in hospitals, wastes of fish and shellfish, livestock and other carcasses.

상기 오염성분 함유수의 오염성분으로서, 용매 그 밖의 유기화합물(예를 들면, DMSO, DMAc, DMF, MEA)이나, A중유나 경유 등의 기름 방울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성분의 표시 지표로서, COD, TOC, n-핵산 추출물질, 암모니아태 질소, 질산태 질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Examples of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nt-containing water include oils such as solvents and other organic compounds (for example, DMSO, DMAc, DMF, MEA), A heavy oil, and light oil. In addition, COD, TOC, n-nucleic acid extract, ammonia nitrogen, nitrate nitrogen, etc. may be exemplified as indicators of the contaminant.

상기 수분저감공정과 재생공정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서로 독립시켜서 시간을 두고 이루어도 좋으며 평행으로 루프(원환)사이클로서 수행되어도 좋다. The water reduction step and the regeneration step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may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over time, or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as a loop (cyclic ring) cycle.

이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은 함수성 폐기물에 생석회를 접촉시키는 수분저감공정을 갖기 때문에, 생석회는 흡수반응하여서 소석회로 화학 변화하여 자발적으로 발열하고<CaO+H2O→Ca(OH)+63kJ/몰>, 이 과정에서 생석회의 흡수반응분의 수분량이 함수성 폐기물로부터 저감된다. Since the water-based waste treatment method has a water-reducing step of contacting the quicklime with the fastener, the quicklime reacts with the calcined circuit by chemical absorption, causing spontaneous heating to generate <CaO + H 2 O → Ca (OH) 2 + 63kJ / mol. >, In this proces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absorption reaction component of quicklime is reduced from the water-containing waste.

또한, 함수성 폐기물은 상기 발열에 의해 생석회의 흡수 반응분 이외의 수분도 증발하여 저감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저감공정에서는 생석회가 수화(水和)하여서 소석회로 화학변화되는데, 이 수화열에 의해 함수성 폐기물의 수분이 증발하여 저감된다. 즉 생석회가 수화하여서 소석회로 변화할 때의 자발적인 발열 반응을 함수성 폐기물의 수분 증발에 이용할 수 있어 재생공정에서의 필요 열량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containing waste is also reduced by evaporation of moisture other than the absorption reaction component of quicklime. Specifically, in the water reduction process, quicklime is hydrated and chemically changed in the calcination cycle. The heat of hydration reduces the moisture of the water-containing waste by evaporation. That is, the spontaneous exothermic reaction when the quicklime changes to the hydrated lime can be used to evaporate the water of the waste wat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required in the regeneration process.

수분저감공정에서는 함수성 폐기물의 수분이 대개 거의 없어질 때까지 저감하도록 함수성 폐기물과 생석회의 혼합량을 설정하는 것이 다음 공정에서의 취급이나 열효율상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에 생석회를 이용함에 따라, 함수성 폐기물을 물 처리(액체)가 아니라 드라이한 상태(보수(保水)하여도 보슬보슬한 소석회)로 하여서 다음 공정에서 취급이 쉽도록 할 수 있다. In the water-reducing process, it is desirable to set the amount of the mixed waste water and quicklime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containing waste, until the water is almost gone. As a result of the use of quicklime for the treatment of water-containing wastes, the water-based wastes are not treated in water (liquid) but in a dry state (smeared lime even after maintenance) to facilitate handling in the next process. Can be.

그리고, 상기 생석회가 흡수 반응하여서 생성한 소석회의 분해온도(580℃)이상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갖기 때문에, 그 공정에서 예를 들면 580~1000℃정도로 유산소 분위기하에서 가열하면 소석회가 분해되어 산소와 결합하여 생석회로 재생되면서 함수성 폐기물의 오염성분(COD성분, TOC성분, n-핵산 추출물질, 암모니아태질소, 질산태질소 등)은 열분해되어 저감시켜진다. 유기물은 650℃이상으로 가열되면 거의 완전하게 열분해시켜진다(환경부하물질이 분해된다). 이로 인해 자연에 대한 부하물인 함수성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는 제로·이미션을 통하여 환경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quicklime has a regeneration step of regenerating quicklime by heating it to a decomposition temperature (580 ° C) or higher generated by absorption of the quicklime, the slaked lime is heated in an aerobic atmosphere at, for example, about 580 to 1000 ° C. As it is decomposed and combined with oxygen, it is regenerated into quicklime, and contaminants (COD, TOC, n-nucleic acid extract, ammonia nitrogen, and nitrogen nitrate) of hydrous waste are thermally decomposed and reduced. Organics are almost completely pyrolyzed when heated above 650 ° C (environmental loads decompose). As a result, it can contribute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rough zero-immission that does not emit water-based waste, which is a load on nature.

이와 같이 수분저감공정에서의 생석회의 수화열이나 재생공정에서의 가열에 의해 오염성분을 열분해시킴에 따라 수분저감공정에서의 생석회의 수화열을 오염성분의 열분해에 이용하거나, 혹은 재생공정에서의 생석회의 재생시에 가열하는 열량을 오염성분의 열분해에 이용할 수 있어서, 전기분해법에 의한 제어가 복잡한 처리 등에 비해 비교적으로 간단한 수법으로 오염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hydration heat of quicklime in the moisture reduction process or the heating in the regeneration process is thermally decomposed, so that the heat of hydration of quicklime in the moisture reduction process is used for pyrolysis of the pollutant or in the regeneration of quicklime in the regeneration process. The amount of heat to be heated can be used for pyrolysis of the contaminant, so that the contaminant can be decomposed by a relatively simple method compared to a treatment in which the control by the electrolysis method is complicated.

그리고 또한 상기 재생공정에서는 소석회와 입상의 가열 매체를 가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입상의 가열매체에 의해 소석회에 대한 열전도성을 향상시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처리시간의 단축, 필요열량의 저감).In addition, in the regeneration step, the slaked lime and the granular heating medium are heated, so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laked lime is improved by the granular heating medium to increase the treatment efficiency (shortening of the treatment time and reduction of required heat amount).

게다가, 생석회→소석회(수분저감공정), ⇒소석회→생석회(재생공정), ⇒생석회→소석회(수분저감공정), ⇒소석회→생석회(재생공정),…으로 생석회를 반복해서 재생·재이용할 수 있으며(배수를 흡수시킨 소석회를 그대로 산성 토양에 뿌리는 단순히 쓰고 버리는 것과는 다르다), 이와 같은 리사이클에 의해 약제(藥劑) 러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Furthermore, quicklime → slaked lime (moisture reduction step), ⇒ slaked lime → quicklime (regeneration step), ⇒ quicklime → slaked lime (moisture reduction step), ⇒ slaked lime → quicklime (regeneration step),. It is possible to regenerate and reuse quicklime repeatedly (different from simply throwing away the absorbed lime on acidic soil as it is), and such a recycling can suppress drug running and coasting.

또한, 전기분해법으로는 산화제 양이 충분하지 못하여 처리가 곤란했던 고농도의 함수성 폐기물(예를 들면 COD가 1000ppm이상인 유기배수)에 관해서도 매우 적절하게 처리를 할 수 있다. 전기분해법의 처리원리는 산화제법임에 대하여 이 발명의 처리원리는 열분해법이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treat the high concentration of water-containing waste (for example, organic wastewater having a COD of 1000 ppm or more) that is difficult to treat due to the insufficient amount of oxidant by the electrolysis method. The treatment principle of the electrolysis method is an oxidizing agent, whereas the treatment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yrolysis method.

여기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분해 작용을 병용하면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실제 처리상 상당히 바람직한 이점이 생긴다.
Combining the electrolytic action as described below here results in a considerably desirable advantage in the actual treatment capable of suppressing odors.

(2)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 입상의 가열 매체를 에어·블로하도록 하여도 좋다. (2) In the regeneration step, the granular heating medium may be blown with air.

이와 같이 구성하여, (외주에 히터를 감아 설치한 가열재생로 중의)입상의 가열 매체를 예를 들면 아래쪽에서 에어블로하면 입상의 가열매체는 마치 유체의 유동고와 같이 거동하게 되며, 입상의 가열매체(의사,擬似)욕(浴) 중에서 소석회는 주위의 가열매체로부터 전열 가열되어서 생석회로 화학 변화해 가게 된다. 즉 소석회는 사방 둘레의 입상의 가열매체욕과의 접촉 가열에 의해 전열 효율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when the granular heating medium (in the heating and regeneration furnace in which the heater is wound around the periphery) is blown, for example, from below, the granular heating medium behaves as if it is a fluid flow chamber. In the media (doctor) bath, the slaked lime is electrothermally heated from the surrounding heating medium to chemically change into quicklime. That is, slaked lime can be made excellent in heat transfer efficiency by the contact heating with the granular heating medium bath of all around.

