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285B1 -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 - Google Patents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285B1
KR101268285B1 KR1020110036161A KR20110036161A KR101268285B1 KR 101268285 B1 KR101268285 B1 KR 101268285B1 KR 1020110036161 A KR1020110036161 A KR 1020110036161A KR 20110036161 A KR20110036161 A KR 20110036161A KR 101268285 B1 KR101268285 B1 KR 101268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distillation
distillation column
internal heat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659A (ko
Inventor
김영한
김병철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28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3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by two or more of a fractionation, separation or rectific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4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02Monocyclic hydrocarbons
    • C07C15/06Tolu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프타 개질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분리한 방향족 혼합물로부터 벤젠, 톨루엔 2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2기의 증류탑과 이 증류탑들 사이에 내부 열교환 증류탑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열교환 증류탑의 열교환에 의해 회수된 열을 재사용하므로 증류조작시 소비되는 에너지가 절감하고 벤젠, 톨루엔 2 성분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사용하는 2기의 증류탑을 활용하여 내부 열교환 증류탑을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내부 열교환 증류탑과는 달리 압축기를 설치하지 않음에 따라 증류조작 시 소비되는 전력의 사용을 없애고, 운전 및 장치 관리가 용이한 것이 장점이다.

Description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A fractional distillation device of binary separation with internally heat-integrated distillation column}
본 발명은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벤젠과 톨루엔 방향족 혼합물로부터 2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2기의 증류탑과 이 증류탑들 사이에 내부 열교환 증류탑을 설치함으로써, 증류조작 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벤젠과 톨루엔의 2 성분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1 기의 증류탑을 구비하여 2가지 성분 혼합액을 분류하는 증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젠(A)과 톨루엔(B)의 방향족 혼합물인 원료(F)가 공급되는 증류탑의 공급단을 기준으로 상부의 벤젠(A)이 분리되는 정제부와 하부의 톨루엔(B)이 분리되는 회수부로 구분된다. 회수부의 하단에 재비기가 설치되어 탑의 하단으로 증기를 공급하고 공급된 증기는 탑의 상부 즉, 정제부를 거쳐 탑의 상단으로 배출된 후 냉각기에서 액으로 냉각되어 다시 탑으로 환류되어 탑 내에서 기액 접촉을 연속으로 형성하도록 한 구조의 증류장치이다.
즉, 상기와 같은 증류장치는 탑의 회수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재비기가 설치되고, 정제부에 열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증류탑의 하부 온도가 상부의 온도보다 높아 상부에서 제거된 열을 하부에서 사용할 수 없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므로 에너지 사용량의 절감을 위하여 증류탑의 구조를 변경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응용되고 있으나 기존공정의 설비변경에 따른 증류공정의 이상 발생 등과 같은 위험성 때문에 현장 기술자들이 새로운 증류 시스템을 도입하기를 어려워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에너지 절감형으로 개발된 증류탑인 내부 열교환 증류탑은 증류탑의 상부에서 사용하는 증기를 압축기로 압력을 높여 증기온도를 높인다. 기존의 내부 열교환 증류탑은 이렇게 온도를 높인 상부의 제거열을 하부에서 가열용으로 재사용하는 방식으로 일반 증류탑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비점 제품(BP) 및 저비점 제품(DP)을 증류하기 위한 2 성분 증류용으로, 단일 증류탑인 제 1탑 상부(M1)에서 제거한 열을 제 1탑 하부(M2)로 공급하는 열교환 방식을 이용한 증류방식으로 개발되었으나 압축기(co)를 사용하므로 압축기의 가동에 전력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운전과 장치관리의 어려움이 동반되어 실용화에 걸림이 되고 있어 아직까지 제대로 상용화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상기와 같이 기존의 1탑 증류시스템에서 내부 열교환 증류탑을 적용한 새로운 증류시스템을 제안하여 증류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증류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2기의 증류탑과 이 증류탑들 사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을 설치함으로써, 내부 열교환 증류탑(C) 내부의 튜브(T, 제 2탑 상부에 해당함)에서 제거한 열을 셀(S, 제 1탑 하부에 해당함)로 공급하여 가열용으로 재사용하고 증류조작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벤젠과 톨루엔 2 성분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또한 종래의 내부 열교환 증류탑은 압축기가 구비되어 소비전력이 높고 운전 및 장치 관리가 복잡한데 반해 본 발명은 압축기를 설치하지 않음에 따라 증류조작 시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 및 장치 관리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탑 및 제 2탑으로 구성된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에 있어서,
제 1탑 및 제 2탑으로 구성된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탑(M)과 제 2탑(N) 사이에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은 셀(S) 내부에 증류탑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튜브(T)가 배열된 구조로서, 이 튜브(T)들과 셀(S)의 내부를 각각 통과하는 유체들이 서로 열교환 작용을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2 성분 분별증류장치는 벤젠(A), 톨루엔(B)의 방향족 혼합물인 원료(F)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상단부와 제 2탑(N)의 상부로 유입되고, 저비점 성분인 벤젠(A)이 제 1탑(M) 상부와 내부열교환 증류탑(C)의 상부 및 고비점 성분인 톨루엔(B)이 제 2탑(N) 하부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하부로 각각 유출되어지는 구조이고,
또한 상기 제 1탑(M) 및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은 각 상단부의 유출구에 응축기(10), 내부 열교환 증류탑(C) 및 제 2탑(N)은 각 하단부의 유출구에 재비기(2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인 본 발명에 따른 분별증류장치는 2기의 증류탑 사이에 내부 열교환 증류탑을 설치함으로써, 내부 열교환 증류탑의 열교환에 의해 회수된 열을 재사용하므로 증류조작시 소비되는 에너지가 절감하고 벤젠, 톨루엔 2 성분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사용하는 증류탑을 활용하여 내부 열교환 증류탑을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내부 열교환 증류탑과는 달리 압축기를 설치하지 않음에 따라 증류조작 시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 및 장치 관리가 용이한 것이 장점이다.
