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316B1 -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316B1
KR101266316B1 KR1020127004805A KR20127004805A KR101266316B1 KR 101266316 B1 KR101266316 B1 KR 101266316B1 KR 1020127004805 A KR1020127004805 A KR 1020127004805A KR 20127004805 A KR20127004805 A KR 20127004805A KR 101266316 B1 KR101266316 B1 KR 10126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access point
access
blacklist
li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252A (ko
Inventor
스리니바산 발라서브라마니안
마노즈 엠. 데쉬판데
영 씨. 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4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디바이스 측에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해당 이동 디바이스로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 및 해당 이동 디바이스로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화이트리스트가 유지된다. 이 리스트들은 이동 디바이스에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이 리스트들은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갱신 사항에 따라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엔트리들이 여러 요인들에 따라서 추가되면 다른 엔트리들이 제거되게 하여서 리스트들은 최대 크기를 유지한다; 또한, 시간을 측정하여서 엔트리가 제거되기도 한다. 이 리스트들의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이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다양한 식별자들에 따라서 저장 및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DEVICE MANAGED ACCESS POINT L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본 출원은 2008년 3월 26일자에 출원되었으며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동일하게 양수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되고 있는 미국 임시 출원 제61/039,728호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MOBILE STATION LEARNED INFORMATION WITHIN A NETWORK" 및 2008년 10월 2일자에 출원되었으며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동일하게 양수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되고 있는 미국 임시 출원 제61/102,325호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USER CONTROLLED ACCESS LISTS FOR BASE STATIONS"을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령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가용한 시스템 자원들(가령, 대역폭,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상호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이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의 실례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들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사양,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사양, UMB(ultra mobile broadband) 사양, EV-DO(evolution data optimized)와 같은 멀티 캐리어 무선 사양, 이들 사양 중 하나 이상의 개정 사양 등을 따른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 이동 디바이스는 순방향 링크 송신 및 역방향 링크 송신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령, 기지국)와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이동 디바이스로의 통신 링크를 말하며,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통신 링크를 말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은 SISO(single-input single-output) 시스템,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시스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 등을 통해서 확립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는 P2P(peer-to-peer) 무선 네트워크 구성 방식으로 다른 이동 디바이스와 통신한다(또한, 액세스 포인트도 역시 P2P 무선 네트워크 구성 방식으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한다).
이러한 이동 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개시하고/하거나 서비스 구역 내에서 이동할 때에, 이 이동 디바이스는 셀(가령, 매크로셀, 펨토셀 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셀을 선택하고/하거나 재선택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들은 신호 품질, 서비스 레벨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이에 대응되는 셀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측정하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는 바람직한 정도(desirability)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및 대응하는 셀에 대한 등급을 매긴다. 이어서, 이동 디바이스는 현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비해서 최적의 신호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여서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개요 부분은 하나 이상의 측면들을 기본적으로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측면들의 간략한 개요만을 제시한다. 이러한 개요 부분은 모든 고려될 수 있는 측면들을 광범위하게 논의하고 있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모든 측면들의 중요한 핵심 요소들을 명시하고 있지 않으며 임의의 측면들 또는 모든 측면들의 범위를 규정하고 있지도 않다. 이 개요 부분의 목적은 오직 이후에 제시될 보다 상세한 설명 부분의 서두로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의 몇몇 개념들을 단순한 형태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측면 또는 이에 대응하는 교시 사항에 따라서,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에 관련된 셀 및/또는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와 관련된 셀을 이동 디바이스에서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리스트들은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수신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 및/또는 재선택하는데 사용되는데, 즉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통신 파라미터가 바람직하여도 이에 상관없이 선택되지 않는데 반해,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이 보다 바람직한 통신 파라미터를 구비하고 있어도 선택되게 되어 있다. 일 실례에서, 이러한 리스트들은 이동 디바이스에 의해서 유지 및 관리되며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이벤트 검출기 등을 사용하여서 갱신된다. 그러나, 또한, 무선 네트워크는 가령 엔트리를 그 리스트 내에/로부터 부가/삭제하거나 리스트를 플러시(flush)하는 방식 등으로 리스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및 상기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를 사용하여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하며, 상기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및/또는 상기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접속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및/또는 상기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및 상기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측면은 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하는 리스트 유지기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상기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및/또는 상기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를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따라서 상기 블랙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랙리스트를 사용하여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의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관리하며,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엔트리의 동작 파라미터가 수정된 것으로 결정되면 이와 관련된 네트워크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엔트리를 갱신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접속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갱신 명령에 따라서 상기 블랙리스트를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할 시에 상기 블랙리스트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되,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서 상기 블랙리스트를 수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블랙리스트를 사용하여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유지기와, 상기 블랙리스트를 갱신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명령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시에 상기 블랙리스트를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동작 파라미터의 수정 사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결정된 동작 파라미터 수정 사항을 기초로 하여서 로컬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는 명령을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접속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동작 파라미터의 수정 사항을 검출하고,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라는 네트워크 명령을 생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명령을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파라미터 수정 사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파라미터 수정 사항에 기초하여 로컬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라는 네트워크 명령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동작 파라미터의 수정 사항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결정된 동작 파라미터 수정 사항을 기초로 하여서 로컬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는 명령을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수정된 동작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변경 평가기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상기 수정된 동작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리스트 갱신 명령을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블랙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한 방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이종의(disparate) 액세스 포인트를 스캐닝(scann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관리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며, 상기 블랙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한 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이종의 액세스 포인트를 분석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접속된 메모리를 또한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갱신 명령에 따라서 상기 블랙리스트를 수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할 때에 상기 블랙리스트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블랙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한 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이종의 액세스 포인트를 스캐닝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블랙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유지기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시에 상기 블랙리스트를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구성된 그룹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식별자의 존재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구성된 그룹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리스트를 유지하고, 상기 다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식별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구성된 그룹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분석하여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구성된 그룹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리스트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식별자의 존재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구성된 그룹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리스트 유지기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식별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계산된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스트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계산된 통신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로부터 계산된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유지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상기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에 결합된 메모리를 또한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로부터 결정된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통신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로부터 계산된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를 계산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계산된 통신 파라미터의 존재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관련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로부터 계산된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유지기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리스트를 분석하여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가 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를 더 포함한다.
여전히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결정된 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블랙리스트로부터 삭제할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기간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블랙리스트로부터 삭제할 시간을 계산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에 결합된 메모리를 또한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기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블랙리스트로부터 삭제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기간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결정된 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블랙리스트로부터 삭제할 시간을 계산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는 리스트 유지기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결정된 기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블랙리스트로부터 삭제할 시간을 계산하는 리스트 엔트리 타이머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 및 이와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들은 이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청구 범위에서 특정되는 특징 또는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수의 측면들을 소정의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 및 여기서 참조할 도면들이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수의 방식 중 오직 몇 가지 예에 불과하며 이후의 상세한 설명 부분은 상술한 측면 모두 및 이와 균등한 측면들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에서 제안된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에서 기술된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통신 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후속 통신 확립을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들의 로컬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측면에 따른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들의 도면이다.
도 6은 국부적으로 관리되는 블랙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도 7은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이와 관련된 갱신 사항들을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들을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들을 관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시스템 및 방법과 함께 사용되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유지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수신된 네트워크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로컬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로컬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갱신 명령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령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화이트리스트 갱신 사항을 수신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들을 유지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8은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타이머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다음 기술에 있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수많은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되어서 하나 이상의 측면들을 철저하게 이해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측면들은 그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구성 요소(component)", "모듈" 및 "시스템"은 다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와 관련된 엔티티를 포함한다. 가령, 구성 요소는 다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execution), 실행 쓰레드(a 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도 구성 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은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쓰레드 내에 존재하며 일 구성 요소는 일 컴퓨터 상에서 국부적으로 존재하고/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간에서 분산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성 요소들은 그 상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된다. 이들 구성 요소들은 국부적 시스템 또는 분산 시스템 내에서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걸쳐서 다른 구성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데이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갖는 신호에 따른 국부적 처리에 의해서 또는 원격 처리에 의해서 상기 신호에 의해서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측면들이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일 수 있는 단말기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단말기는 또한 시스템,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 가입자 국, 이동국, 모바일, 이동 디바이스, 원격 국, 원격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단말기는 셀 방식 전화, 위성 전화, 코드리스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WLL(wireless local loop) 국, PDA,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실시예의 기지국이 기술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기술 용어로 지칭될 것이다.
또한, 용어 "또는"는 배타적으로 해석되기보다는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달리 특별하게 말하지 않거나 문맥으로부터 자명하지 않다면, "X는 A 또는 B를 포함한다"라는 표현은 모든 경우를 자연스럽게 다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가령, "X가 A 또는 B를 포함한다"라고 할 때에, 이는 X가 A를 채용하거나, X가 B를 채용하거나 X가 A 및 B 모두를 채용하는 경우를 다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명사의 단수형은 달리 특별하게 언급되지 않거나 문맥적으로 자명하게 단수가 되어야 하지 않는다면 그 명사가 복수 개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기술(technique)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서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UTRA는 W-CDMA(Wideband-CDMA) 및 다른 CDMA 변형들을 포함한다. 또한, cdma2000는 IS-2000 규격, IS-95 규격 및 IS-856 규격을 담당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OFDMA 시스템은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은 다운링크 상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 상에서는 SC-FDMA를 사용하는 E-UTRA을 사용하는 UMTS의 배포 버전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되는 기관으로부터의 문서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cdma2000 및 UMB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로 명명되는 기관으로부터의 문서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종종 단면 비면허 대역(unpaired unlicensed spectrum), 802.xx 무선 LAN, 블루투스 및 임의의 다른 근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는 P2P (peer-to-peer) ad hoc 네트워크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다수의 디바이스, 구성 요소들 및 모듈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측면들 또는 실시예들 또는 특징들이 제공된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부가적인 디바이스, 부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부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하고/하거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디바이스들, 구성 요소들 또는 모듈들 전부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렇게 부가적인 구성 요소 등을 포함하고 구성 요소들 등을 전부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바들을 조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역시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다양한 측면 또는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을 포함하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가령, 일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104,106)를 포함하고,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108,110)를 포함하며, 또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112, 114)를 포함한다. 2 개의 안테나가 하나의 안테나 그룹으로 설명되었지만, 보다 더 많은 개수의 안테나 또는 보다 적은 개수의 안테나가 각 안테나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더 포함하고, 이들 각 체인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신호 송신 및 신호 수신과 연관된 다수의 구성 요소(가령, 프로세서, 변조기, 멀티플렉서, 복조기, 디멀티플렉서, 안테나 등)를 포함한다.
기지국(102)은 이동 디바이스(116) 및 이동 디바이스(126)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그러나, 기지국(102)은 이동 디바이스(116) 및 이동 디바이스(126)와 유사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개수의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가령 셀 방식 전화, 스마트 폰,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GPS, PDA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걸쳐서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116)는 안테나(112,114)와 통신하며, 안테나(112,114)는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서 이동 디바이스(116)로 정보를 전송하며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서 이동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는 가령 역방향 링크(120)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또한,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를 사용한다.
