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853B1 - 포켓세터 - Google Patents

포켓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853B1
KR101266853B1 KR1020060070871A KR20060070871A KR101266853B1 KR 101266853 B1 KR101266853 B1 KR 101266853B1 KR 1020060070871 A KR1020060070871 A KR 1020060070871A KR 20060070871 A KR20060070871 A KR 20060070871A KR 101266853 B1 KR101266853 B1 KR 10126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pocket
pressing plate
plate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616A (ko
Inventor
김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to KR102006007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8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3/00Machines for sewing sac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8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with differential feed mo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켓세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피봉제물의 상부면을 밀착고정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 수용되어 주머니 봉제천을 눌러 고정하는 하부 누름판; 상기 하부 누름판 상부에 상기 하부 누름판과 분리되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누름판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상부 누름판; 상기 상부 누름판에 좌우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상하부 누름판 사이에 형성되는 봉제공간에 박음질을 행하여 주머니 봉제천을 피봉제물 상에 봉착시키는 재봉부; 및 상기 재봉부 및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포켓세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포켓세터의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에 의하면, 외측 봉제선 형성시 상부 누름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를 밀착고정할 수 있어 봉제작업이 훨씬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외측 봉제선과 내측 봉제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 봉제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주머니 봉제천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제작이 용이한 하부 누름판만을 교체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다양한 작업에 대응이 가능하다.
포켓세터, 액츄에이터, 종동기어부, 구동기어부, 상부 누름판, 하부 누름판

Description

포켓세터{POCKET SETTER}
도 1은 종래 포켓세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종래 포켓세터의 봉제 가이드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상부 누름판이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상부 누름판이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상부 누름판이 중앙에 위치한 상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부 누름판 110; 상부 누름판
200; 구동부 210; 메인블럭
211; 메인블럭의 월(wall) 213; 관통홀
220; 액츄에이터(actuator) 223; 액츄에이터 회전축
225; 구동기어부 230; 슬라이딩 가이드
240; 슬라이딩 블럭 250; 종동기어부
251; 종동기어부의 수직부 252; 종동기어부의 수평부
본 발명은 포켓세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 봉제선 형성시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까지 밀착 고정력을 미칠 수 있는 좌우 이동가능한 상부 누름판을 설치함으로써 외측 봉제선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봉제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의류의 주머니(POCKET)는 수작업을 통해 의류에 장착되었다. 즉, 손으로 재단된 주머니 천의 테두리를 여러 차례에 나누어서 접고, 다림질을 반복하여 주머니 형태로 만든 후, 이것을 재봉기쪽으로 운반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주머니 천을 돌려가며 재봉함으로써 각종 의류(이하, '피봉제물'이라 함)에 주머니를 부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피봉제물에 주머니를 장착할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주머니의 형상이나 크기 및 재봉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피봉제물이 청바지인 경우 일반적으로 뒷주머니가 두줄로 봉제되는데, 양 봉제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또는 정확하게 형성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주머니를 자동으로 봉제하 는 주머니 자동 봉제장치, 즉 포켓세터(POCKET setter)가 개발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켓세터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포켓세터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 포켓세터는 미리 접혀진 주머니를 이송하는 주머니 이송부(10)와, 피봉제물 및 주머니 봉제천을 눌러 고정하는 주머니 봉제가이드부(20)와, 봉제가이드부(20)에 의해 눌림고정된 주머니 봉제천을 박음질하는 재봉부(30)와, 재봉기의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 포켓세터의 봉제 가이드부 평면도인 도 2를 참조하여 봉제 가이드부에 대해 설명하면, 봉제 가이드부(20)는 피봉제물(50)의 상부면을 밀착고정하는 가이드판(21)과, 상기 가이드판(20)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수용되어 주머니 봉제천(53)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판(23)으로 구성된다. 이때, 피봉제물(50)의 상면 소정 위치에 부착하고자 하는 주머니 봉제천(53)이 접음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소정 모양으로 접음된 주머니 봉제천(53)을 별도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피봉제물(50) 상에 위치시킨 후, 누름판(23)으로 주머니 봉제천(53)을 눌러 고정하면, 가이드판(21)과 누름판(23) 사이 주머니 봉제천(53)에 봉제 공간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판(21)의 내주면을 따라 외측 봉제선을 형성한 이후 누름판(23)의 외주면을 따라 내측 봉제선을 형성하여 두 줄 봉제선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포켓세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누름판의 밀착고정력이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까지 미치지 못하므로, 외측 봉제선 형성시 상하로 이동하는 재봉 바늘대에 주머니 봉제천이 딸려 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주머니 봉제천이 접음부에서 접음된 최초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봉제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두 줄로 형성되는 봉제선의 간격 또한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가이드판 및 누름판이 고정불변의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주머니의 봉제선 간격이 변경될 때마다 봉제선 모양에 맞추어 가이드판 및 누름판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누름판으로 주머니 봉제천을 눌러주고 외측 봉제선 형성시 