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216B1 -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216B1
KR101268216B1 KR1020120156125A KR20120156125A KR101268216B1 KR 101268216 B1 KR101268216 B1 KR 101268216B1 KR 1020120156125 A KR1020120156125 A KR 1020120156125A KR 20120156125 A KR20120156125 A KR 20120156125A KR 101268216 B1 KR101268216 B1 KR 101268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unit
oil
screw
fry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수
Original Assignee
조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혜수 filed Critical 조혜수
Priority to KR102012015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조리장치는, 제 1 시간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기름을 담는 기름 저장부, 튀김물을 담는 튀김망, 회전하는 승강모터,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 스크류 기둥, 상기 튀김망과 연결되어 상기 튀김망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에 대응하는 스크류공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공을 통해 상기 구동 스크류 기둥에 결합되는 튀김망 고정부와 상기 회전하는 스크류 및 스크류공을 이용하여, 상기 튀김망 고정부를 상기 구동스크류 기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기름과 튀김물의 접촉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름과 튀김물의 접촉시간이 상기 제 1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가 상기 구동스크류 기둥을 따라 1차 상승되어 상기 기름과 튀김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COOKING DEVICE INCLUDING LIFT TYPE FRYING MACHINE AND DEOI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튀김장치는 기름을 가열하여 튀김물을 조리하기 위한 기기이고, 근래에 들어서면서 가정의 식단이 서구적으로 변화해 가는 추세에 따라 튀김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튀김장치는 조리가 완료된 다수의 조리식품을 조리자가 집게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동작으로 유조에서 꺼내야 하므로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리식품을 담아 유조에서 튀겨내는 튀김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조리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꺼내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지 못하였고, 뜨거운 기름이 튀게 됨으로써 조리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도 높았다.
또한, 튀김 온도의 제어는 수월하였으나 튀김 시간이 완료되는 시점에 조리식품을 기름에서 자동으로 꺼내주는 기술이 미흡하여, 조리자가 튀김망을 튀김물의 조리가 완료되기 이전에 꺼내거나 조리 시간이 지난 후에 꺼내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튀김물은 기름으로 튀겨진 후, 튀김망 위에서 기름이 자연적으로 빠지게 하는 방법 또는 채나 거름망을 이용하여 상하로 흔들어 기름이 분리되는 방법을 통해 탈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탈유방법은 튀김물을 반복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어서 탈유시켜야하므로 튀김물의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고, 부스러기가 많이 발생됨은 물론 튀김용 기름이 튀김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탈유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름은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고, 튀김물로부터 발생된 불순물 또는 부스러기가 튀김용 기름에 다시 유입되어 신선도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 등도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튀김장치 및 탈유장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1-0057006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20-0336252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20-03050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함께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튀김장치는 설정된 조리시간이 지나면 튀김망이 유조로부터 자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하여 조리자에게 뜨거운 기름으로 인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도록 하고, 조리자의 작업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물의 조리가 종료되면, 튀김망은 자동으로 상승되어 기름과 분리되고, 탈유장치를 통해 탈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조리장치는, 제 1 시간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기름을 담는 기름 저장부, 튀김물을 담는 튀김망, 회전하는 승강모터,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 스크류 기둥, 상기 튀김망과 연결되어 상기 튀김망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에 대응하는 스크류공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공을 통해 상기 구동 스크류 기둥에 결합되는 튀김망 고정부와 상기 회전하는 스크류 및 스크류공을 이용하여, 상기 튀김망 고정부를 상기 구동스크류 기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기름과 튀김물의 접촉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름과 튀김물의 접촉시간이 상기 제 1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가 상기 구동스크류 기둥을 따라 1차 상승되어 상기 기름과 튀김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와 함께 1차 상승된 튀김망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고, 상기 튀김망의 회전을 이용하여 튀김물이 탈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물의 탈유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가 상기 구동스크류 기둥을 따라 2차 상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2차 상승 높이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높이일 수 있다.