도 1은 종래의 증류 방법에 따른 1기의 탑을 사용한 2 성분 증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증류 방법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 방법에 따른 2 성분 증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증류방법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장치의 열교환 작용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증류 방법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 열교환 증류 방법에 따른 2 성분 증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인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분별증류장치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인 도 3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기존 증류탑을 사용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1 탑 구조를 갖는 증류장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류장치로 변형시킨 것으로, 제 1탑은 제 1탑의 상부(M1) 및 제 1탑의 하부(M2), 제2탑은 제 2탑의 상부(N1) 및 제 2탑의 하부(N2)로 각각 구분되며, 제 2탑의 상부(N1)에서 제거한 열을 제 1탑 하부(M2)로 공급하여 가열용으로 재사용하는 원리를 적용시킴으로써 증류조작시 소비되는 에너지가 절감하고 벤젠, 톨루엔 2 성분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제 2탑의 상부(N1)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 1탑 하부(M2)로 전달하는 열교환 작용을 위한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을 2 성분 분별증류용 2 탑 증류 시스템에 내부 열교환 증류탑을 추가하여 달성되는데, 제 2탑 상부(N1)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튜브(T) 내부에 해당하고, 제 1탑 하부(M2)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셀(S)에 해당한다.
내부 열교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인 도 3 및 도 4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탑 하부(N2)에서는 고비점 성분인 톨루엔(B)을 분류하기 위해 제 1탑 상부에 가해지는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열을 가하면, 고온의 열이 내부 열교환 증류탑(C)에 위치한 튜브(T) 내부(제 2탑 상부(N1)에 해당함)에 공급되고, 그리고 튜브(T) 내부로 전달된 고온의 열이 다시 셀(S)(제 1탑 하부(M2)에 해당함)로 전달되고, 이 전달된 열을 하부인 셀(S)에서 재사용되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분별 증류 공정에서는 비점에 따라 벤젠, 톨루엔을 각각 분리하는 공정의 사용 에너지를 현저히 감소하면서 분별증류가 가능하게 하며, 기존의 2 탑 분별 증류 공정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내부 열교환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와는 달리 압축기(co)를 사용하지 않고, 벤젠, 톨루엔 분별증류 유출 혼합물로부터 벤젠, 톨루엔을 분리 증류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은 압축기(co)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내부 열교환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에 비해 소비전력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 및 장치 관리가 용이하여 실용성이 높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인 도 3 내지 도 5를 중심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제 1탑 및 제 2탑으로 구성된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탑(M)과 제 2탑(N) 사이에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증류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젠(A)과 톨루엔(B)의 방향족 혼합물인 원료(F)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상단부와 제 2탑 상부(N1)로 유입되고, 저비점 성분인 벤젠(A)이 제 1탑 상부(M1)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상부 및 고비점 성분인 톨루엔(B)이 제 2탑 하부(N2)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하부로 각각 유출되어진다.
상기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은 셀(S) 내부에 증류탑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튜브(T)가 배열된 구조로서, 이 튜브(T)들과 셀(S)의 내부를 각각 통과하는 유체들이 서로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 성분 분별증류장치는 제 1탑(M)이 제 1탑의 상부 기능,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셀(S)이 제 1탑의 하부 기능을 각각 하고, 제 2탑(N)이 제 2탑의 하부 기능,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다수 개의 튜브(T)가 제 2탑의 상부 기능을 각각 하는 구조이다.
