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204B1 -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204B1
KR101269204B1 KR1020090091577A KR20090091577A KR101269204B1 KR 101269204 B1 KR101269204 B1 KR 101269204B1 KR 1020090091577 A KR1020090091577 A KR 1020090091577A KR 20090091577 A KR20090091577 A KR 20090091577A KR 101269204 B1 KR101269204 B1 KR 10126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aring
message
shared
shar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340A (ko
Inventor
손지연
배창석
김진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624,57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146064A1/en
Publication of KR2010006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및 소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상의 생활 기기들 간에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정보들을 공유하고, 그에 따라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및 소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장치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공유 가능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 정보를 변환하여 공유 메시지로 유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에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공유 정보 처리부; 및 공유 정보 처리부로부터의 공유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로 공지하는 소스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기기, 공유 정보, 싱크, 소스

Description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Platform Architecture of Smart Devices according to sharing information, Sink Apparatus, Sour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상의 생활 기기들 간에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정보들을 공유하고, 그에 따라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32-03, 과제명: 퍼스널 Life Log기반 지능형 서비스 기술개발].
통상적으로 일상생활 기기를 대표하는 가전 기기들은 단독으로 동작하는 스탠드얼론(standalone) 방식이다. 스탠드언론 방식은 사용자나 환경과는 상관없이 비적응적이고 고정된 기능만을 제공한다. 최근 이러한 생활 가전 기기들에게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부과하거나 센서를 탑재하여 보다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지니, 하비(HAVI) 등과 같은 홈 네트워크 표준을 따라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가전 기기들이 속속 상용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실내 온도 변화와 공기 흐름을 감지해 풍량과 풍속을 제어하는 에어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이 움직이는 TV, 장애물 감지 센서를 탑재한 로봇 청소기, 카메라에 입력된 사람이 웃을 때 셔터가 작동하는 카메라, 섬유 속 세제 농도를 감지해 세탁시간과 헹굼 횟수를 자동 조절해주는 세탁기 등도 속속 상용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 기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지능화되는 추세에 따라 향후 등장하게 될 상당수 생활 기기들은 각자 다양한 센서들을 탑재하고 환경이나 사용자의 상태에 맞추어 보다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환경이나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는 기능들이 여러 일상 기기에서 중복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움직임 정보는 TV와 오디오 시스템, 에어컨, 선풍기, 히터 등의 기기를 지능화하는데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을 위해서 개별 기기들이 중복적으로 센서를 탑재하고 중복적으로 인식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은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상 기기의 제품 단가도 높아지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일상의 생활 기기들이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정보를 공유하고, 공유된 정보를 활용하여 개별 기기들이 자체적으로 지능적이고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장치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공유 가능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 정보를 변환하여 공유 메시지로 유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에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공유 정보 처리부; 및 공유 정보 처리부로부터의 공유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로 공지하는 소스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공유 정보 처리부의 공유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 중 공유 정보를 수신하고자 요청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유 정보 처리부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정보 타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코드값,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설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유 정보 처리부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고자하는 싱크 노드에 대한 등록 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센싱부는, 사용자 또는 주변의 환경을 센싱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센 서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센싱부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수집 및 분석 수단; 및 수집 및 분석 수단에 의해서 분석된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에 매칭되는 특정 패턴 또는 특정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유 정보 처리부는, 인식부에서 인식된 결과를 근거로 공개가 허용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공개 허용 정보인 경우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공유 정보 처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공개 허용 여부에 대한 기준에 따라 인식부에서 인식된 결과를 근거로 공개가 허용된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유 정보 처리부는, 공유 정보를 주기적 또는 이벤트 기반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듈을 구비하고, 공유 정보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공유 메시지들을 모듈을 매개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싱크 장치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스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들을 수신하여 공유 정보 처리부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로부터의 공유가능한 공유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공유 메시지를 유무선 네트 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싱크 통신부; 싱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공유 메시지의 공유 정보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도록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메시지 처리부로부터의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메시지 처리부의 공유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 중 공유 정보를 제공받도록 요청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시지 처리부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정보 타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코드값,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설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시지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공유 정보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메시지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공유 정보를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와 변수 값으로 변환하여 기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파라미터 변환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시지 처리부는, 공유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와의 미리 약속된 제어 메시지인지 여부를 근거로 공유 정보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판단부는, 메시지 처리부의 인식 결과 공유 메시지가 제어 메시지인 경우,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파라미터 변환부는, 메시지 처리부의 인식 결과 공유 메시지에 공유 정 보를 포함하는 경우,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공유 