또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기름과 튀김망 고정부 간의 이격거리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튀김망 고정부의 1차 상승 및 2차 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 2 시간이 입력되고, 상기 회전모터를 통한 튀김망의 회전 지속시간이 상기 제 2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상기 튀김물의 탈유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물로부터 탈유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의 전체 영역을 지지하고, 상기 튀김망 고정부의 1차 상승 및 2차 상승을 위한 빈 공간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빈 공간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함께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튀김장치는 설정된 조리시간이 지나면 튀김망이 유조로부터 자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하여 조리자에게 뜨거운 기름으로 인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도록 하고, 조리자의 작업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물의 조리가 종료되면, 튀김망이 자동으로 상승되도록 하고, 기름과 분리된 튀금물에 대해 탈유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조리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장치에 기름장치가 추가 결합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를 이용하여 튀김동작 및 탈유동작이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된 튀김동작 및 탈유동작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7d는 도 5에서 설명된 튀김동작 및 탈유동작의 구체적인 내용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8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구동부에 복수의 롤스프링이 결합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전술한 것과 같이, 종래의 튀김장치는 조리가 완료된 다수의 조리식품을 조리자가 집게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동작으로 유조에서 꺼내야 하므로 불편하고, 뜨거운 기름이 튀게 됨으로써 조리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도 높으며, 조리자가 튀김망을 튀김물의 조리가 완료되기 이전에 꺼내거나 조리 시간이 지난 후에 꺼내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종래의 탈유장치는 튀김물이 쉽게 파손되고, 부스러기가 많이 발생되며, 튀김용 기름이 튀김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탈유과정을 통해 튀김물로부터 발생된 불순물 또는 부스러기가 튀김용 기름에 다시 유입되어 신선도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조리장치에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함께 포함시키고, 1차적으로 튀김망을 자동으로 하강시켜 기름과 접촉하여 튀김 동작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튀김망을 자동으로 1차 상승시켜 탈유동작을 수행하며, 탈유동작이 완료되면, 튀김망을 자동으로 2차 상승시켜 튀김물과 튀김망을 분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조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선결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장치(1100)는 지지부(1120), 사용자 입력부(1130), 센싱부(1140), 출력부(1150), 메모리(1160), 구동부(1170), 제어부(1180) 및 전원공급부(1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조리장치(1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지지부(1120)는 조리장치(1100)의 외형을 유지하고,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120)는 지지대(1121), 받침대(1122), 지지기둥(1123), 튀김망 고정부(1124)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부(1130)는 사용자가 조리장치(1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130)는 조리장치(1100)의 탈유동작 및 튀김동작의 수행시간, 지속시간 등의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3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트들 중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30)는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트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113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40)는 조리장치(1100)의 개폐 상태,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방위, 가속/감속 등과 같이 조리장치(1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조리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센싱부(1140)는 근접 센서(1141)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출력부(1150)는 출력부(1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150)에는 음향 출력 모듈(1152), 알람부(1153)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메모리(1160)는 제어부(1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160)에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1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170)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튀김동작 및 탈유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구동부(1170)는 승강모터(1171), 회전모터(1172), 구동 스크류 기둥(1173) 및 튀김망(1174)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controller)(1180)는 통상적으로 조리장치(1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1180)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례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례들이 제어부(1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례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190)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다른 조리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포함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더 구체화시킨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조리장치(1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조리장치(1100)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사용자 입력부(1130), 메모리(1160), 제어부(1180) 및 전원공급부(1190)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설명되었으므로,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1120)는 조리장치(1100)의 외형을 유지하고,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120)는 지지대(1121), 받침대(1122), 지지기둥(1123), 튀김망 고정부(11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대(1121)는 상단에서 조리장치(1100)의 최하단까지 연결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면적의 "ㄴ"자 모양의 판이 붙여짐으로써 형성된다.
지지대(1121)는 전체 조리장치(1100)의 외형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대항할 수 있는 밸런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받침대(1122)는 지지대(1121)와 수직으로 연결된 네모 모양의 판으로 본 발명에서는 네모 모양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받침대(1122)도 포함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받침대(1122)는 지지대(1121)와 연결되어 조리장치(1100)의 외형을 유지하고, 밸런스를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지지기둥(1123)은 복수로 구성된다.
