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969B1 -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969B1
KR101266969B1 KR1020100117473A KR20100117473A KR101266969B1 KR 101266969 B1 KR101266969 B1 KR 101266969B1 KR 1020100117473 A KR1020100117473 A KR 1020100117473A KR 20100117473 A KR20100117473 A KR 20100117473A KR 101266969 B1 KR101266969 B1 KR 101266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girder
vertical
conveying
along
bea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985A (ko
Inventor
정종옥
Original Assignee
(주)알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알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17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9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Abstract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격점부를 갖는 트러스거더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트러스거더 운반장치는, 상기 트러스거더의 상기 복수의 격점부 중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하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에 대해 상기 운반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격점부 간의 상기 간격의 반만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격점부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하며,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제2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가 함께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운반방향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러스거더 운반장치{TRUSS-GIRDER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트러스거더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러스거더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러스거더는 교량의 상부구조를 직선부재를 연속된 삼각형 뼈대의 트러스 구조로 형성한 거더(Girder)이다. 특히, PCT거더(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는 소정의 압축력이 도입된 콘크리트 하부슬라브와, 강-콘크리트 합성부재로 형성된 상부슬라브와, 삼각형 뼈대 형태로 상기 하부슬라브와 상기 상부슬라브 사이에 배열된, 강관 또는 압연형강 재질의 복수의 직선부재를 포함한다. 통상, 상기 복수의 직선부재들이 상기 하브슬라브에서 만나는 부분을 격점부라고 한다.
트러스 거더교 건설 시, 상기 트러스 거더는 교각 상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트러스 거더를 정위치까지 운반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트러스 거더 운반 시 상기 격점부위 외의 다른 부위를 리프팅하는 경우 트러스 거더 자체의 변형 또는 파손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운반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러스거더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러스거더의 운반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트러스거더를 운반할 수 있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격점부를 갖는 트러스거더의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의 상기 복수의 격점부 중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하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에 대해 상기 운반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격점부 간의 상기 간격의 반만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격점부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하며,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제2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가 함께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운반방향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러스거더의 양측면을 선택적으로 압착 가능한 압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착부를 동시에 지지하며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빔부재와; 상기 빔부재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빔부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거더 운반장치는 상기 트러스거더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의 상기 빔부재와 상기 브라켓을 결합하는 강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봉의 일단은 상기 빔부재와 일체로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빔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강봉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거더 운반장치는 상기 빔부재가 상기 운반방향 따라 전진이동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도 상기 강봉을 따라 전진이동하도록 상기 브라켓을 상기 강봉에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트러스거더 운반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트러스거더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하향구배가 있는 경사면에서도 트러스거더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둘째, 트러스거더의 운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를 교대로 1싸이클 동안 구동하면 한 격점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여러 싸이클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트러스거더를 빠른 시간안에 운반이 가능하다. 특히, 제1수직방향지지부를 사용하여 트러스거더를 리프팅하여 전진이동시킨 후 다시 후퇴이동시키면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가 리프팅하고자 하는 상기 트러스거더의 격점부에 자동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운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셋째, 트러스거더를 리프팅하는 수직방향지지부를 복수개 설치하여 복수개의 수직방향지지부를 교대로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트러스 거더를 운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5a 내지 도 5i는, 도 1의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트러스거더를 운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7은, 도 1의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8은, 도 1의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거더 운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거더 운반시스템(1)은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 및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러스 거더의 일례로서 PCT거더(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G)는, 소정의 압축력이 도입된 콘크리트 하부슬라브(G1)와, 강-콘크리트 합성부재로 형성된 상부슬라브(G2)와, 삼각형 뼈대 형태로 상기 하부슬라브(G1)와 상기 상부슬라브 사이에 배열된, 강관 또는 압연형강 재질의 복수의 직선부재(G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직선부재(G4)들이 상기 하부슬라브(G1)와 결합되는 