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082B1 -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82B1
KR101271082B1 KR1020110018165A KR20110018165A KR101271082B1 KR 101271082 B1 KR101271082 B1 KR 101271082B1 KR 1020110018165 A KR1020110018165 A KR 1020110018165A KR 20110018165 A KR20110018165 A KR 20110018165A KR 101271082 B1 KR101271082 B1 KR 10127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diffuser plate
plate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301A (ko
Inventor
김영주
유재경
신민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8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0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6Details of globes or cove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확산판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빛이 확산판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된 마이크로 패턴에 굴절됨으로써, 빛이 손실되지 않고 균일한 세기로 방출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LED 광원의 상측에 구비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에 있어서,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과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을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형성되는 LED 광원 및 상기 LED 광원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은 상기 측벽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LIGHT DIFFUSER PLATE FOR LED LAMP AND LED LAM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LED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확산판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빛이 확산판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된 마이크로 패턴에 굴절됨으로써, 빛이 손실되지 않고 균일한 세기로 방출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에 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조명기구의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주목을 받고 있다. LED는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내부에 전자(electron) 또는 정공(hall)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자 또는 정공에 임계 이상의 전압을 가하면 전기 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빛을 생성한다.
이러한 LED는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LED는 진동에 강하며 긴 수명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LED는 임계 이상의 전압을 가하는 순간 빛을 생성하기 때문에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LED는 한 점에서 빛을 생성하는 점광원으로서, LED를 그대로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원의 노출 또는 눈부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기구는 입사된 빛을 내부에서 산란 및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사용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확산판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이때, 확산판 내부에는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기포 또는 확산제가 분포된다. 이러한 확산판 내부의 기포 또는 확산제는 확산판에 입사된 빛을 굴절 및 반사시킨다. 특히 확산판 내부에 기포 또는 확산제가 충분한 경우, 확산판에 입사된 빛은 확산판 내부에서 충분한 횟수의 굴절 및 반사를 거쳐 산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확산판에 입사된 빛이 확산판 외부로 방출될 때는, 빛의 세기가 균일해지고 발산각이 커진다.
하지만 확산판에 입사된 빛이 확산제 내부의 기포 또는 확산제에 굴절 및 반사되는 과정에서 입사된 빛의 일부는 확산제의 기포 또는 확산제에 흡수된다. 이로 인해, 빛이 확산판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빛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확산판 내부에서 산란된 빛이 확산판 외부로 방출될 때에는 램버시안(Lamvertion) 분포에 따라 방출된다. 이로 인해, 발산각의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ED 광원에서 생성되는 빛의 세기를 균일하게 하고, 빛의 세기를 균일하게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빛 손실을 줄이며, LED 광원에서 생성되는 빛의 발산각을 조정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ED 광원의 상측에 구비되는 확산판에 있어서,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확산판은 내부에 기포 또는 확산제가 분포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확산판은 상부에 기포 또는 확산제가 분포된 확산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확산판은 평면 또는 곡면의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을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형성되는 LED 광원; 및 상기 LED 광원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은 상기 측벽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LED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확산판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빛이 확산판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된 마이크로 패턴에 굴절된다. 이때, 상기 빛이 입사하는 세기 및 각도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패턴을 가변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확산판을 투과한 상기 빛의 세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패턴을 가변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확산판을 투과한 상기 빛의 발산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빛은 상기 마이크로 패턴에서 굴절되며, 굴절된 빛은 상기 확산판 외부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확산판 내부에서 빛이 흡수되는 것이 감소하여, 상기 확산판이 빛의 세기를 균일하게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빛 손실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표면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서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마이크로 패턴이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측면도이다.
