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000B1 -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000B1
KR101266000B1 KR1020110068683A KR20110068683A KR101266000B1 KR 101266000 B1 KR101266000 B1 KR 101266000B1 KR 1020110068683 A KR1020110068683 A KR 1020110068683A KR 20110068683 A KR20110068683 A KR 20110068683A KR 101266000 B1 KR101266000 B1 KR 10126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hared
terminal
space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147A (ko
Inventor
양진모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06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0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저장공간 공유 방법은, 구비된 저장공간의 일부를 자가공유공간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자가공유공간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멤버단말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공유 데이터의 저장이 요청되면, 자가공유공간과 멤버단말기에 설정된 공유공간에 공유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되도록, 공유 데이터가 분할된 분할데이터를 멤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각 단말기들이 저장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각각이 보유한 저장공간에 비해 용량이 큰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어 저장 용량을 쉽게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for sharing memory of terminals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저장공간의 공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복수개의 단말기간에 저장공간의 일부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자신의 컴퓨터에 부착된 하드디스크 또는 외장형 하드, USB 메모리 등 외에도, 인터넷이 가능한 어느 공간에서든 쉽게 저장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웹 상의 특정 서버(예를 들어, 웹 하드)에서 제공하는 저장공간(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웹 상의 하드디스크 운용 방법은 컨텐츠 제공자 서버 측에서 자신이 운용하는 서버에 연결된 하드디스크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분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특히, 웹 상의 저장공간은 주로 이메일로 수신을 할 수 없는 대용량의 자료를 공유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즉, 이메일로 수신이 용이하지 않은 수십 메가 바이트 이상의 자료가 있는 경우, 웹 상의 저장공간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장소라면 언제 어느 곳에서든 웹 상의 저장공간에 저장해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웹 상의 저장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 등의 사용이 증가하여,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USB 메모리, 외장 하드 등의 이동식 저장기기를 이용하거나, 웹 상의 저장공간을 이용하여 자신이 촬상 또는 촬영한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디지털 카메라 기능 및 메모리가 탑재되어 있어,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에 많은 수의 이미지 및 동영상 파일들을 수용하기에는 아직은 메모리의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또는 웹 상의 저장공간 등에 저장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일일이 옮겨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또한, 웹 상의 저장공간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해당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사용자가 로그인을 해야 한다. 따라서, 웹 상의 데이터를 타인에게 제공하고자 할 경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타인에게 알려줘야 하며 그에 따라 보안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로는 서버를 이용하여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제안되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해킹 등에 의한 보안상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 자체의 저장공간의 일부를 공유공간으로서 설정하여, 타 단말기들이 통신망을 통해 접근하여 해당 공유공간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으나, 이는 단순히 저장공간의 일부에 일정 단말기들이 접근할 수 있는 권한만을 부여한 것으로서, 해당 저장공간 자체를 이용한다기 보다는 공유데이터만을 이용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32338 ((주)지란지교소프트), 공개일자(2009년12월3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93782 (에이치텔레콤(주)), 공개일자(2006년08월25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단말기간에 각 저장수단의 일부 또는 전체를 공유함으로써, 해당 저장공간을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단말기간에 설정된 공유저장공간에 데이터를 분할하여 저장 관리함으로써, 각 단말기 사용자들이 저장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손쉽게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저장공간 공유 방법에 있어서, 구비된 저장공간의 일부를 