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044B1 -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044B1
KR101266044B1 KR1020127011735A KR20127011735A KR101266044B1 KR 101266044 B1 KR101266044 B1 KR 101266044B1 KR 1020127011735 A KR1020127011735 A KR 1020127011735A KR 20127011735 A KR20127011735 A KR 20127011735A KR 101266044 B1 KR101266044 B1 KR 10126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adio base
indication information
mobile sta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089A (ko
Inventor
미키오 이와무라
아닐 우메시
미나미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5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적절히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이나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UE)은,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고,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매크로 셀에 있어서 통신중인 이동국(UE)은, fingerprint로서 관리되고 있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매크로 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eNB)에 대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상기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수신한 무선기지국(eNB)은, 이동국(UE)에 대해, 소정 'measurement gap'에서 주파수 F2의 CSG 셀#1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MeasConfig'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매크로 셀에 있어서 통신중인 이동국(UE)은, fingerprint로서 관리되고 있는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매크로 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eNB)에 대해,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상기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수신한 무선기지국(eNB)은, 이동국(UE)에 대해, 소정 'measurement gap'에 있어서의 주파수 F2의 CSG 셀#1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을 측정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 'MeasConfig'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CSG 셀이란, 특정한 이동국(UE)만이 액세스 가능한 셀을 가리키며, 이동국(UE)은, 각 셀의 알림정보를 확인하고,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CSG ID가, 이동국(UE)이 기억하고 있는 'allowed CSG list'에 포함되는 경우에 해당 CSG에 속한다고 판정하고,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CSG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CSG indication'이 'TRUE'인 경우는, CSG에 속하는 이동국(UE)만이 액세스 가능해지고,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CSG indication'이 'FALSE'인 경우는, CSG에 속하는 이동국(UE)이 우선적으로 액세스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UE)에 의한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이나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의 송신조건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국(UE)에 의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이나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이 빈번히 송신되고, 무선 리소스가 낭비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적절히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이나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제1 주파수의 셀에서 통신중인 이동국이, 제2 주파수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1 주파수의 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에 대해, 제1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공정 A와,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 대해, 소정 측정 간격으로 상기 제2 주파수의 셀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측정구성을 송신하는 공정 B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공정 C와,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 대해, 상기 측정 간격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주파수의 셀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의 측정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측정구성을 송신하는 공정 D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지시정보 또는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공정 C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지시정보 또는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제1 주파수의 셀에서 통신중에, 제2 주파수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1 주파수의 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에 대해, 제1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지시정보 또는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지시정보 또는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UE)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이며,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B#A)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주파수 F1의 셀#A, 및, 무선기지국(HeNB#1)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주파수 F2의 CSG 셀#1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CSG 셀#1은, 셀#A의 에어리어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UE)은, 관리부(11)와, 수신부(12)와, 송신부(13)와, 처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관리부(11)는, 이동국(UE)이 액세스권을 갖는 CSG 셀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 관리부(11)는, 이동국(UE)이 액세스권을 갖는 CSG 셀#1의 주파수 F2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1을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신부(12)는, 무선기지국(eNB)에 의해 송신된 신호, 예를 들면, 'MeasConfig(측정구성)'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부(13)는, 무선기지국(eNB)에 대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송신부(13)는, 주파수 F1의 셀#A에서 통신중에,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제1 지시정보)'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송신부(13)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Prohibited Timer(소정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rohibited Timer'는, 송신부(13)에 의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이 송신된 경우에 기동되는 타이머이다.
또, 송신부(13)는, 주파수 F1의 셀#A에서 통신중에,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제2 지시정보)'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송신부(13)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Prohibited Timer'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 에어리어#1은, 상술한 CSG 셀#1보다도 큰 에어리어여도 좋으며, 상술한 CSG 셀#1과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소정 에어리어#1(fingerprint)은, 이동국(UE)이 상술한 CSG 셀#1이 존재하는 '주변 환경'에 관해 기억하고 있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주변에 존재하는 매크로 셀의 ID나 매크로 셀로부터의 신호 수신레벨이나 GPS 정보 등에 기초하는 정보여도 좋으며, 또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나 PLMN ID 등이어도 좋으며, 어떠한 정보를 사용하는지는, 실장 의존이어도 좋다.