상부 누름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주머니 봉제천을 재차 눌러줌으로써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부위까지 밀착고정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재봉작업시 바늘에 주머니 봉제천이 딸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측 봉제선 형성 작업이 용이하고 봉제선 간격이 일정하여 봉제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포켓세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기어부가 회전축 선단에 설치된 액츄에이터 및 종동기어부 등 작동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누름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하부 누름판과 함께 주머니 봉제천을 밀착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주머니 봉제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켓세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 이동가능한 상부 누름판을 설치함으로써, 주머니 봉제천의 봉제선 간격 변경시 상부 누름판의 좌우 이동 정도를 자유자재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어 하부 누름판의 교체작업이 필요없는 포켓세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누름판이 메인블럭과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주머니 봉제천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하부 누름판의 교체작업 만으로 용이하게 주머니 봉제천의 크기 변화에 따른 작업 대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켓세터르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봉제물의 상부면을 밀착고정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 수용되어 주머니 봉제천을 눌러 고정하는 하부 누름판; 상기 하부 누름판 상부에 상기 하부 누름판과 분리되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누름판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상부 누름판; 상기 상부 누름판에 좌우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상하부 누름판 사이에 형성되는 봉제공간에 박음질을 행하여 주머니 봉제천을 피봉제물 상에 봉착시키는 재봉부; 및 상기 재봉부 및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포켓세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일단에 구동기어부가 설치된 회전축을 구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상부 누름판 상에 상기 구동기어부와 치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와 치합시 상기 상부 누름판과 함께 좌우로 이동하는 종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안착설치되는 메인블럭; 상기 메인 블럭의 전방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안내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종동기어부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부로부터 좌우 이동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딩 안내 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전방에 설치된 슬라이딩 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블럭은 상기 하부 누름판의 상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포켓세터는 피봉제물의 상부면을 밀착고정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 수용되어 주머니 봉제천을 눌러 고정하는 하부 누름판,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누름판 사이에 형성되는 봉제공간에 박음질을 행하여 주머니 봉제천을 피봉제물 상에 봉착시키는 재봉부 및 상기 재봉부 및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봉제선 형성시 주머니 봉제천의 밀착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를 채용한 포켓세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세터(POCKET setter)의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는 하부 누름판(100), 상부 누름판(110) 및 구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누름판(100) 및 상부 누름판(110)은 주머니(POCKET) 형상으로 형 성되며, 주머니 봉제천 상에 위치하여 주머니 봉제선 형성시 주머니 봉제천을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부 누름판(110)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머니 외측 봉제선 형성시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를 눌러 고정함으로써 외측 봉제선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하부 누름판(10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상부 누름판(110)과 주머니 봉제천이 서로 이격되어 상부 누름판(110)의 밀착고정력이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까지 미치지 못하므로, 하부 누름판(100)은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까지 밀착력이 미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누름판(100) 및 상부 누름판(110)의 상면에는 상부 누름판(110)에 좌우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00)가 설치된다.
이하, 구동부(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구동부(200)는 하부 누름판(100) 상면 상단에 설치되는 메인블럭(210), 메인블럭(210)의 중앙부 수용공간에 삽입 안착되어 상부 누름판(110)에 좌우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220) 및 상부 누름판(110) 상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되어 액츄에이터(22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상부 누름판(110)으로 전달하는 종동기어부(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블럭(210)은 하부 누름판(100)의 상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주머니 봉제천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제작이 용이한 하부 누름판(100)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머니 봉제천의 형상변경에 유 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하부 누름판(100) 교체만으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고, 누름판 등의 교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블럭(210)은 'ㄷ' 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액츄에이터(220)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공간의 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월(wall)(211)이 메인블럭(210)과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월의 중앙부에는 관통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블럭(210)의 중앙부에 삽입 안착된 액츄에이터(220)의 회전 중심에는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이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은 메인블럭의 월(211)에 형성된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의 선단에는 구동기어부(225)가 결합되어 있다.