자가공유공간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가공유공간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멤버단말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공유 데이터의 저장이 요청되면, 상기 자가공유공간과 상기 멤버단말기에 설정된 공유공간에 상기 공유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가 분할된 분할데이터를 상기 멤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공유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할되며, 상기 멤버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공유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분할데이터를 전송할 멤버단말기가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멤버단말기로만 상기 분할데이터를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데이터는 동일한 것이 둘 이상의 멤버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데이터에 대한 관련정보, 상기 분할데이터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정보는 상기 분할데이터와 함께 상기 멤버단말기로 전송되며, 상기 분할데이터의 헤더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저장공간 공유 방법에 있어서, 공유 데이터에 대한 불러오기 명령이 입력되면, 구비된 저장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에 미리 설정된 자가공유공간에 저장된 상기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정보에 따라, 상기 자가공유공간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하나 이상의 멤버단말기로 상기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분할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단말의 공유공간 및 상기 자가공유공간에 각각 저장된 분할데이터를 병합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임의의 멤버단말기로부터 요청한 분할데이터가 일정횟수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수신되지 않은 분할데이터와 동일한 분할데이터를 보유한 다른 멤버단말기로 다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정보는 공유파일정보, 상기 자가저장공간에 저장된 분할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상기 공유파일에 따른 다른 분할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멤버단말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멤버단말기가 이용할 수 있는 자가공유공간이 설정된 저장부; 상기 멤버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공유 데이터의 저장이 요청되면, 상기 자가공유공간과 상기 멤버단말기에 설정된 공유공간에 상기 공유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를 분할하는 데이터분할부를 포함하는 저장공간 공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각 단말기들이 저장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각각이 보유한 저장공간에 비해 용량이 큰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어 저장 용량을 쉽게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단말기들간에 공유된 저장공간에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됨으로써, 공유파일을 저장하는 사용자가 별도의 공유 설정을 하거나 공유된 내용을 알리지 않더라도, 다른 단말기 사용자들이 해당 공유파일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공유파일에 대한 저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분할데이터를 이용한 공유파일 생성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데이터의 헤더정보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1, 10-2, ..., 10-n, 이하 10으로 통칭)는 통신망을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로서, 일반 컴퓨터뿐 아니라,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개인휴대단말장치일 수 있으며, 각 단말기들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어, 서로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각 단말기(10)는 구비된 저장수단의 일부 또는 전체를 공유공간(12-1, 12-2, ..., 12-n, 이하 12로 통칭)으로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공유공간(12)에는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이 분할되어 저장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자면, 제1 단말기(10-1)가 동영상 파일 하나를 공유하고자 할 때, 제1 단말기(10-1)는 해당 동영상 파일을 복수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데이터(이하 분할데이터라 칭함)를 다른 단말기(10-2, ..., 10-n)로 각각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다른 단말기들(10-2, ..., 10-n)은 해당 분할데이터를 자신의 공유공간에 저장하게 된다. 차후, 임의의 제2 단말기(10-2)가 해당 동영상 파일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면, 제2 단말기(10-2)를 제외한 분할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들(10-1, 10-3, ..., 10-n)이 제2 단말기로 자신들이 저장하고 있는 분할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 단말기(10-2)는 수신된 각각의 분할데이터를 병합하여 상기한 최초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저장공간을 공유하기로 설정된 각 단말기들은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이를 분할하여 다른 단말기들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를 나뉘어서 복수개의 단말기에 각각 저장하는 것이다.