처리부(14)는, 무선기지국(eNB#A)으로부터, 소정 'Measurement gap(측정 간격)'을 포함하는 'MeasConfig(측정구성)'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소정 'Measurement gap'에 있어서, 주파수 F2에 있어서 셀 서치하고, CSG 셀#1을 검출한 경우, 그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처리부(14)는, 무선기지국(eNB#A)으로부터, 소정 'measurement gap'에 있어서의 주파수 F2의 CSG 셀#1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의 측정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 'MeasConfig'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셀 서치 및 무선품질의 측정을 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1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 즉, 무선기지국(eNB#A)은, 개별 시그널링에 의해, 'entering/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의 송신을 허가한다.
또, 단계 S10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A)은, SI(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해야 하는 PCI(Physical Cell Identity)의 범위를 통지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이동국(UE)은, fingerprint로서 관리되고 있는 CSG 셀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CSG 셀)로 들어간 것, 또는,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CSG 셀의 주파수 F2는, 비(非) 서빙 주파수인 것으로 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이동국(UE)은, 상기 주파수 F2에 대한 'MeasConfig'를 관리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YES'인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7로 진행되고, 'NO'인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4로 진행된다.
단계 S104에 있어서, 이동국(UE)은, 'Prohibited Timer'가 기동중인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YES'인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2로 되돌아가고, 'NO'인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5로 진행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entering/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한다.
이때, 이동국(UE)은, 'entering/leaving proximity indication'에, 상기 CSG 셀#1의 주파수 F2를 포함시켜 송신한다. 또, 이동국(UE)은, 상기 CSG 셀#1의 무선 액세스 방식(RAT)을 포함시켜 송신해도 좋다.
단계 S1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A)은, 이동국(UE)에 대해, 상기 주파수 F2에 대한 'MeasConfig'를 송신한다.
단계 S107에 있어서, 이동국(UE)은, 수신한 주파수 F2에 대한 'MeasConfig'에 포함되어 있는 'Measurement gap'에 있어서, 주파수 F2의 CSG 셀#1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을 측정하고, CSG 셀#1에 대한 셀 서치(cell search) 처리나 측정(measurement) 처리나 SI 수신(SI reading) 처리 등을 수행한다.
단계 S108에 있어서, 이동국(UE)은, 'Measurement Report(측정보고)'의 송신조건(예를 들면, Event A3)이 만족되었을 때에, SI의 수신에 성공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한다.
'YES'인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12로 진행되고, 'NO'인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9로 진행된다.
단계 S109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이동국(UE)이 CSG 셀#1에 대한 액세스권을 갖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likely/unlikely indication'을 포함하는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한다.
이동국(UE)은, 'Measurement Report'에서 보고되는 PCI에 대응하는 셀이, 해당 이동국(UE)이 속하는 CSG의 셀이라고 추측되는 경우는 'likely'라고 보고하고, 해당 이동국(UE)이 속하지 않는 CSG의 셀이라고 추측되는 경우는 'unlikely'라고 보고한다.
이동국(UE)은, 'fingerprint' 정보로서, CSG 셀의 PCI 정보도 함께 기억하고, 이에 기초하여 'likely/unlikely'의 추측을 수행해도 좋다.
단계 S110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A)은, 이동국(UE)에 대해, SI의 수신 처리를 수행하지 위한 구성을 통지한다.
단계 S111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B#A)으로부터 통지된 'gap'에 기초하여, SI의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112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CSG 셀#1에 대한 CGI(Cell Global Identity)나 TAI(Tracking Area Identity)나 'Preliminary access check'의 결과를 나타내는 'member/non-member indication'을 포함하는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한다.
이동국(UE)은, 수신한 알림정보(SI)에 포함되는 CSG ID로부터, 해당 셀의 CSG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해당 셀의 CSG에 속하는 경우는 'member'라고 보고하고, 해당 셀의 CSG에 속하지 않는 경우는 'non-member'라고 보고한다.
단계 S113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는, 상기 'Measurement Report'에 기초하여, 이동국(UE)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UE)은,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Prohibited Timer'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고,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국(UE)에 의해 'entering/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이 빈번히 송신되고, 무선 리소스가 낭비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 무선기지국(eNB)은, 수신한 'entering/leaving proximity indication'에 따라 측정 제어 'MeasConfig'를 수행하기 때문에, 빈번한 측정 제어를 피할 수 있다.