각 안테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된 구역이 기지국(102)의 섹터 또는 셀로서 지칭된다. 가령,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102)이 담당하고 있는 구역들의 섹터 내에서 이동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순방향 링크(118) 통신 시에는, 기지국(102)의 송신 안테나들이 빔성형 기술을 사용하여서 이동 디바이스(116)에 대한 순방향 링크(118)의 신호 대 잡음 비를 개선한다. 또한, 기지국(102)은 빔성형 기술을 사용하여서 해당 커버리지를 걸쳐서 임의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이동 디바이스(116)에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에, 이웃하는 셀 내에 있는 이동 디바이스들은 자신의 모든 이동 디바이스들에게 단일 안테나를 통해서 신호를 전달해야 하는 기지국이 비해서 간섭을 더 적게 받는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들(116,126)은 P2P 기술 또는 ah hoc 기술을 통해서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은 무선 서비스 액세스 네트워크(가령, 3G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일 수 있는 네트워크(122)와 백홀 링크 접속(backhaul link connection)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22)는 이동 디바이스들(116,126)과 관련된 액세스 파라미터 및 이동 디바이스(116,126)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른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와 유사하게) 순방향 링크(128) 및 역방향 링크(130)에 걸쳐서 이동 디바이스(126)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펨토셀(femtocell)(124)이 제공될 수 있다. 펨토셀(124)은 기지국(102)과 같이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126)로의 액세스를 제공하지만 그 규모는 기지국보다 작다. 일 실례에서, 펨토셀(124)은 주거지, 영업 지역 및/또는 다른 근접 거리 환경(가령, 테마 파크, 운동장, 아파트 단지 등) 내에서 구성된다. 펨토셀(124)은 가령 광대역 인터넷 접속(T1/T3,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등)에 걸쳐 있을 수 있는 백홀 링크 접속을 통해서 네트워크(122)에 접속된다. 네트워크(1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126)에 액세스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례에서는,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서비스 구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무선 액세스를 개시하거나 이동 중 또는 정지하여서 개별 기지국들 및/또는 펨토셀들 간에서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이 이동 디바이스(116,126)의 사용자에게 끊임없이 제시되는 연속적인 무선 서비스를 개시한다. 일 실례(미도시)에서, 이동 디바이스(126)는 이동 디바이스(116)와 유사하게 기지국(102)과 통신하며 펨토셀(124)의 특정 범위 내로 진입한다. 이어서, 이동 디바이스(126)는 보다 바람직한 무선 서비스 액세스를 수신하기 위해서 펨토셀(124)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셀들을 재선택한다. 일 실례에서, 펨토셀(124)은 이동 디바이스(126)에 대해서 보다 바람직한 대금 청구 서비스 및/또는 다른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액세스 포인트(home access point)일 수 있다. 다른 실례에서 펨토셀(124)은 사업 또는 개최지 제공 서비스와 관련되거나 각각의 사업 또는 개최지에 맞추어진 데이터와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디바이스(126)는 유휴 모드 및/또는 접속 모드에서 펨토셀(124)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셀을 재선택하여서 상기 맞춤식 서비스를 수신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126)가 기지국(102)으로 향해 갈 때에, 다양한 이유로 인해서(가령, 펨토셀(124) 상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또는 보다 최적의 신호 또는 증가된 처리량을 수신하기 위해서) 몇몇 포인트에서 상기 기지국과 관련된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소정의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서비스 구역을 이동할 때에, 가령 기지국(102)과 같은 가용한 기지국, 가령 펨토셀(124)과 같은 가용한 펨토셀 및/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서 셀 재선택을 언제하는 것이 이동 디바이스(116,126)에게 유리한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가령 신호 품질, 처리량, 가용한 서비스, 그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무선 액세스 제공자 등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재선택할 액세스 포인트의 등급을 매긴다. 이러한 등급을 결정하면,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가장 높은 등급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 셀 재선택을 시도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적합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그룹으로 구성되는 블랙리스트(blacklist) 및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그룹으로 구성되는 화이트리스트(whitelist)를 계속 보유 및 관리한다. 이 리스트들은 셀 식별자, 관련 PN 오프셋, 밴드클래스(bandclass), 무선 채널,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통 통신 파라미터를 갖는 셀들과 관련된 그룹 식별자와 같은 셀들과 관련된 식별자들을 포함한다.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기지국(102) 또는 펨토셀(124)로부터 이러한 식별자들을 수신하고 리스트를 사용하여서 통신할 셀을 선택 또는 재선택한다. 일 실례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블랙리스트 내에 있는 셀 또는 관련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그룹들을 셀 선택/재선택 시에 무시하거나 선택하지 않으며 또한 측정 시에도 무시한다. 마찬가지로, 이동 디바이스(116, 126)는 가령 다른 셀들이 보다 바람직한 통신 메트릭(metrics)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여도 화이트리스트 내에 있는 셀들 또는 이와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또는 그룹들을 선택하지 상기 다른 셀들을 선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보유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사용자로 하여금 이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관리 및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리스트들에서 셀을 삭제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주고 셀들을 영구적인 리스트 멤버로서 마킹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 소정 셀이 해당 범위 내에 있을 때마다 상기 소정 셀로 액세스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상기 셀을 화이트리스트 내에 부가시킬 수 있으며, 소정 셀이 해당 범위 내에 있을지라도 그 셀을 무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그 셀을 블랙리스트 내에 부가할 수 있다. 도시된 실례에서, 이동 디바이스(126)는 펨토셀(124)을 화이트리스트 내에 부가하였으며 이동 디바이스(126)는 기지국(102)이 보다 바람직한 통신 파라미터를 구비하고 있을지라도 펨토셀(124)을 액세스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디바이스(116)는 펨토셀(124)을 블랙리스트 내에 부가하였고 따라서 펨토셀(124)이 이동 디바이스(116)에 대해서 다양한 보다 바람직한 파라미터를 보유하고 있을지라도 기지국(102)과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실례에서,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그 이동 디바이스, 기지국(102), 네트워크(122) 등에 대해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근거하여 리스트들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가령, 이동 디바이스(116,126)가 소정의 셀과 관련된 기지국을 액세스하는데 실패하였거나 거부당하였을 때에는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그 해당 셀과 해당 기지국을 자신의 블랙리스트에 삽입한다. 또한, 이러한 리스트들은 네트워크(122)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디바이스(116,126)가 그러한 명령을 수신하면 그 명령에 따라서 각각의 리스트들을 수정한다. 또한, 네트워크(122)는 이동 디바이스(116,126)에게 글로벌 리스트(global list) 및 이 글로벌 리스트의 변경 사항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116, 126)는 이들의 각각의 로컬 리스트들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116,126)는 사용자, 이동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122) 등이 제공하는 방침에 따라서 글로벌 리스트와 로컬 리스트 간의 충돌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다수의 이동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200)은 가령 매크로셀(202A-202G)과 같은 다수의 셀과의 통신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 매크로셀은 해당 액세스 포인트(204A-204G)에 의해서 서비스되고 있다.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가령, 매크로셀(202A-202G)과 각기 연관된 액세스 포인트(204A-204G)는 기지국이다. 이동 디바이스(206A-206I)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 걸쳐서 다양한 위치에 분산되어 있다. 각 이동 디바이스(206A-206I)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링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04A-204G)와 통신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208A-208C)는 도시되어 있다. 이들 액세스 포인트는 펨토셀과 같은 소형 규모의 액세스 포인트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서비스 위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 디바이스(206A-206I)는 이들 소형 규모의 액세스 포인트(208A-208C)와 추가적으로 또는 택일적으로 통신하면서 해당 제공된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일 실례에서, 큰 지형학적 영역에 걸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매크로셀(202A-202G)은 서로 이웃하는 수 개의 블록들을 담당하고 펨토셀인 액세스 포인트(208A-208C)는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주거지역, 오피스 빌딩 등에 위치한다). 일 실례에서, 이동 디바이스(206A-206I)는 무선 및/또는 백홀 접속을 통해서 액세스 포인트(204A-204G)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208A-208C)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206A-206I)는 시스템(200)의 전 지역을 걸쳐서 이동하고, 또한 상이한 매크로셀(202A-202G) 및/또는 상이한 펨토셀 커버리지 구역을 통과하면서 다양한 액세스 포인트(204A-204G)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208A-208C)와 관련된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206A-206I)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208A-208C)와 관련된 홈 펨토셀와 연관된다. 가령, 이동 디바이스(206I)는 자신의 홈 펨토셀로서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208B)와 연관된다. 따라서, 이동 디바이스(206I)가 매크로셀(202B) 내에 있고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204B)의 담당 구역 내에 있을지라도, 액세스 포인트(204B)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208B)와 통신하게 된다. 일 실례에서,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208B)는 바람직한 대금 청구 서비스, 분당 사용량 서비스, 개선된 서비스(가령, 더 신속해진 광대역 액세스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와 같은 부가 서비스들을 이동 디바이스(206I)에 제공한다.
가령, 이동 디바이스(206D)는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208C)와 연관된다. 이동 디바이스(206D)가 매크로셀(202C)에서 매크로셀(202D)로 이동하고 이어서 액세스 포인트(204D)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208C)에 근접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206D)는 셀 재선택 처리를 시작한다. 이러한 셀 재선택 처리는 가령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와 관련된 주위 셀의 파라미터를 측정하여서 바람직한 통신 포인트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가령 신호 품질, 접속 처리량, 제공되는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한다. 이동 디바이스(206D)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 또는 이와 관련된 그룹 식별자가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인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 아니면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인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례에서, 이러한 결정은 셀 측정 단계 이전에 발생하고 이로써 블랙리스트 내의 셀들은 측정될 필요가 없으며, 적어도 하나의 셀들이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이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셀만이 측정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이동 디바이스(206D)는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를 선택/재선택 시에 고려한다. 이들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가 이동 디바이스(206D)의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고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 디바이스(206D)는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에 대해서 파라미터 측정을 시작하고 이들 포인트들에 대해서 등급을 매겨서 등급이 높은 순서부터 셀 재선택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 중 하나 이상이 이동 디바이스(206D)의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이동 디바이스(206D)는 가령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파라미터와 상관없이 이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셀 선택/재선택 시에 무시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 중 하나 이상이 이동 디바이스(206D)의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이동 디바이스(206D)는 가령 이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파라미터와 상관없이 이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를 셀 선택/재선택 시에 무시하게 된다. 이어서, 이동 디바이스(206D)는 가장 바람직한 측정 결과를 가지며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만일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 중 적어도 하나가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화이트리스트 내에도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를 선택/재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206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디바이스 이벤트, 네트워크 명령 등에 따라서 로컬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유지 및 관리한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206D)는 가령 액세스 포인트(204C, 204D, 208C)를 통해서 또는 이동 디바이스(206D)와 통신하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유지 및 관리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 및 관리 명령은 로컬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및/또는 글로벌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가령, 네트워크에 의해서 생성되고 이동 디바이스(206D) 내에서 유지되는 리스트들)에 영향을 준다. 또한, 이동 디바이스(206D)는 그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를 이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바와 같이 사용자 사양, 네트워크 사양 등을 통해서 엔트리(entry)를 부가할 경우에 규정된 바운더리(boundary)에 부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 사용되는 통신 장치(3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통신 장치(300)는 이동 디바이스이거나 이의 일부이거나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수신하고/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통신 장치이다. 이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 또는 이 통신 장치(300)와는 다른(disparate) 디바이스 또는 구성 요소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엔트리 사양을 수용하는 인터페이스(302); 리스트 엔트리 유지 및 관리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를 결정하는 이벤트 검출기(304); 네트워크 리스트 유지 제어 이벤트를 검출하는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유지기(308);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타이머의 만료 시점에 기초하여 리스트 엔트리를 제거하는 리스트 엔트리 타이머기(list entry timer)(310); 및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분석하여서 이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 동작 또는 통신 파라미터 등을 결정하여서 그 액세스 포인트와의 후속 통신을 확립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를 포함한다.
일 실례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 유지기(308)는 그로의 액세스가 요청되지 말아야 하는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인 블랙리스트; 및 다른 통신 파라미터 등과 상관없이 또는 다른 통신 파라미터를 덜 중요시하면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비해 우선하여 액세스가 요청되어야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인 화이트리스트를 관리한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전술한 바와 같은 로컬 리스트(가령, 각기 인퍼페이스(302) 또는 이벤트 검출기(304)를 통해서 관리되는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 또는 디바이스 제어형 리스트) 및/또는 글로벌 네트워크 제어형 리스트(가령,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에 의해서 네트워크 운영자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근거하여 관리되는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를 관리한다. 리스트 유지기(308)는 액세스 포인트의 베이스 식별자(base identifier), (가령, 공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들과 관련된) 그룹 관련 식별자, PN 오프셋, 밴드클래스, 무선 채널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을 기초로 하여서 상기 리스트들을 관리한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단일 리스트 내의 블랙리스트에 해당되는 엔트리 또는 화이트리스트에 해당되는 엔트리로서 식별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를 관리한다. 리스트 유지기(308)는 역시 본 실례에서는 로컬 리스트 및 글로벌 리스트 모두를 관리한다.
