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313B1 - 어스 클램프 - Google Patents

어스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313B1
KR101270313B1 KR1020120123808A KR20120123808A KR101270313B1 KR 101270313 B1 KR101270313 B1 KR 101270313B1 KR 1020120123808 A KR1020120123808 A KR 1020120123808A KR 20120123808 A KR20120123808 A KR 20120123808A KR 101270313 B1 KR101270313 B1 KR 10127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astening
clamp
earth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권종
Original Assignee
유권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권종 filed Critical 유권종
Priority to KR102012012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가 조절 가능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어스선(혹은 접지선)이 360°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아크 용접 시 어스선의 단선 및 꺾임이 완벽하게 방지되도록 한 어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어스선(혹은 접지선, 40)과 체결되도록 하는 어스선 체결 홀(51)이 형성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회전되는 몸체부(50)가 구비된 어스 클램프에 있어서, 용접모재와 접촉되는 "ㄷ"의 형상을 갖되, 일측 끝지점에 제1 체결 홀(110)이 형성된 클램프(100)와; 상기 클램프의 제1 체결 홀(110)에 체결되어 클램프(100)가 상기 용접모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임 역할을 하는 제1 조임 나사(200)와; 상기 클램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샤프트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 홀(310)과, 상기 제2 체결 홀을 중심으로 방사형(放射形)의 다수개의 오목부(321)를 갖는 제1 각도 조절부(320)와, 상기 제1 각도 조절부(320) 외측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파크(spark)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가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300)와;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의 제1 각도 조절부(3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부 중에서 어느 복수개의 오목부에 맞물리도록 한 볼록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100)와의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각도 조절부(410)와,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와 대응되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파크(spark)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제2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430)와,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의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3 체결 홀(420)이 일측 끝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50)의 축 역할을 하는 샤프트(400) 및; 상기 샤프트 체결부의 제1 각도 조절부(320)와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410)가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체결 홀과 제3 체결 홀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제2 조임 나사(5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클램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램프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를 조절하는 제1/제2 각도 조절부와 샤프트를 축으로 360° 회전 가능한 몸체부를 통해 어스선의 단선 및 꺾임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제1/제2 각도 조절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어스 클램프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어스 클램프{earth clamp}
본 발명은 어스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가 조절 가능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어스선(혹은 접지선)이 360°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아크 용접 시 어스선의 단선 및 꺾임이 완벽하게 방지되도록 한 어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소재의 용접모재(혹은 피용접물)를 용접하는 전기 용접(electric welding)에는 전기회로 속의 아크열을 이용한 아크 용접(arc welding)과 도체 속의 줄열(혹은 저항열)을 이용한 저항 용접(resistance welding)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 용접에는 용접기, 전기 케이블, 용접봉 홀더, 아크 용접봉, 아크, 용접모재, 접지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용접기에서 발생한 전류는 전극 케이블, 용접봉 홀더, 용접봉, 아크, 용접모재, 그리고 접지 케이블을 지나서 다시 용접기로 되돌아오는데, 이와 같이 전류가 통하는 한 바퀴의 길을 용접 회로(welding circuit)라 한다(도 1 참조).
