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297B1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297B1
KR101271297B1 KR1020117019588A KR20117019588A KR101271297B1 KR 101271297 B1 KR101271297 B1 KR 101271297B1 KR 1020117019588 A KR1020117019588 A KR 1020117019588A KR 20117019588 A KR20117019588 A KR 20117019588A KR 101271297 B1 KR101271297 B1 KR 10127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disaster
elevator
control devic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408A (ko
Inventor
유이치 고데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재해 시에 가장 가까운 층 정지를 행함과 아울러,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이용자가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운전 모드 제어 장치와; 운전 모드 제어 장치가 운전 모드를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엘리베이터에 가장 가까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와; 운전 모드 제어 장치가 운전 모드를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알림 장치에, 엘리베이터가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 제어 장치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가장 가까운 층 정지 운전, 예를 들어, 지진 관제 운전에 있어서는 지진 감지기가 지진을 감지하면, 엘리베이터칸이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하여 이용자를 하차시킨다. 그 후, 통상 운전으로 복귀할 때까지 엘리베이터칸 내에 이용자를 타게 하는 일 없게 도어를 닫고 휴지한다.
통상 운전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보수원의 점검이 필요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협회 표준 JEAS-41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규모 지진을 검출하는 저규모 지진 검출 장치만이 동작한 경우, 지진 종료 후에 엘리베이터를 운전해도 문제없는 규모의 지진이다라고 판단하고, 지진 감지기를 자동 리셋한 다음, 엘리베이터를 통상 운전으로 복귀시키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휴지층이 통상 서비스되지 않는 비상 출입구층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이 비상 착상(着床) 출입구층에는 엘리베이터칸을 호출하기 위한 승강장 버튼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통상 운전으로 복귀해도, 이용자는 하차한 비상 착상 출입구층으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없다. 즉, 이용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다른 계상(階床)까지 계단 등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휠체어의 이용자는 계단을 이용하지 못하고,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갇힌다.
그래서 가장 가까운 층 정지 운전에 의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엘리베이터칸이 휴지된 경우, 휠체어의 이용자가 외부로부터 구출될 때까지 승강장에 갇히는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신체 장애자용의 피난층과 일반 피난층을 마련하고, 신체 장애자 호출의 유무에 의해 그러한 피난층을 구분해서 이용하여, 피난 유도를 확실하게 행한다고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8-33737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으로는 각각의 피난층이 미리 정해져 있고, 그 계상까지 엘리베이터칸을 주행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재해 시에 가장 가까운 층 정지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재해 시에 가장 가까운 층 정지를 행함과 아울러,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이용자가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재해 검출 장치가 재해를 검출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운전 모드의 서비스층 이외의 가장 가까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켜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이용자를 피난시키는 재해 운전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재해 검출 장치가 리셋된 경우에,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키는 운전 모드 제어 장치와; 상기 운전 모드 제어 장치가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상기 가장 가까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와; 상기 운전 모드 제어 장치가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의 승강장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알림 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가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해 시에 가장 가까운 층 정지를 행함과 아울러,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이용자가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구출 운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칸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휴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갇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비상 착상 출입구층으로부터 구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갇힌 이용자가 당초 목적층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재해 감지 장치이다. 이 재해 감지 장치(1)는 건물 내에 마련된다. 이 재해 감지 장치(1)는 재해 검출 장치(2), 리셋 판정 장치(3)를 구비한다. 재해 검출 장치(2)는 지진이나 건물 내의 화재 등의 재해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리셋 판정 장치(3)는 재해 검출 장치(2)가 검출하는 재해의 리셋 판정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4는 엘리베이터칸 제어반이다. 이 엘리베이터칸 제어반(4)은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칸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 엘리베이터칸 제어반(4)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은 건물의 각 층 사이를 주행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칸 제어반(4)은 운전 모드 제어 장치(5), 가장 가까운 층 판정 장치(6), 주행/정지 제어 장치(7), 도어 개폐 제어 장치(8),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 엘리베이터칸 표시 알림 제어 장치(10)를 구비한다.
운전 모드 제어 장치(5)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 재해 운전 모드 등에, 상황에 맞추어 전환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재해 운전 모드는 재해 검출 장치(2)가 재해를 검출했을 때에, 통상 운전 모드의 서비스층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가장 가까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운전 모드이다. 이에 의해, 재해 시에 엘리베이터칸 내의 이용자를 비상 착상 출입구층으로 피난시킬 수 있다.