일 실례에서, 인터페이스(302)는 사용자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로 하여금 리스트의 상세 내용에 대해서 부가, 삭제, 플러시(flush) 또는 다른 관리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 인터페이스(302)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일 수 있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린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고 인터페이스(302)는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액세스 포인트를 명시적으로 확인시킴으로써 그 액세스 포인트를 블랙리스트에 부가하게 할 수 있다. 가령, 인터페이스(302)는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게 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이 액세스 포인트를 블랙리스트에 부가하도록 재촉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302)는 액세스 포인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삭제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블랙리스트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제거하게 하기도 한다; 일 실례에서, 인터페이스(302)는 삭제할 액세스 포인트를 리스트 내에서 스캐닝(scanning)하게 하며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와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그룹들을 삭제하게 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302)는 사용자로 하여금 리스트를 플러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302)는 위와 유사한 기능들을 사용자 또는 구성 요소로 하여금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인 화이트리스트에 대해서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가령, 인터페이스(302)는 이동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의 셀로 진입하고 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이 확립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사용자로 하여금 이 액세스 포인트를 화이트리스트 내에 부가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2)는 영구적인 리스트 부가 동작을 허용할 수 있는데, 가령 이 경우에는 리스트 유지기(308)가 리스트 엔트리 내에서 제한된다. 일 실례에서, 인터페이스(320)는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수동으로 스캔되게 할 수 있는데, 즉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액세스를 검출하게 하고 인터페이스(302) 상에 표시할 검출된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를 제공하게 한다.
다른 실례에서, 이벤트 검출기(3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의 이벤트에 기초하여 리스트 작업(가령, 리스트 삭제/부가 또는 리스트 플러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검출기(304)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액세스가 실패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시도 사항을 결정하고 액세스 요청이 임계 횟수 이상으로 거절되었거나 실패하였다면 그 액세스 포인트를 리스트 유지기(308)를 통해서 (가령, 그에 대한 부가 요청을 함으로써) 블랙리스트 내에 자동으로 부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례에서, 이벤트 검출기(304)는 통신 장치(300)로의 바람직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현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서 그 액세스 포인트를 리스트 유지기(308)에 의해서 관리되는 화이트리스트 내에 부가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액세스에 대한 결정은 인터페이스(302)를 통한 액세스 요청의 횟수, 결정된 서비스 레벨, 처리량 또는 성능, 통신 장치(300)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 사용에 대하여 측정된 시간, 통신 장치(300)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 간에 전달된 요청의 횟수 데이터의 개수, 가령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을 사용할 시의 PER(packet error rate) 등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이벤트 검출기(304)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동작 파라미터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파라미터와 함께 식별자를 알릴 수 있다. 리스트 유지기(308) 또는 다른 구성 요소는 그 파라미터를 저장하며 이벤트 검출기(304)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할 때에 파라미터를 상기 저장된 파라미터와 비교한다. 해당 파라미터가 변경되었으면, 일 실례에서, 이벤트 검출기(304)는 리스트 유지기를 사용하여서 그 액세스 포인트를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로부터 제거하고 따라서 통신 장치(300)는 수정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재추가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이벤트 검출기(304)는 액세스 포인트 허가 승인 사항에 있어서의 수정 사항이 있는지를 검출한다(가령,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가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할 시에 변경되는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벤트 검출기(304)는 그 액세스 포인트를, 만일 존재한다면, 블랙리스트 또는 화이트리스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통신 장치(300)가 그 액세스 포인트를 블랙리스트 또는 화이트리스트 내에 재추가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그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재선택(또는 캠핑 온(camping on))하려고 시도하게 한다. 다른 실례에서, (가령, 리스트를 플러시하기 위해서 *229를 다이얼링(dialing)하는 것과 같이) 리스트 동작을 알리기 위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것과 같은 이벤트가 통신 장치(30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례에서,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는 리스트 관리와 관련된 네트워크 명령을 결정한다. 일 실례에서,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는 가령 액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통신 장치를 통해서 또는 네트워크 구성 요소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글로벌 블랙리스트 또는 글로벌 화이트리스트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는 통신 장치(300)(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통신 장치가 소속되어 있는 그룹)와 관련된 리스트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는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와 관련된 그룹 엔트리를 부가/제거하라는 명령, 리스트들을 플러시하라는 명령 등과 같은, 로컬 리스트 및/또는 글로벌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과 연관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는 선행하는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명령들을 수신한다; 그러나, 이러한 명령들은 역시 그러한 요청 또는 질의가 없어도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는 액세스 포인트 동작 파라미터 또는 승인 허가 변경 사항을 통보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이에 따라서 가령 이벤트 검출기(304)와 관련하여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랙리스트 또는 화이트리스트로부터 그 액세스 포인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는 백홀 링크 등을 사용하여서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의 형태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명령(OTA:over the air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 명령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PUZL(preferred user zone list) 엔트리 또는 PRL(preferred roaming list) 엔트리를 추가하라는 명령일 수 있다. 이로써, 통신 장치(3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개별 액세스 포인트 단위로 하여서 해당 액세스 포인트를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한 바와 유사하게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메카니즘은 블랙리스트 엔트리를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PUZL이 리스트 유지기(308)에 의해서 관리되는 리스트들보다 선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PUZL이 사용되는 경우에, 리스트 유지기(308)는 가령 PUZL에 저장되지 않은 부가적 파라미터들의 리스트를 추가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컬 화이트리스트, 로컬 블랙리스트, 글로벌 화이트리스트 및/또는 글로벌 블랙리스트를 관리한다. 이러한 리스트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 및/또는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와 각기 관련된다. 리스트 유지기(308)는 가령 다양한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서 공중을 통해서 수신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을 사용하여서 그러한 리스트들을 관리한다. 추가하여 또는 이와 달리, 리스트 유지기(308)는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서 알려지되 이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와 이와 다른 액세스 포인트 간의 공통성(가령, 서비스 제공자의 공통성, 아키텍처의 공통성, 통신 프로토콜의 공통성, 대역폭의 공통성 등)을 표시하는 그룹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PN 오프셋, 밴드클래스, 무선 채널 등과 같은 통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리스트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적합한 표시자를 사용하여서 그 리스트에 대한 추가 작업 또는 삭제 작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302), 이벤트 검출기(304), 또는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로부터 수신된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에 대한 삭제/추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302), 이벤트 검출기(304), 또는 네트워크 명령 수신기(306)에서 수신된 이벤트 또는 명령에 기초하여 리스트를 플러시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와 같은 통신 장치(300) 내의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서 선택 및 재선택을 위해서 측정되고 있는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리스트 유지기(308)가 로컬 리스트 및 글로벌 리스트를 관리할 때에 이들 간의 충돌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가령, 로컬 화이트리스트가 글로벌 블랙리스트와 공통되는 엔트리를 구비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리스트 유지기(308)는 어느 리스트가 선행하는 리스트인지를 결정한다 ― 이는 네트워크 사양, 통신 장치(300) 사양,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리스트 엔트리 갱신 시간 등을 기초로 한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자동화 동작들을 수행한다; 가령, 화이트리스트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경우에, 리스트 유지기(308)는 그 액세스 포인트를 화이트리스트로부터 자동으로 삭제하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서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문제 해결을 요청한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부가 처리, 삭제 처리 등을 위한 규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가 최대 크기를 갖는 경우에 리스트 유지기(308)가 엔트리를 해당 리스트 내에 삽입하고 몇몇 리스트 엔트리를 삭제함으로써 최대 크기의 측면에서 필요하다면 새로운 엔트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선입 선출(FIFO) 방식을 사용하여서 새로운 엔트리를 위해서 가장 늦은 엔트리를 제거한다. 이로써, 어떠한 액세스 포인트 엔트리가 가장 오래된 것이거나 아니면 리스트 내에서 마지막 엔트리라면, 리스트 유지기(308)가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를 삽입하자마자 상기 액세스 포인트 엔트리는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조우 또는 만나게 되는 블랙리스트 액세스 포인트의 히스토그램을 유지 및 관리하고 가장 오래되고 가장 적게 조우하는 리스트 엔트리를 새로운 엔트리를 위해서 삭제한다. 일 실례에서, 다음의 공식이 사용되어서 제거하기로 선택할 소정의 리스트 엔트리에 대하여 계량화 값을 계산한다.
Figure 112012015013973-pat00001
여기서, NE는 블랙리스트 내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조우하게 되는 횟수이며, K는 양의 상수이며, T now 는 현 시간이고, T last 는 통신 장치(300)와 조우하게 된 마지막 시간이며, a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선택 가능한 조절 변수이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PUZL 포맷팅(formatting) 및/또는 통신 장치(300) 내의 PUZL를 활용하여서 상기의 리스트 기능을 제공한다. 가령, 리스트 유지기(308)는 모든 액세스 포인트가 PUZL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모든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만일 PUZL 내에 존재하면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여서,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수신된 리스트 명령에 따라서 PUZL을 관리한다(가령,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라는 명령은 PUZL로부터 삭제하는 것에 대응하며, 블랙리스트로부터 삭제하라는 명령은 PUZL 내에 추가하는 것에 대응한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308)는 가령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또는 유사한 카드와 같은, 통신 장치(300)와 관련된 메모리 내에 리스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례에서는, 리스트 정보는 카드와 관련되며 무선 디바이스들 간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리스트 엔트리를 제거하기 위해서 리스트 엔트리 타이머(310)를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서, 소정의 시간 후에, 엔트리가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로부터 제거되고 이로써 통신 장치(300)는 그 엔트리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포인트 그룹을 재평가하게 된다. 리스트 엔트리 타이머(310)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타이밍 메카니즘을 사용하여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엔트리를 제거할 시간을 결정한다. 가령, 리스트 엔트리 타이머(310)는 각 엔트리가 해당 만료 시간 후에는 리스트로부터 제거되게 하는 만료 타이머(310)를 포함한다. 다른 실례에서, 리스트 엔트리 타이머(310)는 인덱스를 기반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타이머(telescopic timer)를 포함한다. 가령, 백 오프 타이머(back off timer)가 초기 시간의 만료 이후에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타이머 값은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에 추가되는 회수와 관련된 인덱스를 기초로 한다. 다른 실례에서, 타이머는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은 실패한 액세스 시도 횟수를 기초로 하며, 이로써 백 오프 타이머 파라미터는 상기 실패한 액세스 시도의 횟수만큼 곱해지고 이에 의해서 타이머가 생성된다. 주목할 만한 것은 리스트 엔트리 타이머(310)는 가령 실패한 시도마다 (또는 이전의 실례에서는 조우시마다) 백 오프 타이머를 점차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리스트 엔트리 타이머(310)는 상술한 타이머들의 조합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가상 리스트를 관리 및 제공한다. 가령, 리스트 유지기(308)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에 의해서 분석된 실질적으로 모든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를 이들이 관련 화이트리스트 또는 PUZL 내에 존재할 때까지 블랙리스트 엔트리로서 간주한다. 이로써, 본 실례에서는, 리스트 유지기(308)는 이웃하는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련 화이트리스트 또는 PUZL 내에 이미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거하는 것이 기초하여 블랙리스트를 가령 인터페이스(302)에 제공한다. 다른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308)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에 의해서 발견된 실질적으로 모든 펨토셀들을 초기에 실제 블랙리스트에 추가한다. 이와 관련하여서,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는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와 매크로셀 액세스 포인트 간을 추가적으로 구별하고 일 실례에서는 오직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만 또는 오직 매크로셀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만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 전술한 리스트 및 각각의 관리 기능을 구현한다.