또한 도 5의 제 1탑(M)은 도 3의 제 1탑의 하부(M2)에 해당되고, 도 5의 제 2탑(N)은 도 3의 제 2탑의 하부(N2)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는 벤젠(A), 톨루엔(B)의 방향족 혼합물인 원료(F)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상단부와 제 2탑(N)의 상부로 유입되고, 저비점 성분인 벤젠(A)이 제 1탑(M) 상부와 내부열교환 증류탑(C)의 상부 및 고비점 성분인 톨루엔(B)이 제 2탑(N) 하부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하부로 각각 이송되어 유출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탑(M) 상부 및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은 각 상단부의 유출구에 응축기(10), 내부 열교환 증류탑(C) 및 제 2탑(N) 하부의 각 하단부의 유출구에 재비기(20)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각 탑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유출되는 유출물은 응축기(10) 또는 재비기(10)에 의해 응축 또는 재비된 유출물이 각각 환류되어 진다.
상기에서 제 1탑(N) 상부 및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상부에서 각각 유출되는 벤젠은 유출물에 소량 함유되어 있는 고비점 성분을 응축기(10)에 의해 응축시켜 제 1탑(N) 상부 및 내부 열교환 증류탑(C)으로 각각 환류시키고,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하부에서 유출되는 고비점 성분인 톨루엔(B)에 소량 함유되어 있는 저비점 성분을 재비기(20)에 의해 재비시켜 내부 열교환 증류탑(C) 및 제 2탑 하부(M2)로 환류시킨다.
이때,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은 셀(S)에 위치한 제 1탑(M) 하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 2탑(N) 상부)에서 제거한 열을 다수 개의 튜브(T)를 통해 셀(S)로 열을 전달하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에너지 소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를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증류장치의 조작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를 실시예 1, 종래의 1기 증류탑을 비교예 1로 하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증류장치의 조작조건은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이 재비기의 열소비를 보면 실시예 1의 제 1탑의 경우 2.74 GJ/h이고 제 2탑은 21.51 GJ/h 이므로 총 24.25 GJ/h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데 비해 비교예 1의 탑의 경우는 29.05 GJ/h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의 경우가 비교예 1에 비해 약 17 %의 열소비 절감 효과가 있다.
냉각기의 열소비를 보면 실시예 1의 제 1탑의 경우 15.43 GJ/h이고 제 2탑은 6.92 GJ/h 이므로 총 22.35 GJ/h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데 비해 비교예 1의 탑의 경우는 28.55 GJ/h의 냉각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의 경우가 비교예 1에 비해 약 22 %의 냉각수 절감 효과가 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제 1탑 제 2탑 제 1탑
(구조)
단수 20 20 40
원료공급단 10 10 20
(조작)
원료(kgmol/h) 400.00 400.00 800.00
상부의 압력(kPa) 98.07 196.13 98.07
하부의 온도(℃) 109.50 133.81 111.70
환류(kgmol/h) 300.5 33.50 526.0
상부(kgmol/h) 200.0 200.0 399.96
하부(kgmol/h) 200.0 200.0 400.04
재비기 열 소비(GJ/h) 2.74 21.51 29.05
냉각기 열 소비(GJ/h) 15.43 6.92 28.55
2. 공급원료 및 생산품의 유량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아래 [표 2]의 내용과 같이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표 1]의 조건에 따라 조작한 결과 아래 [표 2]의 내용과 같이 생산품이 생산되었다.
(단위 : kmol/h)
조성 원료 실시예 1 비교예 1
제 1탑 내부 열교환 증류탑 제 2탑 제 2탑
상부 튜브 하부 상부 하부
Benzene 400.00 190.01 190.02 9.88 9.01 380.01 19.99
Toluene 400.00 9.99 9.98 190.12 190.99 19.99 380.01
Total 800.00 200.0 200.0 200.0 200.0 400.0 400.0
상기 [표 2]에서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생산되어진 제품을 보면 저비점 제품인 벤젠의 경우 실시예 1은 총 생산량 400.0 kmol/h 중 95.0 %가 벤젠이고 비교예 1은 총 생산량 400.0 kmol/h 중 95.0 %가 벤젠의 농도이므로 제품의 농도가 같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비점 제품인 톨루엔의 경우 실시예 1은 총 생산량 400.0 kmol/h 중 95.3 %가 톨루엔이고, 비교예 1은 총 생산량 400.0 kmol/h 중 95.0 %가 톨루엔으로 농도가 약간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제품을 생산하는 두 예에서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해 17 %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별증류장치인 실시예 1은 종래의 분별증류장치인 비교예 1에 비해 증류조작시 소비되는 에너지가 대폭 절감되며, 두 증류 공정의 원료와 제품유량을 제시하여 양쪽 증류 시스템이 동일하게 운전할 수 있음을 보인 유용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열교환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 : 벤젠 B:톨루엔