또한, 함수성 폐기물에 휘발성의 유기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기 성분은 입상의 가열매체욕 층의 장해물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행이 억제되어 그 층 중에서 체류하고 있는 동안에 열분해되게 되어, VOC 가스 성분이 외부로 누설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입상의 가열매체욕의 층 두께를 제어함에 따라 VOC 가스 성분의 누설 방지 기능을 적절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containing waste contains a volatile organic component, the organic component is inhibited from moving upward by the obstacle action of the granular heating medium bath layer, and is thermally decomposed while staying in the layer. The components may be less likely to leak to the outside. That is, by controlling the layer thickness of the granular heating medium bath,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increase the leakage preventing function of the VOC gas component.

(3)상기 입상의 가열매체는 공기보다도 비열이 작은 것으로 해도 좋다. (3) The granular heating medium may have a smaller specific heat than air.

상기 입상의 가열매체로서 알루미나·파우더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알루미나(비열:0.19cal/g·℃)는 공기(비열:0.24cal/g·℃)보다도 비열이 작고, 공기보다 따뜻해지기 쉬운 한편 전열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석회의 분해 온도 이상(예를 들면 580~1000℃정도)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파우더는 분위기 온도를 신속하게 흡수하여서 신속하게 소석회로 열전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석회의 비열은 0.28cal/g·℃이다. An alumina powder can be illustrated as said granular heating medium. This alumina (specific heat: 0.19 cal / g · ° C) has a specific heat smaller than that of air (specific heat: 0.24 cal / g · ° C), and tends to be warmer than air and easily transferred. Therefore, in the regeneration step of regenerating quicklime by heating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slaked lime (for example, about 580 to 1000 ° C), the alumina powder can quickly absorb the ambient temperature and quickly conduct heat conduction to the slaked lime. And the specific heat of slaked lime is 0.28 cal / g * degreeC.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재생공정에 있어서 소석회로의 열전도 효율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어서 에너지 절약·비용절감에서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thermal conduction efficiency of the slaked circuit can be excellent in the regeneration step, and can be excellent in energy saving and cost reduction.

(4)상기 입상의 가열매체는 생석회보다도 비중이 큰 것으로 해도 좋다. (4) The granular heating medium may have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that of quicklime.

상기 입상의 가열매체로서 알루미나·파우더(비중:3.97)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비중 3.97에 대하여 생석회의 부피비중(嵩比重)은 약 1, 소석회의 부피비중은 약 0.5이다. Alumina powder (specific gravity: 3.97) can be illustrated as said granular heating medium. The volumetric weight of quicklime is about 1 and the volumetric weight of calcined lime is about 0.5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gravity of 3.97.

이와 같이 구성하면 소석회의 분해온도이상(예를 들면, 580~1000℃정도)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에 있어서, 생석회와 알루미나·파우더의 비중의 차이에 의해 생석회는 알루미나·파우더보다도 위쪽으로 날아오르기 쉬워지고(소석회는 날아오르는 과정에서 전열되어서 생석회로 변화해 간다), 날아오른 생석회를 다른 유로로 이행시킴으로써 비중이 보다 커서 중력의 작용을 받기 쉬운 알루미나·파우더(소석회보다도 날아오르기 힘들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분리된 생석회는 다시 수분저감공정으로 보내서 함수성 폐기물과 접촉시킨다.
In this configuration, in the regeneration process of regenerating quicklime by heating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hydrated lime (for example, about 580 to 1000 ° C), the quicklime is higher than the alumina powde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quicklime and the alumina powder. Alumina powder (which is harder to fly than calcareous lime) is more likely to fly due to greater gravity due to the transfer of quicklime lime into other flow paths. It is possible to separate from. The separated quicklime is then sent back to the moisture reduction process to contact with the wastewater.

(5)상기 함수성 폐기물에 전해작용을 미치게 하여도 좋다. (5) The hydrous waste may be electrolyzed.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함수성 폐기물·오염 성분 함유수가 이취나 악취를 발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었다 하더라도 전기분해작용에 기인하여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이나 ·OH라디칼의 산화력에 의해 나쁜 냄새 성분을 분해하여 경감 내지 소거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if the water containing the waste water and pollutants contains odorous or malodorous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decompose and reduce the bad odor components by the oxidizing power of hypochlorous acid and OH radicals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Can be erased.

구체적으로는 상기 함수성 폐기물에 전해수를 첨가하거나 혹은 함수성 폐기물 자체를 전기분해하면 차아염소산이나 OH·라디칼의 산화력에 의해 오염성분이 세분화되어 나쁜 냄새 성분이 분해되어 가게 되어 이상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electrolytic water is added to the water waste or electrolysis of the water waste itself, contaminants are subdivided by the oxidizing power of hypochlorous acid or OH radicals, and bad odors are decomposed,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trange odors. To prevent.

(6)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파우더를 에어블로하면 상기 알루미나 ·파우더의 유동고(流動庫)로부터 식염이 분리되게 된다. (6) When the alumina powder is blown in the regeneration step, the salt is separated from the flow chamber of the alumina powder.

즉, 알루미나는 융점이 2054℃ 비점이 3000℃임에 대하여, 염화나트륨의 융점은 801℃ 비점은 1514℃이기 때문에, 801~1000℃의 온도 영역에서는 알루미나· 파우더는 고체(알갱이)임에 대하여 식염은 용융된 액상의 상태이며, 액상의 식염은 하방으로 흘러내려 감에 따라서 양자를 분리할 수 있어, 함수성 폐기물 중의 식염이 탈염이 가능하다. 탈염한 식염은 전기분해시 등에 재이용(피처리수에 도전성을 부여한다)할 수 있다.
That is, alumina has a melting point of 2054 ° C and a boiling point of 3000 ° C, whereas sodium chloride has a melting point of 801 ° C and a boiling point of 1514 ° C. Therefore, alumina powder is a solid (grain) in the temperature range of 801 to 1000 ° C. It is a molten liquid state, and the salt in the liquid phase can be separated as it flows downward, so that the salt in the water-containing waste can be desalted. The desalted salt can be reused (to give conductivity to the water to be treated) at the time of electrolysis or the like.

(7)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파우더를 에어블로하면 상기 알루미나·파우더의 유동고로부터 금속류가 분리되게 된다. (7) In the regeneration step, when the alumina powder is blown with air, metals are separated from the flow chamber of the alumina powder.

즉, 산화철의 비중은 5 전후, 산화망간은 4.5로, 어느 쪽이건 알루미나의 3.97보다도 크기 때문에, 재생공정에서는 알루미나·파우더의 유동고에 있어서 중량차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해가게 된다. 또한, 염화나트륨의 비중은 2.17로 알루미나보다도 작지만, 801~1000℃의 온도영역에서 식염은 용융된 액상의 유동상태이기 때문에 전항대로 알루미나·파우더의 유동고를 하방으로 흘러내려 가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specific gravity of iron oxide is around 5 and the manganese oxide is 4.5,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3.97 of alumina. Therefore, the regeneration step moves downward due to the difference in weight in the flow chamber of the alumina powder. In addition, the specific gravity of sodium chloride is 2.17,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alumina. However, in the temperature range of 801 to 1000 ° C., the salt flows downward in the alumina powder since the salt is in a molten liquid state.

(8)상기 수분저감공정에서 생성한 소석회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마이크로파 가열공정을 갖으며 그 후에 재생공정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8) It may have a microwave heating process for evaporating the moisture of the slaked lime produced | generated in the said water reduction process, and may move to a regeneration process after that.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은 전자레인지의 원리가 되는 것이며, 물에 예를 들면 2.45GHz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서 흡수시켜 가열하여 증발시킬 수 있다(마이크로파 건조). 이에 의해 재생공정에서의 가열 에너지를 저감하여서 비용 절감할 수 있다.
The microwave heating is a principle of the microwave oven, and water can be evaporated by being irradiated with microwaves at 2.45 GHz, for example, microwave drying (microwave drying). Thereby,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heating energy in a regeneration process.