본 실례에서,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는 가령 발견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서 가령 인터페이스(302)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는 바람직한 지형학적 위치 내에 존재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를 여과 분리시킨다.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는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현 리스트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자마자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가령, 전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 그룹 식별자, 통신 파라미터 등)를 인터페이스에 전달한다.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312)는 그 리스트 중에서 요구된 지형학적 파라미터와 매칭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2)는 무선 통신을 확립할 액세스 포인트를 리스트로부터 선택되게 한다. 일 실례에서, 인터페이스(302)는 그 액세스 포인트를 명확하게 표시하거나 무선 통신 확립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한 바에 암시적으로 기초하여 그 액세스 포인트를 블랙리스터 또는 화이트리스트 내에 추가적으로 부가한다. 주목한 만한 것은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가 일 실례에서는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분석한 바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4는 무선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400)을 도시하고 있다. 무선 디바이스(402)는 (가령, 독립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디바이스뿐만아니라 모뎀도 포함하는) 이동 디바이스, 기지국, 및/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04)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통신 매체를 통해서 (가령, 기지국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또는 무선 접속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서) 무선 디바이스(402)와 통신하여 무선 디바이스(402)로의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코어 네트워크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400)은 MIMO 시스템이거나 (가령, EV-DO, 3GPP, 3GPP2, 3GPP LTE, WiMAX,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사양에 따르며 무선 디바이스(402)와 네트워크 디바이스(404)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무선 디바이스(402)로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도 용이하게 하는 부가적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402)는 전술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리스트 제어 명령을 수신 및 평가하는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406)와, 발견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로컬 블랙리스트, 로컬 화이트리스트, 글로벌 블랙리스트 및/또는 글로벌 화이트리스트(가령,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 및/또는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를 관리하는 리스트 유지기(408)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및 이와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를 발견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41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04)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4)(가령, 네트워크 디바이스(404)의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자)와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의 로컬/글로벌 블랙리스트 및/또는 로컬/글로벌 화이트리스트 또는 무선 디바이스(402)(가령, 무선 디바이스(402)의 서비스 제공자 또는 타입)와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의 로컬/글로벌 블랙리스트 및/또는 로컬/글로벌 화이트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기(412)와, 액세스 포인트(미도시)의 통신 파라미터 또는 동작 파라미터의 변경 사항을 검출하는 파라미터 변경 평가기(414)와, 상기 로컬/글로벌 블랙리스트 및/또는 로컬/글로벌 화이트리스트를 유지하는 바와 관련된 네트워크 명령을 생성 및 전송하는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6)를 포함한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408)는 로컬/글로벌 블랙리스트 및/또는 로컬/글로벌 화이트리스트를 관리한다. 이러한 관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인터페이스, 로컬 이벤트 처리, 네트워크 명령 처리 등을 통해서 일어나게 된다. 리스트 유지기(408)는 리스트를 획득하거나 어떠한 초기 엔트리도 없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 유지기(408)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410)가 초기에 발견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후속 제거를 허용하는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 내에 배치시킨다. 이로써, 무선 디바이스(402)가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 구역을 걸쳐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410)는 액세스 포인트를 발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리스트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리스트 유지기(408)에 제공한다. 다른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408)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4)로부터 하나 이상의 리스트 및/또는 리스트 관리 명령들을 수신한다.
가령, 리스트 생성기(41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4)와 연관된 서비스 제공자와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무선 디바이스(402)와 관련된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로딩과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무선 디바이스(402)의 서비스 제공자와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무선 디바이스(402)의 타입 또는 기능과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무선 디바이스(402)와 관련된 가입 사항과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무선 디바이스(402)의 사용자와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등을 생성한다. 또한, 리스트는 액세스 포인트가 알린 명시적인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 공통 파라미터 또는 특징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 세트와 관련된 그룹 식별자, 통신 파라미터(가령, PN 오프셋, 밴드클래스, 무선 채널 등)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식별자들을 사용하여서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한다. 이와 관련하여서, 리스트 생성기(412)는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할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이 리스트들은 가령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를 통해서 무선 디바이스(402)에 제공된다. 일 실례에서, 무선 디바이스(402)로부터의 통신이 확립되거나 실질적으로 임의의 네트워크 또는 디바이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초기 로컬/글로벌 블랙리스트 및/또는 초기 로컬/글로벌 화이트리스트가 공급된다.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406)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국부적 관리 대상인 리스트를 수신 및 이에 따라서 저장한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404)로부터 획득되었는지 국부적으로 생성되었는지 상관없이, 무선 디바이스(402)가 초기 선택 또는 재선택을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를 평가할 때에 현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도록 리스트 유지기(408)는 리스트를 저장하고 리스트 동작들을 관리한다. 일단 리스트가 공급 및/또는 생성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404)는 또한 리스트 갱신 사항(가령, 추가, 삭제, 플러시 등)을 제공한다. 가령, 파라미터 변경 평가기(414)는 리스트 생성기(412)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대한 수정 사항을 검출한다. 가령, 파라미터는 PN 오프셋, 밴드클래스, 그룹 연관 사항, 허가 승인 사항, 부가된 또는 삭제된 기능, 대역폭, 서비스 제공자 호환성 등과 관련된다.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402)에 대한 네트워크 명령의 갱신 사항을 생성한다.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406)는 이 갱신 사항을 수신하여서 파라미터 수정 사항을 결정한다. 이 결정된 수정 사항을 기초로 하여서,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406)는 수정 정보를 해당 리스트를 국부적으로 갱신할 리스트 유지기(408)에게 제공한다. 다른 실례에서, 그러한 수정 사항으로 인해서 리스트 유지기(408)는 액세스 포인트를 관리된 화이트리스트 및/또는 블랙리스트 내에 추가하거나 그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가령, 이러한 수정 사항이 승인 허가 사항의 변경에 해당되며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리스트 유지기(408)는 그 액세스 포인트를 블랙리스트로부터 제거하고 이로써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410)는 범위 내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고 이어서 무선 디바이스(402)는 수정된 파라미터로 접속을 재시도한다. 그러나, 가령 재시도된 액세스가 수정된 파라미터와 상관없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그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에 다시 가입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상기 수정 사항에 기초하여 적합한 리스트 동작을 결정하고 리스트 동작 명령을 무선 디바이스(402)에 송신한다.
일 실례에서,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최대 리스트 크기를 설정하라는 명령 및/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리스트 제거 명령과 같은 명령들을 생성하여서 무선 디바이스(402)에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백홀 링크 등을 걸쳐서 기지국을 경유하여 SMS 기능을 사용하여서 명령들을 무선 디바이스(402)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416)도 이 명령을 백홀 링크 등을 걸쳐서 기지국을 경유하여 SMS 기능을 사용하여서 수신한다. 또한, 명령 공급은 PUZL 리스트 엔트리 명령 공급일 수 있다. 이로써, 이 실례에서는, 파라미터 변경 평가기(414)가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수정 사항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서,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그 액세스 포인트를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하라는 명령(가령, PUZL 추가 명령) 또는 블랙리스트로부터 삭제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어서,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상기 SMS 메시지를 무선 디바이스(402)에 전송한다. 역시,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406)도 상기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리스트 유지기(408)는 상기 메시지에 표시된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그 명령이 화이트리스트 내에 부가하라는 명령이면, 리스트 유지기(408)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410)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의 후속 발견 시에 액세스 포인트로의 무선 액세스를 시도하라는 파라미터 수정 사항에 기초하여 그 액세스 포인트를 화이트리스트 내에 부가한다. 일 실례에서, 리스트 유지기(408)는 네트워크 제어형 PUZL 엔트리가 국부적으로 포함된 리스트들을 대신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PUZL 엔트리 명령을 수신할 때에 만일 존재한다면 블랙리스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추가적으로 제거한다. 다른 실례에서,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SMS 메시지 내에 실제 갱신 사항을 표시하며, 이 경우에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406)는 상기 SMS 메시지에 기초하여 동작을 결정한다(가령, 갱신 사항에 매칭되도록 로컬 리스트의 파라미터를 수정하거나,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와 관련된 그룹 식별자를 화이트리스트에 삽입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와 관련된 그룹 식별자를 블랙리스트로부터 삭제한다). 리스트 유지기(408)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결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또 다른 실례에서,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타이밍된 이벤트를 생성한다. 가령,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차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모든 리스트들을 플러시하라는 이벤트를 생성 및 송신한다. 네트워크 명령 분석기(406)는 그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명령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서 특정된 시간에 리스트를 플러시하라고 리스트 유지기(408)에게 지시한다. 리스트 유지기(408)는 일 실례에서 플러시 인스트럭션에 따른다. 네트워크 명령 공급기(416)는 반복적으로 전송하거나 수신 확인 응답을 요구하는 등으로 해서 그 명령이 실질적으로 모든 의도된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해서 수신되도록 여러 방도를 강구한다.
도 5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관리 기능을 이동 디바이스에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500, 502)를 도시하고 있다. 가령, 인터페이스(500)는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504)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이 리스트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로 나타내어 있지만, 그룹 관련 식별자, 통신 파라미터 또는 메트릭과 같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식별자들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는 가령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서 블랙리스트 내에 포함되거나 네트워크 명령 또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의해서 블랙리스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500)는 리스트(504) 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500)는 리스트(504) 내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제거 버튼(506)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 리스트를 플러시하도록 하게 하는 플러시 버튼(508)도 제공된다.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추가 정보들을 획득하거나 블랙리스트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제거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하거나 블랙리스트 엔트리를 영구적인 엔트리로 표기하는 것과 같은 수많은 다른 기능들이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500)는 오직 하나의 예일 뿐이다.
인터페이스(502)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510)를 도시하고 있다. 리스트(510)는 일 실례에서 스캔 버튼(514)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된다. 리스트(510)도 선택 가능한 리스트이며, 추가 버튼(512)이 제공되어서 리스트(510)로부터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에 추가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들이 화이트리스트에 대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실제로, 인터페이스(502)는 화이트리스트 추가 버튼 및 블랙리스트 추가 버튼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인터페이스(500,502)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예시적인 인터페이스(500,502)의 레이아웃도 역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다분히 예시적인 레이아웃일 뿐이다. 또한, 이들 인터페이스가 이동 디바이스에서 적용 및 발전되게 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임의의 가용한 인터페이스 기술 또는 프레임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서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국부적으로 관리하는 것과 관련된 방법들이 설명되어 있다. 한편, 설명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도시 및 기술될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이들 동작의 순서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데, 이는 하나 이상의 측면 또는 실시예에서는 몇몇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일어나거나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가령,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방법은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호 관련된 상태 또는 이벤트로 해서 달리 나타내질 수 있음을 십분 이해하고 인정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따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서는, 셀을 초기에 선택하거나 재선택하기 위해서 셀을 평가할 시에 블랙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600)이 기술되어 있다. 단계(602)에서,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가 검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자는 액세스 포인트의 베이스 식별자, 그룹 연관 식별자,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 등과 연관되며, 또한 식별자는 일 실례에서는 매크로셀 액세스 포인트와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 간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단계(604)에서, 식별자가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들의 리스트와 비교된다. 이 리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국부적으로 또는 글로벌하게 유지 및/또는 특정된다. 또한, 동일한 단계 또는 동작이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들의 리스트인 화이트리스트에 대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단계(606)에서,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가령, 액세스포인트가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들의 리스트인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그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은 확립되지 않는다. 단계(608)에서, 상기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들의 리스트 내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한다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스캐닝된다. 이로써, 블랙리스트 내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는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무시된다.
도 7에는,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서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700)이 나타나 있다. 단계(702)에서, 범위 내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가 인터페이스에 제공된다. 가령, 이러한 리스트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스캐닝하고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알리고 있는 베이스 식별자, 그룹 연관 식별자, 통신 파라미터 등을 기록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GUI, API, 등일 수 있다. 단계(704)에서, 리스트 관리 명령이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이 명령은 가령 액세스 포인트를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리스트로부터 제거하라는 명령이거나 리스트를 플러시하라는 명령이거나 액세스 포인트 파라미터를 검색하라는 명령일 수 있다. 단계(706)에서, 이 리스트 관리 명령을 반영하도록 리스트가 수정된다. 이로써, 후속하여서 인터페이스가 리스트를 요청하거나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재선택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을 때에는, 갱신된 리스트가 검색 및 제공된다.