정보를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와 변수 값으로 변환하여 기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기 제어부는, 파라미터 변환부로부터의 변환된 파라미터의 종류와 설정 값에 따라 해당 기기를 제어하되, 해당 기기에 의존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기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지 않는 레거시 기기; 및 레거시 기기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어댑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은 소스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단계;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공유 가능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 정보를 변환하여 공유 메시지로 유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에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공유 정보 처리 단계; 및 공유 정보 처리단계로부터의 공유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로 공지하는 소스 통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공유 정보 처리 단계의 공유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 중 공유 정보를 수신하고자 요청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은 싱크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로부터의 공유가능한 공유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공유 메시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싱크 통신 단계; 싱크 통신 단계를 통해 수신된 공유 메시지의 공유 정보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도록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 단계; 및 메시지 처리 단계로부터의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메시지 처리 단계의 공유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 중 공유 정보를 제공받도록 요청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시지 처리 단계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정보 타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코드값,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설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일상 기기들 간에 사용자 움직임 정보나 기기간 거리 정보, 환경 정보 등의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공유하는 플랫폼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으며, 개별 기기들이 별도의 센서 또는 인식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도 공유 정보를 활용하여 지능적이고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를 위한 구성도이고,도 2는 하나의 소스 장치에 대한 싱크 장치들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소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싱 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소스 장치의 정보 공유를 위한 공유 메시지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싱크 장치의 정보 공유를 위한 공유 메시지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정보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싱크 장치의 일례에 따른 공유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는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정보들을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기기(예를 들어, 생활 가전 등)들에게 제공하는 한 개 이상의 소스(Source) 장치(100), 소스 장치(100)들로부터 제공되는 공유 정보들을 활용하여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 개 이상의 싱크(Sink)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는 일상의 생활 기기들 간에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정보들을 공유하고, 그에 따라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를 구성하는 소스 장치(100)는 제1 소스 장치(100a), 제2 소스 장치(100b), ... 제n 소스 장치(100n) 등과 같이 다수 구성된다. 그리고, 싱크 장치(200)는 제1 싱크 장치(200a), 제2 싱크 장치(200b), 제n 싱크 장치(200n)와 같이 다수 구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싱크 장치(200) 및 다수의 소스 장치(100)들 서로간에 사용자 정보나 환경 정보 등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공유함 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효과가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개별 기기들(예컨대 생활가전 등)마다 중복적으로 센서 또는 인식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도 공유 정보를 활용하여 지능적이고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정보나 환경 정보와 같이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일상의 생활 기기들 간에 공유하는 방식을 제공하고, 공유된 정보를 활용하여 개별 기기마다 독자적으로 지능적이고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스 장치(100)는 싱크 장치(200)들이 지능화하는데 활용할 만한 정보들, 즉 공유 정보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소스장치는(100)는 센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필요에 따라 특징을 추출하고 인식하는 기능을 갖는다. 소스 장치(100)는 이 공유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 기기들에게 공지하는 기능을 포함 한다. 소스 장치(100)의 실 예로써, 사용자 움직임 추적 장치, 사용자 위치 인식 장치, 온습도 등의 환경 정보 센싱 장치, 상대 거리 추정 장치, 사용자 건강 상태 측정 장치, 사용자 감정 인식 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특정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모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싱크 장치(200)는 소스 장치(100)로부터 공유된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이 활용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기기의 제어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 값으로 변환하며, 기기 제어 수단을 통해 적응적으로 맞춤화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싱크 장치(200)의 실례로서, 지능적 서비스가 가능한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전등, 오디오 기기, 청소기 등의 일상생활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싱크 장치(200)는 해당 기기의 지능화를 위해 활용이 가능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미리 정의해야 하며, ‘공유 정보 리스트’에는 공유 정보 타입과 개별 정보에 대해 변환시킬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 변환식 등을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싱크 장치(200)는 하술된 기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지 않는 레거시 기기, 레거시 기기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어댑터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거시 기기(202)와 어댑터(201)로 구성되는 싱크 장치(200)는 본 발명의 플랫폼 구조를 지원하지 않는 기존의 레거시 기기(212)들도 공유 정보를 활용하여 지능적이고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레거시 기기(202)의 앞단에 어댑터(201)를 부착하여 구성 하게 된다. 어댑터(201)는 싱크기기 (200)에서 수행해야 할 모든 기능을 레거시 기기(212) 대신에 수행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레거시 기기(212)를 직접 구동하기 위한 추가 기능을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20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일련의 표준적인 제어 메시지 교환 절차를 필요로 한다. 물론, 소스 장치(100)와 싱크 장치(200)의 기능은 단일 기기로 구현 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110),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공유 가능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 정보를 변환하여 공유 메시지로 유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200)에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공유 정보 처리부(140), 공유 정보 처리부(140)로부터의 공유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200)로 공지하는 소스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장치(100)는 수집 및 분석부(120), 인식부(1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유 정보 처리부(140)의 공유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게 된다. 그래서, 공유 정보 처리부(140)는 해당 기기의 지능화를 위해 활용이 가능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미리 정의해야 하며, ‘공유 정보 리스트’에는 공유 정보 타입과 개별 정보에 대해 변환시킬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 변환식 등을 포함하게 된다.