부분을 격점부(G3)라 하고, 복수의 격점부(G3)가 상기 트러스 거더(G)에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격점부(G3)는 일정한 간격(L)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트러스 거더(G)를 운반할 때 jacking point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상기 트러스거더(G)를 소정의 운반방향(A)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교량의 교대(B1)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교량의 교대(B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거더(G)의 상기 복수의 격점부(G3) 중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가능한 제1수직방향지지부(110);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에 대해 운반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격점부간의 간격의 반만큼 이격배치된 제2수직방향지지부(120);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가 함께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40)와;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운반방향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에서 참조번호 110'은 기 운반방향(A)으로 전진 이동한 위치에서의 제1수직방향지지부(11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는 유압에 의해 상하로 승강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압이 아니라 공압 및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는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승강부재(113, 115)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승강부재(113, 115)는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가령,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으로의 중심부위에 1개의 승강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재(113, 115)의 상기 트러스거더(G)를 리프팅하는 리프팅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의 승강운동과는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상기 트러스거더(G)의 상기 복수의 격점부(G3)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는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승강부재(123, 125)를 포함한다.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123, 125)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를 구성하는 승강부재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가령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의 승강부재는 2개이고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의 승강부재는 3개일 수도 있다.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는 유압에 의해 상하로 승강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압이 아니라 공압 및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와 함께 일체로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미도시)은 생략될 수도 있고, 교대(B1) 상부에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홈을 내서 가이드레일을 대신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의 일측승강부재(113)와 상기 제2수직방향방향지지부(120)의 일측승강부재(123)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41) 및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의 타측승강부재(115)와 상기 제2수직방향방향지지부(120)의 타측승강부재(125)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1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의 일측승강부재(113)와 상기 제2수직방향방향지지부(120)의 일측승강부재(123)의 각 중심점 간의 상기 운반방향(A)으로의 거리는 상기 격점부(G3)간의 거리(L)의 반인 L/2이다.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130)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빔부재(131)와; 상기 빔부재(131)를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빔부재 구동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빔부재 구동부(1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빔부재 구동부(133)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133a, 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액츄에이터(133a, 133b)는 각각 유압피스톤(미도시)과 유압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33a, 133b)는 유압 대신에 공압 및 전자기력 등에 의해서도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거더(G)의 양측면을 선택적으로 압착 가능한 압착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50)는 상기 빔부재(131)의 양측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50)는 압착편(151)과, 상기 압착편(151)을 지지하며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153)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153)는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압착편(151)이 상기 트러스거더(G)의 측면을 압착하도록 가압된 후 고정수단(가령, 볼트/너트 또는 핀/핀홀 등)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가압해제 시에는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함으로써 상가 압착편(151)이 상기 트러스거더(G)를 압착해제 할 수 있다.
상기 압착편(151)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압축편(151)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상기 트러스거더(G)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착부(150)는 상기 빔부재(1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50)는 상기 빔부재(131)와 함께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액츄에이터(133a, 133b) 사이에는 상기 트러스거더(G)가 운반되지 않는 중에 상기 트러스거더(G)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트러스거더(G)의 하부슬라브(G1)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가하는 브레이크 새들(brake saddle, 1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새들(165)은 상기 하부슬라브(G1)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새들(16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를 교량의 상기 교대(B1)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고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고정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고정부(160)의 상측은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130)가 결합되고, 상기 장치고정부(160)의 하측은 상기 교대(B1)를 관통하는 복수의 강연선(163)을 통해 상기 교대(B1)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장치고정부(160)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운반방향(A)으로의 타측에는 상기 복수의 강연선(16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62)이 설치된다. 