(변경 예 1)
이하, 본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본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UE)의 송신부(13)는, 제1 주파수 F1의 셀#A에서 통신중에,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CSG 셀#1의 PCI를 포함하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송신부(13)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Prohibited Timer(소정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일 RAT 및 주파수에 따른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동국(UE)의 송신부(13)는, 제1 주파수 F1의 셀#A에서 통신중에,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CSG 셀#1의 PCI를 포함하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송신부(13)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Prohibited Timer(소정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일 RAT 및 주파수에 따른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UE)이, 무선기지국(eNB#1)에 대해, 액세스권을 갖는 CSG 셀#1의 PCI를 포함하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기지국(eNB#A)이, 이동국(UE)이 액세스권을 갖고 있지 않은 CSG 셀에 대한 'SI reporting'의 송신을 요구하는 'SI reporting 요구'를 송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CSG 셀로의 Inbound 핸드오버 수순에서는, 이동국(UE)이, 핸드오버처 셀(Target Cell)에 있어서 송신되고 있는 알림정보를 수신하고, 통신중인 무선기지국(S-eNB)에 대해, 핸드오버처 셀의 'CGI'나, 핸드오버처 셀의 'TAI'나, 핸드오버처 셀에 의해 알려져 있는 'CSG ID'에 속하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member/non-member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작을, 'SI(System Information) reporting'이라 부르고, 무선기지국(eNB#A)이 이동국(UE)에 대해 'SI reporting'을 수행하는 것을 요구하는 신호를 'SI reporting 요구'라 부른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F1(제1 주파수)의 셀#A에서 통신중인 이동국(UE)이, 주파수 F2(제2 주파수)를 이용하는 CSG 셀#1(특정 셀)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주파수 F1의 셀#A를 관리하는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제1 지시정보)'을 송신하는 공정 A와, 무선기지국(eNB#A)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수신한 경우에, 이동국(UE)에 대해, 소정 'measurement gap(소정 측정 간격)'으로 주파수 F2의 CSG 셀#1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MeasConfig(측정구성)'를 송신하는 공정 B와, 이동국(UE)이,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제2 지시정보)'을 송신하는 공정 C와, 무선기지국(eNB#A)이,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수신한 경우에, 이동국(UE)에 대해, 소정 'measurement gap'에 있어서의 주파수 F2의 CSG 셀#1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의 측정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 'MeasConfig'를 송신하는 공정 D를 구비하고, 공정 A에 있어서, 이동국(UE)은,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즉, 'Prohibited Timer'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고, 공정 C에 있어서, 이동국(UE)은,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즉, 'Prohibited Timer'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술한 소정 기간은, 고정값이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eNB#A)에 의해 알림정보 또는 개별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된 값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공정 A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더, 주파수 F2에 관한 'MeasConfig'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공정 C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더, 주파수 F2에 관한 'MeasConfig'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공정 A에 있어서, 이동국(UE)은,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CSG 셀#1에 있어서 알려지는 Primary-SCH 신호 및 Secondary-SCH 신호(동기신호)에 대한 스크램블 처리에 이용되는 PCI(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공정 C에 있어서, 이동국(UE)은,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CSG 셀#1의 PCI를 포함하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이동국(UE)에 있어서, 주파수 F1의 셀#A에서 통신중에,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주파수 F1의 셀#A를 관리하는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13)를 구비하고, 송신부(13)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즉, 'Prohibited Timer'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송신부(13)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 또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즉, 'Prohibited Timer'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술한 소정 기간은, 고정값이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eNB#A)에 의해 알림정보 또는 개별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된 값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송신부(13)는, 더, 주파수 F2에 관한 'MeasConfig'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송신부(13)는, 더, 주파수 F2에 관한 'MeasConfig'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송신부(13)는, 제1 주파수 F1의 셀#A에서 통신중에, 소정 에어리어#1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CSG 셀#1의 PCI를 포함하는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송신부(13)는, 제1 주파수 F1의 셀#A에서 통신중에, 소정 에어리어#1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A)에 대해, CSG 셀#1의 PCI를 포함하는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기지국(eNB/HeNB)이나 이동국(UE)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무선기지국(eNB/HeNB)이나 이동국(U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무선기지국(eNB/HeNB)이나 이동국(U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적절히 'entering proximity indication'이나 'leaving proximity indication'을 송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제1 주파수의 셀에서 통신중인 이동국이, 제2 주파수를 이용하는 특정 셀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하고, 제1 지시 정보만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제1 주파수의 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재송신하는 공정 A;