(9)상기 함수성 폐기물에 흡수 담지체도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9) The water-soluble waste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bsorbent carrier.

상기 흡수 담지체로서 활성탄(흡착성을 갖는다), 벤토나이트(흡수성을 갖는다), 식물섬유 부스러기(나무부스러기, 톱밥 등으로 흡수성을 갖는다)를 예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기름 방울 등의 오염성분이나 수분을 흡착·흡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생석회로는 그 수화열 발생 작용에 의해 초기 수분의 증발기능을 담당하게 하고, 흡수 담지체에는 오염 성분의 흡착 기능 등을 갖도록 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bsorbent carrier include activated carbon (having adsorption), bentonite (having absorbency), and plant fiber debris (having absorbency with wood chips, sawdust, etc.). It can adsorb | suck and absorb a component and moisture. In addition, the quicklime circuit can act as an evaporation function of the initial moisture by the action of generating heat of hydration, and have an absorption function of a contaminant in the absorption carrier.

여기서 흡수한 벤토나이트나 식물섬유 부스러기는 재생공정에 있어서 580~1000℃의 온도 영역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건조 상태로 복원한다.
The bentonite or plant fiber debris absorbed her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dry state when heated to a temperature range of 580 to 1000 캜 in the regeneration process.

(10)상기 수분저감공정 중 또는 후에 함수성 폐기물의 수분을 분리하고, 상기 수분 중에 용해된 무기물을 재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무기물로서 예를 들면 식염을 예시할 수 있다.(10) The water of the water-containing waste may be separated during or after the water reduction step, and the inorganic material dissolved in the water may be reused. As said inorganic substance, salt can be illustrated, for example.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함수성 폐기물, 예를 들면 오염성분 함유수, 예를 들면 매실 조미 가공 폐액은 높은 COD(예를 들면, 10~20만ppm이상)로 고농도의 식염농도(예를 들면 1~20%이상)를 갖지만, 소석회 및 고형분과 수분을 예를 들면 막으로 분리함에 따라 수분중에 용해된 무기 성분을 분리할 수 있어서 매실 조미 가공 폐액 등에 포함된 식염을 고농도수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 고농도 식염수를 예를 들면 전기분해함에 따라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기능성 물(상기 전해수로서나 다른 물 처리에도 이용가능)을 얻을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ater-containing waste, for example, pollutant-containing water, for example, plum seasoned waste liquid, has a high COD (for example, 100,000 to 200,000 ppm or more) and a high salt concentration (for example, 1 to 1). 20% or more), but the inorganic components dissolved in the water can be separated by separating the slaked lime, the solid content and the water into a membrane, for example, and the salt contained in the plum seasoning waste liquid can be extracted as a high concentration water. By electrolyzing this high concentration saline solution, for example, functional water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available as the electrolytic water or other water treatment) can be obtained.

(11)이 발명은 그 밖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1) This invention has the following other features.

1)드라이 처리1) dry treatment

본 발명에서는 수분저감공정에서 함수성 폐기물에 생석회를 미치게 하여서 수분을 저감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함수성 폐기물을 젖은 상태가 아니라 드라이한 상태로 할 수 있어 핸들링이 쉽고 함수성 폐기물을 감용화(減容化) 할 수 있으며, 또 나쁜 냄새가 잘 발생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is reduced by quickliming the water-containing waste in the water-reducing process, so that the water-containing waste can be dried rather than wet, so handling is easy and the water-soluble waste is reduced.容 化), and bad smell is not generated easily.

상기 수분저감공정에서는 함수성 폐기물과 생석회의 혼합 비율을 조정함에 따라 무수분(無水分) 내지 무수분에 가까운 상태가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In the moisture reduction process, the mixing ratio of the water-containing waste and quicklime may be adjusted to become anhydrous to near anhydrous.

2)생석회와 함수성 폐기물의 배합 비율2) Mixing ratio of quicklime and water waste

생석회와 함수성 폐기물 중의 수분이 몰비로 1:1의 비율이 되도록 조정하면, 산화칼슘(생석회)과 물(함수성 폐기물 중의 수분)의 전부로 수산화칼슘(소석회)으로 화학 변화하지만, 화학 변화시에 큰 반응열(수화열)이 발생함으로써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물의 비율은 몰비로 1:1보다도 많이 설정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환원하면, 생석회에 의해 몰비로 1:1이상의 수분을 함유하는 함수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moisture in the quicklime and the water-containing waste is adjusted to a ratio of 1: 1 in molar ratio, all of the calcium oxide (quick lime) and water (water in the water-containing waste) are chemically converted into calcium hydroxide (calcined lime). Moisture evaporates by generating a large heat of reaction (heat of hydration), so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atio of water more than 1: 1 in molar ratio.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treat a water-containing waste containing at least 1: 1 water in a molar ratio by quicklime.

상기 생석회와 함수성 폐기물의 배합 비율은 화학 반응시(=수분 저감 공정에서의 처리시)의 발열량을 예측하여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생석회에 대한 함수성 폐기물의 배합량을 수분저감공정에서의 발열 정도가 대략 100℃가 되도록 조정하면 수분의 발열·저감에 대하여 생석회의 배합량(필요량)이 비용밸런스 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quicklime and the water-containing waste in anticipation of the calorific value at the time of the chemical reaction (= treatment at the water reduction step). For example, if the amount of water-containing waste to quicklime is adjusted to approximately 100 ° C. in the moisture reduction process, the amount (necessary amount) of quicklime in terms of heat generation and reduction of moisture can be excellent in terms of cost balance. have.

3)고농도 배수의 오염 성분의 처리3) Treatment of pollutant component of high concentration drainage

함수성 폐기물(「수분」이 주체인 경우)이 오염성분(예를 들면 식품산업의 조미액이나 용매 등의 유기 성분)을 상당히 많이 포함한 경우, 예를 들면 COD로 10~20만ppm이상의 배수(매실 조미 가공 폐액 등)는 전기분해법에 의한 처리로는 지나치게 고농도로 처리가 상당히 곤란(COD가 충분하게는 저하되지 않는다)하지만, 이 발명에서는 수분저감공정에서 생석회의 수화성(수분을 흡수한다) 및 수화열(수분을 증발시킨다)을 이용하여 수분을 저감시키고, 재생공정에서 소성(소석회의 분해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서 물질의 성질을 변화시킨다)하도록 하고 있어서, 오염 성분의 함유 비율이 높은 경우에도 처리가 가능하면서 전기분해의 경우와 같은 미묘한 전기적인 제어(전류값 제어, 전압값 제어, 피처리수의 유량 관리나 pH 관리 등)를 요하지 않는 비교적 간단한 순서로 처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재생공정에서 소석회의 분해온도(융점580℃)이상의 고온(예를 들면 700℃ 이상)에 노출되기 때문에 COD성분은 모두 산화 분해되게 되고, 오염 성분 중 유기성분은 거의 완전하게 산화분해되어서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화한다고 할 수 있다.When water-based waste (when "water" is mainly) contains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e.g., seasoning liquids or solvents in the food industry), for example, COD drainage of more than 100,000 to 200,000 ppm Seasoning wastes, etc.) are extremely difficult to treat at high concentrations by electrolytic treatment (the COD is not sufficiently lowe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hydration of quicklime (absorbs moisture) in the moisture reduction process and The heat of hydration (moistures the water) is used to reduce the moisture and to be fired in the regeneration process (heating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slaked lime to change the properties of the substance). It is relatively easy to use, but does not require subtle electrical control (current value control, voltage value control, flow rate control of the treated water or pH control) as in the case of electrolysis. The COD components are all oxidatively decomposed because they a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eg 700 ° C or higher)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slaked lime (melting point 580 ° C) in the regeneration process. It is almost completely oxidized to carbon dioxide and water.

이와 같이 고농도의 배수라도 COD성분이 거의 완전하게 처리되는 것은 종래에는 생각할 수 없는 것으로, 수분저감공정에서 증발한 수분을 액화하여서 재생하는 것과 조합시키면 고농도의 배수를 청정도가 높은 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COD 등의 오염평가지표가 높은 고농도 배수·폐수·배액으로부터 저농도 배수까지 광범위한 대상을 간단한 순서로 처리하여 재생할 수 있다.Thus, it is unconventionally considered that the COD component is almost completely treated even at high concentrations of drainage, and when combined with liquefaction and regeneration of water evaporated in the water reduction process, the high concentration of wastewater can be converted into high clean water. In other words, COD and other pollution evaluation indicators can be regenerated by treating a wide range of objects from high concentration drainage, wastewater, and drainage to low concentration drainage.