상기 교대(B1)를 관통하는 상기 강연선(163)을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양측에 설치된 상기 고정판(162) 및 상기 장치고정부(160)가 양측에서 체결구(가령, 너트)로 죈다. 이로써, 상기 장치고정부(160)가 상기 교대(B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상기 트러스거더(G), 정확하게는 상기 트러스거더(G)의 하브슬라브(G1)에 결합되는 브라켓(180)과;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130)의 상기 빔부재(131)와 상기 브라켓(180)을 결합하는 강봉(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봉(170)은 브라켓(180) 및 상기 빔부재(131)를 관통할 수 잇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강봉(170)의 일단은 상기 빔부재(131)를 관통하고, 상기 강봉(170)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180)을 관통한다.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상기 빔부재(131)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체결구(193, 가령 너트)에 의해 상기 강봉(170)의 일단부와 상기 빔부재(131)가 서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빔부재(131)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 상기 강봉(170)와 그에 연동하여 상기 빔부재(131)와 일체로서 전후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상기 빔부재(131)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이동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180)도 상기 강봉(170)을 따라 전진이동하도록 상기 브라켓(180)을 상기 강봉(170)에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부(19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195)는 상기 브라켓(180)의 상기 운반방향(A)으로의 후면에서 상기 브라켓(180)과 상기 강봉(170)의 타단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가령, 너트)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강봉(170)이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180)도 그에 연동하여 전진이동 한다. 반대로, 상기 강봉(170)이 상기 빔부재(131)의 후퇴이동에 의해 후퇴이동 하는 경우 상기 강봉(170)이 상기 브라켓(180)을 관통하여 통과할 뿐 상기 브라켓(180)은 후퇴이동 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브라켓(180)이 상기 트러스거더(G)의 하부슬라브(G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트러스거더(G)가 운반방향(A)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빔부재(131)가 후퇴이동하여 상기 강봉(170)이 후퇴이동 하더라도 상기 브라켓(180)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90) 및 상기 강봉(170)은 상기 트러스거더(G)의 자중(무게)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의 상기 승강부재(113, 115, 123, 125)만으로 상기 트러스거더(G)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190) 및 상기 강봉(17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트러스거더(G)를 운반하는 과정을 도 5a 내지 도 5i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i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운반에 필요한 필수구성요소만을 최대한으로 간략화 도시하기로 한다.
도 5a에서는 휴지상태에서의, 제1수직방향지지부(110),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 운반방향 이동부(130) 및 상기 압착부(15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는 둘 다 상기 격점부(G3)로부터 하향 이격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러스거더(G)는 상술한 브레이크 새들(도 3의 165)과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정지상태에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에 도시된 트러스거더(G)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북수의 격점부(G3) 중 어느 한 격점부(E)의 연직방향 하부에 배치된 제1수직방향지지부(110)가 상승하여 상기 트러스거더(G)를 리프팅한다. 그 다음에, 상기 압착부(150)가 상기 트러스거더(G)의 양측면을 압착한다.
그 다음에,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130)가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를 상기 격점부(G3)간의 간격(L)의 반(L/2)만큼을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이동 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트러스거더(G)는 상기 격점부(G3) 간격(L)의 반(L/2)만큼 상기 운반방향(A)으로 이동된다.
그 다음에,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150)의 압착을 해제시키고, 상승된 상태의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를 원위치로 하강이동시킨다.
그 다음으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원된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와,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를 전진이동량(L/2)만큼을 후퇴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원위치로 복원한다.
이 때, 상기 트러스거더(G)는 격점간격(L)의 반(L/2)만큼 이미 이동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는 복수의 격점부(G3) 중 다른 어느 한 격점부(F)의 연직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격점부(F)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가 리프팅한 격점부(E)에 이웃한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점부(F)의 연직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가 상승하여 상기 트러스거더(G)를 리프팅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150)는 상기 트러스거더(G)의 양측면을 압착한다. 물론, 상기 압착부(150)에 의한 압착이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에 의한 리프팅보다 선행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가 상기 격점부(F)를 리프팅하고 압축부(150)가 트러스거더(G)를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130)가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를 상기 격점간격의 반(L/2)만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거더(G)는 상기 격점간격(L)만큼 이동된다.
그 다음에,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150)의 압착을 해제한 후,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를 하강시킨다.
그 다음으로,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130)가, 원위치로 하강된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120)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를 상기 전진이동량(L/2)만큼 후퇴이동 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가 초기위치로 회복된다. 이때, 상기 격점부(F)의 연직하방에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11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110, 1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트러스거더(G)의 어느 한 격점부(G3)를 리프팅하여 운반작업을 하고 원위치로 복원하면 나머지 다른 한 수직방항지지부가 다른 격점부(G)의 연직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반작업을 계속 해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높아진다.