한편, 상기 용접회로의 접지 케이블을 통한 용접모재의 접지가 완벽히 이뤄지지 않을 경우 스파크(spark) 발생에 따른 용접 불량 및 장비 파손, 감전, 화재와 같은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므로 아크 용접 시 용접모재의 접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크 용접에서 용접모재의 접지를 위한 장치 즉, 상기 용접 회로에서 용접모재와 접지 케이블 간의 연결 장치를 어스 클램프(earth clamp)라 하며, 상기 어스 클램프는 황동, 청동 및 주철 등의 재료로서 만들어져 도전성 몸체인 클램프에 접지 케이블(혹은 어스선)이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어스 클램프는 단순히 용접모재의 접지만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설계된 어스 클램프와 어스선의 연결 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어스선의 꺾임 및 단선이 자주 발생되어 어스선의 교체작업에 따른 작업 능률 저하와 접지 불량에 따른 인명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3488호(2001. 10. 27.)에는 피용접물 어스용 어스클램프에 있어서, 피용접물을 물도록 구성된 클램프의 몸체(1)와, 이 클램프 몸체(1)가 피용접물을 고정토록 클램프 조임 나사 관통홀(21)을 관통하여 조여주는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조임나사(2)와, 상기 클램프몸체(1)의 상면에 형성된 어스선 연결단자용 상면가이드 홈(11)과, 상기 클램프몸체(1)의 측면에 형성된 어스선 연결 단자용 측면 수직가이드 홈(12)과, 어스선 연결 단자용 측면 수직가이드 홈(12)과 교차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어스선 연결단자용 측면 수평가이드 홈(13)과, 상기 상면에 형성된 어스선 연결단자용 상면가이드 홈(11)에 형성된 체결나사용 관통홀(111)과 상기 어스선 연결단자용 측면 수직가이드 홈(12) 및 어스선 연결단자용 측면 수평가이드 홈(13)의 교차점에 형성된 체결나사용 관통홀(112)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11, 12, 13)중 필요 위치에 어스선 연결 단자(3), 사각 와셔(4), 스프링 와셔(5), 어스 단자 체결 나사(6)가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선을 다양한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는 어스 클램프(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가 제안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910호(2004. 08. 25.)에는 아크용접시 모재(1)에 부착되는 고정구(2)와, 상기 고정구(2)에 통전되게 체결되는 체결봉(3)과, 상기 체결봉(3)에 끼워진 베어링(4)에 의해 회전자재되면서 체결봉(3)과 통전되게 설치된 회전구(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접지용 클램프(이하, 선행기술2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도 2의 (가),(나) 참조).
그러나, 상기 제안된 선행기술1,2은 어스선을 다양한 방향으로 체결하거나 회전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어스선의 단선 및 꺾임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선행기술1은 가이드홈(11,12,13)과 같은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상승과 직각의 제한된 어스선의 체결방향(상면 수평, 측면 수평/수직)과, 선행기술2는 축방향으로 360°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계됨으로 인해 어스선의 단선 및 꺾임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1,2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클램프의 경사진 체결 각도 조절과 어스선 체결부재의 360° 회전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어스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한 제1/제2 각도 조절부를 통해 클램프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가 조절 가능하며 샤프트에 수용된 몸체부를 통해 어스선(혹은 접지선)이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아크 용접 시 어스선의 단선 및 꺾임이 완벽하게 방지되도록 한 어스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어스선(혹은 접지선, 40)과 체결되도록 하는 어스선 체결 홀(51)이 형성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회전되는 몸체부(50)가 구비된 어스 클램프에 있어서, 용접모재와 접촉되는 "ㄷ"의 형상을 갖되, 일측 끝지점에 제1 체결 홀(110)이 형성된 클램프(100)와; 상기 클램프의 제1 체결 홀(110)에 체결되어 클램프(100)가 상기 용접모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임 역할을 하는 제1 조임 나사(200)와; 상기 클램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샤프트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 홀(310)과, 상기 제2 체결 홀을 중심으로 방사형(放射形)의 다수개의 오목부(321)를 갖는 제1 각도 조절부(320)와, 상기 제1 각도 조절부(320) 외측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파크(spark)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가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300)와;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의 제1 각도 조절부(3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부 중에서 어느 복수개의 오목부에 맞물리도록 한 볼록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100)와의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각도 조절부(410)와,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와 대응되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파크(spark)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제2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430)와,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의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3 체결 홀(420)이 일측 끝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50)의 축 역할을 하는 샤프트(400) 및; 상기 샤프트 체결부의 제1 각도 조절부(320)와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410)가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체결 홀과 제3 체결 홀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제2 조임 나사(5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클램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에 형성된 제1 각도 조절부(320)의 다수개의 오목부(321)는 클램프(100)와 샤프트(400) 간의 경사진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45°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400)는 몸체부(50)가 이탈없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는 너트(450)가 체결되며, 상기 너트가 체결 가능하도록 샤프트의 일정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스 클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제1 각도 조절부를 갖는 샤프트 체결부와, 상기 제1 각도 조절부의 오목부와 맞물리는 볼록부가 형성된 제2 각도 조절부를 갖는 샤프트 및 360° 회전 가능한 몸체부가 구성됨으로써,
(1) 제1/제2 각도 조절부를 통해 클램프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를 조절 가능하며, 특히, 45°간격으로 경사진 각도의 조절도 가능하다.