센싱부(110)는 한 개 이상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주변의 환경을 센싱한다. 센서들을 통해 입력된 센서 데이터들은 수집 및 분석부(120)를 통해 분석되어진다.
분석 수단(120)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인식부(130)는 특징을 추출하고, 특정 패턴 또는 특정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인식 기능을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해서 별도의 인식 DB(13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면, 소스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공유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인 식부(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인식부(130) 또는 수집 및 분석부(120)를 거쳐 얻은 결과는 공유 정보 처리 수단(140)에 의해 공개가 허용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공개 허용 정보인 경우 공유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공개 허용 여부에 대한 기준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서 입력될 수 있다. 즉, 공유 정보 처리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로 입력된 공개 허용 여부에 대한 기준에 따라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결과를 근거로 공개가 허용된 정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인식부(130)에서는 디폴트로 인식된 모든 정보를 공개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공유 정보 처리부(140)는, 인식부(140)에서 인식된 결과를 근거로 공개가 허용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공개 허용 정보인 경우 공유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공유 정보는 주기적 또는 이벤트 기반으로 발생될 수 있다. 공유 정보 처리부(140)는 정보 공유를 위해 소스 장치(100)와 싱크 장치(200)간의 표준화된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에 따른 공유 메시지들을 처리한다. 메시지 교환의 일례로 소스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공유 정보의 내용을 요청하는 요청 (Solicitation) 메시지 및 공유 정보가 발생될 때마다 해당 정보를 송신받기를 요청하는 구독(Subscription) 메시지 등이 해당 된다.
소스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공유 정보 처리 수단(140)에 의해 생성된 공유 메시지들을 한 개 이상의 싱크 장치(200)로 송신한다. 소스 통신부(150)는 또한 한 개 이상의 싱크 장 치(200)들로부터 입력된 공유 메시지들을 수신하여 공유 정보 처리 수단(140)에 넘겨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소스 장치(100)의 제어 값들을 설정하는 수단으로써, 센싱 주기 및 정보 공개 기준, 데이터 분석 및 인식을 위한 각종 변수값, 정보 발생 주기 등의 설정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100)로부터의 공유 가능한 공유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공유 메시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싱크 통신부(210), 싱크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공유 메시지의 공유 정보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도록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부(220), 메시지 처리부(220)로부터의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200)는 판단부(230), 파라미터 변환부(2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싱크 통신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한 개 이상의 소스 장치(100)로부터의 공유 정보들을 수신한다.
