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233B1 -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 Google Patents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233B1
KR101267233B1 KR1020120129481A KR20120129481A KR101267233B1 KR 101267233 B1 KR101267233 B1 KR 101267233B1 KR 1020120129481 A KR1020120129481 A KR 1020120129481A KR 20120129481 A KR20120129481 A KR 20120129481A KR 101267233 B1 KR101267233 B1 KR 10126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oundary stone
adjusting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12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 사이에 거치부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거치부에 경계석을 배치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거푸집널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거푸집널은 금속판체로 이루어진 본체의 상, 하측 단부에 각각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상기 본체와 외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일측측부플랜지와 타측측부플랜지가 외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장방형의 높이조절공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거치부는
Figure 112012094054942-pat00005
형상의 거치대 내측에 안착홈이 일체로 마련되어지고, 조절봉삽입공이 상기 거치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조절부삽입공에 조절부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조절부는 제1 조절봉과 상기 제1 조절봉에 텔레스코픽 형상으로 관입되어지는 제2 조절봉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 조절봉 및 제2 조절봉은 중공형의 봉체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봉체의 외측 단부에는 조임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가 상기 높이조절공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BOUNDARY STONE HOLDER INTERGRATED FORMWORK}
본 발명은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거푸집 사이에 거치부가 마련되어지고, 거치부에 경계석을 배치하되, 상기 거치부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를 구비한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차도와 보행자도로를 경계하나, 차도와 단지를 직접 구획하거나 보행자도로와 단지를 구획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진다.
종래에 이러한 경계석은 기초콘크리트를 적당한 높이 만큼 타설한 뒤 기초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은 상태가 되면, 수작업으로 상부에 경계석의 높이와 위치를 일일이 조절하면서 경계석을 배치하고, 상기 경계석의 배치가 완료되면, 수작업으로 거푸집을 설치한 후,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계석을 고정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경계석 시공방법은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일정한 정도로 굳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그 정도가 기후나 계절에 따라 달라 이를 판단하는 것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이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바,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으로 경계석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하여야 했는바,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으며, 차량의 주행이나 보행에 인한 진동으로, 배치가 흐트러지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경계석과 기초 콘크리트의 부착력 저하 및 강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시공 품질이 저하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추후에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받침구를 마련하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상부에 경계석을 배치하는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
상기 시공방법은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숙련공이 필요치 않은 이점은 있으나, 거푸집과 받침구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아 경계석의 높이와 위치조절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바, 오차가 심하게 발생하고 진동에 흐트러지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초 콘크리트를 별도로 타설하지 않아 경계석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강화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며, 수작업으로 직접 경계석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줄여 오차의 발생을 막고 진동으로 인한 경계석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은, 거푸집(100) 사이에 거치부(200)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거치부(200)에 경계석(B)을 배치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은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거푸집널(11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거푸집널(110)은 본체(111)의 상, 하측 단부에 각각 상부플랜지(112)와 하부플랜지(113)가 상기 본체(111)와 외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본체(111)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가 외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본체(111)에는 장방형의 높이조절공(117)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거치부(200)는
Figure 112012094054942-pat00001
형상의 거치대(210) 내측에 안착홈(220)이 일체로 마련되어지고, 조절봉삽입공(240)이 상기 거치대(2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조절부삽입공(240)에 조절부(300)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조절부(300)는 제1 조절봉(310)과 상기 제1 조절봉에 텔레스코픽 형상으로 관입되어지는 제2 조절봉(320)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 조절봉(310) 및 제2 조절봉(320)은 중공형의 봉체(311,321)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조임부(313,323)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313,323)가 상기 높이조절공(117)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220)의 중앙에는 위치조절부(2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위치조절부(230)는 관통공(233)이 상기 조절부삽입공(240)과 수직방향으로 만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봉체(311,321)의 상,하부에 다수개의 위치조절공(312,322)이 구비되어, 상기 위치조절부(230)의 위치조절나사(231)가 상기 관통공(233) 및 위치조절공(312,322)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대(210)의 하부에서 위치조절너트(232)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부(313,323)는 상기 거푸집널(110)의 외측면에서 나비너트(315,325)로 조여지고, 상기 높이조절공(117)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눈금(316,326)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 사이에는 이와 평행한 방향으로 보강플랜지(116)가 한 개 이상 구비되어지고,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폼타이콘(314,324)이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유출방지판(317,327)이 조임부(313,3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1)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에는 각각 연결철부(118)와 연결요부(119)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에 따르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없이 바닥의 평탄화 과정만이 요구되어지는 바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비숙련공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으므로 경계석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강화하고, 이로써 구조물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경계석의 높이와 위치조절의 과정이 거치부와 조절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바 시공오차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작업으로 인한 노동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과 거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진동으로 인한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거푸집을 유닛화하여 공장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플랜지의 결합만으로 손쉽게 연속적인 배치가 가능하다.