상술한 도 5a 내지 도 5i의 과정을 한 싸이클로 보면, 한 싸이클을 수행할 때마다 상기 트러스거더(G)는 격점간격(L)만큼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거더(G)의 상기 복수의 격점부(G3) 중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가능한 제1수직방향지지부(210);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에 대해 운반방향(A)을 따라 상기 복수의 격점부간의 간격(L)의 반만큼 이격 배치된 제2수직방향지지부(220);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가 함께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40)와;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운반방향 이동부(2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6에서 참조번호 220'은 상기 운반방향(A)으로 후퇴 이동한 위치에서의 제2수직방향지지부(22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운반장치(100)의 경우 상기 제1 및 2수직방향지지부재(110, 120)가 먼저 상기 운반방향(A)으로 전진이동 후 상기 운반방향(A)의 역방향으로 후퇴이동 하는 방식으로 상기 트러스거더(G)를 운반한다.
반면, 본 제2트러스거더운반장치(100)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재(210, 220)가 먼저 상기 운반방향(A)의 역방향으로 후퇴이동하여 상기 트러스거더(G)를 재킹(jacking)한 후에 상기 운반방향(A)의 정방향으로 전진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러스거더(G)를 운반한다.
간단히 말해, 상기 제1트러스거더운반장치(100)는 푸쉬형(push-type)이고, 상기 제2트러스거더운반장치(200)는 풀링형(pulling-type)이다.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는 유압에 의해 상하로 승강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압이 아니라 공압 및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는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승강부재(213, 215)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승강부재(213, 215)는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가령,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으로의 중심부위에 1개의 승강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재(213, 215)의 상기 트러스거더(G)를 리프팅하는 리프팅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220)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의 승강운동과는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상기 트러스거더(G)의 상기 복수의 격점부(G3)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220)는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승강부재(223, 225)를 포함한다. 제1수직방향지지부(2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223, 225)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를 구성하는 승강부재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가령 제1수직방향지지부(210)의 승강부재는 2개이고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220)의 승강부재는 3개일 수도 있다.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220)는 유압에 의해 상하로 승강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압이 아니라 공압 및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220)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와 함께 일체로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미도시)은 생략될 수도 있고, 교대(B2) 상부에 가이드레일에 대응하는 홈을 내서 가이드레일을 대신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의 일측승강부재(213)와 상기 제2수직방향방향지지부(220)의 일측승강부재(223)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241) 및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의 타측승강부재(215)와 상기 제2수직방향방향지지부(220)의 타측승강부재(225)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2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의 일측승강부재(213)와 상기 제2수직방향방향지지부(220)의 일측승강부재(223)의 각 중심점 간의 상기 운반방향(A)으로의 거리는 상기 격점부(G3)간의 거리(L)의 반인 L/2이다.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230)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210)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220)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빔부재(231)와; 상기 빔부재(231)를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빔부재 구동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빔부재 구동부(2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빔부재 구동부(233)는 유압 피스톤(미도시)과 유압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거더(G)의 양측면을 선택적으로 압착 가능한 한 쌍의 압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250)는 상기 빔부재(231)의 양측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250)는 압착편(251)과, 상기 압착편(251)을 지지하며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253)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253)는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압착편(251)이 상기 트러스거더(G)의 측면을 압착하도록 가압된 후 고정수단(가령, 볼트/너트 또는 핀/핀홀 등)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가압해제 시에는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함으로써 상가 압착편(251)이 상기 트러스거더(G)를 압착해제 할 수 있다.
상기 압착편(251)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압착편(251)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이 상기 트러스거더(G)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착부(250)는 상기 빔부재(2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250)는 상기 빔부재(231)와 함께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거더(G)가 운반되지 않는 중에 상기 트러스거더(G)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트러스거더(G)의 하부슬라브(G1)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가하는 브레이크 새들(brake saddle, 2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새들(265)은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의 브레이크 새들(165)과 달리,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220)로부터 상기 운반방향(A)의 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브레이크 새들(265)은 상기 하부슬라브(G1)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새들(26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를 교량의 상기 교대(B2)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고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고정부(26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거더(G)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고정부(260)의 상측은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230)가 결합되고, 상기 장치고정부(260)의 하측은 상기 교대(B2)를 관통하는 복수의 강연선(263)을 통해 상기 교대(B2)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의 상기 장치고정부(160)는 상기 운반방향(A)을 기준으로 상기 교대(B1)의 후방에 설치되는 반면,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의 상기 장치고정부(260)는 상기 운반방향(A)을 기준으로 교대(B2)의 전방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상기 트러스거더(G)를 들어서 미는 소위 푸쉬(Push)형 운반장치인 반면,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상기 트러서거더(G)를 들되 당기는 소위 풀(pull)형 운반장치이다.