메시지 처리부(220)는 수신한 메시지가 정보 공유를 위해 소스 장치(100)와 싱크 장치(200) 간에 미리 약속된 제어 메시지인 경우인지, 아니면 특정 소스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공유 정보 인지를 해석한다. 즉, 메시지 처리부(220)는, 공 유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기기(100)와의 미리 약속된 제어 메시지인지 여부를 근거로 공유 정보의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처리부(220)는 판단 결과, 만일 정보 공유를 위한 제어 메시지인 경우에는 판단 수단(230)을 통해 해당 정보가 '공유 정보 리스트’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공유 정보 리스트’는 싱크 장치(200)가 제품으로 출시되는 시점에 미리 제조업체에 의해 정의되게 된다. '공유 정보 리스트'는 해당 싱크 장치가 지능적 또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 가능한 공유 정보들의 리스트이다. 메시지 처리부(220)는 '공유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보낸 소스 장치(100) 측에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 메시지 처리부(220)는 만일 해석된 정보가 공유 정보인 경우에는 파라미터 변환부(240)를 통해서 공유 정보를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와 변수 값으로 변환하고,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라미터 변환을 위한 구체적인 변환식이나 방법은 개별 싱크 장치(200)의 제조업체에서 독자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기 제어부(250)는 상술한 변환된 파라미터의 종류와 설정 값에 따라 싱크 장치(200)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동한다. 제어수단의 구동 방식은 개별 싱크 장치(200)에 의존적으로 수행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새로운 소스 장치(100)가 구동될 때의 초기 정보 공유를 위한 공유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장치(100)는 처음 구동이 되면, 자신이 생성하는 공유 정보, 즉 공유 정보 타입과 관련 내용이 포함된 광고(Advertisement) 메시지를 복수개의 싱크 장치(200)들에게 브로드캐스팅 한다(S10, S12).
다음, 광고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싱크 장치(200a) 및 제2 싱크 장치(200b)는 광고 메시지 내의 공유 정보 타입이 자신의 '공유 정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독 (Subscription) 요청 메시지를 해당 소스기기에게 송신한다(S20).
이어, 소스 장치(100)는 한 개 이상의 싱크 장치(200)로부터 구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싱크 장치(200)들의 주소를 자신의 등록 리스트에 포함 시킨다. 추후 공유 정보가 발생될 때 마다 등록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싱크 장치(200)들에게 공유 정보 메시지(Information Notify)를 전송한다(S30, S31, S32).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싱크 장치(200)가 구동될 때의 초기 정보 공유를 위한 공유 메시지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싱크 장치(200)는 처음 구동이 되면,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공유 정보의 내용을 요청하는 요청(Solicitation 메시지)을 소스 장치(100)들에게 브로드 캐스팅한다(S100, S102).
다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소스 장치(100a) 및 제2 소스 장치(100b)는 자신이 제공하는 공유 정보, 즉 공유 정보 타입과 관련 내용을 담은 광고(Advertisement) 메시지를 싱크 장치(200)로 송신한다(S110, S112).
이어, 싱크 장치(200)는 한 개 이상 소스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광고 메시 지들을 해석하여 공유 정보 타입을 자신의 공유 정보 리스트와 비교하여 판단한다.
그래서, 싱크 장치(200)는 적응 가능한 공유 정보를 발생하는 제2 소스 장치(100b)에 구독(Subscription)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120).
다음, 제2 소스 장치(100b)는 구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싱크기기를 등록 리스트에 추가하고, 이후 발생되는 공유 정보를 등록된 싱크기기들에 전송한다(S130, S131, S132).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장치와 싱크 장치(200) 간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정보 타입(A), 공유 정보 타입에 대한 코드값(B), 공유 정보에 대한 설명(C)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다수의 소스 장치(100) 및 다수의 싱크 장치(200)들 서로간에 사용자 정보나 환경 정보 등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공유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효과가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움직임 추적 장치는 사용자 움직임을 파악하여 공유 정보 타입 'USER_MOVEMENT_INFO' , 해당 코드값 '0x001'을 포함하는 공유 메시지를 지능적 서비스가 가능한 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전등, 오디오 기기, 청소기 등의 일상생활 기기로 송출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싱크 장치(200)가 스마트 TV 기기일 경우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A'는 공유 정보 타입, 'B1'는 'A1'의 공유 정보 타입에 대한 정보 단위, 'C1'는 'B1'의 정보 단위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 다.
우선, 공유 정보 타입 (A1)은 도 7에서 예시된 타입들 중에서 TV를 지능화화기 위해 적응 가능한 공유 정보 타입의 일부이다.
(a1)와 같이,‘USER_MOVEMENT_INFO’타입에 대한 정보 단위로는 시간당 움직임 크기 변화량이며, 이 정보에 대한 제어 변수는 TV 상하좌우 각도이다. 즉, 싱크 장치(200)인 TV는 소스장치(100)로부터 (a1)에 대한 공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공유 정보에 따라 TV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b1)와 같이, 'DISTANCE_INFO' 타입에 대한 정보 단위는 미터(m)이며, 이 정보에 대한 제어 변수는 소리 볼륨이 있다. 즉, 싱크 장치(200)인 TV는 소스장치(100)로부터 (b1)에 대한 공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공유 정보에 따라 소리 볼륨을 조절하게 된다.