    상기 이동국이,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하고, 제2 지시 정보만을 송신하고 나서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재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고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상기 무선기지국에 의해 통지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2 주파수를 이용하는 특정 셀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하고, 제1 지시 정보만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상기 제2 주파수에 관한 ‘무선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만을 송신하고 나서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상기 제2 주파수에 관한 ‘무선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 대해, 상기 제2 주파수의 셀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을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측정구성을 송신하는 공정;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동국에 대해, 상기 제2 주파수의 셀에 있어서의 무선품질의 측정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 측정구성을 송신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7. 제1 주파수의 셀에서 통신중에, 제2 주파수를 이용하는 특정 셀에 대응하는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1 주파수의 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에 대해, 제1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지시정보 또는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 에어리어 내로 재진입한 것을 검출하거나, 상기 소정 에어리어에 계속 머무르는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재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지시정보 또는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재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고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상기 무선기지국에 의해 통지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더, 상기 제2 주파수에 관한 ‘무선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더, 상기 제2 주파수에 관한 ‘무선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특정 셀에 있어서 PCI(Physical Cell Identity)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PCI(Physical Cell Identity)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주파수의 셀에서 통신중에, 상기 소정 에어리어 내로 들어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PCI(Physical Cell Identity)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5. 제 7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주파수의 셀에서 통신중에, 상기 소정 에어리어로부터 밖으로 나간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PCI(Physical Cell Identity)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지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KR1020127011735A 2009-11-02 2010-10-26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 KR101266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2486 2009-11-02
JP2009252486 2009-11-02
JP2010003204A JP4695213B1 (ja) 2009-11-02 2010-01-08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JPJP-P-2010-003204 2010-01-08
PCT/JP2010/068951 WO2011052576A1 (ja) 2009-11-02 2010-10-26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089A KR20120053089A (ko) 2012-05-24
KR101266044B1 true KR101266044B1 (ko) 2013-05-22

Family

ID=4392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735A KR101266044B1 (ko) 2009-11-02 2010-10-26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65833B2 (ko)
EP (1) EP2498537B1 (ko)
JP (1) JP4695213B1 (ko)
KR (1) KR101266044B1 (ko)
CN (1) CN102598776B (ko)
AU (1) AU2010312616B2 (ko)
BR (1) BR112012010408A2 (ko)
CA (1) CA2779537C (ko)
WO (1) WO20110525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210B2 (en) 2014-01-03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roximity of femto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0131B1 (en) * 2011-07-07 2017-09-13 Alcatel Lucent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covering a small cell in a heterog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9699608B2 (en) * 2011-08-04 2017-07-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ignaling
JP6403203B2 (ja) * 2013-01-28 2018-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4301947B (zh) * 2013-07-17 2019-07-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性处理方法及装置
CN104349362B (zh) * 2013-08-07 2019-09-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pi上报方法、系统及ue、网络设备
CN104519557B (zh) 2013-09-29 2020-0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小小区唤醒的方法与接入网元设备
WO2015109523A1 (zh) * 2014-01-24 2015-07-30 富士通株式会社 小区选择方法、装置和通信系统
KR102629332B1 (ko) * 2018-04-17 2024-01-24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셀 글로벌 식별 리포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108A (ja) 2008-02-01 2009-09-10 Panasonic Corp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301B1 (en) * 1998-10-15 2001-07-03 Qualcomm Incorporated Reservation multiple access
WO2006012909A1 (en) * 2004-08-02 2006-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N1842198A (zh) * 2005-03-29 2006-10-04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控制频率切换的方法和装置
US8213382B2 (en) * 2005-05-30 2012-07-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ntrolling handovers within a multi-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16072B1 (ko) * 2006-01-03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인터-프리퀀시 측정 지원 방법
JP5023150B2 (ja) * 2006-06-20 2012-09-1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Lte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
WO2008103084A1 (en) * 2007-02-20 2008-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from a macro cell back to a femto cell
US8023467B2 (en) * 2007-04-27 2011-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DRX operation during handover in LTE