4)우동, 국수 등의 면류 그 밖의 삶은 뒤에 남은 물 등의 처리4) Noodles, noodles, etc.

우동, 국수 등의 면류 그 밖의 삶은 뒤 남은 물이나 마시고 남은 육수에는 전분가루(유기물) 등이 포함되어 COD값이 높은 것으로, 음식점이 상기 폐기 육수를 하천이나 하수로 방류함에 따른 환경부하가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 우동 토막 등을 포함한 폐기 육수를 함수성 폐기물로서 처리하면 수분 저감 공정 후에 탈수되어서 소석회와 전분 등이 혼재된 상태가 되고, 이것을 재생공정에서 예를 들면 700℃이상으로 소성하면 하천 등으로 방류할 필요가 없어져 환경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Noodles such as udon noodles, noodles, etc. The remaining water after drinking or drinking broth contains starch powder (organic matter), which has a high COD value, and the environmental burden caused by restaurants discharging the discarded broth into rivers or sewage is problematic. When the waste broth containing the udon chops is treated as a water-containing waste, it is dehydrated after the water reduction process, and the slaked lime and starch are mixed.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discharge and reduces the environmental load.

5)소주 등 짜내고 남은 찌꺼기나 식염 첨가 알코올 음료의 처리5) Disposal of leftovers such as shochu and salt-containing alcoholic beverages

소주의 제조시에 다량으로 배출되는 짜고 남은 찌꺼기는 매립에 이용되고 있는데, 그 흐믈흐믈한 성상으로 인해 지반의 유동화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판매를 중지한 폐 알코올 음료나 반품 알코올 음료는 다량의 식염을 첨가하여서 음용할 수 없게 하면 주세가 환급되는바, 이 식염 첨가 알코올 음료를 어떻게 처리하는지가 문제가 되어 있다. Sewage residues left in large quantities during the production of soju are used for landfilling, and the sluggish properties may cause ground fluidization problems. In addition, waste alcohol beverages or returned alcoholic beverages that have been discontinued are subject to tax refunds when a large amount of salt is added so that they cannot be consumed.

따라서, 이 소주를 내고 남은 찌꺼기나 식염 첨가 알코올 음료를 함수성 폐기물로서 처리하면, 수분저감공정 후에 탈수·탈알코올되어서 소석회와 섬유질 또는 식염 등이 혼재된 상태가 되고, 이것을 재생공정에서 예를 들면 700℃이상으로 소성함에 따라 매립이나 하천 방류 등의 필요가 없어져 환경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residue or saline-added alcoholic beverage after the soju is treated as a water-containing waste is dehydrated and de-alcoholic after the water reduction step, calcined lime and fiber or salt are mixed, and this is, for example, in a regeneration process. By firing at 700 ° C or higher, there is no need for landfilling or stream discharge, and the environmental load can be reduced.

6)마요네즈·케첩 등의 폐기물의 처리6) Disposal of waste such as mayonnaise and ketchup

페스트푸드점이나 음식점에서는 마요네즈, 케첩, 아이스크림, 소프트크림, 드레싱 등의 폐기물이 대량으로 나오는데, 이들을 함수성 폐기물로서 처리하면 수분저감공정 후에 탈수되어서 소석회와 유지성분이 혼재된 상태가 되고, 이것을 재생공정 예를 들면 700℃이상으로 소성하면 유지성분이 연소하고, 이 잔열을 폐열 이용함에 따라 연료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In fast food restaurants and restaurants, a large amount of waste such as mayonnaise, ketchup, ice cream, soft cream, and dressing is produced. When these are treated as water-based wastes, they are dehydrated after the water-reducing process and mixed with lime and oil. When firing at a process, for example, 700 ° C. or higher, the fat or oil component is burned, and this residual heat can be used as a fuel by using waste heat.

7)스크러버의 순환수의 처리7) Treatment of circulating water of scrubber

스크러버의 순환수에는 조류(藻類)가 번식하여서 시간 경과에 따라 냄새가 발생되지만, 이 폐 순환수를 함수성 폐기물로서 처리하면, 수분저감공정 후에 탈수되어서 소석회와 조류의 식물 섬유가 혼재된 상태가 되고, 이것을 예를 들면 700℃이상으로 재생공정에서 소성하면서 수분저감공정에서 증발한 물을 포집·액화하여서 재이용한다.Algae grow in the scrubber's circulating water, and odor is generated over time. However, when this waste circulating water is treated as a water-containing waste, it is dehydrated after the water-reducing process, and mixed with hydrated lime and plant fiber. For example, the water evaporated in the moisture reduction step is collected and liquefied, and reused by firing it in the regeneration step at, for example, 700 ° C or higher.

8)「고형분」이 주체인 경우의 처리8) Processing when `` solid content '' is the principal

두부 제조공정에서 대두에서 두유를 짜내고 남은 찌꺼기인 비지는 식물섬유, 칼슘, 단백질, 탄수화물, 칼륨이 풍부한 건강식품이지만, 품질의 열화가 빨라서 장시간 보관이 힘들기 때문에 대부분이 산업 폐기물로서 처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비지를 함수성 폐기물로서 처리하면, 수분저감공정 후에 탈수되어서 소석회와 혼재된 상태가 되며, 이것을 예를 들면 700℃이상으로 재생공정에서 소성하면 섬유성분 등이 연소하고 이 잔열을 폐열 이용함에 따라 연료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산업 폐기물로서 처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제로·이미션에 의해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In the tofu manufacturing process, the remaining residues of soy milk from soybeans are rich in plant fiber, calcium, protein, carbohydrates and potassium, but they are mostly disposed of as industrial waste because of their rapid deterioration in quality and difficulty in long-term storage. It is a reality. When this waste paper is treated as a water-containing waste, it is dehydrated after mixing in water and mixed with hydrated lime. For example, when it is fired at a regeneration process at 700 ° C or higher, the fiber component burns and the residual heat is used as waste heat. It can function as a fuel. In addition, this eliminates the need to dispose as industrial waste, thereby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by zero-immission.

9)페인트 잔폐액의 처리9) Treatment of Paint Balance

페인트 잔폐액(殘廢液) 등과 같이 고형분이 많은 배액을 함수성 폐기물로서 처리하면, 수분저감공정 후에 탈수되어서 소석회와 유기성분 등이 혼재된 상태가 되고 이를 예를 들면 700℃이상으로 재생공정에서 소성하면 유기 성분 등이 연소함에 따라 조연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When waste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olids, such as paint residues, is treated as a water-containing waste, it is dehydrated after the water-reducing process, resulting in a mixture of slaked lime and organic components. The lower surface can be used as a supporting agent as the organic components and the like burn.

10)가축 분뇨·동물 분뇨의 처리10) Treatment of livestock manure and animal manure

함수성 폐기물이 돼지똥, 닭똥, 소똥 등의 가축의 똥이나 동물원의 동물 똥 등과 같이 함수성이 원래부터 낮은 경우(「고형분」이 주체인 경우), 수분저감공정에서 흡수 내지 증발시켜서 한층 더 드라이한 상태(나쁜 냄새가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된다)로 만들 수 있고, 이어서 재생공정에서 소석회의 분해온도(융점580℃) 이상의 고온(예를 들면 700℃이상)이 되도록 가열함에 따라 분뇨(똥)를 소성하여서 재에 가까운 상태로 만들면서 동시에 소석회를 생석회로 재생할 수 있다. If the water-containing waste is originally low in water content (such as pig dung, chicken dung, cow dung, or animal dung in zoos, etc.) (when `` solids '' are the main substance), it is further dried by absorbing or evaporating in the water reduction process. The manure can be made in one state (which hardly produces a bad smell), and the manure is then heated by heating it to a high temperature (eg 700 ° C or more)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melting point of 580 ° C) in the regeneration process. The calcined lime can be recycled to quicklime while making it close to ashes.