가장 가까운 층 판정 장치(6)는 가장 가까운 층이 어느 층인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주행/정지 제어 장치(7)는 엘리베이터칸의 주행, 정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어 개폐 제어 장치(8)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을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칸 표시 알림 제어 장치(10)는 엘리베이터칸 내의 이용자에 대한 표시ㆍ알림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1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이다. 이 승강장(11)에는 승강장 표시 알림 제어 장치(12)가 마련된다. 이 승강장 표시 알림 제어 장치(12)는 승강장(11)에 있는 이용자에 대한 표시ㆍ알림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재해 감지 장치(1)가 재해를 검출하면, 재해 검출 장치(2)는 엘리베이터칸 제어반(4)에 재해 검출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재해 검출 정보를 수신한 운전 모드 제어 장치(5)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재해 운전 모드로 전환과 동시에, 운전 모드의 전환 정보를 가장 가까운 층 판정 장치(6), 주행/정지 제어 장치(7), 도어 개폐 제어 장치(8), 엘리베이터칸 표시 알림 제어 장치(10)에 송신한다.
전환 정보를 수신한 가장 가까운 층 판정 장치(6)는 현 상태에서의 가장 가까운 층을 판정함과 아울러, 가장 가까운 층 판정 정보를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에 송신한다. 이러한 가장 가까운 층 판정 정보를 수신한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는 현 상태에 등록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을 해제함과 동시에 기억한다.
또, 전환 정보를 수신한 주행/정지 제어 장치(7)는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지의 여부, 또는 정지시킨다면 어느 계상에 정지시킬지를 제어한다. 추가로 주행/정지 제어 장치(7)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정지 계상에 정지한 후, 전환 정보를 수신한 도어 개폐 제어 장치(8)가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 표시 알림 제어 장치(10)는 엘리베이터칸 내의 표시 알림 장치에, 이용자에게 적절한 안내를 표시ㆍ알리도록 한다.
여기서, 리셋 판정 장치(3)에서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 조건이 성립하면, 재해 검출 장치(2)로부터 엘리베이터칸 제어반(4)에 송신되어 있는 재해 검출 정보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운전 모드 제어 장치(5)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으로 복귀시킨다.
이 때, 엘리베이터칸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정지하고 있는 경우, 운전 모드 제어 장치(5)는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하기 전에 구출 운전 모드로 전환한다. 이러한 전환에 의해, 도어 개폐 제어 장치(8)는 엘리베이터에,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한다. 또, 이 때, 승강장 표시 알림 제어 장치(12)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8)가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의 승강장(11)에 마련된 승강장 표시 알림 장치(12)에, 통상 운전 모드로의 복귀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표시ㆍ알리도록 한다.
추가로, 이와 동시에, 운전 모드 제어 장치(5)는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가 기억한 엘리베이터칸 호출을 자동 재등록한다. 이에 의해,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승차 후에 엘리베이터는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칸 호출 등록층(이용자의 당초 목적층)으로 주행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재해 운전 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단계 S1에서, 재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재해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단계 S2로 진행된다. 단계 S2에서는 가장 가까운 층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가장 가까운 층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의 경우는, 단계 S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에서는 그 시점에서 등록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기억된다. 또, 엘리베이터칸 호출의 유무에 의해,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칸에 승차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등록되어 있을 때는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칸에 승차하고 있다고 판정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등록되지 않았을 때는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칸에 승차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러한 판정 후, 단계 S4로 진행된다. 단계 S4에서는 가장 가까운 층으로서 선택된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엘리베이터칸이 휴지되고, 단계 S5로 진행된다.
단계 S5에서는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 조건이 성립됐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 S4에서, 엘리베이터칸의 휴지가 유지된다. 한편,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 조건이 성립하고 있으면, 단계 S6으로 진행된다. 단계 S6에서는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이 실행되고, 단계 S7로 진행된다. 단계 S7에서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의 기억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 호출의 기억이 있으면, 단계 S8로 진행된다. 단계 S8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비상 착상 출입구층으로 피난한 이용자를 구출하는 구출 운전 모드로 된다. 그리고 구출 운전 모드가 종료되면, 단계 S9로 진행되어,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로 된다. 한편, 단계 S7에서, 엘리베이터칸 호출의 기억이 없으면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는 단계 S8의 구출 운전 모드로는 되지 않고, 단계 S9로 진행되어 통상 운전 모드로 된다.
상기 동작에 대해, 단계 S2에서, 가장 가까운 층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이 아니면 단계 S10으로 진행된다. 단계 S10에서는 통상 운전 모드에서의 서비스 가능층에서 엘리베이터칸이 휴지하게 되고, 단계 S11로 진행된다. 단계 S11에서는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 조건이 성립됐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 S10에서 엘리베이터칸의 휴지가 유지된다.
