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569B1 -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569B1
KR101270569B1 KR1020110109397A KR20110109397A KR101270569B1 KR 101270569 B1 KR101270569 B1 KR 101270569B1 KR 1020110109397 A KR1020110109397 A KR 1020110109397A KR 20110109397 A KR20110109397 A KR 20110109397A KR 101270569 B1 KR101270569 B1 KR 10127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ight
light cover
flexible memb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992A (ko
Inventor
연은희
Original Assignee
연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은희 filed Critical 연은희
Priority to KR102011010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5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26Manufacturing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등커버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가요성 부재의 접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등 주변에 배치되는 전등커버에 있어서, 전등을 내부에 위치시켜 감싸는 형상이고, 외면에 상호 다른 경사 각도의 다면이 형성된 몸체; 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 및 체결홀에 일단부가 배치되어 외향 돌출된 산란부재;가 포함되고, 이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접어서 제작합으로써, 전등커버의 외면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된 다면을 이루어 전등커버 내부에 위치된 전등의 조사각도가 다양해지면서 얻게 되는 빛의 굴절을 통해 조명에 화려함과 미감을 얻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Cover of light and folding method using flexible sheet for making therof}
본 발명은 전등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등 불빛을 산란 및 굴절시켜 조명의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된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등은 실내에 설치되어 조명을 발산하는 기구로, 백열등 및 형광등이 이용되어 빛을 조사하게 된다. 또한, 이 전등에 전등커버를 설치하게 되면 간접적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눈부심을 줄여주고, 빛의 은은함이나 색감 등을 부여하며, 조명범위가 고루 분포하게 된다. 이러한 전등커버로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전등갓이 주로 이용되고, 한지를 이용한 커버가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등커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을 감싸도록 설치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등커버(10)는 마루부위가 개방된 대략 삿갓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전등커버(10)의 양단부가 상호 부착되면서 접착선(11)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전등커버(10)의 표면은 평평하기 때문에 조명의 투과율이 전등커버(10)의 전체 면에 걸쳐 일률적이고, 투과되는 빛의 각도 역시 일정하였다. 따라서, 조명범위 내의 명암 분포가 고르게 되지만, 조명의 화려함 또는 미감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0396152 20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면에 다양한 각도의 다면(多面)이 형성되고, 다면들 사이에 산란부재가 외향 돌출하도록 전등커버가 제작됨으로써, 빛의 조사각도가 다양해지면서 빛이 산란하여 미감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등커버는, 전등 주변에 배치되는 전등커버에 있어서, 전등을 내부에 위치시켜 감싸는 형상이고, 외면에 상호 다른 경사 각도의 다면이 형성된 몸체; 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 및 체결홀에 일단부가 배치되어 외향 돌출된 산란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는 마름모 형상이 연속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마름모 형상은 절반으로 굴절된다.
또한, 체결홀은 마름모 형상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다.
몸체는 가요성 부재로서, 접어서 제작된다.
또한, 산란부재는 가요성 부재로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고, 원뿔대 형상으로 말아서 제작되며, 체결홀에 일단부가 끼워진다.
한편,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은, 몸체가 되는 켄트지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선, 수직선 및 상호 교차하는 제1,2대각선을 작도하는 제1단계(S10); 수평선, 수직선 및 제1,2대각선의 선을 따라 접으면서, 동일한 각도의 선들 중 이웃한 선은 상호 역방향으로 접는 제2단계(S20); 수평선, 수직선 및 제1,2대각선의 선에 의해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경계선을 따라 일방향으로 접는 제3단계(S30); 제3단계(S30)에서 접힌 상태의 몸체 양단부를 잡아당겨 입체가 되도록 잡아당기는 제4단계(S40); 입체이면서 마름모 형상이 연속 배열된 형태의 몸체에서 마름모 형상 내의 일부위를 잘라 체결홀을 형성시키는 제5단계(S50); 몸체를 펼치고, 체결홀에 산란부재의 일단부를 끼우는 제6단계(S60); 및 체결홀에 산란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다시 입체가 되도록 몸체를 접는 제7단계(S7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3단계(S30)에서 마름모 형상 내의 수직선을 따라 접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등커버의 외면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된 다면을 이루도록 제작됨으로써, 전등커버 내부에 위치된 전등의 조사각도가 다양해지면서 얻게 되는 빛의 굴절을 통해 조명에 화려함과 미감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등커버의 외면에 외향 돌출된 산란부재에 의해 빛의 굴절과 더불어 빛의 산란을 부여하여 조명의 은은함 및 미감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요성 부재를 접어서 전등커버를 제작하는 경우 가요성 부재를 적절한 크기로 자르게 되면 일반 형광등, 3파장 형광등 및 백열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등의 크기에 대해 적절한 크기로 손쉽게 제작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등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전등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전등커버가 전등에 장착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접는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접은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등커버를 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전등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전등커버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등커버(100)는 몸체(110), 체결홀(120) 및 산란부재(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몸체(11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마름모 형상이 소정 각도를 갖도록 굴절되어 연속되고, 전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를 갖는 형상이다. 또한, 마름모의 중앙은 대략 절반으로 나뉘어 오목한 형상이다. 여기서, 몸체(110)는 두께가 얇은 일반 종이 및 두께가 두꺼운 켄트지 등을 포함하여 접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 부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몸체(110)의 완성된 모습을 플라스틱을 포함한 합성수지, 금속, 비금속 및 유리 등의 경질의 부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몸체(110)의 접는 방식은 후술된다.