도 3에서는 4개의 지지기둥(1123)이 포함되어 있다. 단, 이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다른 개수의 지지기둥(1123)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튀김망 고정부(1124)는 체인 또는 벨트폴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는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포랏킷과 연결될 수 있고, 튀김망(1174)를 고정하여, 승강모터(1171) 및 회전모터(1172)의 구동에 따라 튀김망(1174)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센싱부(1141)는 근접센서(1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1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150)는 디스플레이부(1151), 음향출력모듈(1152) 및 알람부(115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1)는 조리장치(1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1)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1)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151a)에 스위치 액정(1151b)을 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액정(1151b)을 이용하여 광학 시차 장벽(50)을 작동시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좌우의 눈에 각기 다른 광이 도달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조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151a)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눈에 대응한 화상이 보여 마치 입체로 표시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151)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2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1151b) 및 광학 시차 장벽(50)을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51a)만을 구동시켜 일반적인 2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1)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3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1151b)과, 광학 시차 장벽(50) 및 디스플레이 장치(1151a)를 구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51a)만을 구동시켜 3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조리장치(1100)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조리장치(1100)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조리장치(1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장치(1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180)는 디스플레이부(1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메모리(1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52)은 조리장치(1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튀김동작 또는 탈유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알람부(1153)는 조리장치(1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조리장치(1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튀김동작 시작/종료, 탈유동작 시작/종료 등이 있다.
알람부(1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51)나 음성 출력 모듈(1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1170)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튀김동작 및 탈유동작을 수행한다.
구동부(1170)는 승강모터(1171), 회전모터(1172), 구동 스크류 기둥(1173) 및 튀김망(117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모터(1171)는 전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그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기계로 공급되는 전기 방식에 따라 직류용, 단상 교류용, 3상 교류용 모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승강모터(1171)는 회전모터(1172), 튀김망 고정부(1124) 및 튀김망(1174)를 함께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승강모터(1171)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는 정도(예를 들어, RPM), 회전시작시간, 종료시간, 회전유지시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유지시간으로 2분이 지정된 경우, 승강모터(1171)는 제어부(1181)의 제어에 따라 2분동안만 회전하여 승강모터(1171)는 회전모터(1172), 튀김망 고정부(1124) 및 튀김망(1174)를 함께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모터(1172)도 전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그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기계이다.
회전모터(1172)는 탈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터이다.
즉, 회전 동작을 통해 후술하는 튀김망(1174)를 회전시킴으로써, 튀김망(1174)에 포함된 튀김물의 잔유 기름을 탈유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승강모터(1171)와 마찬가지로 회전모터(1172)는 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는 정도(예를 들어, RPM), 회전시작시간, 종료시간, 회전유지시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스크류 기둥(1173)은 승강모터(1171)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모터(1172), 튀김망 고정부(1124) 및 튀김망(1174)이 함께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스크류 기둥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구동 스크류 기둥(1173)의 측면에는 특정 모양의 스크류가 형성되고, 형성된 스크류에 대응하여 튀김망 고정부(1124)의 내부 스크류가 형성될 수 있고, 승강모터(1171)이 회전에 대응하여 튀김망 고정부(1124)의 내부 스크류가 구동 스크류와 맞물러 회전함으로써, 상하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튀김망(1174)은 튀김망 고정부(1124)와 연결되며, 튀김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튀김망(1174)는 3개의 부분으로 구획되어 서로 다른 튀김물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 도 3에 도시된 튀김망(1174)의 형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기름장치(20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장치에 기름장치가 추가 결합된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름장치(2000)는 기름 저장부(2100) 및 기름 지지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름 저장부(2100)는 소정양의 기름을 저장할 수 있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튀김망(1174)과 접촉하여 튀김물을 튀길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기름 지지부(2200)는 기름 저장부(2100)와 연결되어 전체 조리장치(1100)의 외형을 유지하고, 밸런스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름장치(2000)는 튀김물로부터 탈유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름배출구를 통해, 후술하는 튀김물의 탈유를 통해 발생되는 기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기초로, 1차적으로 튀김망을 자동으로 하강시켜 기름과 접촉하여 튀김 동작을 수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튀김망을 자동으로 1차 상승시켜 탈유동작을 수행하며, 탈유동작이 완료되면, 튀김망을 자동으로 2차 상승시켜 튀김물과 튀김망을 분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를 이용하여 튀김동작 및 탈유동작이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튀김망(1174)에 적어도 하나의 튀김물이 배치될 수 있다(S100).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튀김망(1174)은 세 개로 구획된 부분을 가지므로, 각 부분에는 서로 다른 튀김물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튀김물이 배치되면,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튀김망(1173)이 하강하여 기름과 접촉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00).