도 1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 의하면, 각 단말기(10)들은 저장공간을 공유하기로 한 다른 단말기들(이하, 멤버단말기라 칭함)의 접속정보(아이피주소 또는 전화번호 등)를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멤버단말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들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릴레이 서버(50)를 경유하여 멤버단말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릴레이 서버(50)는 서로간의 저장공간에 대한 공유를 약속한 단말기(10)들에 대한 회원정보(예를 들어, 가입자 정보, 단말기 접속정보 등)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기(10)들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이하, 단말기(10)에서의 저장공간 공유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공유파일에 대한 저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공유공간(이하 자가공유공간이라 칭함)으로의 공유파일에 대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S310), 함께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해당 공유파일을 분할한다(S320). 쉬운 예로, 동일한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개수가 10개라면, 공유파일은 10개로 분할될 수 있다. 파일의 분할은 블록(block) 단위로 분할될 수 있으며, 또는 통신 프로토콜에 적합하도록 일정개수의 패킷단위로 분할될 수도 있는 등, 운영에 따라 다양하게 분할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단말기는 분할된 각 분할데이터에 대해, 공유파일의 몇 번째 데이터인지, 각 분할데이터가 어떤 단말기에 각각 저장되는지, 공유파일이 어떠한 형태의 파일인지 등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생성한다(S330). 상기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차후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들로부터 취득한 분할데이터를 병합하여 원래의 공유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상기한 데이터 정보는 분할데이터의 헤더(header)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도 6 참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데이터정보는 분할데이터에 헤더 정보로서 포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는 상기한 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분할데이터를 멤버단말기로 전송한다(S340). 여기서, 단말기는 멤버단말기로 각각 서로 다른 분할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차후 임의의 단말기가 통신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분할데이터 자체를 분실 또는 손실할 수도 있으므로, 동일한 분할데이터를 복수개의 멤버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유파일을 분할하여 10개의 분할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단말기는 1개의 분할데이터를 자신의 자가공유공간에 저장하고 나머지는 9개의 멤버단말기로 전송하여 각 멤버달말기의 저장공간에 각각 저장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멤버단말기에게 2개 이상의 분할데이터를 각각 전송하여 동일한 분할데이터를 복수개의 멤버단말기가 저장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분할데이터를 수신한 멤버단말기들은 해당 분할데이터를 공유공간에 저장하고, 저장완료에 대한 리턴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멤버단말기로부터 상기한 리턴메시지를 모두 수신하면, 저장을 완료한다(S350).
본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물론 구비된 저장매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따른 공유공간을 설정하고, 해당 공유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취득할 수 있는 멤버단말기를 설정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공유파일에 대해 모든 단말기들이 분할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며, 이와 달리 파일의 크기, 종류에 따라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 중 일부에만 분할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공유파일에 대한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S410), 해당 공유파일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규정에 의해 공유파일을 분할한다(S420). 예를 들어, 50메가바이트(Mbyte) 단위로 분할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경우, 공유파일의 크기가 220메가바이트인 경우, 50메가바이트 크기를 갖는 분할데이터 4개와 20메가바이트 크기를 갖는 분할데이터 1개가 생성되는 것이다.
단말기는 함께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멤버단말기들의 저장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분할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멤버를 선정한다(S430). 즉, 각 멤버단말기들은 자신의 공유공간의 전체 크기(size)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저장된 데이터의 공간과 저장 가능한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며, 이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저장공간정보로서 다른 멤버단말기들로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공유파일의 저장을 위해, 현 시점에서 다른 멤버단말기로 상기한 저장공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미리 해당 저장공간정보를 취득하여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단계에서는 가용한 저장공간의 크기가 큰 단말기가 우선하여 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분할데이터를 복수개의 타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유파일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분할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공유파일의 종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을 그룹으로 나누고, 공유파일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그룹에 속한 단말기에게만 분할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가지 예를 들자면, 공유파일이 동영상파일인 경우 A그룹의 단말기들에게만 분할데이터를 송신하여 저장토록 하고, 음원파일인 경우엔 B그룹, 이미지파일인 경우엔 C그룹의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에 분할데이터를 저장시킬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공유파일의 종류에 따라 공유파일을 저장시킬 단말기가 선정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분할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다른 단말기들도 해당 공유파일을 취득할 수 있도록, 단말기는 분할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나머지 멤버단말기들에게는 분할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분할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더라도, 공유파일에 대한 각각의 분할데이터가 어디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언제든지 해당 공유파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선정한 멤버단말기로 분할데이터를 각각 전송하고(S440). 이를 수신한 멤버단말기들은 해당 분할데이터를 자신의 저장공간의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분할데이터를 수신한 임의의 멤버단말기가 해당 분할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유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분할데이터를 이용한 공유파일 생성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데이터의 헤더정보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분할데이터의 헤더정보로서, 공유파일정보 필드(610), 분할넘버 필드(620), 타데이터정보 필드(630-1, 630-2, ..., 630-m, 이하 630으로 통칭)가 포함된다.