C : 내부 열교환 증류탑 F : 원료
M : 제1탑 N : 제2탑
M1 : 제 1탑 상부 M2 : 제 1탑 하부
N1 : 제 2탑 상부 N2 : 제 2탑 하부
S : 셀 T : 튜브
10 : 응축기 20 : 재비기
BP : 저비점 제품 DP : 고비점 제품

Claims (5)

  1. 제 1탑 및 제 2탑으로 구성된 증류식 2 성분 분별증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탑(M)과 제 2탑(N) 사이에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을 설치되고,
    상기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은 셀(S) 내부에 증류탑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튜브(T)가 배열된 구조로서, 이 튜브(T)들과 셀(S)의 내부를 각각 통과하는 유체들이 서로 열교환 작용을 하며,
    상기 제 1탑(M) 및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은 각 상단부의 유출구에 응축기(10), 내부 열교환 증류탑(C) 및 제 2탑(N)은 각 하단부의 유출구에 재비기(20)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2 성분 분별증류장치는 벤젠(A), 톨루엔(B)의 방향족 혼합물인 원료(F)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상단부와 제 2탑(N)의 상부로 유입되고, 저비점 성분인 벤젠(A)이 제 1탑(M) 상부와 내부열교환 증류탑(C)의 상부 및 고비점 성분인 톨루엔(B)이 제 2탑(N) 하부와 내부 열교환 증류탑(C)의 하부로 각각 이송되어 유출되어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36161A 2011-04-19 2011-04-19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 KR10126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161A KR101268285B1 (ko) 2011-04-19 2011-04-19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161A KR101268285B1 (ko) 2011-04-19 2011-04-19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659A KR20120118659A (ko) 2012-10-29
KR101268285B1 true KR101268285B1 (ko) 2013-05-28

Family

ID=4728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161A KR101268285B1 (ko) 2011-04-19 2011-04-19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2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7606A (ja) * 1999-11-18 2001-05-22 Kimura Chem Plants Co Ltd 内部熱交換型蒸留塔
JP2004155761A (ja) 2002-06-14 2004-06-03 Bayer Ag トルエンジイソシアネートの混合物を精製するための方法
JP2009006240A (ja) * 2007-06-27 2009-01-15 Kansai Chemical Engineering Co Ltd 多成分系内部熱交換式蒸留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7606A (ja) * 1999-11-18 2001-05-22 Kimura Chem Plants Co Ltd 内部熱交換型蒸留塔
JP2004155761A (ja) 2002-06-14 2004-06-03 Bayer Ag トルエンジイソシアネートの混合物を精製するための方法
JP2009006240A (ja) * 2007-06-27 2009-01-15 Kansai Chemical Engineering Co Ltd 多成分系内部熱交換式蒸留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황규석 외 2명, 변형 열복합 증류탑의 동적 특성,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2009, Vol.47, No.3, pp.327-3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659A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899B2 (ja) 独立した3個の有機ランキンサイクルを用いる統合型原油精製及び芳香族化合物施設における廃熱からの発電
CN105837389B (zh) 一种生产对二甲苯的方法及此过程的换热网络
CN105229119B (zh) 纯化设备及使用该纯化设备的纯化方法
CN104968636A (zh) 用于制备烷醇的装置
JP6784457B2 (ja) 統合型原油水素化分解及び芳香族施設における廃熱からの発電
CN113736517A (zh) 加裂汽提塔
KR20170074658A (ko) 에너지가 절감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정제 방법
CN105732292B (zh) 一种带有半贫液循环物流的环丁砜芳烃萃取蒸馏装置
CN103254931A (zh) 吸收稳定系统及实现解吸塔降压操作的方法
CN105407995A (zh) 通过热耦合来降低能量消耗的方法
KR101173907B1 (ko)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3 성분 분별증류장치
CN104312625A (zh) 石油化工中节能型蜡油加氢装置
CN105130760B (zh) 一种制取高纯度mtbe的工艺
CN114307214A (zh) 精馏回收装置以及精馏回收丙酮水溶液中丙酮的方法
CN103288601A (zh) 一种环己醇精馏的方法
CN107935805B (zh) 基于原料乙烯含量上升的干气制乙苯装置扩产方法
KR101268285B1 (ko)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2 성분 분별증류장치
CN105175302A (zh) 过氧化二异丙苯dcp装置无关联塔差压热耦合节能方法
RU2662809C1 (ru) Рекуперация тепла из колонны фракционного разделения нафты
CN104524800A (zh) 一种具有换热塔板的热耦合喷射并流塔
CN212327444U (zh) 基于热耦合工艺的偏三甲苯精馏装置
CN104624022A (zh) 双吸收双解吸氢气和轻烃综合回收系统
CN110776947A (zh) 催化重整节能系统、节能方法和催化重整反应系统
CN110743189A (zh) 一种节能型二硫化碳精馏工艺
KR101210401B1 (ko) 내부 열교환 증류탑이 구비된 4 성분 분별증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