KR101606313B1 (ko) * 2007-04-30 2016-03-2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홈 노드 b에서의 이동성 절차 및 차별화된 과금
WO2008147268A1 (en) * 2007-05-31 2008-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ce avoidance in a wcdma system
KR101454021B1 (ko) * 2007-08-07 2014-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홈셀/개인네트워크셀의 메저먼트 장치및 방법
JP4567714B2 (ja) * 2007-08-17 2010-10-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方法
CN101816209B (zh) * 2007-10-03 2013-04-24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户设备重定位到微微基站期间的接入控制
US20090109926A1 (en) 2007-10-31 2009-04-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n-order delivery during handoff using a timer in mobile communications
ES2908589T3 (es) * 2007-11-02 2022-05-03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y aparatos para procesar mensajes de control de errore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US8379550B2 (en) * 2008-01-31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ation based femtocell device configuration and handoff
US8676204B2 (en) * 2008-03-19 2014-03-18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9913206B2 (en) * 2008-03-21 2018-03-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closed subscriber group cells
JP5212466B2 (ja) * 2008-03-26 2013-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リソースの制御方法、無線局装置、無線局制御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09146107A2 (en) * 2008-04-02 2009-12-03 Mavenir Systems, Inc. Accessing core network services
US8260206B2 (en) * 2008-04-16 2012-09-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and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WO2009132276A2 (en) * 2008-04-25 2009-10-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adio link control status reporting and polling
US8526440B2 (en) * 2008-04-28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Partial radio link control status report
US8639997B2 (en) * 2008-09-03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Buffer status report trigger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433317B2 (en) * 2008-11-27 2013-04-30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home cell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device
US8666410B2 (en) * 2008-09-22 2014-03-04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cell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device
KR101488264B1 (ko) * 2008-10-13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00042204A (ko) * 2008-10-15 201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갱신 수행방법
JP5155819B2 (ja) * 2008-10-30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受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0050780A2 (en) * 2008-10-31 2010-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a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288747B2 (en) * 2008-11-03 2016-03-15 Ramachandran Subramanian Switching wireless network selection modes in conjunction with selection of a wireless cell set
US8175603B1 (en) * 2009-02-24 2012-05-08 Eden Rock Communications, Llc Neighboring cell directed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US8340081B2 (en) * 2009-03-23 2012-12-25 Motorola Mobility Llc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to a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private base station
US8848547B2 (en) * 2009-06-22 2014-09-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network
US8428015B2 (en) * 2009-06-29 2013-04-23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Permanent 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s for femtocell
US8774135B2 (en) * 2009-08-17 2014-07-0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failure recov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108A (ja) 2008-02-01 2009-09-10 Panasonic Corp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2210B2 (en) 2014-01-03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roximity of femto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9537A1 (en) 2011-05-05
AU2010312616A1 (en) 2012-05-31
JP2011120191A (ja) 2011-06-16
BR112012010408A2 (pt) 2019-09-24
US8665833B2 (en) 2014-03-04
AU2010312616B2 (en) 2014-02-06
CA2779537C (en) 2015-11-24
EP2498537B1 (en) 2014-10-01
CN102598776B (zh) 2014-01-01
CN102598776A (zh) 2012-07-18
WO2011052576A1 (ja) 2011-05-05
EP2498537A1 (en) 2012-09-12
EP2498537A4 (en) 2013-07-03
JP4695213B1 (ja) 2011-06-08
US20120263064A1 (en) 2012-10-18
KR20120053089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044B1 (ko)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
KR101330161B1 (ko) 이동통신방법, 이동국 및 무선기지국
KR101190126B1 (ko) 이동통신방법, 이동국 및 무선기지국
JP5456695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US9215629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20100126776A (ko) 이동국 및 무선기지국
KR20120049409A (ko)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US20110105128A1 (en)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0150881A1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101303181B1 (ko) 이동통신방법
WO2011083866A1 (ja)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KR101336772B1 (ko) 이동통신방법
US8676200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handover method
EP2453692A1 (en) Automatic neighbor relation table setup
JP2011120284A (ja)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