공유파일 필드(610)에는 공유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공유파일의 명칭 또는 일련번호 등의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공유파일에 대한 종류, 데이터량 등에 대한 관련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분할넘버필드(620)에는 해당 분할데이터가 몇번째 데이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분할데이터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각 타데이터정보필드(630)에는 나머지 분할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아이피주소 또는 전화번호 등), 해당 분할데이터 식별정보(즉, 몇번째 데이터인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분할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임의의 단말기는 해당 분할데이터에 따른 공유파일에 대한 불러오기 명령이 입력되면(S510), 분할데이터의 헤더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공유공간에 저장된 분할데이터 외의 나머지 분할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멤버단말기들로 각각의 분할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요청한다(S520).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단말기는 멤버단말기들로부터 각각의 분할데이터를 수신하고(S530), 상기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모든 분할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40).
모든 분할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단말기는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분할데이터를 병합하여 공유파일을 생성한다(S550).
이와 달리 수신되지 않은 분할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는 수신되지 않은 분할데이터를 보유한 멤버단말기들 중 S520에서 요청한 단말기가 아닌 다른 멤버단말기로 해당 분할데이터를 다시 요청한다(S56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분할데이터를 복수개의 단말기가 소유하고 있으므로, 최초 요청한 멤버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른 멤버단말기로 동일한 분할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S560을 진행하기 이전에, 다시 한번 S520에서 요청한 멤버단말기로 분할데이터를 다시 요청할 수 있으며, 일정횟수(예를 들어, 2번) 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에만 S560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멤버단말기는, 공유파일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필요가 없이 일부만을 저장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다른 멤버단말기들의 저장공간에 저장시킴으로써 언제든지 해당 분할데이터를 모아 공유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비된 저장공간에 비해 더 용량이 큰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서버장치 없이도 다른 단말기들과도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더욱이 웹하드와 같이 공유파일이 저장되는 서버를 이용할 때와 비교하여, 타인이 공유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단말기(10)는 저장부(710), 통신부(730) 및 제어부(750)를 포함하되, 제어부(750)는 그 기능에 따라 데이터분할부(752), 분할정보생성부(754), 분할데이터취득부(756) 및 데이터병합부(75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71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공유공간(12)으로 설정된다. 공유공간(12)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는 공유공간(12)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730)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타 통신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750)의 데이터분할부(752)는 공유파일을 저장하고자 할 때, 해당 공유파일을 분할하여 각 멤버단말기의 공유공간에 저장할 분할데이터를 생성하고, 분할정보생성부(754)는 분할데이터에 대한 관련정보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정보에 대해서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분할데이터취득부(756)는 공유파일에 대한 불러오기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공유파일에 상응하는 분할데이터를 각 멤버단말기로부터 취득하도록 기능한다. 분할데이터취득부(756)는 공유공간(12)에 저장된 해당 공유파일에 따른 분할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그에 상응하는 다른 분할데이터를 다른 멤버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것이다. 그 취득방법도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데이터병합부(758)는 분할데이터취득부(756)에 의해 취득된 분할데이터들을 병합하여 공유파일을 생성한다. 분할데이터의 헤더정보 등으로 구현된 데이터정보를 판독하여, 각 분할데이터의 파일정보, 순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분할데이터가 병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공유공간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특정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부(미도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10-2, ..., 10-n : 단말기
12-1, 12-2, ..., 12-n : 공유공간
610 : 공유파일정보 필드
620 : 분할넘버 필드
630-1, 630-2, ..., 630-m : 타데이터정보 필드
710 : 저장부
730 : 통신부
750 : 제어부
752 : 데이터분할부
754 : 분할정보생성부
756 : 분할데이터취득부
758 : 데이터병합부

Claims (11)

  1.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저장공간 공유 방법에 있어서,
    구비된 저장공간의 일부를 자가공유공간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가공유공간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는 하나 이상의 멤버단말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공유 데이터의 저장이 요청되면, 상기 자가공유공간과 상기 멤버단말기에 설정된 공유공간에 상기 공유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가 분할된 분할데이터를 상기 멤버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할되며,
    상기 멤버단말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공유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분할데이터를 전송할 멤버단말기가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멤버단말기로만 상기 분할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데이터는 동일한 것이 둘 이상의 멤버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에 대한 관련정보, 상기 분할데이터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정보는 상기 분할데이터와 함께 상기 멤버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정보는 상기 분할데이터의 헤더정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7.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저장공간 공유 방법에 있어서,