메인블럭(210)의 전면에는 슬라이딩 안내 홈이 상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23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30) 전방에는 'ㄷ'자형 슬라이딩 블럭(240)이 슬라이딩 안내 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블럭(240)의 전방에는 'T'자형 종동기어부(250)가 고정설치되는데, 종동기어부의 수직부(251)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블럭(240) 전면에 고정설치되고, 슬라이딩 블럭의 수직부(251)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부 누름판(110) 상에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종동기어부(250)가 슬라이딩 블럭(240)에 결합되면, 종동기어부의 수평부(252) 중 일부가 슬라이딩 블럭(240)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부의 수평부(252) 상면에는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에 결합된 구동기어부(225)와 치합하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어 구동기어부(225)가 종동기어부(250)의 치형과 치합하며 회동하면 종동기어부(25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즉, 구동기어부(2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면 종동기어부(25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구동기어부(2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면 종동기어부(25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종동기어부(250)는 슬라이딩 블럭(240)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딩 블럭(240)은 슬라이딩 가이드(230)의 슬라이딩 안내 홈에 삽착하여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동기어부(250)가 구동기어부(225)으로부터 좌우 이동 구동력을 전달받으면, 종동기어부(250)는 슬라이딩 블럭(240)과 함께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상부 누름판이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상부 누름판이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켓세터에 적용된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의 상부 누름판이 중앙에 위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먼저, 주머니 모양으로 봉제천을 접어주는 접음부로부터 공급된 주머니 봉제 천(미도시)을 주머니 이송부로 이송시켜 피봉제물(미도시)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피봉제물은 가이드판(미도시)에 의해 밀착고정되고, 주머니 봉제천은 주머니 봉제천 고정장치에 의해 밀착고정된다.
봉제선을 두 줄로 형성할 경우 먼저 외측 봉제선부터 형성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누름판(11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까지 밀착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누름판(110)을 먼저 우측으로 이동시켜 봉제작업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부 누름판(110)이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액츄에이터(220)를 가동하여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회전축의 선단에 결합된 구동기어부(225)가 하측에 위치한 종동기어부(250)의 치형과 치합하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종동기어부(250)에 좌측 이동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기어부(250)에 좌측 이동 구동력이 전달되고, 좌측 이동 구동력을 전달받은 종동기어부(250)가 슬라이딩 블럭(240)에 좌측 구동력을 전달하면, 슬라이딩 블럭(240)이 슬라이딩 가이드(230)의 슬라이딩 안내 홈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결국 종동기어부(250) 및 종동기어부(250)와 결합된 상부 누름판(11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누름판(11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 중 좌측부위를 밀착고정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부 누름판(110)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 봉제선을 형성하면, 봉제선 형성작업시 상하 요동하는 바늘에 주머 니 봉제천이 딸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봉제선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제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주머니 하방까지 봉제선을 형성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누름판(110)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 중 우측부위를 밀착고정한 상태에서 외측 봉제선의 나머지 부분을 완성한다.
이때, 상부 누름판(11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액츄에이터(220)를 가동시킨다.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구동기어부(225)가 종동기어부(250)의 치형과 치합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종동기어부(250)에 우측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종동기어부(250)가 우측 이동 구동력을 제공받으면, 슬라이딩 블럭(240)이 슬라이딩 가이드(230)의 슬라이딩 안내 홈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슬라이딩 블럭(240), 종동기어부(250) 및 종동기어부(250)에 고정결합된 상부 누름판(110)이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누름판(110)이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부 누름판(110)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 봉제선 중 나머지 부분을 완성한다.
이후, 상부 누름판(110)을 중앙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외측 봉제선과 내측 봉제선을 연결하는 지그재그라인 및 내측 봉제선을 형성한다. 상기 내측 봉제선은 하부 누름판(1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한다.