한편,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 조건이 성립하고 있으면, 단계 S12로 진행된다. 단계 S12에서는 재해 검출의 자동 리셋이 실행되고, 단계 S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3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통상 운전 모드로 된다. 또한, 단계 S1에서, 재해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4로 진행되어 통상 운전 모드가 유지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도 2의 구출 운전 모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구출 운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구출 운전 모드로 되면, 단계 S21에서, 이용자가 피난하고 있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동작이 행해지고, 단계 S22로 진행된다. 단계 S22에서는 이용자가 피난하고 있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의 승강장(11)에 마련된 승강장 표시 알림 장치(12)가, 이용자에게 통상 운전 모드로의 복귀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표시 등이나 아나운스에 의해 표시ㆍ알리고, 이용자에게 엘리베이터칸으로의 승차를 재촉하고, 단계 S23로 진행된다.
단계 S23에서는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에 기억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자동 재등록되고, 단계 S24로 진행된다. 단계 S24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S24에서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이 유지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는, 단계 S25로 진행된다. 단계 S25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닫히고 구출 운전 모드가 종료된다. 그리고 구출 운전 모드가 종료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운전 모드가 개시된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의 일련의 동작의 구체적인 예를 시각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칸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휴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갇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비상 착상 출입구층으로부터 구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갇힌 이용자가 당초 목적층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13은 건물의 1층이다. 이 1층(13)은 통상 운전 모드의 서비스층으로 되어 있다. 14는 10층이다. 이 10층(14)도, 통상 운전 모드의 서비스층으로 되어 있다. 15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이다. 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은 1층(13)과 10층(14)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은 통상 운전 모드의 서비스층으로는 되지 않았다.
여기서, 1층(13)에서 엘리베이터칸(16)에 탑승한 이용자(17)가, 목적층인 10층(14)의 엘리베이터칸 호출을 등록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칸(16)은 이용자(17)를 싣고, 10층(14)을 향해서 주행한다. 이 때, 엘리베이터칸(16)이 비상 착상 출입구층(15) 앞을 주행하는 중에 재해가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칸(16)은 가장 가까운 층인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에 정지한다.
이에 의해, 이용자(17)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으로 피난할 수 있다. 그러나 재해가 수습되어서, 재해 검출이 자동 리셋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가 구출 운전 모드로 되지 않고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하는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16)은 통상 운전 모드의 서비스층으로 주행한다. 이에 의해, 이용자(17)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에 갇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출 운전 모드에 의해,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에 갇힌 이용자(17)가 구출된다.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해 검출 시에 등록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자동적으로 재등록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16)은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으로부터 당초 목적층인 10층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도어 개폐 제어 장치(8)는 운전 모드 제어 장치(5)가 운전 모드를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엘리베이터에 가장 가까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한다. 또, 승강장 표시 알림 제어 장치(12)는 운전 모드 제어 장치(5)가 운전 모드를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도어 개폐 제어 장치(8)가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의 승강장(11)에 마련된 알림 장치에 엘리베이터가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알린다.
이 때문에, 재해 시에 가장 가까운 층 정지를 행함과 아울러,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에 이용자(17)가 갇혀서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휠체어 이용자라도 피난 유도할 수 있는 특별한 계상을 마련할 필요도 없고, 기설(旣設)의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운전 모드 제어 장치(5)는 운전 모드를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에 기억된 엘리이터칸 호출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을 등록한다. 이 때문에,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으로 피난한 이용자(17)는 재차의 등록 조작을 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당초 목적층에 갈 수 있다.
더욱이 운전 모드 제어 장치(5)는 재해 검출 장치(2)가 재해를 검출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에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재해 운전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운전 모드 제어 장치(5)는 재해 검출 장치(2)가 재해를 검출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9)에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쓸데 없는 구출 운전을 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8)가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15)의 승강장(11)에 마련된 표시 알림 장치에, 엘리베이터가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알리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칸 내의 표시 알림 장치에, 엘리베이터가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알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조기에 가장 가까운 층 정지를 실현하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재해 감지 장치,
2 재해 검출 장치,
3 리셋 판정 장치,
4 엘리베이터칸 제어반,
5 운전 모드 제어 장치,
6 가장 가까운 층 판정 장치,
7 주행/정지 제어 장치,
8 도어 개폐 제어 장치,
9 엘리베이터칸 호출 기억 장치,
10 엘리베이터칸 표시 알림 제어 장치,
11 승강장,
12 승강장 표시 알림 제어 장치,
13 건물의 1층,
14 건물의 10층,
15 비상 착상 출입구층,
16 엘리베이터칸,
17 이용자.