도 7는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을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표면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100)은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마이크로 패턴(200)이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의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은 반구 형태는 물론 피라미드 또는 타원 형태인 것을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은 직경 또는 너비가 10 내지 200㎛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은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이 10 내지 200㎛ 범위의 가변적인 간격(d)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 상에서 위치에 따라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은 다른 양각 또는 음각과 10㎛ 내지 200㎛ 간격(d)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 상의 위치에 따라 단위면적당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의 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 상의 어느 위치에서 단위면적당 양각 또는 음각의 수가 증가하면,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은 상기 위치에서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의 밀도가 증가하여 조밀한 마이크로 패턴(200)이 된다. 반대로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 상의 어느 위치에서 단위면적당 양각 또는 음각의 수가 감소하면,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은 상기 위치에서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의 밀도가 감소하여 성긴 마이크로 패턴(200)이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의 조밀한 정도는 상기 확산판(100)을 투과하는 빛의 굴절에 영향을 준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확산판(100)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된 것이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이다. 이때,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은 상기 확산판(100) 표면과 다른 굴절면을 갖는다. 즉,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확산판(100) 표면은 평면으로서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굴절면을 갖는 것과 달리, 상기 음각은 구형으로서 위치에 따라 다른 굴절면을 갖는다. 이로 인해, 빛이 상기 확산판(100)의 모든 위치에 동일한 각도로 입사하는 경우, 상기 확산판(100) 표면에 입사한 빛은 상기 확산판(100) 표면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게 굴절된다. 하지만 상기 음각은 상기 빛이 구면의 어느 위치에 입사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굴절된다. 이에 따라, 빛이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으로 입사하는 경우에는 상기 빛이 입사한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굴절된다. 더불어 상기 확산판(100) 표면의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에서만 빛이 굴절하여, 확산판(100)에서 발생하는 빛 손실이 감소한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확산판(100)에 입사된 빛이 방출되는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확산판(100)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확산판(100) 상의 각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갖는다. 이때, 상기 각도에 따라 상기 빛이 굴절되는 굴절면을 다르게 형성하면, 상기 빛이 방출되는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빛이 상기 확산판(100) 상의 각 위치에 따라 빛의 세기도 다른 경우에도, 상기 빛의 세기에 따라 상기 굴절면을 다르게 형성하여, 방출되는 상기 빛의 세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확산판(100) 각 위치에 따른 굴절면을 상기 위치에 입사되는 빛의 각도와 세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여, 상기 확산판(100)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세기와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확산판(100) 표면의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을 각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확산판(100) 상의 위치에 따른 굴절면을 조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확산판(100)에서 각 위치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을 가변적으로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 도 3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확산판(100) 하부에는 LED 광원(100)이 구비된다. 상기 LED 광원(400)은 점광원으로서, 상기 LED 광원(400)에서 생성된 빛은 상기 확산판(100)의 각 위치에 따라 다른 세기로 입사한다.
즉, 상기 확산판(100)의 중앙부는 상기 LED 광원(400)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다. 이로 인해, 상기 LED 광원(400)에서 생성된 빛은 상기 중앙부에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로 입사한다.
반대로 상기 확산판(100)의 주변부는 상기 LED 광원(400)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다. 이로 인해, 상기 LED 광원(400)에서 생성된 빛은 상기 주변부에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로 입사한다.
이와 같이, 상기 LED 광원(400)에서 생성된 빛은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에 서로 다른 세기로 입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부와 상기 주변부에 형성된 마이크로 패턴(100)은 다르게 형성된다.
먼저 상기 중심부에는 양각 또는 음각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은 d1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이 조밀하게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이 조밀한 것은 단위면적당 양각 또는 음각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중심부의 면적에서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중심부에 입사되는 빛이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에 입사되는 비율도 높아진다.
반대로 상기 주변부에는 양각 또는 음각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긴 d2로서,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이 성기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주변부의 면적에서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지고, 상기 주변부에 입사되는 빛이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에 입사되는 비율이 낮아진다.
이러한 결과로 상기 중심부에 입사되는 빛은 상기 주변부에 입사되는 빛보다 보다 넓게 확산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에 입사된 빛은 상기 확산판(100) 표면에 입사된 빛보다 넓게 확산하기 때문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판(100) 표면은 평면으로서 굴절면이 한 가지이고,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은 반구 형태로서 굴절면이 수없이 많다. 이로 인해,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에 입사된 빛은 상기 확산판(100) 표면에 입사된 빛보다 더 다양한 굴절을 하게 되고, 이렇게 굴절된 빛은 보다 넓게 확산한다.
따라서 상기 중심부에 입사된 빛은 상대적으로 넓게 확산하고, 상기 주변부에 입사된 빛은 상대적으로 좁게 확산한다. 하지만 상기 중심부에 입사된 빛은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빛이고, 상기 주변부에 입사된 빛은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빛이다. 이로 인해, 상기 중심부에서 방출되는 빛과 상기 주변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합쳐졌을 때, 합쳐진 빛의 세기는 균일해진다. 더불어 상기 확산판(100)에서 발생하는 빛 손실이 감소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확산판(100)은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마이크로 패턴(20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기포(110) 또는 확산제(1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포(110) 또는 확산제(120)는 상기 확산판(100)과 다른 매질로서, 새로운 굴절면을 생성한다.
이로 인해, 상기 확산판(100) 내부로 입사된 빛은 상기 기포(110) 또는 확산제(120)와 상기 확산판(100)과의 계면에서 굴절한다. 이때, 굴절된 빛은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상기 확산판(100) 내부의 다른 기포(110) 또는 확산제(120)의 계면에서 굴절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상기 확산판(100) 내부에서 빛이 산란된다. 이렇게 산란된 빛은 빛의 세기가 균일해지고 발산각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확산판(100)은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마이크로 패턴(200)이 형성되고, 내부에 기포(110) 또는 확산제(120)가 분포된 확산층(13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포(110) 또는 확산제(120)는 새로운 굴절면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상기 확산판(100) 표면의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에서 굴절된 빛은 상기 확산층(130)에 입사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확산층(130)에 입사된 빛은 상기 확산층(130) 내부의 기포(110) 또는 확산제(120)의 계면에서 굴절되어 산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확산층(130) 외부로 방출되는 빛은 빛의 세기가 균일해지고 발산각이 향상된다.