여기서, 우측으로 이동한 상부 누름판(110)을 중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 회전축(223)을 다시 좌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반드시 상부 누름판(110)을 하부 누름판(100)의 정중앙까지 이동시킬 필요는 없으며, 상부 누름판(110)의 외주면이 하부 누름판(100) 바깥쪽에 위치하지 않을 정도로 상부 누름판(110)을 좌측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포켓세터에 의하면, 외측 봉제선 형성시 상부 누름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테두리부위를 밀착고정할 수 있어 봉제작업이 훨씬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외측 봉제선과 내측 봉제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어 봉제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켓세터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지는 주머니 봉제천 작업에 대응하기 위해 제작이 용이한 하부 누름판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머니 봉제천의 크기별로 다양한 크기의 하부 누름판을 구비하고 있다가 주머니 봉제천의 크기 변경시 하부 누름판만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대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누름판으로 주머니 봉제천을 눌러주고 외측 봉제선 형성시 상부 누름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주머니 봉제천을 재차 눌러줌으로써 주머니 봉제천의 외측 부위까지 밀착고정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재봉작업시 바늘에 주머니 봉제천이 딸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측 봉제선 형성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봉제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기어부가 회전축 선단에 설치된 액츄에이터 및 종동기어부 등 작동구조가 매우 간단한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누름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하부 누름판과 함께 주머니 봉제천을 밀착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주머니 봉제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주머니 봉제천의 크기 변경시에는 제작이 용이하고 동시에 제작 비용이 저렴한 하부 누름판만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주머니 모양 작업에 대하여 작업자가 용이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 이동가능한 상부 누름판을 설치함으로써, 주머니의 봉제선 간격 변경시 상부 누름판의 좌우 이동 정도를 자유자재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어 가이드판이나 누름판의 교체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피봉제물의 상부면을 밀착고정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 수용되어 주머니 봉제천을 눌러 고정하는 하부 누름판;
    상기 하부 누름판 상부에 상기 하부 누름판과 분리되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누름판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상부 누름판;
    상기 상부 누름판에 좌우 이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상하부 누름판 사이에 형성되는 봉제공간에 박음질을 행하여 주머니 봉제천을 피봉제물 상에 봉착시키는 재봉부; 및
    상기 재봉부 및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포켓세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에 구동기어부가 설치된 회전축을 구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상부 누름판 상에 상기 구동기어부와 치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와 치합시 상기 상부 누름판과 함께 좌우로 이동하는 종동기어부;를 포함하는 포켓세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안착설치되는 메인블럭;
    상기 메인블럭의 전방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안내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종동기어부와 고정결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부로부터 좌우 이동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딩 안내 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전방에 설치된 슬라이딩 블럭;을 더 포함하는 포켓세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럭은 상기 하부 누름판의 상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세터.
KR1020060070871A 2006-07-27 2006-07-27 포켓세터 KR10126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71A KR101266853B1 (ko) 2006-07-27 2006-07-27 포켓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71A KR101266853B1 (ko) 2006-07-27 2006-07-27 포켓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616A KR20080010616A (ko) 2008-01-31
KR101266853B1 true KR101266853B1 (ko) 2013-05-23

Family

ID=3922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871A KR101266853B1 (ko) 2006-07-27 2006-07-27 포켓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44Y1 (ko) * 2017-07-14 2018-03-02 김진만 바지 제조장치
CN109914059B (zh) * 2019-04-07 2021-08-13 浙江金梭纺织有限公司 一种基于牛仔类服装面料加工的染色导布机构
CN112853634B (zh) * 2020-12-29 2022-05-13 徐州力达缝纫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快速更换贴袋机构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312Y1 (ko) 2001-07-24 2001-11-23 이상재 주머니 봉제기의 봉제가이드판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312Y1 (ko) 2001-07-24 2001-11-23 이상재 주머니 봉제기의 봉제가이드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616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666B1 (ko)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KR101082399B1 (ko) 멀티칼라 재봉작업이 가능한 복식 포켓세터 및 그 재봉방법
KR101266853B1 (ko) 포켓세터
JP6372863B2 (ja) 被服の肩ヨーク布縫製装置及び肩ヨーク布縫製方法
KR101218716B1 (ko) 포켓세터
JPH049994Y2 (ko)
CN108823822B (zh) 一种三维旋转送料缝纫机
US4462320A (en) Workholder for an automatic sewing machine
KR100640302B1 (ko) 벨트루프 봉합 재봉틀
JPS602075B2 (ja) 加工片案内装置
US3921550A (en) Guide and sewing device for fabric layers along a shaped edge
JP4198236B2 (ja) 2本針ミシンおよび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KR101082400B1 (ko) 포켓세터의 바지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지 가이드 방법
TW201009156A (en) Feed-off-arm type sewing machine for flat seaming
CN204211946U (zh) 一种送料压板机构
KR20040049287A (ko) 가장자리장식 봉제장치
KR101859879B1 (ko) 재봉기
EP1077279B1 (en) Device for positioning and joining at an angle the edges of two sheets to be stitched in a sewing machine, particularly for forming a mattress case
JPH10314473A (ja) 被加工物にフラップを縫い付けるための自動裁縫装置
US6112683A (en) Set to be applied to an automatic programmable sewing unit so as to allow darts to be semi-automatically sewn
EP0494052B1 (en) Industri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making different seaming patterns
JPH0280081A (ja) ミシン
JPH0588483U (ja) 二つ折り布地縫着用ミシンの布端案内装置
US8402902B2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mattress plates
KR20100077926A (ko) 두 포켓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포켓 이송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