체결홀(120)은 산란부재(130)의 일단부가 끼워지거나 배치되는 부위로, 오목한 형상의 마름모 중앙에 형성된다. 물론, 체결홀(120)은 불규칙적으로 몸체(110)의 외면 어느 곳에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120)은 대략 1cm의 직경을 갖는 구멍이다.
산란부재(130)는 대략 원뿔대형상으로, 체결홀(120)에 일단부가 끼워지거나 배치되고, 전등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받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이 산란부재(130)는 트레싱지(일명 기름종이)와 같은 반투명 가요성 재질 또는 투명 가요성 재질 등을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말아서 만든다. 물론, 산란부재(13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산란부재(130)는 몸체(110)가 경질의 부재로 제작된 경우, 산란부재(130)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합성수지, 금속, 비금속 및 유리 등의 경질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별도 제작되어 몸체(110)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몸체(11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몸체(110), 체결홀(120) 및 산란부재(130)로 이루어진 전등커버(10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등을 내부에 위치시키게 되고, 전등 빛이 다양한 각도로 굴절되면서 산란되어 빛의 형체에 미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접어서 만들기 위한 접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몸체 및 산란부재 역시 가요성 부재이고, 구체적으로 몸체는 켄트지, 산란부재는 트레싱지로 선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몸체 및 산란부재의 재질은 단지 설명 및 이해의 편의성을 돕고자 한정한 것으로, 이외의 재질 중 접기가 가능한 모든 재질이 선정 대상이다.
<접는 방법>
도 5는 도 2의 전등커버를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이 도시된 블럭도이고, 도 6 내지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접는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접은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몸체(110)가 되는 켄트지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선(111), 수직선(112) 및 상호 교차하는 제1,2대각선(113,114)이 작도(S10)한다. 이때, 수평선(111)과 수직선(112)의 꼭지점에 제1,2대각선(113,114)이 교차되도록 작도한다.
다음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수평선(111), 수직선(112) 및 제1,2대각선(113,114)의 선을 따라 접는다(S20). 여기서, 선을 따라 접을 때 동일한 선들 중 즉, 수평선(111)은 수평선(111) 대로, 수직선(112)은 수직선(112) 대로, 제1대각선(113)은 제1대각선(113) 대로 및, 제2대각선(114)은 제2대각선(114) 대로 접게 되고, 이때 이웃한 선들은 상호 역방향으로 접는다. 즉, 한 번은 안쪽으로, 한 번은 바깥쪽으로 번갈아 접는다. 여기서, '바깥쪽'은 켄트지에 선들이 도드라져 외면에 표출되는 방향이고, '안쪽'은 반대 방향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이는 "A"구역의 마름모 형상의 경계선을 따라 일방향으로 접는다(S30). 이때, 마름모 형상의 경계선은 도드라지게 바깥쪽으로 접는다. 따라서, 접고난 후의 외면에는 수평선(111), 수직선(112) 및 제1,2대각선(113,114)이 표출된다. 이와 같이 차곡차곡 접으면, 도 9와 같은 형상으로 접히게 된다. 또한, 경계선을 따라 접을 때, 마름모 형상 내의 수직선(112)을 들어가게 안쪽으로 접는다.
다음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도 9와 같이 접힌 몸체(110)의 양단부를 잡아당겨 입체가 되도록 한다(S40). 이때, 몸체(110)의 외형은 대략 마름모 형상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상이 되고, 마름모 형상의 내면은 대략 절반 정도가 수직선(112)을 경계로 대면하도록 접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에서와 같이, 마름모 형상 내에서 각각의 수평선(111), 수직선(112) 및 제1,2대각선(113,114)이 교차되는 지점을 잘라 체결홀(120)을 형성(S50)한다. 이 체결홀(120)은 몸체(110)의 전체 크기에 따라 가변되지만 일예로 대략 1cm의 직경을 갖도록 잘린다. 여기서, 체결홀(120)은 각 선들의 교차 지점에 형성되지 않고, 마름모 형상 내의 부위 어느 곳에라도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체결홀(120)이 형성된 몸체(110)를 다시 평면체로 펼친 상태에서 체결홀(120)에 트레싱지를 말아서 만든 산란부재(130)를 끼운다(S60). 여기서, 평면체는 몸체(110)를 펼친 도 7 및 도 8의 형태를 일컫는다. 또한, 산란부재(130)는 전등의 빛을 유도하여 몸체(110) 이외의 부위에서 발광(發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빛을 보다 더 산란하여 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산란부재(130)는 도면에서와 같이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말아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자르거나 붙여서 만들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수평선(111), 수직선(112) 및 제1,2대각선(113,114)을 따라 다시 접는다(S70). 이렇게 완성된 형상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전등커버 110...전등커버,
111...수평선 112...수직선,
113...제1대각선 114...제2대각선,
120...체결홀 130...산란부재.

