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849B1 -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849B1
KR101265849B1 KR1020120073169A KR20120073169A KR101265849B1 KR 101265849 B1 KR101265849 B1 KR 101265849B1 KR 1020120073169 A KR1020120073169 A KR 1020120073169A KR 20120073169 A KR20120073169 A KR 20120073169A KR 101265849 B1 KR101265849 B1 KR 101265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image
present
tongue imag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호
정창진
김종열
이시우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촬영된 혀 영상을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을 표시하거나,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의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TONGUE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혀 영상에 격자 영상을 결합하여 제공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진은 인체의 건강 상태와 질병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혀를 살피는 한의학의 독특한 진단 방법으로 혀의 형태, 설질, 설태, 움직임 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혀의 형태는 혀의 두께, 갈라짐, 이빨 자국 등 혀 몸체의 형태 변화이며 설질은 혀 몸체의 색(色)과 질(質)을 말한다.
설태는 혓바닥에 이끼처럼 덮인 물질인 데 그것의 두께와 색깔, 분포 부위 등이 신체의 여러 상태를 반영하게 된다.
한의사는 이러한 설진을 바탕으로 얻어지는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변증 진단에 활용하게 되는데 변증이라는 것은 질병의 특성, 정도, 부위,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한의학적인 진단 체계이다.
예를 들어 혀에 비정상적 두께의 백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허증(虛證), 한증(寒證), 습증(濕證), 표증(表證) 등과 관계가 있어 이러한 변증 상태를 의심할 수 있으며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설진을 구성하는 혀의 형태, 설질, 설태, 움직임 등은 대체로 시각적인 정보에 의존하여 파악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보는 조명이나 날씨 등의 진찰 환경과 한의사의 주관적인 감각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일정한 설진 환경과 객관적인 결과값이 설진의 발전과 과학화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혀 영상에 격자 영상을 가시화 하여 피험자로 하여금 스스로 혀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혀 영상의 기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혀 영상의 기하 정보를 자동으로 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혀 정면 영상 및 혀 측면 영상을 취득하여 교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피험자의 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혀 영상을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의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혀 영상은 혀 정면 영상 및 혀 측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이 기설정된 균형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을 하나 이상의 혀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및 상기 각각의 혀 영역에 대한 상기 혀 영상의 면적비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 중 좌우 대칭이 되는 영역에 대한 면적비의 차이값과 상기 각각의 차이값의 절대값의 합계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절대값의 합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의 중심선과 기설정된 중심선을 비교하여 기울어진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의 중심선이 상기 기설정된 중심선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혀 영상을 회전 좌표 변환을 통하여 교정하는 영상 교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기울어진 정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의 시작점, 중간점 및 끝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곡률의 크기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곡률의 크기가 기설정된 곡률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혀의 전체 영역을 표시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혀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복수의 제2 영역으로 구성된 격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격자 영상은 상기 피험자의 입술의 양 끝점을 가로지르는 입술 표시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격자 영상은 상기 혀 영상의 각도를 표시하는 사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방법은 피험자의 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혀 영상을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의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혀 영상에 격자 영상을 가시화 하여 피험자로 하여금 스스로 혀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혀 영상의 기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혀 영상의 기하 정보를 자동으로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혀 정면 영상 및 혀 측면 영상을 취득하여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분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에 대한 기하 정보를 가시화 하는 격자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격자 영상의 입술 표시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격자 영상의 사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을 하나 이상의 혀 영역으로 분할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역에 대한 면적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의 정면 각도를 연산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의 측면 각도를 연산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 촬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피험자의 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10), 상기 혀 영상을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120) 및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혀 영상은 혀 정면 영상 및 혀 측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 분석부(120)는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의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영상 표시부(130)는 혀의 정면 또는 측면에 가이드 라인(line) 표시하고,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혀의 위치를 찾아 혀 영상에 대한 기하 정보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 영상에 대한 기하 정보의 