Claims (3)

  1. 재해 검출 장치가 재해를 검출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를,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운전 모드의 서비스층 이외의 가장 가까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켜서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의 이용자를 피난시키는 재해 운전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재해 검출 장치가 리셋된 경우에,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키는 운전 모드 제어 장치와,
    상기 운전 모드 제어 장치가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상기 가장 가까운 비상 착상 출입구층에서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와,
    상기 운전 모드 제어 장치가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상기 도어 개폐 제어 장치가 일정 시간 도어를 열게 하는 비상 착상 출입구층의 승강장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알림 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가 이용 가능하다는 취지를 알리는 알림 제어 장치와,
    상기 재해 검출 장치가 재해를 검출했을 때에 등록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운전 모드 제어 장치는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재해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 복귀시켰을 때에,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엘리베이터칸 호출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칸 호출을 등록하고, 상기 재해 검출 장치가 재해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기억 장치에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부터 상기 재해 운전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재해 검출 장치가 재해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기억 장치에 엘리베이터칸 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운전 모드를 상기 통상 운전 모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7019588A 2009-04-15 2009-04-15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271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7587 WO2010119525A1 (ja) 2009-04-15 2009-04-15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408A KR20110108408A (ko) 2011-10-05
KR101271297B1 true KR101271297B1 (ko) 2013-06-04

Family

ID=4298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588A KR101271297B1 (ko) 2009-04-15 2009-04-15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00722B2 (ko)
EP (1) EP2420467A4 (ko)
JP (1) JP5338901B2 (ko)
KR (1) KR101271297B1 (ko)
CN (1) CN102395520B (ko)
WO (1) WO2010119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4DN10423A (ko) * 2012-06-04 2015-08-21 Otis Elevator Co
JP6222162B2 (ja) * 2015-04-20 2017-11-0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復旧方法
KR101846640B1 (ko) 2016-01-25 2018-04-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방법
US11643302B2 (en) * 2017-11-22 2023-05-09 Otis Elevator Company Sensing and notifying device for elevator emergencies
US11661312B2 (en) * 2019-01-29 2023-05-30 Otis Elevator Company Hoisting rope monitor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929A (ja) * 1993-03-02 1994-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運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640A (ko) * 1974-03-12 1975-10-21
US4157133A (en) * 1978-04-24 1979-06-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637969A (en) * 1979-09-05 1981-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when earthquake
JPH08337370A (ja) 1995-06-15 1996-12-2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3728357B2 (ja) * 1996-11-15 2005-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弱者運転装置
JPH10182029A (ja) * 1996-12-25 1998-07-07 Toshiba Elevator Kk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2068629A (ja) * 2000-08-28 2002-03-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管制運転装置
JP2006290509A (ja) * 2005-04-08 2006-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FI118332B (fi) * 2005-10-14 2007-10-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US7926620B2 (en) * 2006-08-29 2011-04-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1202511B1 (ko) * 2008-12-08 2012-11-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US8230980B2 (en) * 2009-12-31 2012-07-31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elevator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FI125122B (fi) * 2010-02-01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929A (ja) * 1993-03-02 1994-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運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0467A4 (en) 2017-06-14
US8800722B2 (en) 2014-08-12
US20110303495A1 (en) 2011-12-15
WO2010119525A1 (ja) 2010-10-21
KR20110108408A (ko) 2011-10-05
JPWO2010119525A1 (ja) 2012-10-22
CN102395520B (zh) 2014-01-29
CN102395520A (zh) 2012-03-28
EP2420467A1 (en) 2012-02-22
JP5338901B2 (ja)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0279B1 (en) Elevator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US6000505A (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KR101436768B1 (ko) 엘리베이터의 모니터 제어 장치
AU745755B2 (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200716141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7129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2003276964A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JP558678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749854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673425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JP7379646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2003341955A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JP2005112601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WO2014006704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08056402A (ja) エレベータ運転システム
JP6696520B2 (ja) エレベータ
JP200333546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3728357B2 (ja) エレベーターの弱者運転装置
JP7367097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停電時避難運転方法
JP4180878B2 (ja) エレベーターの火災時運転装置
JP6741033B2 (ja) エレベータ
JP2001130855A (ja) エレベータ
JP2012030905A (ja) エレベータの運行管理システム
JPH0711288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197976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