도 8에서는, 네트워크가 리스트 갱신 사항을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800)이 나타나 있다. 단계(802)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가 생성된다. 이 리스트는 네트워크 사양에 따르거나 무선 네트워크 제공자에 특정되거나 가입자 또는 디바이스에 특정되는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에 대응한다. 일 실례에서, 이 리스트는 소정의 이동 디바이스를 위해서 리스트를 저장해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단계(804)에서, 리스트는 이 리스트를 국부적으로 관리할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게 송신된다. 이로써, 이동 디바이스는 리스트 복사본을 보유하게 되고 제공된 갱신 사항을 수신하여서 그의 복사본이 네트워크 특정 정보를 반영하도록 보장한다.
단계(806)에서, 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파라미터의 수정 사항이 검출되고, 단계(808)에서, 리스트 갱신 명령이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이로써, 가령,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고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시켰으면, 이러한 변경 사항을 알리는 리스트 갱신 사항이 이동 디바이스로 송신되어 이동 디바이스가 그 블랙리스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삭제하도록 지시한다. 이와 관련하여서, 이동 디바이스는 상기 수정된 파라미터로 인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다른 실례에서, 수정된 파라미터는 이동 디바이스에게 전송되고 이로써 이동 디바이스는 상기 수정된 파라미터로 인해서 액세스를 재시도할지를 결정한다.
*도 9에서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들을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902)에서, 운영자에 의해 제어되는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가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갱신 사항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서 갱신 처리가 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와 관련된다. 또한, 이러한 리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 및/또는 블랙리스트/화이트리스트 식별자들을 갖는 일반적인 리스트일 수 있다. 단계(904)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제어되는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가 역시 유지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인터페이스(가령, GUI, API 등)를 사용하여서 갱신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와 관련된다. 마찬가지로, 이 리스트도 역시 블랙리스트 또는 화이트리스트일 수 있다. 단계(906)에서,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할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 및/또는 상기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로써,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블랙리스트이면, 이 블랙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하는데로부터 무시된다. 마찬가지로,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화이트리스트이면, 이 화이트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하는데 있어서 고려된다. 이러한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와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간에 리스트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충돌을 처리하기 위한 메카니즘이 규정될 수 있다. 단계(908)에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상기 결정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요청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측면에 따라서, 인터페이스 명령, 검출된 이벤트, 네트워크 명령 등에 따라서 인터페이스는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갱신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론" 또는 "추론하다"는 이벤트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서 포획된 관찰 사항들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를 추론하는 프로세스에 전반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추론은 가령 특정 상황 또는 동작을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거나 해당 상태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다분히 확률적인데, 말하자면 데이터 및 이벤트를 고려하여서 해당 상태에 대한 확률 분포를 계산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추론은 이벤트 및/또는 데이터의 세트로부터 더 높은 레벨의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술들을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으로 인해서, 이벤트들이 서로 일시적으로 근사하게 상관되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그리고 이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로부터 온 것인지 아니면 여러 개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로부터 온 것인지에 상관없이 관찰된 이벤트 세트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 세트로부터 새로운 이벤트 또는 동작들이 구성된다.
도 10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유지하는 바를 용이하게 하는 이동 디바이스(1000)를 도시하고 있다. 이동 디바이스(1000)는 가령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통상적 동작(가령, 필터링 동작, 증폭 동작, 다운컨버팅 동작 등)을 행하며 이어서 상기 동작에 의해서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서 샘플을 획득하는 수신기(1002)를 포함한다. 이 수신기(1002)는 수신된 심볼을 복조하고 채널 추정을 할 프로세서(1006)에 상기 복조된 심볼을 제공하는 복조기(10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06)는 수신기(1002)에 의해서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하거나 송신기(1018)가 전송할 정보를 생성하는데만 전용되는 프로세서; 이동 디바이스(1000)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10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도 하고 또한 송신기(1018)가 전송할 정보도 생성하고 또한 이동 디바이스(1000)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제어까지 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동 디바이스(1000)는 프로세서(1006)에 대해 동작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되고 송신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가용한 채널과 관련된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관련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과 관련된 정보 및 채널을 추정하고 이 채널을 통해서 통신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08)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1008)는 채널을 (가령, 성능 기반 방식, 용량 기반 방식 등으로) 추정 및/또는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프로토콜 및/또는 알고리즘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데이터 저장 장치(가령, 메모리(1008))는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아니면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프로그램 가능한 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가령,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예를 들자면, RAM은 SRAM(synchronous RAM),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SLDRAM(Synchlink DRAM) 및 DRRAM(direct Rambus RAM)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시스템 및 방법에서의 메모리(1008)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메모리 및 임의의 적합한 다른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0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 또는 화이트리스트를 관리하는 것과 관련된 명령을 특정하게 하는 인터페이스(1010); 그러한 리스트들을 유지하는 리스트 유지기(1012); 및 상기 리스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들과의 통신을 확립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1014)와 동작 가능한 방식으로 접속된다. 일 실례에서, 인터페이스(1010)는 가용한 액세스 포인트를 나열하여 이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거나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에 특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1010)는 액세스 포인트를 스캐닝하거나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영구적인 리스트 엔트리로서 표기하거나 등과 같은 전술한 동작들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리스트 유지기(10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에 의해서 유발되거나 네트워크가 명령하는 리스트 관리를 처리할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1010)로부터의 요청도 역시 처리한다.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1014)는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 이상의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이와 관련된 셀을 초기에 선택 및/또는 재선택한다. 가령,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1014)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할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찾기를 시도한다. 이동 디바이스(1000)는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1016) 및 가령 기지국, 다른 이동 디바이스 등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1018)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인터페이스(1012), 리스트 유지기(1012),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1014), 복조기(1004) 및/또는 변조기(1016)가 프로세서(1006)와 별도의 구성 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프로세서(1006)의 일부이거나 다중 프로세서(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을 도시하고 있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은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의 기지국(1110) 및 하나의 이동 디바이스(1150)만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1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추가된 기지국 및/또는 이동 디바이스는 이하에서 기술될 예시적인 기지국(1110) 및 이동 디바이스(11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또한, 기지국(1110) 및/또는 이동 디바이스(1150)는 이들 간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시스템들(도 1 내지 도 4 및 도 10 참조), 인터페이스(도 5 참조) 및/또는 방법(도 6 내지 도 9 참조)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11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1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14)에 제공된다. 일 실례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1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서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따라서 상기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코딩된 데이터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는 파일럿 데이터로 멀티플렉싱된다. 이와 더불어 또는 이와 달리, 파일럿 심볼들은 FDM(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하거나 TDM(시분할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하거나 CDM(코드 분할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처리되고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서 이동 디바이스(1150)에서 사용되는 알려진 데이터 패턴이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데이터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서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가령,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방식, QPSK(quadrature phase-shitf keying) 방식, M-PSK(M-phase-shift keying) 방식, M-QAM(M-quadrature amplitude moudlation) 방식 등)에 기초하여 변조된다(가령, 심볼 맴핑된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상기와 같은 데이터 레이트, 데이터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130)에 의해서 제공되거나 수행되는 인스트럭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변조된 심볼은 TX MIMO 프로세서(1120)에 제공되며, 이 프로세서(1120)는 변조된 심볼들을 처리한다(가령, OFDM). TX MIMO 프로세서(1120)는 이어서 NT 변조 심볼 스트림을 NT 송신기(TMTR)(1122a 내지 1122t)에 제공한다. 다양한 측면에 따라서, TX MIMO 프로세서(1120)는 빔성형 가중치를 데이터 스트림의 심볼에 인가하고 또한 빔성형 가중치를 상기 심볼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에게도 인가한다.
각 송신기(1122)는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서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며 이 아날로그 신호를 더 처리(가령, 증폭 처리, 필터링, 업컨버팅 처리)하여서 MIMO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기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NT 개의 송신기(TMTR)(1122a 내지 1122t)로부터의 NT 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기 NT 개의 안테나(1124a 내지 1124t)로 전송된다.
이동 디바이스(1150)에서는, 상기 전송된 변조 신호가 NR 개의 안테나 (1152a 내지 1152r)에 의해서 수신되며, 각 안테나(11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1154a 내지 1154r)로 전송된다. 각 수신기(1154)는 각각의 신호를 처리(가령, 필터링, 증폭 처리, 다운컨버팅 처리)하고 이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서 샘플을 제공하고 또한 이 샘플을 처리하여서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는 NR 개의 수신기(1154)로부터 NR 개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여서 이를 NT 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서 선택된 특정 수신기 처리 방식을 사용하여서 처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는 각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160)에 의한 프로세싱 또는 처리는 기지국(1110)에 존재하는 TX MIMO 프로세서(11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114)의 프로세싱 또는 처리와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할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을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또한, 프로세서(1170)는 행렬 인덱스 부분과 등급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성한다.
이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11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의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138)에 의해 처리되고, 이어서 변조기(1180)에 의해서 변조되고, 이어서 송신기들(1154a 내지 1154r)에 의해서 처리되며 다시 기지국(1110)으로 전송된다.
기지국(1110)에서는, 이동 디바이스(1150)로부터의 변조 신호가 안테나(1124)에 의해서 수신되고 수신기(1122)에 의해서 처리되고 복조기(1140)에 의해서 복조되고, 이동 디바이스(1150)가 전송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복조된 신호가 RX 데이터 프로세서(1142)에 의해서 처리된다. 또한, 프로세서(1130)는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하여서 상기 빔성형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할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한다.
프로세서(1130, 1170)는 가령 제어, 코디네이션, 관리 등과 같은 동작을 기지국(1110) 및 이동 디바이스(1150)에 각기 지시한다. 각 프로세서(1130, 1170)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32, 1172)에 연관된다. 프로세서(1130, 1170)는 또한 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치를 도출하기 위한 계산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여러 측면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프로세싱 유닛 또는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적 유닛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측면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로 구현될 때에는, 이들은 저장 구성 요소와 같은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 내에 저장된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인스트럭션들의 임의의 조합,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스테이트먼트(program statement)를 나타낸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전송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송, 토큰 전송,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서 전송, 송신, 전달된다.
가령,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측면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이 여러 측면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가령, 프로시저, 함수 등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 내에 저장되어서 프로세서들에 의해서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메모리 유닛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도 12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수신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재선택할 때에 후속하여서 사용할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들을 유지하는 시스템(12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령, 이 시스템(1200)은 기지국, 이동 디바이스 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한다. 시스템(12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가령, 펌웨어)에 의해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200)은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electrical component)들로 구성된 논리 그룹체(1202)을 포함한다. 가령, 이 논리 그룹체(1202)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들의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 및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자들의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를 유지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204)를 포함한다. 가령, 이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서 관리되며 상기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특정된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관리된다. 또한, 논리 그룹체(1202)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제어형 리스트 및/또는 상기 운영자 제어형 리스트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206)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리스트들은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이며, 이 액세스 포인트가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그 액세스 포인트는 선택되고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무시된다. 또한, 시스템(1200)은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204,1206)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1208)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 요소(1204, 1206)가 메모리(1208)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메모리(1208)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3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수신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재선택할 때에 후속하여서 사용할 로컬 블랙리스트를 네트워크 명령을 통해서 관리하는 시스템(13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령, 이 시스템(1300)은 기지국, 이동 디바이스 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한다. 시스템(13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가령, 펌웨어)에 의해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300)은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논리 그룹체(1302)를 포함한다. 가령, 이 논리 그룹체(1302)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304)를 포함한다. 가령,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들에 대한 접속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세부적으로 명시하기 위해서 베이스 식별자, 그룹 식별자, 통신 파라미터 등을 사용하여서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다. 따라서, 또한, 이러한 블랙리스트는 후속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재선택 시에 조회되는데, 즉 고려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논리 그룹체(1302)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갱신 명령에 따라서 상기 블랙리스트를 수정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306)를 더 포함한다.