이러한 상기 확산층(130)은 상기 확산판(100)의 상부 외에도 형성이 가능하며, 상기 확산판(100)에 추가로 구비되는 판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100)과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확산판(100)은 곡면의 판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확산판(100) 표면의 굴절면 및 상기 확산판(100)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와 각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확산판(100)의 각 위치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 및 각도에 따라 마이크로 패턴(200)을 가변적으로 형성한다. 즉, 빛이 강하게 입사되는 위치는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을 조밀하게 형성하여 보다 많은 빛이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에 굴절되도록 한다. 반대로 빛이 약하게 입사되는 위치는 상기 마이크로 패턴을 성기게 형성하여 보다 적은 빛이 상기 마이크로 패턴(200)에 굴절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확산판(100)이 곡면의 판인 경우에도 상기 확산판을 투과한 빛의 세기 및 발산각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확산판(100)에 프레임(300), LED 광원(400) 및 측벽(500)을 추가로 포함하여 LED 조명기구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부에 상기 LED 광원(400) 및 측벽(500)이 형성되는 바닥으로서, 상기 프레임(300)에는 상기 LED 광원(40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300)에는 상기 LED 광원(400)에서 생성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프레임(300)의 표면은 빛 반사층이 형성되어 상기 LED 광원에서 생성되는 빛을 집광하는 집광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500)은 상기 LED 광원(4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측벽(500)에는 상기 확산판(300)이 결합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측벽(500)의 측면과 상기 확산판(300)의 측면이 결합된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측벽(500)은 상기 프레임(300)과 같이 상기 LED 광원(40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되거나, 상기 LED 광원(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방열구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300) 및 측벽(500)의 형태 및 구조는 도면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프레임(300) 및 측벽(500)은 도 6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부합되는 곡면의 판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LED 광원(400)은 빛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발생하는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LED 광원(400)은 반도체 및 전압에 따라 생성되는 빛의 색상이 결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LED 광원(400)에서 생성되는 빛의 색상을 바꾸기 위해 변압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LED 광원(400)을 도면에서는 상기 측벽(500) 사이에 하나가 장착된 것으로 나타냈지만, LED 조명기구의 설계에 따라 상기 측벽(500) 사이에 적어도 두개의 LED 광원(400)이 장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확산판 110 : 기포
120 : 확산제 130 : 확산층
200 : 마이크로 패턴 300 : 프레임
400 : LED 광원 500 : 측벽
d : 양각 또는 음각 사이의 간격

Claims (9)

  1.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을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에 있어서,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형성되는 LED 광원; 및
    상기 LED 광원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패턴의 간격은 상기 확산판의 각 위치에 입사되는 빛의 세기에 반비례하여, 상기 확산판의 주변부에 형성된 상기 마이크로 패턴의 간격이 중심부에 형성된 간격보다 길며, 상기 확산판은 상기 측벽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의 형태는 반구, 피라미드 또는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의 크기는 직경 또는 너비가 1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또는 상기 음각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200㎛ 범위에서 상기 확산판의 각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내부에 기포 또는 확산제가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부에 기포 또는 확산제가 분포된 확산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평면 또는 곡면의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9. 삭제
KR1020110018165A 2011-02-28 2011-02-28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 KR101271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165A KR101271082B1 (ko) 2011-02-28 2011-02-28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165A KR101271082B1 (ko) 2011-02-28 2011-02-28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01A KR20120098301A (ko) 2012-09-05
KR101271082B1 true KR101271082B1 (ko) 2013-06-04

Family

ID=4710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165A KR101271082B1 (ko) 2011-02-28 2011-02-28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0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828A (ko) * 2007-12-27 2009-07-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038840A (ko) * 2008-10-07 2010-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엠블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828A (ko) * 2007-12-27 2009-07-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038840A (ko) * 2008-10-07 2010-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엠블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01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0711B2 (en) Light control films and lighting devices including same
KR100931266B1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실내용 led 조명
JP2008186786A (ja) Led灯具ユニット
CN105202482B (zh) 透镜及照明装置
KR102482531B1 (ko) Led를 이용한 양면 면광원 장치
JP2012160666A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KR20100112104A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조명
CN105627191A (zh) 发光模块
KR20190003115U (ko) 광안내장치
US20140159562A1 (en) Lighting device including optoelectronic component
US9575237B2 (en) Light guide element and light source device using the light guide element
JP2014527258A (ja) 光導波路
JP2016058284A (ja) 照明装置
KR101078850B1 (ko)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기구
US20170284611A1 (en) Projection light source structure with bat-wing candle power distribution
TWI465667B (zh) 照明裝置、光源結構與光源模組
KR20120056016A (ko) 글레어 저감 조명장치
CN211176651U (zh) 面罩和灯具
US20140301086A1 (en) Optical sheet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WM461013U (zh) 可加大照射範圍的光源模組及燈具結構
JP2010157653A (ja) 光学レンズ
JP6604589B2 (ja) 照明器具
KR101271082B1 (ko) Led 조명기구용 확산판 및 이를 구비하는 led 조명기구
JP2012243680A (ja) 照明装置
KR101524511B1 (ko) 광 확산 기능을 갖는 led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