Claims (7)

  1.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등커버는,
    상기 전등을 내부에 위치시켜 감싸는 형상이고, 외면에 상호 다른 경사 각도의 다면이 형성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120); 및
    상기 체결홀(120)에 일단부가 배치되어 외향 돌출된 산란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접는 방법은,
    몸체(110)가 되는 켄트지 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선(111), 수직선(112) 및 상호 교차하는 제1,2대각선(113,114)을 작도하는 제1단계(S10);
    상기 수평선(111), 상기 수직선(112) 및 상기 제1,2대각선(113,114)의 선을 따라 접으면서, 동일한 각도의 선들 중 이웃한 선은 상호 역방향으로 접는 제2단계(S20);
    상기 수평선(111), 상기 수직선(112) 및 상기 제1,2대각선(113,114)의 선에 의해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경계선을 따라 일방향으로 접는 제3단계(S30);
    상기 제3단계(S30)에서 접힌 상태의 몸체(110) 양단부를 잡아당겨 입체가 되도록 잡아당기는 제4단계(S40);
    입체이면서 마름모 형상이 연속 배열된 형태의 상기 몸체(110)에서 마름모 형상 내의 일부위를 잘라 체결홀(120)을 형성시키는 제5단계(S50);
    상기 몸체(110)를 펼치고, 상기 체결홀(120)에 산란부재(130)의 일단부를 끼우는 제6단계(S60); 및
    상기 체결홀(120)에 산란부재(130)가 끼워진 상태에서 다시 입체가 되도록 상기 몸체(110)를 접는 제7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마름모 형상이 연속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마름모 형상은 절반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120)은 마름모 형상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가요성 부재를 접어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재(130)는 가요성 부재로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고, 원뿔대 형상으로 말아서 제작되며, 상기 체결홀(120)에 일단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S30)에서 상기 마름모 형상 내의 상기 수직선(112)을 따라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커버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KR1020110109397A 2011-10-25 2011-10-25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KR10127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97A KR101270569B1 (ko) 2011-10-25 2011-10-25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97A KR101270569B1 (ko) 2011-10-25 2011-10-25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92A KR20130044992A (ko) 2013-05-03
KR101270569B1 true KR101270569B1 (ko) 2013-06-07

Family

ID=4865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397A KR101270569B1 (ko) 2011-10-25 2011-10-25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716B1 (ko) * 2013-10-31 2015-06-02 조재원 조명기구의 제조방법
WO2017196747A1 (en) * 2016-05-12 2017-11-16 3Form, Llc Ray design and manufacturing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204A1 (ko) * 2014-11-24 2016-06-02 유보영 패턴접기로 이루어지는 가변형 장식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62U (ko) * 2008-03-03 2009-09-08 김선남 조명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62U (ko) * 2008-03-03 2009-09-08 김선남 조명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716B1 (ko) * 2013-10-31 2015-06-02 조재원 조명기구의 제조방법
WO2017196747A1 (en) * 2016-05-12 2017-11-16 3Form, Llc Ray design and manufacturing methods
US10781996B2 (en) 2016-05-12 2020-09-22 3Form, Llc Ray design and manufacturing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92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7390B (zh) 采光部件、采光器和采光部件的设置方法
USD810986S1 (en) Lighting fixture
USD671244S1 (en) Luminaire
US7878685B2 (en) Formed lighting fixtures
KR101270569B1 (ko) 전등커버 및 이를 가요성 부재로 제작하기 위한 접는 방법
USD667971S1 (en) Luminaire
CN105579872A (zh) 面状光学部件和采光器
US10724706B2 (en) Optical component for generating a light effect
ITBO20060066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US20120087131A1 (en) Lighting device
EP2439443A2 (de) Beleuchtungsvorrichtung
US8898959B2 (en) Surface coverings having a plurality of overlapping element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CN108136953A (zh) 透明漫射隔板和使用该漫射隔板的车灯
CN203643635U (zh) 导光条结构
CN210203618U (zh) 一种具有聚光放大的镶石基座
CN206245971U (zh) 一种仿古漏窗
CN203880608U (zh) Led车灯的透光镜及相应的led车灯、车辆
CN201103841Y (zh) 装饰灯灯罩
US2067018A (en) Christmas tree ornament
CN204141487U (zh) 五角星灯罩
TWM547076U (zh) 工作燈反射杯之結構改良
JP3223455U (ja) 組子を用いた組立体
ES2439443T3 (es) Dispositivo modular de iluminación
CN103592718B (zh) 导光条结构
JP3192027U (ja) 光散乱装飾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