(2) 클램프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를 조절하는 제1/제2 각도 조절부와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회전 가능한 몸체부를 통해 어스선의 단선 및 꺾임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3) 제1/제2 각도 조절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어스 클램프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아크 용접의 용접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2의 (가)는 종래의 어스선을 다양한 방향으로 체결할 수 있는 어스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2의 (나)는 종래의 회전 접지용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스 클램프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스 클램프의 전체 구성 및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의 (가),(나),(다),(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제2 각도 조절부의 형상 및 체결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스 클램프의 클램프 체결 각도와 몸체부의 회전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스 클램프의 주요 기술적 구성수단은, 클램프(100), 제1 조임 나사(200), 샤프트 체결부(300), 샤프트(400), 제2 조임 나사(500), 몸체부(5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클램프(100)는, 아크 용접(arc welding) 시 용접모재에 접촉되는 수단으로, "ㄷ"의 형상을 갖으며, 일측 끝지점에는 후술하는 제1 조임 나사(200)가 체결되도록 한 제1 체결 홀(11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용접모재의 접지(earth)를 위한 어스선(혹은 접지선, 40)을 용접모재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상기 클램프(100)는 용접모재의 접지에 용이하도록 통전성(通電性)이 우수한 금속소재로 제작되며 어스선이 연결된 몸체부(50)와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클램프를 용접모재에 접촉ㆍ고정시켜 용접모재가 접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조임 나사(200)는, 상기 클램프(100)의 제1 체결 홀(110)에 체결되어 클램프가 상기 용접모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임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용접모재의 두께에 대응되어 상기 클램프의 제1 체결 홀(110)에 체결되어진 제1 조임 나사를 죄거나 풀어주어 상기 클램프가 용접모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임 나사(200)의 일측 선단에는 레버(lever)와 같은 손잡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레버 체결용 홀(210)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레버를 통해 제1 조임 나사를 클램프의 제1 체결 홀에 용이하게 죄거나 풀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는, 후술하는 샤프트(400)와 체결되되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수단으로, 상기 클램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샤프트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 홀(310)과, 상기 제2 체결 홀을 중심으로 방사형(放射形)의 다수개의 오목부(321)를 갖는 제1 각도 조절부(32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에 형성된 제1 각도 조절부(320)의 다수개의 오목부(321)는 클램프(100)와 샤프트(400) 간의 경사진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45°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후술하는 샤프트(400)의 제2 각도 조절부(410)에 맞물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 체결부의 제1 각도 조절부(320) 외측에는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410)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파크(spark)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가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는 클램프(100)의 상부면에 일정높이로 돌출하여 상기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가 클램프의 상부면 보다 높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 체결부는 클램프의 배면(背面)에 부착시켜 클램프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샤프트(400)는, 몸체부(50)가 360° 회전 가능하도록 한 축(shaft)으로, 샤프트의 일측 끝지점에는 상기 샤프트 체결부의 제1 각도 조절부(3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부(321) 중에서 어느 복수개의 오목부에 맞물리도록 한 볼록부(411)가 형성되어 클램프(100)와의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각도 조절부(410)와,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의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3 체결 홀(420)이 각각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410)는 상기 샤프트 체결부의 제1 각도 조절부(3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부(321), 즉, 45°등간격으로 형성된 오목부 중에서 어느 복수개의 오목부에 맞물리도록 한 볼록부(411)가 형성된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제1/제2 각도 조절부를 통해 상기 클램프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를 45°간격으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에 형성된 볼록부(411)의 개수는, 상기 제1 각도 조절부(320)에 형성된 오목부의 개수 내에서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예로 도 5의 (나)를 참조하면 볼록부(411)가 2개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410) 외측에는 상기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와 