11)균류나 바이러스류의 번식 억제11) Suppression of propagation of fungi and viruses

이 발명에서는 수분저감공정에 있어서 함수성 폐기물을 탈수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 중의 각종 균류 등의 번식이 억제되어 탈취·제균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containing waste can be dehydrated in the water reduction step, so that propagation of various fungi and the like in the waste can be suppressed and deodorized and disinfected.

12)동물의 사체 처리12) Animal carcass processing

동물의 사체에 물을 첨가하여서 믹서로 재단하고, 이것을 함수성 폐기물로서 처리하면 수분저감공정 후에 탈수되어서 소석회와 혼재한 상태가 되고 이것을 재생공정에서 예를 들면 700℃이상으로 소성한다. 수분저감공정에 있어서 함수성 폐기물을 탈수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 중의 부패 균류의 번식이 억제되게 되어, 냄새로 인해 번거로워지는 일이 없이 처리할 수 있다.When water is added to carcasses and cut into a mixer and treated as a water-containing waste, it is dehydrated after the water reduction step and mixed with slaked lime and calcined at, for example, 700 ° C or higher in the regeneration step. In the water reduction process, the hydrous waste can be dehydrated, so that propagation of decaying fungi in the waste can be suppressed, and the waste can be treated without being troublesome.

13)저감한 수분의 재이용13) Reuse of reduced moisture

(전술된 바와 같이)수분저감공정에 있어서 증발시킨 물을 포집하여 냉각하고 액화함으로써 재이용할 수 있다. 특히, 공장 배수와 같이 처리량이 대량인 경우에는 대기중에 방출하지 않고 이와 같이 액화하여서 공업용수로서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ocess of reducing water (as described above), the evaporated water can be collected, cooled, and liquefied for reuse. In particular, when the throughput is large, such as plant drainage, it is preferable to liquefy and reuse as industrial water without releasing it to the atmosphere.

구체적으로는 액정제조공장의 공장배수(DMSO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를 수분 저감공정에서 처리하고, 여기에서 포집하여 액화한 물의 수질을 분석하면 증류수와 동등한 정도로 청정도가 높은 것이었다. 이 물을 한층 더 역침투막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초순수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plant drainage (including organic solvents such as DMSO) of the liquid crystal manufacturing plant was treated in a water reduction step, and the water quality of the collected and liquefied water was analyzed here, the cleanliness was as high as that of distilled water. By further treating this water with a reverse osmosis membrane, it can be reused as ultrapure water.

14)재생공정에서의 유기물의 오염성분14) Contamination Components of Organics in Regeneration Process

재생공정에 있어서 생회석을 재생시키기 위한 소석회의 분해온도(융점580℃)이상의 고온(예를 들면 700℃이상)으로의 가열시, 소석회나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 성분 유래의 유기성분이 산화하여서 열량을 방출함에 따라 가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 오염성분은 거의 완전하게 산화 분해된다. 여기에서 수분저감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재생공정에서의 열을 이용하여서 다른 것을 가열할 수도 있다. In the regeneration process, when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eg 700 ° C or higher)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melting point 580 ° C) of the slaked lime to recover the limestone, the calcined calories or organic components derived from the pollutant adhered to the container are oxidized The contaminants are almost completely oxidatively decomposed, while saving heating energy as they are released. Here, other heat may be heated by using heat generated in the water reduction process or heat generated in the regeneration process.

15)오염토양의 처리와 생석회의 분리15) Treatment of contaminated soil and separation of quicklime

기름 등의 오염토양에 전해수를 미치게 하여, 차아염소산이나 ·OH라디칼의 작용에 의해 오염성분을 세분화 내지 분해시켜서 이 함수(含水)한 오염토양(함수성 폐기물)을 수분저감공정으로 보내고, 이어서 재생공정에서 예를 들면 700℃이상으로 처리한 후의 최종 생성물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서 생석회와 토양의 흙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Electrolyzed water is applied to contaminated soil such as oil, and the contaminated components are subdivided or decomposed by the action of hypochlorous acid or OH radicals, and the polluted soil (water-containing waste) is sent to the water reduction process, and then regenerated. With respect to the final product after treatment at, for example, 700 ° C. or higher, the quicklime and the soil components of the soil can be separated as follows.

즉, 흙의 부피비중은 1.8임에 대하여 생석회의 부피비중은 1.06이기 때문에 이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바람을 미치게 하여서 쌍방의 유동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흙과 생석회를 분리한다. 그리고 흙은 토양으로 다시 메워지고 생석회는 다음 처리에 재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흙 중에 생석회가 혼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토양 개량제로서 활용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volume specific gravity of the soil is 1.8 and the volume specific gravity of the quicklime is 1.06, the wind is made by using the difference of the specific gravity to separate the soil and the quicklime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luidities. The soil is then backfilled with soil and the quicklime is reused for the next treatment. And even if quicklime is mixed in the soil can be utilized as a soil improver.

16)수분저감공정 후의 소석회와 무기성분의 분리16) Separation of slaked lime and inorganic components after water reduction process

수분저감공정 후에 아래와 같이 하여서 소석회와 오염 성분 중의 무기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즉, 소석회의 비중(겉보기 비중 0.40~0.55)과 다른 무기성분 예를 들면, 식염의 밀도(2.16g/㎤) 차이를 이용하여, 미세 분말화하여 바람을 미치도록 하여서 쌍방의 유동성 차이를 이용하여 이들을 분리할 수 있고, 소석회로부터 분리한 식염은 전기분해 등에 재이용할 수 있다. After the water reduction process, the inorganic components in the slaked lime and contaminants can be separated as follows. That is, by us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apparent specific gravity 0.40 to 0.55) and other inorganic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nsity of salt (2.16 g / cm 3), the fine powder is applied to the wind and the difference in fluidity between the two These can be separated, and the salt separated from the slaked lime can be reused for electrolysis or the like.

17)조개 껍데기 등의 소성 17) Firing of shells

함수성 폐기물이 조개 껍데기(굴조개, 바지락, 대합 기타) 등과 같이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경우, 재생공정에서 900℃이상으로 가열하면 탄산칼슘(융점825℃)이 산화칼슘(=생석회)으로 화학 변화하기 때문에 생석회를 당초 양에서 증량할 수 있다. 또한, 함수성 폐기물에 조개 껍데기 등과 같이 탄산 칼슘을 함유하는 물질을 의도적으로 섞어서 처리할 수도 있다.If the water-containing waste contains calcium carbonate, such as shells (oysters, clams, clams, etc.), the chemical change of calcium carbonate (melting point 825 ° C) to calcium oxide (= quicklime) when heated above 900 ° C in the regeneration process Because of this, quicklime can be increased in the original amount. It is also possible to intentionally mix and treat a substance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such as a clam shell, with water-containing waste.

18)병원의 오염 혈액이나 일회용 의료기구 등의 감염성 폐기물의 처리18) Disposal of infectious waste such as contaminated blood or disposable medical devices in hospitals

이와 같은 함수성 폐기물도 생석회의 탈수 작용 등에 의해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Such water-containing waste can also be properly disposed of by dehydration of quicklim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전해법에 의한 처리 등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수법으로 오염 성분을 분리할 수 있어서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ontaminant components can be separated by a relatively simple method compared to the treatment by the electrolytic method, thereby providing a method for treating water-containing waste which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than conventionally.

도1은 본 발명의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장치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apparatus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은 함수성 폐기물(1)(폐액)에 생석회(2)를 접촉시키는 수분저감공정과, 상기 생석회(2)가 흡수반응하여 생성한 소석회(3)의 분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2)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구비하면서 상기 재생공정에서는 소석회(3)와 입상의 가열매체(4)를 가열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ethod for treating water-containing wast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water reduction step of bringing the quicklime 2 into contact with the water-containing waste 1 (waste liquid), and the quicklime 2 generated by the absorption reaction. A regeneration step of regenerating the quicklime 2 by heating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slaked lime 3 is carried out so that the slaked lime 3 and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are heated.