이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리스트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갱신 및/또는 특정되고, 시스템(1300)은 후속 통신 확립을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를 평가할 시에 사용할 로컬 리스트의 복사본을 보유한다. 또한, 논리 그룹체(1302)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할 시에 상기 블랙리스트를 분석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308)를 더 포함한다. 또한, 논리 그룹체(1302)는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여서 상기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31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블랙리스트 갱신 사항은 무선 네트워크에서만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가령 사용자가 특정함으로써도 생성된다. 또한, 시스템(1300)은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304,1306,1308,1310)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1312)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 요소(1304,1306,1308,1310)가 메모리(1312)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메모리(1312)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4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블랙리스트 갱신 사항을 이동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시스템(14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령, 시스템(1400)은 무선 네트워크 구성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한다. 시스템(14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가령, 펌웨어)에 의해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400)은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논리 그룹체(1402)를 포함한다. 가령, 이 논리 그룹체(1402)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파라미터 수정 사항을 수신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404)를 포함한다. 가령, 이러한 수정 사항은 액세스 포인트의 승인 허가 변경 사항, 지원 프로토콜의 변경 사항, 지원된 서비스의 변경 사항, 지원된 네트워크 제공자의 변경 사항, 지원된 디바이스의 변경 사항 등과 관련된다. 또한, 이 논리 그룹체(1402)는 상기 파라미터 수정 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에게 로컬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라는 네트워크 명령을 제공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406)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해당 액세스 포인트를 블랙리스트 내에 포함하고 있는 이동 디바이스는 이 블랙리스트 내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제거하여서 새로운 파라미터를 위해서 접속을 재시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논리 그룹체(1402)는 로컬 블랙리스트를 생성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408)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블랙리스트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생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디바이스, 가입자, 네트워크 제공자 등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전기적 구성 요소(1408)는 블랙리스트 자체를 이동 디바이스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시스템(1400)은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404,1406,1408)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1410)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 요소(1404,1406,1408)가 메모리(1410)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메모리(1410)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명령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는 시스템(15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령, 시스템(1500)은 기지국, 이동 디바이스 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한다. 시스템(15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가령, 펌웨어)에 의해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500)은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논리 그룹체(1502)를 포함한다. 가령, 이 논리 그룹체(1502)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50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블랙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들에 대한 접속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세부적으로 명시하기 위해서 베이스 식별자, 그룹 식별자, 통신 파라미터 등을 사용하여서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다. 따라서, 또한, 이러한 블랙리스트는 후속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재선택 시에 조회되는데, 즉 고려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 논리 그룹체(1502)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갱신 명령에 따라서 상기 블랙리스트를 수정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506)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랙리스트는 GUI를 사용하여서 사용자가 명시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 가령 블랙리스트 엔트리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추가되거나 삭제되거나 영구 엔트리로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논리 그룹체(1502)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할 시에 상기 블랙리스트를 분석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50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500)은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504,1506,1508)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1510)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 요소(1504,1506,1508)가 메모리(1510)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메모리(1510)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6에서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화이트리스트 갱신 사항을 수신하는 시스템(16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령, 시스템(1600)은 무선 네트워크 구성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한다. 시스템(16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가령, 펌웨어)에 의해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600)은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논리 그룹체(1602)를 포함한다. 가령, 이 논리 그룹체(1602)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화이트 리스트를 유지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60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들에 대한 접속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세부적으로 명시하기 위해서 베이스 식별자, 그룹 식별자, 통신 파라미터 등을 사용하여서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다. 따라서, 또한, 이러한 화이트리스트는 후속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재선택 시에 조회되는데, 즉 고려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 논리 그룹체(1602)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갱신 명령에 따라서 상기 화이트리스트를 수정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606)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화이트리스트는 GUI를 사용하여서 사용자가 명시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 가령 화이트리스트 엔트리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추가되거나 삭제되거나 영구 엔트리로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논리 그룹체(1602)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할 시에 상기 화이트리스트를 분석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60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600)은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604,1606,1608)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1610)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 요소(1604,1606,1608)가 메모리(1610)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메모리(1610)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7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할 시에 사용할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관리하는 시스템(17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령, 이 시스템(1700)은 기지국, 이동 디바이스 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한다. 시스템(17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가령, 펌웨어)에 의해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700)은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electrical component)들로 구성된 논리 그룹체(1702)를 포함한다. 가령, 이 논리 그룹체(1702)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704)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들은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로 구성된 그룹과 관련된다. 가령,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식별자들은 그룹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공통된 서비스 제공자, 공통된 브랜드, 공통된 네트워크 타입, 공통된 지원 프로토콜, 공통 제공 서비스, 공통 가격 패키지, 공통 대역폭, 공통 접속 한정 사항 등등과 같은 공통 사항을 갖는 그룹 식별자들이다. 또한, 이 논리 그룹체(1702)는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분석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706)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리스트들은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이다. 따라서, 리스트 내에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셀 선택/재선택 동안에 고려되어야 하는지 무시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논리 그룹체(17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분석한 바를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70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700)은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704,1706,1708)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1710)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 요소(1704, 1706, 1710)가 메모리(1710)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메모리(1710)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8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들과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8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령, 시스템(1800)은 무선 네트워크 구성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한다. 시스템(18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가령, 펌웨어)에 의해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800)은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논리 그룹체(1802)를 포함한다. 가령, 이 논리 그룹체(1802)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로부터 결정된 액세스 포인트 통신 파라미터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80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PN 오프셋, 밴드클래스, 무선 채널 등과 같은 관련 동작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이 논리 그룹체(1802)는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806)를 더 포함한다. 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송신한 신호로부터 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또한, 이 논리 그룹체(1802)는 통신 파라미터가 그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808)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리스트는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와 관련되며, 만일 통신 파라미터가 화이트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그와의 통신이 확립되고, 만일 통신 파라미터가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면 그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는다. 또한, 시스템(1800)은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804,1806,1808)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1810)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 요소(1804, 1806, 1810)가 메모리(1810)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메모리(1810)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9에서는, 타이머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관리하는 시스템(1900)이 도시되어 있다. 가령, 시스템(1900)은 무선 네트워크 구성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한다. 시스템(19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가령, 펌웨어)에 의해서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900)은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논리 그룹체(1902)를 포함한다. 가령, 이 논리 그룹체(1902)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904)를 포함한다. 가령,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블랙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들에 대한 접속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세부적으로 명시하기 위해서 베이스 식별자, 그룹 식별자, 통신 파라미터 등을 사용하여서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다. 따라서, 또한, 이러한 블랙리스트는 후속하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재선택 시에 조회되는데, 즉 고려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 논리 그룹체(1902)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존재하는 기간을 수신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906)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간은 상기 블랙리스트 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블랙리스트 내에 가입되자마자 개시되는 타이머로부터 결정된다. 또한, 논리 그룹체(1902)는 상기 수신된 기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삭제할 시간을 결정하는 전기적 구성 요소(1908)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가령, 삭제 시간 임계치가 상기 기간과 비교되고 이로써 상기 리스트로부터 그 액세스 포인트를 삭제할 시간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1900)은 상기 전기적 구성 요소(1904,1906,1908)와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1910)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 요소(1904, 1906, 1910)가 메모리(1910)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메모리(1910)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에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함께 기술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게이트 전극,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범용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가령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DSP 코어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 조합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술된 하나 이상의 단계 및/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여러 측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 및/또는 동작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아니면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분리 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한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접속되고 이로써 이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측면에서는,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한다. 또한,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한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서 개별적인 구성 요소로서 상주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측면에서는, 방법 및/또는 알고리즘의 단계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내에 포함되어 있는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서 코드 및/또는 인스트럭션,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이들의 세트로서 상주한다.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는, 전술된 여러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여러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코드 또는 인스트럭션으로서 저장 또는 전송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쪽에서 저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실시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서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이다. 예를 들자면,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서 액세스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서 목표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임의의 통신 요소도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고려될 수 있다. 가령,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 섬유 케이블, 꼬임 쌍심(twisted paired) 케이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무선 주파수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서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거리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축 케이블, 광 섬유 케이블, 꼬임 쌍심 케이블, DSL 또는 적외선, 무선 주파수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는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통상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측면 및/또는 실시예들을 기술하고 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 사항들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는 기술된 측면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가능하다. 또한, 기술된 측면 및/또는 실시예들의 요소들이 단수형으로 기술되었거나 청구범위에서 청구되었다면, 단수의 요소만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임의의 측면 및/또는 실시예들 전부 또는 일부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측면 및/또는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포함한다", "구비한다" 및 "갖는다"는 청구 범위의 전이부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한다"와 유사하게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기술된 측면 및/또는 실시예들의 요소들이 단수형으로 기술되었거나 청구범위에서 청구되었다면, 단수의 요소만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임의의 측면 및/또는 실시예들 전부 또는 일부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측면 및/또는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요청할 셀들을 식별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그룹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다수의 리스트들을 유지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됨(user controlled)―;
    상기 다수의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식별자의 존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블랙리스트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화이트리스트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검출된 이벤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검출된 이벤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하나 이상의 성공적인 접속 확립 요청 또는 실패한 접속 확립 요청을 포함하는, 방법.
  8.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그룹에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다수의 리스트들을 관리하고 - 여기서,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됨(user controlled)―,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며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식별자의 존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블랙리스트인, 무선 통신 장치.
  10.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그룹에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다수의 리스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 여기서,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됨(user controlled)―;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블랙리스트인, 장치.
  12.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그룹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다수의 리스트들을 유지하게 하기 위한 코드 - 여기서,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됨(user controll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 내에서의 상기 식별자의 존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블랙리스트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4. 무선 네트워크로의 유사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그룹들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다수의 리스트들을 관리하는 리스트 유지기 - 여기서,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됨(user controlled)―; 및
    식별자를 알리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식별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액세스 포인트 평가기
    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블랙리스트인,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들의 화이트리스트인,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 유지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명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수정하는, 장치.