즉, 튀김물이 배치되고, 사용자 입력부(1130)를 통해 튀김동작 개시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승강모터(1711)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한다.
또한, 승강모터(1711)의 회전에 대응하여, 튀김망 고정부(1124)와 구동 스크류 기둥(1173)이 몸체에 구성된 스크류를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튀김망 고정부(1124)가 아래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을 통해 회전모터(1172), 튀김망 고정부(1124) 및 튀김망(1174)가 아래로 이동하여 기름 저장부(21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후, 소정 시간동안 튀김망(1174)과 기름 저장부(2100)의 접촉을 이용하여, 튀김물이 튀켜질 수 있다(S300).
이후, 사용자 입력부(113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튀김물이 튀겨지면, 제어부(1180)는 자동으로 튀김망(1174)을 1차 상승시킨다(S400).
예를 들어, 튀김유지 시간이 30분으로 지정된 경우, 제어부(1180)는 튀김망(1174)과 기름 저장부(2100)가 접촉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30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튀김망(1174)을 상승시킨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1차 상승은 튀김망 고정부(1124)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상승 높이보다 더 낮은 정도의 상승 높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튀김망 고정부(1124)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상승 높이가 20M 인 경우, 1차 상승 높이는 10M가 될 수 있다.
단, 이때의 1차 상승 높이는 튀김망 고정부(1124)가 기름 저장부(2100)와 격리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보다 큰 수치이어야 한다.
튀김망 고정부(1124)가 1차 상승되면, 제어부(1180)는 회전모터(1172)를 구동시켜, 1차 상승된 튀김망에 포함된 튀김물이 탈유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500).
즉, 사용자 입력부(1130)를 통해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회전모터(1172)가 구동되고, 이에 대응하여, 튀김망(1174)은 회전한다.
따라서 튀김망(1174) 내부에 포함된 튀김물에 포함된 잔류 기름이 탈유될 수 있다.
또한, 탈유 동작이 종료되면, 제어부(1180)는 튀김망(1174)을 2차 상승시킬 수 있다(S600).
여기서 2차 상승 높이는 튀김망 고정부(1124)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상승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튀김망 고정부(1124)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상승 높이가 20M 인 경우, 1차 상승 높이는 20M가 될 수 있다.
또한, 2차 상승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튀김물 및 튀김망을 분리할 수 있고(S700), 이후, 청소작업 또는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전술한 종래의 튀김장치 및 탈유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미리 시간이 지정되어 그 시간이 경과하면 튀김동작이 완료되므로, 조리가 완료된 다수의 조리식품을 조리자가 집게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동작으로 유조에서 꺼내야 하는 불편 및 뜨거운 기름이 튀게 됨으로써 조리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을 해소하고, 조리자가 튀김망을 튀김물의 조리가 완료되기 이전에 꺼내거나 조리 시간이 지난 후에 꺼내는 이벤트가 방지된다.
또한, 튀김망 고정부(1124)의 상승정도를 1차 상승 및 2차 상승으로 분리하여 탈유과정이 진행되므로, 튀김물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튀김용 기름이 튀김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탈유과정을 통해 튀김물로부터 발생된 불순물 또는 부스러기가 튀김용 기름에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상승 동작을 1차 상승 및 2차 상승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치장치(1100)의 높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동작은 3차 상승, 4차 상승, 5차 상승까지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도 6은 도 5에서 설명된 튀김동작 및 탈유동작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a 내지 도7d는 도 5에서 설명된 튀김동작 및 탈유동작의 구체적인 내용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설명한 S400 단계 내지 S600 단계에서 수행되는 1차 상승 및 2차 상승 높이가 개시되어 있다.
단, 도 6에 도시된 수치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수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1차 및 2차 상승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기름이 채워지지 않은 기름 저장부(2100)와 기름(2110)이 채워진 기름 저장부(2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서는 기름 저장부(2100)의 높이는 45cm 이고, 채워진 기름의 높이는 22~23cm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b에서는 도 5에서의 S200 단계와 S300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즉, 튀김물이 배치되고, 사용자 입력부(1130)를 통해 튀김동작 개시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승강모터(1711)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한다.