변이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교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분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분석부(200)는 상기 혀 영상이 기설정된 균형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220)는 상기 혀 영상을 하나 이상의 혀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210) 및 상기 각각의 혀 영역에 대한 상기 혀 영상의 면적비를 연산하는 연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분석부(200)는 연산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 중 좌우 대칭이 되는 영역에 대한 면적비의 차이값과 상기 각각의 차이값의 절대값의 합계를 연산할 수 있고, 상기 절대값의 합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분석부(200) 상기 혀 영상의 중심선과 기설정된 중심선을 비교하여 기울어진 정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혀 영상의 중심선이 상기 기설정된 중심선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혀 영상을 회전 좌표 변환을 통하여 교정하는 영상 교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분석부(200)는 상기 기울어진 정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분석부(200)는 상기 혀 영상의 시작점, 중간점 및 끝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곡률의 크기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곡률의 크기가 기설정된 곡률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및 교정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에 대한 기하 정보를 가시화 하는 격자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혀 영상에 대한 기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격자 영상을 상기 혀 영상에 결합하여 표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격자 영상은 상기 혀의 전체 영역을 표시하는 제1 영역(310) 및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혀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복수의 제2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영역(310)은 상기 혀 영상에서 식별되는 혀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혀의 범위보다 큰 범위의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복수의 제2 영역(320)은 상기 사각형 영역을 다수의 작은 격자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영역(310)은 수직으로 배열되는 제2 영역(320)의 개수 및 수평으로 배열되는 제2 영역(320)의 개수를 각각 짝수로 구성하는 경우, 가로 중심선 및 세로 중심선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제1 영역(310)은 상기 가로 중심선과 상기 세로 중심선이 교차하는 중앙점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피험자에게 실시간으로 상기 혀 영상에 상기 격자 영상을 가시화 함으로써, 기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피험자의 혀가 격자 영상의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피험자가 자신의 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격자 영상의 입술 표시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격자 영상은 상기 혀 영상을 제공하는 피험자의 입술의 양 끝점을 가로 지르는 입술 표시선(4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험자는 자신의 안면을 회전시켜 입술의 양 끝을 상기 입술 중심선에 맞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격자 영상의 사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상기 격자 영상은 상기 혀의 각도를 표시하는 사선(5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피험자의 혀 측면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제1 영역 내에 혀의 위치 및 각도를 추정할 수 있는 사선(510)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피험자가 혀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피험자는 혀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부를 통하여 혀 영상을 촬영하며, 혀 영상 촬영 장치가 혀 영상에 격자 영상을 가시화 하여 피험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피험자는 혀 영상의 가이드 라인 및 격자 영상을 따라 자신의 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혀 정면 영상 및 혀 측면 영역을 분할하여 혀 영상의 균형도 및 기울어진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 정면의 균형도, 혀 측면의 각도 등의 기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혀 영상을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의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피험자는 상기 재촬영 알림 신호를 통하여 자신의 혀 위치가 잘 못 된 것을 인지하고, 상기 기하 정보의 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자신의 혀를 이동시켜 혀 영상을 다시 실시간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피험자는 혀 영상과 격자 영상이 결합된 상기 표시 영상을 계속 주시한 상태에서, 자신의 혀를 움직여 기하 정보가 최소가 되는 지점의 혀 영상을 확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피험자는 촬영된 혀 영상의 기하 정보를 스스로 교정함으로써, 검사자가 분석하기 쉬운 표준 영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역의 기하 정보를 자동으로 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을 하나 이상의 혀 영역으로 분할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영상을 하나 이상의 혀 영역(610)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혀 영역(610)에 대한 면적비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 정면 영상을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혀 영역(610)으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역에 대한 면적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각각의 면적비 중 제1 외곽 영역 면적비(710)와 제2 외곽 영역 면적비(720)의 차이 값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동일한 수평 위치에 표시되는 제1 외곽 영역 면적비(710) 및 제2 외곽 영역 면적비(720)에 대한 차이 값을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 분석부의 연산부는 상기 혀 영역 중 대칭이 되는 영역의 면적비에 대한 차의 절대 값의 합계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면적비는 ROI(Region-of-Interest) 전체 면적에 대한 ROI 내의 혀 면적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영상 표시부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면적비 합계와 상기 면적비 차이 값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제1 외곽 영역 면적비(710)가 좌측 외곽 영역의 면적비이고 제2 외곽 영역 면적비(720)가 우측 외곽 영역의 면적비인 경우, 상기 차이값이 양수이면 혀의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제1 외곽 영역 면적비(710)가 좌측 외곽 영역의 면적비이고 제2 외곽 영역 면적비(720)가 우측 외곽 영역의 면적비인 경우, 상기 차이값이 음수이면 혀의 위치가 왼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정면 영상의 하나 이상의 혀 중심 값 사이의 각도를 기반으로 상기 혀의 정면 각도를 연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의 정면 각도를 연산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 정면 영상의 균형 정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연산부는 상기 혀 영상의 시작점, 중간점 및 끝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곡률의 크기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의 소정의 제1 위치(예를 들어, 4분의 1 높이)의 혀 중심 X 값과 소정의 제2 위치(예를 들어, 4분의 3 높이)의 혀 중심 X 값 사이의 각도를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angle = tan-1((X(y2)-X(y1))/(y2-y1))