대응되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파크(spark)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제2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4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2 각각 조절부(320,410)의 외측에 제1/제2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430)를 각각 형성시킨 이유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제2 각도 조절부를 통해서 클램프에 형성된 샤프트 체결부와 샤프트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였으나, 출원인의 테스트 결과 상기 제1 각도 조절부의 오목부(320)와 제2 각도 조절부의 볼록부(410)를 통해서만 클램프와 샤프트를 체결ㆍ접촉 시킬 경우 접촉면 불량에 따른 접지 전류의 통전 효율이 떨어져 제1/제2 각도 조절부의 접촉면에서 스파크(spark)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위와 같은 연결 구조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테스트 결과, 링(RING) 형상으로 서로 면접촉하는 제1/제2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430)를 상기 제1/제2 각도 조절부 외측에 형성시킬 경우 제1/제2 각도 조절부 간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접지 전류의 통전성(通電性)이 향상됨에 따라 제1/제2 각도 조절부의 접촉면에서 발생되었던 스파크를 완벽히 해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제1/제2 각도 조절부의 외측에 제1/제2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를 각각 형성시켜 아크 용접 시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샤프트(400)는 몸체부(50)가 이탈없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는 너트(450)가 샤프트에 체결되며, 상기 너트가 체결 가능하도록 샤프트의 일정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는 몸체부(5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샤프트에 체결되도록 하며, 샤프트로부터 몸체부를 분리 시에는 몸체부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체결된 너트를 풀어주어 상기 몸체부가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몸체부가 제2 각도 조절부(410)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의 하부에 걸림턱(46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너트(450)와 걸림턱(460)에 의해 몸체부가 고정되도록 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조임 나사(500)는, 상기 샤프트 체결부의 제1 각도 조절부(320)와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410)가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체결 홀과 제3 체결 홀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제2 조임 나사(500)의 일측 선단에는 레버(lever)와 같은 손잡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레버 체결용 홀(510)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레버를 통해 제2 조임 나사를 제2 체결 홀 및 제3 체결 홀에 용이하게 죄거나 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조임 나사(500)는 상기 제2 체결 홀(310) 및 제3 체결 홀(420)에 관통되어 체결된 상기 제2 조임 나사가 상기 제2/제3 체결 홀에서 풀리지 않도록 하는 고정용 너트(520)가 더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조임 나사(500)는 상기 제2/제3 체결 홀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2 조임 나사의 체결 방향을 달리하여 체결하면 되므로 제2 조임 나사만으로도 체결 상 문제가 없지만(도 5의 (다) 참조), 상기 제2/제3 체결 홀 모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는 제2 조임 나사와 체결되는 고정용 너트가 더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도 5의 (라) 참조).
한편, 상기 제1/제2 각도 조절부(320,410)와 제2 조임 나사(500)를 통해 상기 샤프트 체결부와 샤프트의 체결 각도의 조절 및 고정 시에는, 먼저, 상기 제2 조임 나사를 제1/제2 각도 조절부로부터 풀어주어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와 샤프트(400)를 분리시킨 다음 작업자가 원하는 체결 각도가 되도록 제1/제2 각도 조절부의 오목부(321)와 볼록부(411)가 맞물리도록 밀착시킨 후 제2 조임 나사(500)를 다시 죄어 샤프트 체결부와 샤프트가 일정 각도로 고정ㆍ체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샤프트 체결부와 샤트프 간의 체결 각도 조절은 클램프 몸체부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 조절을 위함으로, 이는 상기 샤프트 체결부가 클램프의 상부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100)와 샤프트(400) 간의 체결 각도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용접모재의 배치 상태 즉, 용접모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수평/수직/경사져 배치되어 있더라도 어스 클램프에 연결된 어스선(40)을 꺾을 필요없이 상기 클램프만 각도 조절하여 어스선의 꺾임과, 꺾임으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몸체부(50)는, 어스 클램프에 어스선(혹은 접지선, 40)이 연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내부에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 회전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볼 베어링(60)이 구비되며, 외부면에는 어스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어스선 체결 홀(5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어스선 체결 홀(51)은 어스선의 연결 단자(41)와 연결한 다음 볼트/너트(70,8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어스선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ㆍ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400)와 다수개의 볼 베어링(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공간이 비어있는 중공부(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ㆍ하부에는 상기 중공부의 덮개 역할을 하며 상기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이 천공된 상ㆍ하부 덮개(53,54)가 더 구비된다.