KR1020127004805A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KR101266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72808P 2008-03-26 2008-03-26
US61/039,728 2008-03-26
US10232508P 2008-10-02 2008-10-02
US61/102,325 2008-10-02
US12/407,714 2009-03-19
US12/407,714 US9363745B2 (en) 2008-03-26 2009-03-19 Device managed access point l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PCT/US2009/038454 WO2009120898A2 (en) 2008-03-26 2009-03-26 Device managed access point l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973A Division KR101208631B1 (ko)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252A KR20120040252A (ko) 2012-04-26
KR101266316B1 true KR101266316B1 (ko) 2013-05-22

Family

ID=4093555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973A KR101208631B1 (ko)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KR1020127004806A KR101269064B1 (ko)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KR1020127004805A KR101266316B1 (ko)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KR1020127004807A KR101269058B1 (ko)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973A KR101208631B1 (ko)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KR1020127004806A KR101269064B1 (ko)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807A KR101269058B1 (ko) 2008-03-26 2009-03-26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363745B2 (ko)
EP (1) EP2272285B1 (ko)
JP (6) JP2011517186A (ko)
KR (4) KR101208631B1 (ko)
CN (1) CN102067678B (ko)
AU (1) AU2009228222B2 (ko)
CA (7) CA2854961C (ko)
HK (1) HK1158422A1 (ko)
IL (2) IL208267A0 (ko)
MX (1) MX2010010359A (ko)
MY (4) MY174432A (ko)
PH (3) PH12014500376B1 (ko)
RU (1) RU2497311C2 (ko)
TW (5) TWI499319B (ko)
WO (1) WO200912089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996A (ko) * 2019-02-01 2019-02-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3857B1 (en) * 2005-10-21 2009-11-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lligent pico-cell for transport of wireless device communications over wireline networks
US10225788B2 (en) * 2006-05-25 2019-03-05 Truconnect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wireless network for offloading
US8326296B1 (en) 2006-07-12 2012-12-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ico-cell extension for cellular network
US9363745B2 (en) 2008-03-26 2016-06-07 Srinivasan Balasubramanian Device managed access point l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626223B2 (en) 2008-05-07 2014-01-07 At&T Mobility Ii Llc Femto cell signaling gating
US8863235B2 (en) 2008-05-13 2014-10-14 At&T Mobility Ii Llc Time-dependent white list generation
US8719420B2 (en) * 2008-05-13 2014-05-06 At&T Mobility Ii Llc Administration of access lists for femtocell service
US8364123B2 (en) * 2009-02-25 2013-01-29 Apple Inc. Managing notification messages
US8113991B2 (en) 2008-06-02 2012-02-14 Omek Interactive,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fitness training program
US8504032B2 (en) 2008-06-12 2013-08-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emtocell service registration, activation, and provisioning
US8345599B2 (en) * 2008-09-29 2013-01-01 Telcordia Technologies, Inc. Pre-evaluation of multiple network access points
US9288747B2 (en) * 2008-11-03 2016-03-15 Ramachandran Subramanian Switching wireless network selection modes in conjunction with selection of a wireless cell set
US8924535B2 (en) * 2008-12-23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aintaining closed subscriber group information for access control
US8630624B2 (en) 2009-02-25 2014-01-14 Apple Inc. Managing notification messages
CA2760861C (en) * 2009-05-04 2015-1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rocess signal strengths of not allowed cells during cell reselection
US8983451B2 (en) * 2009-05-08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femto nodes
US8644273B2 (en) * 2009-07-01 2014-02-0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femtocell network management
US8695063B2 (en) * 2009-10-11 2014-04-08 Blackberry Limited Authentication failur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427991B2 (en) 2009-10-11 2013-04-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ling wrong WEP key and related battery drain and communication exchange failures
US8510801B2 (en) 2009-10-15 2013-08-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anagement of access to service in an access point
EP2320703A1 (en) * 2009-11-05 2011-05-11 Thomson Telecom Belgium A method for selecting and reselecting a cell based on number of services available
EP2508027A4 (en) * 2009-12-01 2013-12-18 Nokia Corp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FRAMEWORK FOR EFFICIENT RECORDING AND SESSION MANUFACTURE
CN102104928B (zh) * 2009-12-22 2014-10-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Wcdma移动系统中家庭基站的接入位置限制方法及系统
US8634349B1 (en) * 2010-01-11 2014-01-21 Google Inc. Merging for wireless access points
US8572746B2 (en) * 2010-01-21 2013-10-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dictive blacklisting using implicit recommendation
CN102196400A (zh) * 2010-03-02 2011-09-21 高通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信息更新的方法和装置
WO2012035198A1 (en) * 2010-09-13 2012-03-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 association and address provisioning
CN102457988A (zh) * 2010-10-25 2012-05-1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显示无线兼容性认证连接点名称的方法及无线通信装置
US8971244B2 (en) 2010-11-09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name list based network access management
US8514736B2 (en) * 2010-11-30 2013-08-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termining neighbor lists and PN offsets for new sector
KR2012007212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악성 파일 진단 장치 및 방법, 악성 파일 감시 장치 및 방법
JP5761993B2 (ja) 2010-12-28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スポイント探索装置、アクセスポイントの探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24489B2 (en) 2011-01-05 2014-12-30 Apple Inc. Message push notification client improvements for multi-user devices
KR101788639B1 (ko) * 2011-01-10 2017-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또는 해제 방법 및 장치
CN102075540B (zh) * 2011-01-26 2015-07-29 上海中兴思秸通讯有限公司 一种同轴以太网系统中的白名单配置方法及装置
US8863232B1 (en) 2011-02-04 2014-10-14 hopTo Inc. System for and methods of controlling user access to applications and/or programs of a computer
US8699379B2 (en) 2011-04-08 2014-04-15 Blackberry Limited Configuring mobile station according to type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ployment
EP2555546B1 (en) * 2011-08-03 2015-05-06 BlackBerry Limited Automatic disabling of enabled connection profile for wireless network
US8732798B2 (en) 2011-08-03 2014-05-20 Blackberry Limited Automatic disabling of enabled connection profile for wireless network
CN102958136B (zh) * 2011-08-12 2018-03-16 Sk电信有限公司 基于多网络的同时数据传输方法和应用于该方法的设备
US9262624B2 (en) 2011-09-16 2016-02-16 Mcafee, Inc. Device-tailored whitelists
US8744439B2 (en) * 2011-10-07 2014-06-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initiation of connections within a network
US8813194B2 (en) * 2011-10-27 2014-08-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nabling access to a secured wireless local network without user input of a network password
US9445438B2 (en) 2011-10-28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US9271317B2 (en) 2011-10-28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US9402243B2 (en) 2011-10-28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US9191977B2 (en) 2011-10-28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US8873494B2 (en) 2011-10-28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US9338732B2 (en) 2011-10-28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US9814085B2 (en) 2011-10-28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initial network link setup
KR101160903B1 (ko) 2011-11-08 2012-06-29 주식회사 씽크풀 네트워크 식별자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10802B1 (en) 2011-12-19 2013-08-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Home network access node usage prevention by blocking access node entries in a preferred roaming list
US20140328187A1 (en) * 2012-01-02 2014-11-06 Nokia Corporation Network Connectivity Management in Wireless Apparatus
US9191796B2 (en) * 2012-02-27 2015-11-17 Metaswitch Networks Ltd Communication sessions
US8713658B1 (en) 2012-05-25 2014-04-29 Graphon Corporatio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single sign-on (SSO) capability in an application publishing environment
CN102685838A (zh) * 2012-05-25 2012-09-19 华为终端有限公司 小区重选方法及移动终端
US9419848B1 (en) 2012-05-25 2016-08-16 hopTo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a document sharing service in combination with remote access to document applications
US8856907B1 (en) 2012-05-25 2014-10-07 hopTo Inc. System for and methods of providing single sign-on (SSO) capability in an application publishing and/or document sharing environment
US8811291B2 (en) * 2012-05-30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optimized cell acquisitions
US8718644B2 (en) * 2012-06-08 2014-05-06 Apple Inc. Automatically modifying wireless network connection policies based on user activity levels
KR101909262B1 (ko) * 2012-06-18 2018-10-17 주식회사 케이티 접속점 이름 검사 방법 및 장치
FR2993743A1 (fr) 2012-07-20 2014-01-24 France Telecom Procede de gestion de la mobilite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en fonction d'un profil d'utilisation de credits stocke dans un serveur de gestion de credits
FR2993745A1 (fr) * 2012-07-20 2014-01-24 France Telecom Procede de gestion de la mobilite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en fonction de la qualite de service d'un service accede
FR2993744A1 (fr) 2012-07-20 2014-01-24 France Telecom Procede de gestion de la mobilite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en fonction de la velocite d'un terminal mobile
US9239812B1 (en) 2012-08-08 2016-01-19 hopTo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a universal I/O command translation framework in an application publishing environment
US8649788B1 (en) 2012-08-13 2014-02-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ynamic wireless transceiver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953180B2 (en) 2012-09-28 2018-04-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ggregation server
US8825045B2 (en) * 2012-10-05 2014-09-02 Smith Micro Software, Inc. Policy-based roaming updates for mobile devices
CN103781150A (zh) * 2012-10-17 2014-05-07 中国移动通信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接入基站的方法及装置
KR101440080B1 (ko) * 2012-11-20 2014-09-17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 정보에 기반하여 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8373B1 (ko) * 2013-01-22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79533B1 (ko) * 2013-02-28 2020-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으로부터의 셀 접속 제어 및 유효한 주변 무선랜 엑세스포인트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080148A (zh) * 2013-03-29 2014-10-01 华为终端有限公司 实现快速网络连接的方法和装置
CN104093189A (zh) * 2013-09-03 2014-10-0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多媒体播放设备网络初始化的方法、系统、设备与终端
US20150131460A1 (en) * 2013-11-13 2015-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rssi and rtt information for choosing access points to associate with
US8830913B1 (en) 2013-11-13 2014-09-09 Google Inc. Location-based software updates
US9088959B1 (en) * 2013-11-26 2015-07-21 Sprint Spectrum L.P. Paging back-off timer
CN113490255A (zh) * 2013-12-03 2021-10-0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网络切换方法及终端
US9794261B2 (en) 2014-03-28 2017-10-17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erver
CN103929419B (zh) * 2014-03-28 2017-04-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访问控制方法和装置
GB201406340D0 (en) * 2014-04-08 2014-05-21 Analog Devices Technology Dominant signa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9596646B2 (en) * 2014-05-08 2017-03-14 Intel IP Corporation Blacklisting techniques for detected set event evaluation
CN103997768B (zh) * 2014-05-16 2018-0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止接入无效Wi‑Fi热点的方法及装置
CN105282862B (zh) * 2014-06-17 2020-07-31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网络访问接入点连接方法及终端
US9509785B2 (en) * 2014-07-16 2016-11-29 Aruba Networks, Inc. Location approximation and discovery of wired servers
JP6445575B2 (ja) * 2014-09-26 2018-12-2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無線端末
WO2016065511A1 (zh) * 2014-10-27 2016-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注册方法、装置和用户终端
CN104580152A (zh) * 2014-12-03 2015-04-29 中国科学院信息工程研究所 一种防护wifi钓鱼的保护方法及系统
CN104486816A (zh) * 2014-12-08 2015-04-01 电子科技大学 Wifi终端设备在多接入点中的快速自动扫描方法
US20170374071A1 (en) * 2014-12-31 2017-12-28 Bandwidth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wireless services
US10182379B2 (en) 2015-01-28 2019-01-15 Hfi Innovation Inc. Offloadability of PDN connection for LTE-WLAN interworking control and management
CN104684048B (zh) * 2015-03-04 2019-06-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Wifi列表的展现方法和装置
US9706484B2 (en) 2015-04-16 2017-07-11 Apple Inc. Varying HP-PLMN scan rate using scan history
CN105101368A (zh) * 2015-07-15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网络接入方法、设备及系统
CN105120505B (zh) * 2015-07-28 2019-04-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接入路由器的方法、装置以及系统
KR20170019936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EP3335476B1 (en) * 2015-08-14 2019-05-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ommunic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identifications and related node
CN106488534B (zh) * 2015-08-27 2019-12-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获取网络接入点的方法及系统
CN105517016B (zh) 2015-12-01 2019-10-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对路由设备的管理方法、移动终端及装置
CN105611556B (zh) * 2016-01-04 2019-11-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接入点设备性能优劣判断方法及装置
CN107046705B (zh) * 2016-02-05 2021-04-30 合勤科技股份有限公司 接入点名称自动取得方法、系统与网络装置