상기 트러스거더(G)가 설치되는 교대의 높이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하향 구배가 있는 경우, 즉, 교대의 높이가 운반방향(A)을 따라 낮아지는 경우 상기 트러스거더(G)는 자중에 의해 운반방향(A)을 따라 미끄러지려는 경향이 강하다.
푸쉬형의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보다는 풀형의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를 상기 운반방향(A)으로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하향 구배 시 상기 트러스거더(G)의 상기 운반방향(A)으로의 전방 쪽으로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장치고정부(260)를 전방에 설치하면 상기 트러스거더(G)의 급격한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는, 상기 트러스거더(G), 정확하게는 상기 트러스거더(G)의 하브슬라브(G1)에 결합되는 브라켓(280)과;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230)의 상기 빔부재(231)와 상기 브라켓(280)을 결합하는 강봉(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봉(270)은 브라켓(280) 및 상기 빔부재(231)를 관통할 수 잇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강봉(270)의 일단은 상기 빔부재(231)를 관통하고, 상기 강봉(270)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280)을 관통한다.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상기 빔부재(231)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체결구(293, 가령 너트)에 의해 상기 강봉(270)의 일단부와 상기 빔부재(231)가 서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빔부재(231)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 상기 강봉(270)과 그에 연동하여 상기 빔부재(231)와 일체로서 전후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상기 빔부재(231)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이동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280)도 상기 강봉(270)을 따라 전진이동하도록 상기 브라켓(280)을 상기 강봉(270)에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부(29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고정부(295)는 상기 브라켓(280)의 상기 운반방향(A)으로의 후면에서 상기 브라켓(280)과 상기 강봉(270)의 타단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가령, 너트)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강봉(270)이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전진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280)도 그에 연동하여 전진이동 한다. 반대로, 상기 강봉(270)이 상기 빔부재(231)의 후퇴이동에 의해 후퇴이동 하는 경우 상기 강봉(270)이 상기 브라켓(180)을 관통하여 통과할 뿐 상기 브라켓(280)은 후퇴이동 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브라켓(280)이 상기 트러스거더(G)의 하부슬라브(G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트러스거더(G)가 운반방향(A)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빔부재(231)가 후퇴이동하여 상기 강봉(270)이 후퇴이동 하더라도 상기 브라켓(280)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80) 및 상기 강봉(270)은 상기 트러스거더(G)의 자중(무게)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의 상기 승강부재(213, 215, 223, 225)만으로 상기 트러스거더(G)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280) 및 상기 강봉(27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도 5a 내지 도 5i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의 동작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트러스거더(G)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제2트러서거더 운반장치(200)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상기 트러스거더(G)의 복수의 격점부(G3) 중 어느 하나의 연직하방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중 어느 하나를 먼저 상승시켜 트러스거더(G)를 리프팅하고 압축부(2500로 트러스거더(G)를 압착한 후 격점간격의 반(L/2)만큼을 운반방향(A)으로 전진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러스거더(G)를 격점간격의 반(L/2)만큼 이동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는 상기 전진이동량(L/2)만큼 후퇴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트러스거더(G)의 다른 격점부(G3)의 연직하방에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중 다른 하나가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트러스거더(G)의 다른 격점부(G3)의 연직하방에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중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다시 격점간격의 반(L/2)만큼을 이동시키고 다시 후퇴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수직방향지지부(210, 220)를 교대로 한 뻔씩 사용하면 상기 트러스거더(G)를 상기 격점간격(L)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 및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는 하나의 트러스거더(G)를 운반할 때 다른 위치의 교대 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교대가 상기 운반방향(A)을 따라 그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구배가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방향(A)을 기준으로 전방에는 풀형(pull type)의 상기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를 설치하고, 후방에는 상기 푸쉬형(push type)의 상기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형 트러스거더 운반장치(200)의 특성상 자중에 의해 상기 트러스거더(G)의 급격한 이동을 저지하면서 서서히 상기 트러스거더(G)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굴곡이 있는 지형에서도 상기 트러스거더(G)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제1트러스거더 운반장치 200: 제2트러스거더 운반장치