    공유 데이터에 대한 불러오기 명령이 입력되면, 구비된 저장공간의 일부 또는 전체에 미리 설정된 자가공유공간에 저장된 상기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정보에 따라, 상기 자가공유공간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하나 이상의 멤버단말기로 상기 공유 데이터에 상응하는 분할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멤버단말기의 공유공간 및 상기 자가공유공간에 각각 저장된 분할데이터를 병합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임의의 멤버단말기로부터 요청한 분할데이터가 일정횟수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수신되지 않은 분할데이터와 동일한 분할데이터를 보유한 다른 멤버단말기로 다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정보는 공유파일정보, 상기 자가공유공간에 저장된 분할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 상기 공유파일에 따른 다른 분할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멤버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저장공간 공유 방법.
  10.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1.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멤버단말기가 이용할 수 있는 자가공유공간이 설정된 저장부;
    상기 멤버단말기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공유 데이터의 저장이 요청되면, 상기 자가공유공간과 상기 멤버단말기에 설정된 공유공간에 상기 공유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공유 데이터를 분할하는 데이터분할부를 포함하는 저장공간 공유 단말기.
KR1020110068683A 2011-07-12 2011-07-12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266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83A KR101266000B1 (ko) 2011-07-12 2011-07-12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683A KR101266000B1 (ko) 2011-07-12 2011-07-12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147A KR20130008147A (ko) 2013-01-22
KR101266000B1 true KR101266000B1 (ko) 2013-05-22

Family

ID=4783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683A KR101266000B1 (ko) 2011-07-12 2011-07-12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163B1 (ko) * 2016-06-08 2018-04-09 조래성 공유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835710A (zh) * 2021-09-14 2021-12-24 许昌许继软件技术有限公司 集中式站所终端接入线损采集模块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242A (ja) 1999-10-28 2001-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間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
KR100781221B1 (ko) 2007-01-29 2007-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공유 달력 전송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9294689A (ja) 2008-06-02 2009-12-17 Sharp Corp 移動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242A (ja) 1999-10-28 2001-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間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
KR100781221B1 (ko) 2007-01-29 2007-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공유 달력 전송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9294689A (ja) 2008-06-02 2009-12-17 Sharp Corp 移動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147A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424B1 (ko) 다중 해상도 코드를 가진 네트워크 코딩된 스토리지
CN103227939B (zh) 用于实时直播流内容的系统、方法和基础设施
US8443186B2 (en) Method and device of data encryption
US896584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haring contents
CN10952195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云存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2843366A (zh) 一种网络资源访问权限控制方法及装置
US201500332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d Distributing Content
EP2216991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content distribution program
US2017016376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btaining live video
CN103517093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通信系统
WO2014042278A1 (en) Communication server,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US88926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file stored in cloud storag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method
CN107092686A (zh) 一种基于云存储平台的文件管理方法及装置
KR20160030467A (ko) 데이터 백업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4639985A (zh) 多媒体播放控制方法及系统
CN107241312B (zh) 一种权限管理方法及装置
CN103369115A (zh) 基于移动终端的信息分享方法和系统
KR101266000B1 (ko) 단말기들의 저장공간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12800455A (zh) 一种分布式数据存储系统,机顶盒设备和数据存储方法
US10708330B2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9641501B2 (en) Content sharing system, content sharing metho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US10079790B2 (en) Method for controlled sharing of content among mobile devices
CN114430496A (zh) 跨设备视频搜索方法及相关设备
US20130054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management using network server
CN106257461B (zh) 数据存储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