(c1)와 같이, ‘ILLUMINATION_INFO' 타입에 대한 정보 단위는 룩스 (lux)이며, 이 정보에 대한 제어 변수는 화면 밝기이다. 즉, 싱크 장치(200)인 TV는 소스장치(100)로부터 (b1)에 대한 공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공유 정보에 따라 화면 밞기를 조절하게 된다.
(d1)와 같이 'ENV_NOISENESS_INFO' 타입의 정보 단위는 데시벨(dB)이며, 이 정보에 대해 제어 변수는 소리 볼륨이다. 즉, 싱크 장치(200)인 TV는 소스장치(100)로부터 (b1)에 대한 공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공유 정보에 따라 소리 볼륨을 조절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싱크 장치(200)가 스마트 전등 기기일 경우의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A2'는 공유 정보 타입, 'B2'는 'A2'의 공유 정보 타입에 대한 정보 단위, 'C2'는 'B2'의 정보 단위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의 종류를 나타낸다.
공유 정보 타입 (A2)는 도 7에서 예시된 타입들 중에서 전등 기기를 지능화화기 위해 적응 가능한 공유 정보 타입의 일부이다.
(a2)와 같이, ‘USER_LOCATION_INFO’타입에 대한 정보 단위로는 공간상의 좌표값 (X, Y, Z)이며, 이 정보에 대한 제어 변수는 밝기이다. 즉, 싱크 장치(200)인 스마트 전등 기기는 소스장치(100)로부터 (a2)에 대한 공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공유 정보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b2)와 같이, 'USER_EMOTION_INFO' 타입에 대한 정보 단위는 기쁨, 화남, 우울, 슬픔, 무서움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 정보에 대한 제어 변수는 전등의 색깔이나 밝기가 있다. 즉, 싱크 장치(200)인 스마트 전등 기기는 소스장치(100)로부터 (b2)에 대한 공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공유 정보에 따라 전등의 색깔이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
(c2)와 같이, ‘ILLUMINATION_INFO' 타입에 대한 정보 단위는 룩스 (lux)이며, 이 정보에 대한 제어 변수는 기기 파워 온/오프이다. 즉, 싱크 장치(200)인 스마트 전등 기기는 소스 장치(100)로부터 (c2)에 대한 공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그 공유 정보에 따라 기기 파워 온/오프를 조절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일상 기기들 간에 사용자 움직임 정보나 기기간 거리 정보, 환경 정보 등의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공유하는 플랫폼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으며, 개별 기기들이 별도의 센서 또는 인식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도 공유 정보를 활용하여 지능적이고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를 위한 구성도.
도 2는 하나의 소스 장치에 대한 싱크 장치들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소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싱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소스 장치의 정보 공유를 위한 공유 메시지 흐름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싱크 장치의 정보 공유를 위한 공유 메시지 흐름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정보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싱크 장치의 일례에 따른 공유 정보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소스 장치 110: 센싱부
120: 수집 및 분석부 130: 인식부
140: 공유 정보 처리부 150: 소스 통신부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싱크기기
210: 싱크 통신부 220: 메시지 처리부
230: 판단부 240: 파라미터 변환부
250: 기기 제어부

Claims (20)

  1. 소스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공유 가능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공유 정보를 변환하여 공유 메시지로 유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에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공유 정보 처리부; 및
    상기 공유 정보 처리부로부터의 공유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로 공지하는 소스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 처리부의 공유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 중 공유 정보를 수신하고자 요청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 처리부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정보 타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코드값,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설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리스트는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싱크 노드에 대한 등록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리스트는 특정 기기의 센싱 데이터를 다른 기기의 센싱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수집 및 분석 수단; 및
    상기 수집 및 분석 수단에 의해서 분석된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에 매칭되는 특정 패턴 또는 특정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 처리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결과를 근거로 공개가 허용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공개 허용 정보인 경우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공유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공개 허용 여부에 대한 기준에 따라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결과를 근거로 공개가 허용된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장치.