110, 210: 제1수직방향지지부 120, 220: 제2수직방향지지부
130, 230: 운반방향 이동부 140, 240: 연결부
150, 250: 압착부 160, 260: 장치고정부
170, 270: 강봉 180, 280: 브라켓
195, 295: 브라켓 고정부

Claims (5)

  1.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격점부를 갖는 트러스거더의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의 상기 복수의 격점부 중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하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에 대해 상기 운반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격점부 간의 상기 간격의 반만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격점부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수직방향으로 리프팅 가능하도록 상하 이동하며,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제2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가 함께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와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운반방향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의 양측면을 선택적으로 압착 가능한 압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는,
    상기 제1수직방향지지부 및 상기 제2수직방향지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착부를 동시에 지지하며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한 빔부재와;
    상기 빔부재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시키는 빔부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운반방향 이동부의 상기 빔부재와 상기 브라켓을 결합하는 강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의 일단은 상기 빔부재와 일체로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빔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강봉의 타단은 상기 브라켓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빔부재가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전진이동하는 경우 상기 브라켓도 상기 강봉을 따라 전진이동하도록 상기 브라켓을 상기 강봉에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KR1020100117473A 2010-11-24 2010-11-24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KR101266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473A KR101266969B1 (ko) 2010-11-24 2010-11-24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473A KR101266969B1 (ko) 2010-11-24 2010-11-24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985A KR20120055985A (ko) 2012-06-01
KR101266969B1 true KR101266969B1 (ko) 2013-05-30

Family

ID=4660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473A KR101266969B1 (ko) 2010-11-24 2010-11-24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46B1 (ko) 2019-04-09 2019-06-21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압출장치를 이용한 트러스거더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985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88959B (zh) 一种钢桁梁节点自适应连续顶推系统
CN106948268B (zh) 变截面钢箱梁顶推组合装置及使用方法
KR100986478B1 (ko) 연속압출공법을 위한 거더 자동압출장치
CN102085993A (zh) 矿用电梯柔性导轨张紧力自动调节装置及方法
CN201873409U (zh) 矿用电梯柔性导轨张紧力自动调节装置
CN111733703A (zh) 桥梁结构累积拖拉顶推施工机构及其施工方法
KR101206519B1 (ko) 거더지지장치와 이동장치를 이용한 거더 제작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거더 및 교량시공방법
KR101266969B1 (ko) 트러스거더 운반장치
CN112942132B (zh) 前支点复合式挂篮及其移位方法
JP2007112572A (ja) 重量物移動装置
KR100565360B1 (ko) 연속압출공법으로 가설되는 교량에서 상부거더를 밀어내는압출시스템
CN205046480U (zh) 一种钢桁梁节点自适应连续顶推系统
KR101730798B1 (ko) 폼 트래블러
CN111042004A (zh) 一种挂篮轨道梁走行方法
CN210482087U (zh) 挂篮前移装置
KR102014086B1 (ko) 케이슨 운반 시스템
KR101931598B1 (ko) Ilm공법에서의 교각변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변위 제어방법
CN214656451U (zh) 前支点复合式挂篮
CN212103668U (zh) 一种挂篮轨道和桁架快速行走装置
CN114059584A (zh) 分体式台车及采用其的隧道施工方法
CN114000437A (zh) 钢箱梁连续顶推及纠偏系统
CN201140442Y (zh) 预制梁梁体横向移动装置
CN109281236B (zh) 一种运输平车用双重可伸缩轨道及预制拼装管廊安装工艺
CN219490684U (zh) 一种夹箱梁轨道的顶推装置
CN216739324U (zh) 一种大型构件移动装置及组合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