즉, 폐액저장조(5)로 유입시킨 함수성 폐기물(1)인 폐액은, 펌프(P)에 의해 스크류(6)(모터M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로 공급되고, 상기 스크류 도중에서 생석회(2)와 혼합시켜져 가열재생로(7) 방향으로 이행시켜지고(수분저감공정), 가열재생로(7) 내로 도입시켜진다. 가열재생로(7) 중에서 소석회(3)는 가열시켜져서 생석회(2)로 재생되고(재생공정), 재생된 생석회(2)는 컴프레서(8)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방에서 다른 유로(9)로 도출되어 생석회(2)의 호퍼(10)로 이송시켜진다. 또한, 가열재생로(7) 내의 수증기나 에어는 배기구(11)에서 외부로 배출시켜진다. That is, the waste liquid which is the wastewater 1 which flowed into the waste liquid storage tank 5 is supplied to the screw 6 (rotated and driven by the motor M) by the pump P, and the quicklime 2 is carried out in the middle of the said screw. ) Is transferred to the heating regeneration furnace 7 (water reduction step), and introduced into the heating regeneration furnace 7. In the heating regeneration furnace 7, the slaked lime 3 is heated to be regenerated into the quicklime 2 (regeneration step), and the regenerated quicklime 2 is further flowed upward by air supplied by the compressor 8. 9) is transferred to the hopper 10 of the quicklime (2). In addition, water vapor and air in the heating and regeneration furnace 7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exhaust port 11.

상기 가열 재생로(7)의 외주에는 히터(12)가 감겨 설치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는 단열재(13)를 통해서 냉각수(14)가 순환하는 수냉쟈켓(15)이 외장되어 있다. 가열재생로(7)의 아래쪽에는 밸브(V)가 설치되고 처리에 의해 분리된 산화철 그 밖의 금속류나 염류를 수용 용기(16) 내로 배출하여서 폐기할 수 있도록 한다. A heater 12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ting regeneration furnace 7, and a water cooling jacket 15 through which the coolant 14 circulates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3 is externally installed. A valve V is provided below the regeneration furnace 7 to discharge the iron oxides and other metals or salts separated by the treatment into the receiving container 16 for disposal.

상기 함수성 폐기물(1)(폐액)은 전해수를 첨가함으로써 전해작용이 미치도록 하고(미도시), 차아염소산이나 ·OH라디칼의 산화력에 의해 오염성분이 세분화되어 악취 성분이 분해되어 감에 따라 이상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The water-containing waste (1) (waste liquid) causes electrolytic action by adding electrolyzed water (not shown), and the pollutant is subdivided by the oxidizing power of hypochlorous acid or · OH radical, and the odor component is decomposed. Odor generation can be suppressed or prevented.

즉, 함수성 폐기물·오염성분 함유수가 이취(이상한 냄새)나 악취를 발하는 성분을 함유한 것이라 해도 전기분해 작용에 기인하여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이나 ·OH라디칼의 산화력에 의해 냄새 성분을 분해하여서 경감 내지 소거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even if the water containing the waste water or pollutant contains odor (weird smell) or odor-causing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dor component by decomposing the odor component by the oxidation power of hypochlorous acid or OH radical generated due to the electrolytic action. Can be erased.

여기에서, 상기 함수성 폐기물(「고형분」이 주체인 경우나 「수분」이 주체인 경우 등이 있다)로서 화학공장이나 액정제조공장 등의 공장 배수 등 오염 성분 함유수, 공장이나 주유소 철거지의 A중유·등유 등에 의한 기름 오염 토양이나 그 삼출수, 매실 조미 가공 폐액(높은 COD와 높은 식염농도를 가진다), 돼지 똥, 닭 똥 그 밖의 가축 똥, 가정의 음식물 쓰레기, 패스트푸드점 그 밖의 음식점의 잔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Here, the water containing contaminants, such as waste water of a chemical plant or a liquid crystal manufacturing plant, may be used as the water-containing waste (the "solid" or the "water" is the main subject). Oil contaminated soil by heavy oil, kerosene, its effluent, plum seasoning waste (with high COD and high salt concentration), pig shit, chicken shit or other livestock shit, household food waste, fast food restaurants and other restaurants Residu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상기 오염성분 함유수의 오염성분으로서 용매 그 밖의 유기화합물(예를 들면, DMSO, DMAc, DMF, MEA)이나, A중유나 경유 등의 기름 방울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 성분의 표시지표로서 COD, TOC, n-핵산 추출물질, 암모니아태질소, 질산태질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contaminant in the contaminant-containing water include oils such as solvents and other organic compounds (for example, DMSO, DMAc, DMF, MEA), A heavy oil and light oil. In addition, COD, TOC, n-nucleic acid extract, ammonia nitrogen, nitrogen nitrat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as indicators of the contaminant.

상기 수분저감공정과 재생공정은 평행하게 루프(원환)사이클로서 수행한다. The water reduction process and the regeneration process are performed in parallel as a loop (ring) cycle.

이어서 이 실시형태의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Next, the use state of the wastewater process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이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은 함수성 폐기물(1)에 생석회(2)를 접촉시키는 수분저감공정을 갖기 때문에 생석회(2)는 흡수 반응하여 소석회(3)로 화학 변화하여서 자발적으로 발열하고 <CaO+H2O→Ca(OH)+63kJ/몰>, 이 과정에서 생석회(2)의 흡수반응분의 수분량이 함수성 폐기물로부터 저감한다. Since the water-based waste treatment method has a water-reducing step of contacting the quicklime 2 with the wetted waste 1, the quicklime 2 absorbs and reacts chemically with the slaked lime 3 to spontaneously generate heat and is less than <CaO + H. 2 O → Ca (OH) 2 +63 kJ / mol> In this proces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absorption reaction component of quicklime 2 is reduced from the water-containing waste.

또한, 함수성 폐기물(1)은 상기 발열에 의해 생석회(2)의 흡수 반응분 이외의 수분도 증발하여서 저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분 저감공정에서는 생석회(2)가 수화하여서 소석회(3)로 화학 변화하는데, 이 수화열에 의해 함수성 폐기물(1)의 수분이 발열해서 저감된다. 즉, 생석회(2)가 수화하여서 소석회(3)로 변화할 때의 자발적인 발열반응을 함수성 폐기물(1)의 수분의 증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재생공정에서의 필요 열량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containing waste 1 is also reduced by evaporation of moisture other than the absorption reaction component of the quicklime 2 by the heat generation. Specifically, in the water reduction step, the quicklime 2 hydrates and chemically changes to the slaked lime 3, and the heat of hydration generates heat and reduces the moisture of the water-containing waste 1. That is, the spontaneous exothermic reaction when the quicklime 2 hydrates and changes to the slaked lime 3 can be used for evaporation of water in the wastewater 1, and the amount of heat required in the regeneration process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함수성 폐기물(1)의 처리에 생석회(2)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함수성 폐기물(1)을 물 처리(액체)가 아니라 드라이한 상태(보수(保水)하여도 보슬보슬한 소석회(3))로 만들어 다음 공정에서 취급이 쉽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수성 폐기물(1)의 수분은 대개 거의 없어질 때까지 저감하도록 함수성 폐기물(1)과 생석회(2)의 혼합량을 설정하는 것이 다음 공정에서의 취급이나 열효율상 바람직하다. Since the quicklime (2)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water-containing waste (1) in this way, the water-containing waste (1) is soft, even if the water is dried (repaired) instead of water treatment (liquid) (3). ) To make it easier to handle in the next process.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o set the mixing amount of the water-containing waste 1 and the quicklime 2 so as to reduce the water of the water-containing waste 1 until it almost disappears, in terms of handling and thermal efficiency in the next step.

그리고, 상기 생석회(2)가 흡수 반응하여 생성한 소석회(3)의 분해온도(580℃)이상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2)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갖기 때문에, 그 공정에서 예를 들면 580∼1000℃정도로 유산소 분위기 하에서 가열하면 소석회(3)가 분해해서 산소와 결합하여 생석회(2)로 재생되면서 함수성 폐기물(1)의 오염성분(COD성분, TOC성분, n-핵산추출물질, 암모니아태질소, 질산태질소 등)은 열분해하여서 저감시켜진다. 특히 유기물은 650℃이상으로 가열되면 거의 완전하게 열분해시켜진다(환경부하물질이 분해된다). 이에 의해 자연에 대한 부하물인 함수성 폐기물(1)을 배출하지 않는 제로·이미션을 통하여 환경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quicklime 2 has a regeneration step of regenerating the quicklime 2 by heating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580 ° C) of the slaked lime 3 generated by the absorption reaction, for example, 580 to 1000 in the step. When heated in an aerobic atmosphere at about ℃, the hydrated lime (3) decomposes and combines with oxygen to be regenerated into quicklime (2), thereby contaminating components (COD component, TOC component, n-nucleic acid extract material, and ammonia nitrogen) of the aqueous waste (1). , Nitrogen nitrogen and the like) are reduced by thermal decomposition. In particular, organic materials are almost completely pyrolyzed when heated above 650 ° C (environmental loads are decompo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rough zero-immission that does not discharge the water-containing waste 1, which is a load on nature.