또한, 승강모터(1711)의 회전에 대응하여, 튀김망 고정부(1124)와 구동 스크류 기둥(1173)이 몸체에 구성된 스크류를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튀김망 고정부(1124)가 아래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을 통해 회전모터(1172), 튀김망 고정부(1124) 및 튀김망(1174)가 아래로 이동하여 기름 저장부(21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후, 소정 시간동안 튀김망(1174)과 기름 저장부(2100)의 접촉을 이용하여, 튀김물이 튀켜질 수 있다.
또한, 도 7c에서는 도 5에서 설명한 S400 단계 및 S500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113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튀김물이 튀겨지면, 제어부(1180)는 자동으로 튀김망(1174)을 1차 상승된다.
또한, 튀김망 고정부(1124)가 1차 상승되면, 제어부(1180)는 회전모터(1172)를 구동시켜, 1차 상승된 튀김망에 포함된 튀김물이 탈유되는 단계가 진행된다.
즉, 사용자 입력부(1130)를 통해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회전모터(1172)가 구동되고, 이에 대응하여, 튀김망(1174)은 회전하고, 이에 대응하여, 튀김망(1174) 내부에 포함된 튀김물에 포함된 잔류 기름이 탈유될 수 있다.
또한, 도 7d에는 도 5에서 설명한 S600 및 S700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즉, 탈유 동작이 종료되면, 제어부(1180)는 튀김망(1174)을 2차 상승시킬 수 있고, 2차 상승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튀김물 및 튀김망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튀김망 고정부(1124)가 승강모터(117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부(1170)의 일부분이 문제될 수 있다. 즉, 튀김망 고정부(1124)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빈 공간이 필요하고, 이러한 구동부(1170)의 빈 공간을 방치하는 경우에는 튀김 잔존물이 걸리거나 외부의 먼지 등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튀김망 고정부(1124)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1170)의 빈 공간을 제 1 공간(3000)이라고 호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롤스프링을 이용하여 제 1 공간(3000)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는 롤스프링을 이용하여 제 1 공간(3000)의 외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외부로부터의 먼지 진입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 8a 및 도8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구동부에 복수의 롤스프링이 결합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구동부(1170) 상에는 제 1 공간(1170)이 형성된다.
제 1 공간(1170)을 얇게 커버하여 외부로부터의 먼지 투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롤스프링(3300) 및 제 2 롤스프링(3400)를 제 1 걸개(3100)과 제 2 걸개(3200)를 이용하여 제 1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롤스프링(3300) 및 제 2 롤스프링(3400)이 결합된 제 1 공간(3000)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튀김 잔존물이 걸리거나 외부의 먼지 등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종래의 튀김장치 및 탈유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튀김동작과 관련하여, 미리 시간이 지정되어 그 시간이 경과하면 튀김동작이 완료되므로, 조리가 완료된 다수의 조리식품을 조리자가 집게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동작으로 유조에서 꺼내야 하는 불편 및 뜨거운 기름이 튀게 됨으로써 조리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을 해소하고, 조리자가 튀김망을 튀김물의 조리가 완료되기 이전에 꺼내거나 조리 시간이 지난 후에 꺼내는 이벤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유동작과 관련하여, 튀김망 고정부(1124)의 상승정도를 1차 상승 및 2차 상승으로 분리하여 탈유과정이 진행되므로, 튀김물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튀김용 기름이 튀김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탈유과정을 통해 튀김물로부터 발생된 불순물 또는 부스러기가 튀김용 기름에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제 1 시간을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기름을 담는 기름 저장부;
    튀김물을 담는 튀김망;
    회전하는 승강모터;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 스크류 기둥;
    상기 튀김망과 연결되어 상기 튀김망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에 대응하는 스크류공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공을 통해 상기 구동 스크류 기둥에 결합되는 튀김망 고정부;
    상기 회전하는 스크류 및 스크류공을 이용하여, 상기 튀김망 고정부를 상기 구동스크류 기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기름과 튀김물의 접촉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회전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기름과 튀김물의 접촉시간이 상기 제 1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가 상기 구동스크류 기둥을 따라 1차 상승되어 상기 기름과 튀김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와 함께 1차 상승된 튀김망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되고, 상기 튀김망의 회전을 이용하여 튀김물이 탈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물의 탈유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가 상기 구동스크류 기둥을 따라 2차 상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2차 상승 높이는 상기 튀김망 고정부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기름과 