  8. 싱크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로부터의 공유가능한 공유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공유 메시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싱크 통신부;
    상기 싱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공유 메시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와의 미리 약속된 제어 메시지인지 여부를 근거로 공유 정보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도록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부터의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공유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 중 공유 정보를 제공받도록 요청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정보 타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코드값,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설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리스트는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싱크 노드에 대한 등록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리스트는 특정 기기의 센싱 데이터를 다른 기기의 센싱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공유 정보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공유 정보를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와 변수 값으로 변환하여 기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파라미터 변환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인식 결과 상기 공유 메시지가 제어 메시지인 경우,
    상기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변환부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인식 결과 상기 공유 메시지에 공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공유 정보를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와 변수 값으로 변환하여 기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15. 청구항 8, 청구항 11,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지 않는 레거시 기기; 및
    상기 레거시 기기와의 접속을 지원하는 어댑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
  16. 소스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공유 가능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공유 정보를 변환하여 공유 메시지로 유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에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공유 정보 처리 단계; 및
    상기 공유 정보 처리단계로부터의 공유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싱크 장치로 공지하는 소스 통신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공유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 중 공유 정보를 제공받도록 요청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정보 타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코드값,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설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리스트는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싱크 노드에 대한 등록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리스트는 특정 기기의 센싱 데이터를 다른 기기의 센싱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
  17. 삭제
  18. 싱크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로부터의 공유가능한 공유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공유 메시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싱크 통신 단계;
    상기 싱크 통신 단계를 통해 수신된 공유 메시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와의 미리 약속된 제어 메시지인지 여부를 근거로 공유 정보 존재 여부에 따라 해당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도록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처리 단계로부터의 공유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공유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스 장치 중 공유 정보를 제공받도록 요청한 공유 정보 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처리부의 공유 정보 리스트는 공유 정보 타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코드값,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한 설명, 해당 공유 정보에 대해 변환될 제어 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리스트는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싱크 노드에 대한 등록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리스트는 특정 기기의 센싱 데이터를 다른 기기의 센싱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
  19. 삭제
  20. 삭제
KR1020090091577A 2008-12-08 2009-09-28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24,570 US20100146064A1 (en) 2008-12-08 2009-11-24 Source apparatus, sink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127 2008-12-08
KR20080124127 200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40A KR20100066340A (ko) 2010-06-17
KR101269204B1 true KR101269204B1 (ko) 2013-05-30

Family

ID=4236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577A KR101269204B1 (ko) 2008-12-08 2009-09-28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419B1 (ko) * 2012-12-28 2014-09-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금융서비스 상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7205A1 (en) * 2003-06-06 2004-12-09 Shigeki Nagaya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image data with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and 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therefor
US20050008539A1 (en) 2001-12-14 2005-01-13 Satoshi Matsuura Sensor informationlinkage apparatus
KR100805265B1 (ko) * 2006-12-28 2008-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8539A1 (en) 2001-12-14 2005-01-13 Satoshi Matsuura Sensor informationlinkage apparatus
US20040247205A1 (en) * 2003-06-06 2004-12-09 Shigeki Nagaya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image data with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and 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therefor
KR100805265B1 (ko) * 2006-12-28 2008-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40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657B2 (ja)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
JP6720170B2 (ja) スマートスペー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723652B (zh) 用于控制智能家庭系统的方法和电子设备
US10437206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ystem
Yue et al. Voice activated smart home design and implementation
CN104885406B (zh) 用于在家庭网络系统中远程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设备
US201401809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nergy consumption in a home network system
WO2006126355A1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制御装置
WO2017030951A1 (en) Wireless-enabled lighting fixture
KR20080036606A (ko) 네트워크 시스템
JP2003284161A (ja) 動作制御装置
JP5357920B2 (ja) ホーム機器連携制御装置、およびホーム機器連携制御方法
KR101269204B1 (ko) 정보 공유에 의한 스마트 생활기기 플랫폼 구조, 싱크 장치, 소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100146064A1 (en) Source apparatus, sink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ereof
US109894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AU20192312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se alarms due to display images
JP2004180260A (ja) 信号変換装置
EP3703426B1 (en) Wireless device and device control system
KR20170007090A (ko) 허브 장치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183478A (zh) 家电系统
KR20140024563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US20230119058A1 (en) Operating-system-level setup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JP2009206750A (ja) センサ情報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2108512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69621A1 (en) Operating-system-level setup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