이와 같이 하여서 수분저감공정에서의 생석회(2)의 수화열이나 재생공정에서의 가열에 의해 오염성분을 열분해시킴으로써, 수분저감공정에서의 생석회(2)의 수화열을 오염 성분의 열분해로 이용하거나, 혹은 재생공정에서의 생석회(2)의 재생시에 가열하는 열량을 오염성분의 열분해로 이용할 수 있어, 전기분해법에 의한 제어가 복잡한 처리 등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오염성분을 분해할 수 있어서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In this way, the heat of hydration of the quicklime 2 in the moisture reduction step or the heat of the regeneration step is pyrolyzed to contaminate the contaminant component, so that the heat of hydration of the quicklime 2 in the moisture reduction step is used as pyrolysis of the contaminant or regeneration. The amount of heat to be heated during regeneration of the quicklime 2 in the process can be used as pyrolysis of contaminants, and the contaminants can be decomposed by a relatively simple method compared to the treatment with complicated control by the electrolysis method. Has the advantage.

그리고, 상기 재생공정에서는 소석회(3)와 입상의 가열매체(4)를 가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입상의 가열매체(4)에 의해 소석회(3)에 대한 열전도성을 향상시켜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처리시간의 단축, 필요 열량의 저감).In the regeneration process, the slaked lime 3 and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are heated so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laked lime 3 can be improved by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to increase the treatment efficiency. Shortening of processing time, reduction of required calories).

게다가, 생석회(2)→소석회(3)(수분저감공정), ⇒소석회(3)→생석회(2)(재생공정), ⇒생석회(2)→소석회(3)(수분저감공정), ⇒소석회(3)→생석회(2)(재생공정)…, 로 생석회(2)를 반복해서 재생·재이용할 수 있으며(배수를 흡수시킨 소석회를 그대로 산성 토양에 뿌리는 단순히 쓰고 버리는 것과는 다르다), 이와 같은 리사이클에 의해 약제 러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quicklime (2) → slaked lime (3) (water reduction process), ⇒ slaked lime (3) → quicklime (2) (regeneration process), ⇒ quicklime (2) → slaked lime (3) (moisture reduction step), ⇒ slaked lime (3) → quicklime (2) (regene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quicklime (2) can be repeatedly recycled and reused (different from simply discharging the absorbed lime into the acidic soil as it is), and the drug running and cost can be suppressed by such recycling.

또한, 전기분해법으로는 산화제 양이 충분하지 못하여 처리가 곤란했던 고농도의 함수성 폐기물(1)(예를 들면 COD가 1000ppm이상인 유기배수)에 관해서도 매우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전기분해법의 처리원리는 산화제법임에 대하여 이 발명의 처리 원리는 열분해법이다.
The electrolytic method can also be suitably treat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the water-containing waste 1 (for example, organic wastewater having a COD of 1000 ppm or more), which is difficult to treat due to insufficient amount of oxidant. The treatment principle of the electrolysis method is the oxidizing agent method. The treatment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yrolysis method.

(2)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 입상의 가열매체(4)를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블로하도록 한다. 즉, 외주에 히터(12)를 감아 설치한 가열재생로(7) 중의 입상의 가열매체(4)를 하방에서 컴프레서(8)로 에어블로하며, 입상의 가열매체(4)는 마치 유체의 유동고처럼 거동하게 되어, 입상의 가열매체(4)(의사,擬似)욕 중에서 소석회(3)는 주위의 가열매체(4)로부터 전열 가열되어서 생회석(2)로 화학 변화해 가게 된다. 즉, 소석회(3)는 사방 둘레의 입상의 가열매체(4) 욕(浴)과의 접촉 가열에 의해 전열 효율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2) In the regeneration step,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is blown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in the heating regeneration furnace 7 provided with the heater 12 wound around the air is blown into the compressor 8 from below, and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is like a fluid flow. It acts as it is, and the slaked lime 3 is electrothermally heated from the surrounding heating medium 4 in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doctor) bath, and chemically changes to the raw lime 2. That is, the slaked lime 3 can be made excellent in heat transfer efficiency by the contact heating with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bath of a circumference | surroundings.

또한, 함수성 폐기물(1)에 휘발성의 유기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기성분은 입상의 가열매체 욕(浴) 층의 장해물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의 이행이 억제되고, 그 층 중에서 체류하고 있는 동안에 열분해되게 되어, VOC가스 성분이 외부로 누설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입상의 가열매체 욕의 층 두께를 제어함에 따라 VOC가스 성분의 누설방지기능을 매우 적절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containing waste 1 contains a volatile organic component, the organic component is inhibited from moving upward by the obstacle action of the granular heating medium bath layer, and remains in the layer. During the pyrolysis, the VOC gas component may be less likely to leak to the outside. That is, by controlling the layer thickness of the granular heating medium bath, the leakage preventing function of the VOC gas component can be increased very appropriately.

(3)상기 입상의 가열매체(4)는 공기보다도 비열이 작은 것으로 한다. 상기 입상의 가열매체(4)로서 알루미나·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이 알루미나(비열:0.19cal/g·℃)는 공기(비열:0.24cal/g·℃)보다도 비열이 작고, 공기보다 따뜻해지기 쉬우며 그 밖에 전열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석회(3)의 분해온도이상(예를 들면 580~1000℃정도)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2)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파우더는 분위기 온도를 신속하게 흡수하여 신속하게 소석회(3)로 열전도시킬 수 있다. 또한 소석회(3)의 비열은 0.28cal/g·℃이다. (3)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is smaller in specific heat than air. An alumina powder was used as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This alumina (specific heat: 0.19 cal / g · ° C) has a specific heat smaller than that of air (specific heat: 0.24 cal / g · ° C), tends to be warmer than air, and is easily heat-transferred. Therefore, in the regeneration process of regenerating the quicklime 2 by heating it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slaked lime 3 (for example, about 580 to 1000 ° C.), the alumina powder quickly absorbs the ambient temperature and rapidly replaces the slaked lime 3. Can be thermally conductive. Moreover, the specific heat of slaked lime 3 is 0.28 cal / g * degreeC.

따라서, 재생공정에 있어서 소석회(3)로의 열전도 효율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에너지절약·비용 절약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eat conduction efficiency to the slaked lime 3 is excellent in a regeneration process, and it is excellent in energy saving and cost saving.

(4)상기 입상의 가열매체(4)는 생석회(2)보다도 비중이 큰 것으로 한다. (4)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has a larger specific gravity than the quicklime 2.

상기 입상의 가열매체(4)로서 알루미나 파우더(비중:3.97)를 이용하였다. 상기 비중 3.97에 대하여 생회석(2)의 부피비중은 약 1, 소석회의 부피비중은 약 0.5이다. Alumina powder (specific gravity: 3.97) was used as the granular heating medium 4.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gravity of 3.97, the volume specific gravity of the raw lime (2) is about 1, and the volume specific gravity of the slaked lime is about 0.5.

따라서, 소석회(3)의 분해온도이상(예를 들면 580~1000℃정도)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2)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에 있어서, 생석회(2)와 알루미나·파우더의 비중의 차이에 의해 생석회(2)는 알루미나·파우더보다도 위쪽으로 날아오르기 쉬워지게 되고(소석회(3)는 날아오르는 과정에서 전열되어서 생석회(2)로 변화해 간다), 날아오른 생석회(2)를 다른 유로로 이행시킴으로써 비중이 보다 크고 중력의 작용을 받기 쉬운 알루미나·파우더(소석회(3)보다도 날아오르기 어렵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분리한 생석회(2)는 다시 수분저감공정으로 보내어 함수성 폐기물(1)과 접촉시킨다.
Therefore, in the regeneration step of regenerating the quicklime 2 by heating it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the slaked lime 3 (for example, about 580 to 1000 ° C), the quicklime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quicklime 2 and the alumina powder. (2) becomes easier to fly upward than the alumina powder (the slaked lime (3) is heated in the process of soaring and changes to the quicklime (2)), by transferring the quicklime quicklime (2) to another flow path It becomes possible to separate from the alumina powder (which is harder to fly than the slaked lime 3) larger and more susceptible to the action of gravity. Then, the separated quicklime (2) is sent to the moisture reduction process again to contact with the water-containing waste (1).