튀김망 고정부 간의 이격거리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튀김망 고정부의 1차 상승 및 2차 상승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 2 시간이 입력되고, 상기 회전모터를 통한 튀김망의 회전 지속시간이 상기 제 2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상기 튀김물의 탈유 동작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의 전체 영역을 지지하고, 상기 튀김망 고정부의 1차 상승 및 2차 상승을 위한 빈 공간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빈 공간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KR1020120156125A 2012-12-28 2012-12-28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68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25A KR101268216B1 (ko) 2012-12-28 2012-12-28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125A KR101268216B1 (ko) 2012-12-28 2012-12-28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216B1 true KR101268216B1 (ko) 2013-05-27

Family

ID=4866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125A KR101268216B1 (ko) 2012-12-28 2012-12-28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2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122B1 (ko) 2013-09-09 2014-11-12 김재곤 기름제거장치가 구비된 웰빙 튀김장치
US20170095118A1 (en) * 2015-10-02 2017-04-06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Apparatus for automated preparation of cooked food products
CN109197924A (zh) * 2018-10-08 2019-01-15 张乐 一种维持用油品质的油条油炸装置
US20210235929A1 (en) * 2018-05-01 2021-08-05 Pitco Frialator, Inc. Automated rack fryer basket lif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59B1 (ko) 2011-11-14 2012-09-17 김재곤 튀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59B1 (ko) 2011-11-14 2012-09-17 김재곤 튀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122B1 (ko) 2013-09-09 2014-11-12 김재곤 기름제거장치가 구비된 웰빙 튀김장치
US20170095118A1 (en) * 2015-10-02 2017-04-06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Apparatus for automated preparation of cooked food products
US20210235929A1 (en) * 2018-05-01 2021-08-05 Pitco Frialator, Inc. Automated rack fryer basket lift
US11992156B2 (en) * 2018-05-01 2024-05-28 Pitco Frialator, Inc. Automated rack fryer basket lift
CN109197924A (zh) * 2018-10-08 2019-01-15 张乐 一种维持用油品质的油条油炸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216B1 (ko) 리프트형 튀김장치와 탈유장치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493587B (zh) 带有锅检测装置的电磁炉铁架以及用于操作电磁炉铁架的方法
EP3702674B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6200823B2 (ja) センサ刺激、検知及び/又はデータ処理コンポーネントを有するフードウェアシステム
KR10201439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5941920B2 (ja) 木製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パネルを有する電気ティーメーカ
RU2701113C1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повышенным удобством управления манипулят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выполненным в виде сенсорного экрана
RU25711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чая со светящимся индикатором хода выполнения процесса заваривания
JP5950687B2 (ja) 炊飯器
EP2433188A2 (en) Control of appliances, kitchen and home
KR200473034Y1 (ko) 튀김기의 승강유닛
US20190204995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ng menu and activating a cooking appliance
EP2440009B1 (fr) Procédé de commande en fonctionnement d'un ensemble d'inducteurs d'une table de cuisson à induction et table de cuisson à induction associée
CN104472011B (zh) 一种用于控制具有锅检测系统的感应烹饪炉架的方法和一种用于控制具有锅检测系统的感应烹饪炉架的控制单元
KR200468070Y1 (ko)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
CN113197232B (zh) 具有油循环精制功能及油炸油分离功能的油炸装置
JP6230712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3499129A2 (en) Cooking device
CN117980662A (zh) 用于感应式炉灶面系统的显示界面
KR102194563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166761A (ja) 炊飯器
CN210582217U (zh) 一种适用于自动炒菜机的空盘检测装置
US11317762B2 (en) Multi-bank cooking system
EP2440008A2 (fr) Procédé de commande en fonctionnement d'un ensemble d'inducteurs d'une table de cuisson à induction et table de cuisson à induction associée
KR200312289Y1 (ko) 테이블 부착형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