도 1,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 및 조절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의 결합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0) 사이에 거치부(200)가 마련되어 구성되어진다.
상기 거푸집(100)은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거푸집널(11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거푸집널(110)은 본체(111)의 상, 하측 단부에 각각 상부플랜지(112)와 하부플랜지(113)가 상기 본체(111)와 외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본체(111)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가 외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본체(111)에는 장방형의 높이조절공(117)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거푸집(100)의 거푸집널(110)은 본 발명에서 금속판체로 제작하는 것이 구조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별로의 플랜지 구성을 제작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11)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지는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거푸집널(110')과 결속되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푸집널(110')과 결속하는 방식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았지만,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 핀부재의 결합 등 다양한 결속부재를 이용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112)와 하부플랜지(113) 및 일측측부플랜지(114) 및 타측측부플랜지(115)는 구조적으로 거푸집널(110)을 보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부재의 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치부(200)는
Figure 112012094054942-pat00002
형상의 거치대(210) 내측에 안착홈(220)이 일체로 마련되어지고, 조절봉삽입공(240)이 상기 거치대(2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조절부삽입공(240)에 조절부(300)가 삽입되어진다.
상기 거치대(210)는
Figure 112012094054942-pat00003
형상으로 구성되어, 경계석(B)이 상기 안착홈(220)에 안착되어지는바, 수작업으로 경계석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없이 거치대(210)의 이동만으로 용이하게 높이 및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220)의 양 측면부는 사선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보다 쉽게 경계석(B)을 상기 안착홈(220)에 유도시켜 거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조절부(300)는 제1 조절봉(310)과 상기 제1 조절봉에 텔레스코픽 형상으로 관입되어지는 제2 조절봉(320)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 조절봉(310) 및 제2 조절봉(320)은 중공형의 봉체(311,321)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조임부(313,323)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313,323)가 상기 높이조절공(117)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진다.
즉, 상기 조절부(300)는 제1 조절봉(310)과 제2 조절봉(320)의 관입되어지는 정도에 따라 길이조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조절부(300)를 이용하여, 양측 거푸집널(110)의 간격이 조정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홈(220)의 중앙에는 위치조절부(2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위치조절부(230)는 관통공(233)이 상기 조절부삽입공(240)과 수직방향으로 만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봉체(311,321)의 상,하부에 다수개의 위치조절공(312,322)이 구비되어, 상기 위치조절부(230)의 위치조절나사(231)가 상기 관통공(233) 및 위치조절공(312,322)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대(210)의 하부에서 위치조절너트(232)로 조여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00)는 길이조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위치조절부(230)의 위치조절나사(231)가 상기 관통공(233)과 위치조절공(312,322)을 동시에 관통하여 조절부(300)의 길이를 특정길이로 고정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위치조절공(312,322) 중 특정 위치조절공(312,322)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위치조절부(230)가 형성된 거치부(200)를 특정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를 중심에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면에 치우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위치조절공(312,322)은 다양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질 수 있으나, 조밀하게 배치할 경우 더욱더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임부(313,323)는 상기 거푸집널(110)의 외측면에서 나비너트(315,325)로 조여지고, 상기 높이조절공(117)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눈금(316,326)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공(117)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조임부(313,323)의 직경보다는 넓은 폭을 가지되, 상기 봉체(311,321)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부(313,323)을 통하여, 경계석(B)의 높이를 조정하게 되며, 특정 높이에서 나비너트(315,325)로 조여서 고정하게 된다. 이때, 높이조절눈금(316,326)을 형성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하여 조절부(300) 양측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 사이에는 이와 평행한 방향으로 보강플랜지(116)가 한 개 이상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거푸집널(110)이 콘크리트의 하중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폼타이콘(314,324)이 마련되어질 수 있다. 상기 폼타이콘(314,324)은 별도의 부재인 봉체(311,321)와 조임부(313,323)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추후에 나비너트(315,325)를 제거하여 거푸집(100)을 이탈시킬 때, 폼타이콘(314,324)도 함께 이탈되는바, 매끈한 콘크리트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유출방지판(317,327)이 조임부(313,3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1)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유출방지판(317,327)은 콘크리트의 타설시 상기 높이조절공(117)을 통해 흘러내리는 콘크리트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11) 내부에 유동홈을 두어 상기 유동홈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어질 수 있다.
한편,상기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에는 각각 연결철부(118)와 연결요부(119)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연결철부(118)와 연결요부(119)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요철형으로서 거푸집널(110)과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거푸집널(110')을 구조적으로 보강함과 동시에 쉽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철부(118)와 연결요부(119)는 결속하는 방식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았지만,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 핀부재의 결합 등 다양한 결속부재를 이용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거푸집(100)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경계석(B)을 거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이용되어진다.
100:거푸집 110:거푸집널
111:본체 112:상부플랜지
113:하부플랜지 114:일측측부플랜지
115:타측측부플랜지 116:보강플랜지
117:높이조절공 118:연결철부
119:연결요부 200:거치부
210:거치대 220:안착홈
230:위치조절부 231:위치조절나사
232:위치조절볼트 233:관통공
240:조절봉삽입공 300:조절부
310:제1 조절봉 320:제2 조절봉
311,321:본체 312,322:위치조절공
313,323:조임부 314,324:폼타이콘
315,325:나비너트 316,326:높이조절눈금
317,327:유출방지판 B:경계석