US10313351B2 (en) 2016-02-22 2019-06-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passcodes in association with a wireless access point
US9699716B1 (en) 2016-03-01 2017-07-04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ccess point name information
JP6558279B2 (ja) 2016-03-08 2019-08-1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70279766A1 (en) * 2016-03-24 2017-09-28 Chittabrata Ghosh Group addresses in wireless networks
US10057787B2 (en) * 2016-04-06 2018-08-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WO2017176376A1 (en) * 2016-04-08 2017-10-12 Intel IP Corporation 60ghz-lwa support: discovery and keep alive
US11277439B2 (en) * 2016-05-05 2022-03-15 Neust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and/or preventing distributed denial-of-service attacks
CN106211128B (zh) * 2016-06-29 2019-08-0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Wlan接入状态事件的生成方法和装置
EP3487405B1 (en) * 2016-07-20 2023-07-12 Dex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glucose data
CN106162827A (zh) * 2016-08-16 2016-11-23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网络接入点存储处理方法及系统
TWI601864B (zh) * 2016-08-19 2017-10-11 Zeng Hsing Industrial Co Ltd Embroidery machine wireless transmission control method
CN108307430B (zh) * 2016-09-27 2020-07-1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数据传输的控制方法及终端
SG10201608276UA (en) * 2016-10-03 2018-05-30 Huawei Int Pte Ltd A Blacklist Management Method for IBC-based Distributed Authentication Framework
US10462166B2 (en) * 2016-10-11 2019-10-29 Arbor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iered blacklists for mitigating network attacks
CN106454841A (zh) * 2016-10-19 2017-02-2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无线接入点处理方法和终端
CN106412910A (zh) * 2016-10-27 2017-02-1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筛选ssid接入点的方法和无线终端
US10306697B2 (en) * 2016-10-28 2019-05-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to connect to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6851780B (zh) * 2016-12-07 2019-12-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的方法及终端
US10856151B2 (en) 2016-12-27 2020-12-01 Bandwidthx Inc. Radio management based on user intervention
US10172020B2 (en) * 2017-04-06 2019-01-01 Common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ing and wirelessly routing communications
US11272443B2 (en) 2017-04-19 2022-03-08 Coronet Cyber Security Ltd. Distributed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security
CN107302395B (zh) * 2017-06-21 2020-03-27 交通运输通信信息集团有限公司 海事卫星关口站安全通信管控方法和系统
US10805820B2 (en) * 2017-06-30 2020-10-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detection and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126533B2 (en) 2017-08-18 2021-09-21 Vmware, Inc. Temporal analysis of a computing environment using event data and component relationship data
US11243983B2 (en) * 2017-10-30 2022-02-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mpact storage and efficient retrieval of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detecting rogue access points
US10623995B2 (en) * 2017-12-15 2020-04-14 Gogo Llc Dynamic load balancing of satellite beams
CN108632280A (zh) * 2018-05-08 2018-10-09 国家计算机网络与信息安全管理中心 流量处理方法、装置及系统、防火墙和服务器
US11277380B2 (en) * 2018-12-17 2022-03-15 T-Mobile Usa, Inc. Adaptive malicious network traffic response
EP3672183A1 (en) 2018-12-18 2020-06-24 Gemalto M2M GmbH Method for securing a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from a jamming attack
BR112021016477A2 (pt) * 2019-03-06 2022-03-03 Greet Solutions Llc Sistema e método de identificação e autenticação de usuário baseada em proximidade
EP3745758B1 (en) * 2019-05-29 2021-12-22 Telefonica Cybersecurity & Cloud Tech S.L.U.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U2020318888B2 (en) * 2019-07-19 2024-01-11 Thirdwayv, Inc. Anti-clon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10893460B1 (en) 2019-10-30 2021-01-1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limit wireless connectivity roaming of multi-function devices
CN113645669A (zh) * 2020-05-11 2021-11-12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一种针对无线终端的网络接入控制方法及系统
CN115552967A (zh) * 2020-06-01 2022-12-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避开问题小区的方法和相关产品
US20220070193A1 (en) * 2020-08-28 2022-03-03 Mcafee,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analyze telemetry data of a network device for malicious activity
CN112925812A (zh) * 2021-03-01 2021-06-08 武汉蔚来能源有限公司 数据接入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4426A1 (en) 2003-06-24 2004-12-30 Alps Electric Co., Ltd. Method for accessing an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and station
US20060168438A1 (en) 2000-07-12 2006-07-27 Symbol Technologies, Inc. Auto configuration of portable computers for us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100792281B1 (ko) 2005-12-16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id 충돌 탐지 및 충돌 해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764A (en) 1993-07-01 1995-08-22 Motorola, Inc. Method of providing a subscription lock to a radiotelephone system
KR100304238B1 (ko) 1993-07-16 2001-11-22 맨스 에케로프 무선통신시스템에서송수신기작동을제어하는방법및장치
AU2097495A (en) 1994-05-06 1995-11-29 Motorola, Inc. System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channel
DE19708189C2 (de) 1997-02-28 2000-02-17 Deutsche Telekom Mobil Zu einem öffentlichen Mobilkommunikationssystem kompatibles nicht öffentliches Schnurlos-Kommunikationssystem
US7003297B2 (en) 1999-04-06 2006-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rtial support of mobility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GB2352586B (en) 1999-06-07 2004-03-10 Nec Corp Handover between mobile networks
EP1065904A1 (en) 1999-06-29 2001-01-03 Alcatel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RU2158485C1 (ru) 2000-01-24 2000-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и Би Кей Интернэшнл"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права доступа абонента к системе коллективного пользования
FI20010095A (fi) 2001-01-16 2002-07-17 Nokia Corp Varmennusmenetelmä, monitoroiva verkkoelementti tietoliikenneverkoissa ja tietoliikennejärjestelmä
US7184710B2 (en) 2001-02-13 2007-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of filtering/filtered information over the lur interface
DE10296699T5 (de) 2001-04-30 2004-04-22 Enterasys Networks, Inc., Andover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ie skalierbare, leitungsratenprotokoll-unabhängige Vermittlung zwischen mehreren Fernzugriffspunkten in einem drahtlosen lokalen Netz
KR20030015531A (ko) 2001-08-16 2003-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단말기의 셀 선택 개선 방법
JP3792154B2 (ja) 2001-12-26 2006-07-0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ネットワーク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アクセスポイントの認識処理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のチェック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6950660B1 (en) 2002-05-10 2005-09-27 Qualcomm, Incorporated Provisioning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96030B2 (en) 2002-06-28 2006-08-2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location-dependent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CN1720757B (zh) 2002-11-04 2011-07-06 捷讯研究有限公司 用于分组数据服务发现的方法和装置
EP1463366B1 (en) 2003-03-24 2007-12-05 Star Home GmbH Preferred network selection
US20040192313A1 (en) 2003-03-25 2004-09-30 Motorola, Inc. Method for cell selection and reselection by a cellular mobile station in idle mode
JP3764435B2 (ja) 2003-03-26 2006-04-0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416487B2 (en) 2003-04-16 2008-08-2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device, game machine, and communication method
JP4906239B2 (ja) 2003-04-16 2012-03-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装置、ゲーム機および通信方法
ATE333763T1 (de) * 2003-09-16 2006-08-15 Research In Motion Ltd Aktualisierungsbereitsstellung auf bedarfsbasis für eine mobile kommunikationsvorrichtung
GB2407003B (en) 2003-10-10 2006-08-09 Toshiba Res Europ Ltd Wireless access systems
RU2353073C2 (ru) 2003-10-24 2009-04-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Эстафетная передача обслуживания между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ью и сотовой системой связи
EP1740004B1 (en) * 2004-03-25 2013-10-09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22913A1 (en) * 2004-04-01 2005-10-06 Ian Eisenberg PR/SMS business method,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business
US7894823B2 (en) 2004-06-07 2011-02-22 Nokia Inc. System for enhanced capacity and quality over WLAN
EP1638357B1 (en) 2004-09-15 2007-05-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eferred network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7483702B2 (en) 2004-10-20 2009-01-27 Nokia Corporation Cell reselection for improving network interconnection
EP1820301A4 (en) 2004-12-09 2012-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the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in a network distribution system
US7468966B2 (en) 2004-12-30 2008-12-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neighbor track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GB2425439B (en) 2005-04-19 2007-05-09 Motorola Inc Determination of a network identity for a network access point
KR100989633B1 (ko) 2005-08-15 2010-10-26 노키아 코포레이션 방송 메시지들 내 로컬 영역 정보의 삽입 및 무선 액세스네트워크 블랙리스트의 유지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WO2007040451A1 (en) 2005-10-04 2007-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controller selection for ip-connected radio base station
JP4837779B2 (ja) 2006-06-21 2011-12-1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累積隣接セルリスト
US20080009307A1 (en) 2006-07-06 2008-01-10 Ramesh Sekhar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wireless client communication
US9049651B2 (en) 2006-08-25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an access point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078165B2 (en) 2006-09-07 2011-12-13 Airvana, Corp. Configuring preferred user zone lists for private access points for wireless networking
CA2619397C (en) * 2006-10-20 2015-03-31 T-Mobile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access to an ip-based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ervice
US8848655B2 (en) * 2007-06-21 2014-09-30 Ubeeairwalk,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user equipment handoff from a macrocellular network to an IP-femtocell network
US8594663B2 (en) * 2007-09-24 2013-11-26 Airvana Llc Selecting embedded cells in wireless networks
CA2713179C (en) 2008-02-15 2014-01-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blacklist for femtocells
US9363745B2 (en) 2008-03-26 2016-06-07 Srinivasan Balasubramanian Device managed access point l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863235B2 (en) * 2008-05-13 2014-10-14 At&T Mobility Ii Llc Time-dependent white list generation
US9338811B2 (en) * 2009-03-06 2016-05-1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ective access to wireless network resources using detailed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8438A1 (en) 2000-07-12 2006-07-27 Symbol Technologies, Inc. Auto configuration of portable computers for us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20040264426A1 (en) 2003-06-24 2004-12-30 Alps Electric Co., Ltd. Method for accessing an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and station
KR100792281B1 (ko) 2005-12-16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id 충돌 탐지 및 충돌 해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996A (ko) * 2019-02-01 2019-02-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5372B1 (ko) * 2019-02-01 2019-12-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4500375B1 (en) 2016-03-07
TW200948150A (en) 2009-11-16
KR20120040252A (ko) 2012-04-26
KR101269058B1 (ko) 2013-05-29
CA2952408A1 (en) 2009-10-01
US9363745B2 (en) 2016-06-07
CA2952400C (en) 2018-06-12
IL208267A0 (en) 2010-12-30
CN102067678A (zh) 2011-05-18
CA2952402C (en) 2018-06-12
JP5826799B2 (ja) 2015-12-02
TW201330655A (zh) 2013-07-16
CA2952400A1 (en) 2009-10-01
PH12014500375A1 (en) 2016-03-07
KR101269064B1 (ko) 2013-05-29
WO2009120898A2 (en) 2009-10-01
MX2010010359A (es) 2011-03-04
CA2952442C (en) 2018-06-12
HK1158422A1 (en) 2012-07-13
EP2272285B1 (en) 2021-05-26
CA2854958A1 (en) 2009-10-01
PH12014500376A1 (en) 2015-05-11
TW201334584A (zh) 2013-08-16
TWI428033B (zh) 2014-02-21
CA2854961A1 (en) 2009-10-01
JP2013123234A (ja) 2013-06-20
JP2013255240A (ja) 2013-12-19
US20090245176A1 (en) 2009-10-01
CA2854958C (en) 2017-06-20
PH12014500374A1 (en) 2015-08-24
JP2016007050A (ja) 2016-01-14
TW201330654A (zh) 2013-07-16
TWI492644B (zh) 2015-07-11
TW201330653A (zh) 2013-07-16
MY174455A (en) 2020-04-20
IL235311B (en) 2018-05-31
JP2013123235A (ja) 2013-06-20
TWI499319B (zh) 2015-09-01
KR20120038524A (ko) 2012-04-23
JP2016067031A (ja) 2016-04-28
JP5684297B2 (ja) 2015-03-11
CA2719604A1 (en) 2009-10-01
MY174432A (en) 2020-04-17
EP2272285A2 (en) 2011-01-12
KR101208631B1 (ko) 2012-12-10
CA2719604C (en) 2020-12-29
MY174454A (en) 2020-04-20
RU2497311C2 (ru) 2013-10-27
AU2009228222B2 (en) 2014-05-08
CN102067678B (zh) 2014-06-18
MY182626A (en) 2021-01-27
CA2854961C (en) 2016-09-27
CA2952408C (en) 2018-06-19
KR20120038525A (ko) 2012-04-23
WO2009120898A3 (en) 2009-12-03
TWI507053B (zh) 2015-11-01
JP2011517186A (ja) 2011-05-26
PH12014500376B1 (en) 2015-05-11
CA2952402A1 (en) 2009-10-01
KR20110000667A (ko) 2011-01-04
JP6526550B2 (ja) 2019-06-05
TWI597991B (zh) 2017-09-01
RU2010143595A (ru) 2012-05-10
AU2009228222A1 (en) 2009-10-01
CA2952442A1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316B1 (ko) 무선 통신들 내의 디바이스 관리형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
AU2017213486B2 (en) Device managed access point l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AU2013213722B9 (en) Device managed access point l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