(5)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파우더를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블로하며 상기 알루미나·파우더의 유동고에서 식염이 분리되게 된다. (5) In the regeneration process, the alumina powder is blown as described above, and the salt is separated from the flow chamber of the alumina powder.

즉, 알루미나는 융점이 2054℃ 비점이 3000℃임에 대하여, 염화나트륨의 융점은 801℃ 비점은 1514℃이기 때문에 801~1000℃의 온도영역에서는 알루미나·파우더는 고체(입체)임에 대하여 식염은 용융한 액상의 상태이고, 액상의 식염은 하방으로 흘러내려 감에 따라 양자를 분리할 수 있으며, 함수성 폐기물(1)중의 식염의 탈염이 가능하다. 탈염한 식염은 전기분해시 등에 재이용(피처리수에 도전성을 부여한다)할 수 있다.
That is, alumina has a melting point of 2054 ° C and a boiling point of 3000 ° C, whereas sodium chloride has a melting point of 801 ° C and a boiling point of 1514 ° C. Therefore, alumina and powder are solids (solid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801-1000 ° C. It is in a liquid state, and the salt in the liquid phase can be separated as it flows downward, and desalination of the salt in the water-containing waste (1) is possible. The desalted salt can be reused (to give conductivity to the water to be treated) at the time of electrolysis or the like.

(6)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 파우더를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블로하며 상기 알루미나·파우더의 유동고(流動庫)로부터 금속류가 분리되게 된다. (6) In the regeneration process, the alumina powder is blown as described above, and metals are separated from the flow chamber of the alumina powder.

즉, 산화철의 비중은 5전후, 산화망간은 4.5이며, 어느 쪽도 알루미나의 3.97보다도 크기 때문에 재생공정에서는 알루미나·파우더의 유동고에 있어서 중량차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해 가게 된다. 또한 염화나트륨의 비중은 2.17로 알루미나보다도 작지만, 801~1000℃의 온도영역에서 식염은 용융한 액상의 유동상태이기 때문에 전항대로 알루미나·파우더의 유동고를 하방으로 흘러내려 가게 된다.
That is, since the specific gravity of iron oxide is around 5 and manganese oxide is 4.5, and both are larger than 3.97 of alumina, in a regeneration process, it moves downward by the weight difference in the flow chamber of an alumina powder. In addition, sodium chloride has a specific gravity of 2.17, which is smaller than that of alumina, but in the temperature range of 801 to 1000 ° C., the salt is in a molten liquid state, so that the flow of alumina and powder flows downward.

전기분해법에 의한 제어가 복잡한 처리 등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오염성분을 분해할 수 있고,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여러 가지의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ontaminants can be decomposed by a relatively simple method compared to a complicated treatment such as an electrolysis method, and can be easily carried out than before, and can be applied to the use of various water-containing waste treatment methods.

1; 함수성 폐기물
2; 생석회
3; 소석회(비교적 작은 알갱이로 도시)
4; 가열매체(비교적 큰 알갱이로 도시)
One; Water waste
2; quicklime
3; Slaked lime (compared with smaller granules)
4; Heating medium (shown in comparatively large granules)

Claims (5)

함수성 폐기물에 생석회를 접촉시키는 수분저감공정과, 상기 생석회가 흡수 반응하여서 생성한 소석회의 분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서 생석회를 재생하는 재생공정을 구비하는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공정에서 소석회와 알루미나 파우더를 함께 가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A water-reducing step of contacting quicklime with water-based waste, and a regeneration step of regenerating quicklime by heating above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slaked-lime produced by absorption reaction of the quicklime, wherein the regeneration step is carried out. The method for treating water-containing wast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cined lime and alumina powder to be heat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 알루미나 파우더를 에어블로하도록 한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The method of treating water-containing was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umina powder is blown in the regeneration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성 폐기물에 전기 분해 작용을 미치게 한 함수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ydrous waste is electrolyzed.
KR1020110042477A 2010-05-07 2011-05-04 Treating method of hydrous waste KR1012727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7565 2010-05-07
JP2010107565A JP2011235218A (en) 2010-05-07 2010-05-07 Method for treating water-containing was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678A KR20110123678A (en) 2011-11-15
KR101272788B1 true KR101272788B1 (en) 2013-06-10

Family

ID=4532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477A KR101272788B1 (en) 2010-05-07 2011-05-04 Treating method of hydrous wast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235218A (en)
KR (1) KR1012727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0198A (en) * 2010-08-03 2012-02-16 Omega:Kk Reattachment prevention mechanism to soil, such as heavy metal
JP6114136B2 (en) * 2013-07-30 2017-04-12 株式会社オメガ Classification equipment for contaminated soil
KR101534128B1 (en) * 2014-11-28 2015-07-06 주식회사 포스코 Processing method for raw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for raw material and Manufacturing facilities for molten pig iron
JP2019181371A (en) * 2018-04-11 2019-10-24 株式会社オメガ Method for producing fresh water by waste shell
CN111924933B (en) * 2020-07-09 2022-11-22 腾泽科技(无锡)有限公司 Device for water body ecological restora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8500A (en) * 2000-07-10 2002-01-22 Mitsuo Hanada Water reducing method for high-water-content industrial waste
KR200279630Y1 (en) 2002-03-29 2002-06-24 김인수 A drying machine of food refuse using quicklime
JP2008188497A (en) 2007-02-01 2008-08-21 Honmokuko Shoji:Kk Industrial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lime cycle
JP2009154089A (en) 2007-12-26 2009-07-16 忠幸 ▲吉▼田 Garbage treat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013A (en) * 1996-03-29 1997-10-14 Yoshizawa Sekkai Kogyo Kk Production of fine powder slaked lime by utilizing fluidized bed
JP2000063829A (en) * 1998-08-25 2000-02-29 Ube Material Industries Ltd Highly active, recycled quicklime composition, preparation thereof and use as soil stabilization treatment material
JP4203810B2 (en) * 2003-12-08 2009-01-07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Organic waste treatment method an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8500A (en) * 2000-07-10 2002-01-22 Mitsuo Hanada Water reducing method for high-water-content industrial waste
KR200279630Y1 (en) 2002-03-29 2002-06-24 김인수 A drying machine of food refuse using quicklime
JP2008188497A (en) 2007-02-01 2008-08-21 Honmokuko Shoji:Kk Industrial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lime cycle
JP2009154089A (en) 2007-12-26 2009-07-16 忠幸 ▲吉▼田 Garbage treat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35218A (en) 2011-11-24
KR20110123678A (en)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788B1 (en) Treating method of hydrous waste
Xu et al.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sludge ceramsite
KR20110086518A (en) Treating method of hydrous waste
CN101502838A (en) Novel technique for harmless treatment of medical refuse burning flyash
JP2007215552A (en) Method of treating organohalogen compound
JP3626459B2 (en) Organohalogen compound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06255564A (en) Method for decontaminating organic sludge and contaminated soil by utilizing photocatalyst
JP3992627B2 (en) Treatment method of wastewater containing persistent degradable hazardous substances
JP2004034008A (en) Harmful organic material removal method using quick lime, hydrogen peroxide, and heat treatment
WO20020642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organic matter utilizing substance circulation system
KR101207565B1 (en) Method for deodorizing sludge comprising the step of treatment noxious odor-producing materials with sulfuric acid
JP2010084078A (en) Solid fu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60088610A (en) Dispersion compound and mixing compound for recycling sludge in sewage and wastewater
JP4431025B2 (en) Organohalogen compound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12055808A (en) Method of using surplus sludge
JP2003285043A (en) Method for cleaning material polluted with chemical substance
KR20220040108A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Wastes
JPH0852454A (en) Method for decomposing aromatic halide compound
JP4552247B2 (en) Method for decomposing an organic compound having an aromatic ring
JP4505826B2 (en) Vaporized garbage processing equipment
JP2008018317A (en) Treatment method and treatment product of sewage sludge
JP2001104939A (en) Method for cleaning wastewater
KR102119219B1 (en) Apparatus for odor reduction using pyrolysis
CN103739123B (en) A kind of catalyzed degradation method for oil extraction-generated waste water advanced treatment
RU2714471C1 (en) Industrial wastes utiliz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its imple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