Claims (6)

  1. 거푸집(100) 사이에 거치부(200)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거치부(200)에 경계석(B)을 배치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은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거푸집널(11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거푸집널(110)은 금속판체로 이루어진 본체(111)의 상, 하측 단부에 각각 상부플랜지(112)와 하부플랜지(113)가 상기 본체(111)와 외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본체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가 외측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본체(111)에는 장방형의 높이조절공(117)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거치부(200)는
    Figure 112012094054942-pat00004
    형상의 거치대(210) 내측에 안착홈(220)이 일체로 마련되어지고, 조절봉삽입공(240)이 상기 거치대(2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조절부삽입공(240)에 조절부(300)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조절부(300)는 제1 조절봉(310)과 상기 제1 조절봉에 텔레스코픽 형상으로 관입되어지는 제2 조절봉(320)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1 조절봉(310) 및 제2 조절봉(320)은 중공형의 봉체(311,321)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조임부(313,323)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313,323)가 상기 높이조절공(117)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220)의 중앙에는 위치조절부(23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위치조절부(230)는 관통공(233)이 상기 조절부삽입공(240)과 수직방향으로 만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봉체(311,321)의 상,하부에 다수개의 위치조절공(312,322)이 구비되어, 상기 위치조절부(230)의 위치조절나사(231)가 상기 관통공(233) 및 위치조절공(312,322)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대(210)의 하부에서 위치조절너트(232)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313,323)는 상기 거푸집널(110)의 외측면에서 나비너트(315,325)로 조여지고, 상기 높이조절공(117)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눈금(316,326)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 사이에는 이와 평행한 방향으로 보강플랜지(116)가 한 개 이상 구비되어지고,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폼타이콘(314,324)이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311,321)의 외측 단부에는 유출방지판(317,327)이 조임부(313,323)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1)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측부플랜지(114)와 타측측부플랜지(115)에는 각각 연결철부(118)와 연결요부(119)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널.





KR1020120129481A 2012-11-15 2012-11-15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KR10126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81A KR101267233B1 (ko) 2012-11-15 2012-11-15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81A KR101267233B1 (ko) 2012-11-15 2012-11-15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233B1 true KR101267233B1 (ko) 2013-05-27

Family

ID=4866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481A KR101267233B1 (ko) 2012-11-15 2012-11-15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2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24A (ko) * 2017-06-02 2018-12-12 코리아스틸폼 주식회사 잔교 시공 방법
CN112523102A (zh) * 2020-12-11 2021-03-19 何文龙 一种移动式建筑护栏模板施工装置
CN113201993A (zh) * 2021-05-13 2021-08-03 悉地(苏州)勘察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侧石铺设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24A (ko) * 2017-06-02 2018-12-12 코리아스틸폼 주식회사 잔교 시공 방법
KR102003204B1 (ko) * 2017-06-02 2019-07-24 코리아스틸폼(주) 잔교 시공 방법
CN112523102A (zh) * 2020-12-11 2021-03-19 何文龙 一种移动式建筑护栏模板施工装置
CN113201993A (zh) * 2021-05-13 2021-08-03 悉地(苏州)勘察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侧石铺设方法
CN113201993B (zh) * 2021-05-13 2022-03-08 悉地(苏州)勘察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侧石铺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141B1 (ko) 물탱크용 기초 패드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0442545Y1 (ko) 높이조절 거푸집
KR101267233B1 (ko) 경계석 거치부 일체형 거푸집
KR100659606B1 (ko) 철근 배근 고정용 스페이서
KR20120046919A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180047905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JP4915653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出し治具
CN204983649U (zh) 一种大倾角圆柱钢模板
CN107842195B (zh) 一种梁模板支撑加固体系
KR101378967B1 (ko) 경계석 시공장치
CN111502253A (zh) 集束体系钢结构建筑楼板用顶托式免支模系统及施工方法
KR200437057Y1 (ko) 형틀 고정용 지지대
FI123045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anturamuotin muodostamiseksi
CN110424732A (zh) 用于混凝土浇筑的模板系统的施工方法
JP5794504B2 (ja) 型枠保持金具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456737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0466393Y1 (ko)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를 위한 프리셋팅장치
KR101157588B1 (ko) 슬라브 폼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철골조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20110038972A (ko) 받침블럭 고정장치
CN110700054A (zh) 立沿石混凝土靠背与枕梁一体浇筑模具及浇筑施工方法
KR20080087196A (ko) 슬래브 및 보의 구축용 테이블 폼
KR200481346Y1 (ko) 도로경계석 거푸집 지그구조
KR100933045B1 (ko)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