한편, 도 6은 상기 제1/제2 각도 조절부와 몸체부를 통해 클램프의 다양한 체결 각도와 몸체부에 체결된 어스선의 회전 실시예를 점선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어스 클램프는 클램프의 체결 각도 조절과 어스선 체결 부재의 360°회전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스 클램프는, 다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제1 각도 조절부를 갖는 샤프트 체결부와, 상기 제1 각도 조절부의 오목부와 맞물리는 볼록부가 형성된 제2 각도 조절부를 갖는 샤프트 및 360°회전 가능한 몸체부가 구성됨으로써, 클램프와 샤프트 간의 체결 각도를 조절하는 제1/제2 각도 조절부와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회전 가능한 몸체부를 통해 어스선의 단선 및 꺾임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제1/제2 각도 조절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어스 클램프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 : 어스선 41 : 어스선의 연결 단자
50 : 몸체부 51 : 어스선 체결 홀
53,54 : 상ㆍ하부 덮개 60 : 볼 베어링
70 : 볼트 80, 450 : 너트
100 : 클램프 110 : 제1 체결 홀
200 : 제1 조임 나사 210,510 :레버 체결용 홀
300 : 샤프트 체결부 310 : 제2 체결 홀
320 : 제1 각도 조절부 321 : 오목부
330 :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 400 : 샤프트
410 : 제2 각도 조절부 411 : 볼록부
420 : 제3 체결 홀
430 : 제2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 500 : 제2 조임 나사
520 : 고정용 너트

Claims (6)

  1. 어스선(혹은 접지선, 40)과 체결되도록 하는 어스선 체결 홀(51)이 형성되며 샤프트를 중심으로 360°회전되는 몸체부(50)가 구비된 어스 클램프에 있어서,
    용접모재와 접촉되는 "ㄷ"의 형상을 갖되, 일측 끝지점에 제1 체결 홀(110)이 형성된 클램프(100)와;
    상기 클램프의 제1 체결 홀(110)에 체결되어 클램프(100)가 상기 용접모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임 역할을 하는 제1 조임 나사(200)와;
    상기 클램프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샤프트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 홀(310)과, 상기 제2 체결 홀을 중심으로 방사형(放射形)의 다수개의 오목부(321)를 갖는 제1 각도 조절부(320)와, 상기 제1 각도 조절부(320) 외측에 형성되어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파크(spark)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가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300)와;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의 제1 각도 조절부(3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부 중에서 어느 복수개의 오목부에 맞물리도록 한 볼록부(411)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100)와의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각도 조절부(410)와,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330)와 대응되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용접모재의 접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파크(spark)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제2 스파크 방지용 통전부(430)와, 상기 제2 각도 조절부의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3 체결 홀(420)이 일측 끝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50)의 축 역할을 하는 샤프트(400) 및;
    상기 샤프트 체결부의 제1 각도 조절부(320)와 샤프트의 제2 각도 조절부(410)가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체결 홀과 제3 체결 홀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제2 조임 나사(5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클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체결부(300)에 형성된 제1 각도 조절부(320)의 다수개의 오목부(321)는 클램프(100)와 샤프트(400) 간의 경사진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45°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클램프.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00)는 몸체부(50)가 이탈없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는 너트(450)가 체결되며, 상기 너트가 체결 가능하도록 샤프트의 일정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 클램프.
  6. 삭제
KR1020120123808A 2012-11-02 2012-11-02 어스 클램프 KR10127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808A KR101270313B1 (ko) 2012-11-02 2012-11-02 어스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808A KR101270313B1 (ko) 2012-11-02 2012-11-02 어스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313B1 true KR101270313B1 (ko) 2013-05-31

Family

ID=4866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808A KR101270313B1 (ko) 2012-11-02 2012-11-02 어스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542A (ko) 2014-12-10 2016-06-20 석 규 이 전기용접용 접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542A (ko) 2014-12-10 2016-06-20 석 규 이 전기용접용 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5711A1 (en) Welding power cable for connecting to a welding power source in order to carry out an arc welding method
US20180358716A1 (en) All-angle ground clamps
KR101270313B1 (ko) 어스 클램프
US2003196A (en) Welding electrode holder
CN104051874A (zh) 一种旋转式接地线夹
AU2006201960A1 (en) Earth/ground attachment for welding and cutting equipment
CA1207844A (fr) Unite de soudage electrique par resistance du type ciseaux
US7575448B1 (en) Welding ground clamp
US6891106B2 (en) Electrical conductor interconnection apparatus
CN203983530U (zh) 一种旋转式接地线夹
US2395373A (en) Welded connector
KR100361083B1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US20230268677A1 (en) Storage battery bolt terminal
KR102003330B1 (ko) 용접 지그
KR20120004286U (ko) 전차선의 접지 및 급전경보장치를 구비하는 클램프
JPH08196010A (ja) 接続クランプ
CN210137027U (zh) 一种接地钳
KR20130078293A (ko) 강관 용접용 접지장치
FR2462033A1 (fr) Pince de contact a machoires articulees
KR101787087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연결을 위한 연결 장치
US2324924A (en) Electrode holder
CN106783451B (zh) 电力保护用熔断器及其熔断器底座
KR101070512B1 (ko) 자체 보호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이용한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용 토치 장치
CN218225044U (zh) 电焊机高空作业强磁焊接搭铁装置
JP5654058B2 (ja) ケーブル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