[수학식 2]
y1=Y0+(YN-Y0)/4
X(y1)=(혀의 가장 왼쪽 경계(y1)+혀의 가장 오른쪽 경계(y1))/2
[수학식 3]
y2=Y0+(YN-Y0)*3/4,
X(y2)=(혀의 가장 왼쪽 경계(y2)+혀의 가장 오른쪽 경계(y2))/2
이때,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 영상의 측정 범위를 넓히기 위해 수평선의 개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측면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혀의 측면 각도를 연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의 측면 각도를 연산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영역의 측면 혀 영역을 수직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의 측면 영역을 분할한 후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예를 들어, 5등분하여 4곳)의 수평 선을 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의 영역 범위를 넓히기 위해 수평선의 개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의 측면 수평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 혀의 하나 이상의 수평 중심 점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평 중심 점간의 오차가 가장 작은 직선을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오차가 가장 작은 직선과 수직선과의 각도를 상기 혀의 측면 각도로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혀 정면 및 측면의 측정 값을 가지고 혀의 자세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는 표준 혀 자세에 가깝게 피험자에게 혀의 자세를 지시하여 촬영되는 영상이 표준 영상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영상이 상기 혀의 중심선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혀 영상을 회전 좌표 변환을 통하여 교정하여 상기 표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 촬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피험자의 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101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영상을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2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1030), 상기 혀 영상이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의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1040).
도 1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혀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111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각각의 혀 영역에 대한 면적비를 연산할 수 있다(112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혀 영상 촬영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 중 좌우 대칭이 되는 영역에 대한 면적비의 차이값과 상기 각각의 차이값의 절대값의 합계를 연산할 수 있다(113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피험자에게 혀 영상의 기울어진 정도를 제공하여 피험자 스스로 혀 영상의 기울어짐을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피험자가 스스로 혀 영상을 교정함으로써, 검사자에게 표준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표준 영산으로 진단 결과의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피험자는 자신의 혀 영상에 대한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자신의 신체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촬영부
120: 영상 분석부
130: 영상 표시부

Claims (20)

  1. 피험자의 혀 정면 영상 및 혀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혀 영상의 하나 이상의 혀 영역에 대한 기하 정보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에 대한 기하 정보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에 대한 기하 정보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의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이 기설정된 균형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및
    상기 각각의 혀 영역에 대한 상기 혀 영상의 면적비를 연산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 중 좌우 대칭이 되는 영역에 대한 면적비의 차이값과 상기 각각의 차이값의 절대값의 합계를 연산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절대값의 합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의 중심선과 기설정된 중심선을 비교하여 기울어진 정도를 분석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의 중심선이 상기 기설정된 중심선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혀 영상을 회전 좌표 변환을 통하여 교정하는 영상 교정부
    를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기울어진 정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혀 영상의 시작점, 중간점 및 끝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곡률의 크기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곡률의 크기가 기설정된 곡률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혀의 전체 영역을 표시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혀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복수의 제2 영역으로 구성된 격자 영상을 표시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영상은,
    상기 피험자의 입술의 양 끝점을 가로지르는 입술 표시선
    을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영상은,
    상기 혀 영상의 각도를 표시하는 사선
    을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장치.
  14. 피험자의 혀 정면 영상 및 혀 측면 영상을 포함하는 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혀 영상의 하나 이상의 혀 영역에 대한 기하 정보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에 대한 기하 정보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에 대한 기하 정보가 상기 임계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혀 영상의 재촬영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혀 영상이 기설정된 균형도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혀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혀 영역에 대한 상기 혀 영상의 면적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혀 영역 중 좌우 대칭이 되는 영역에 대한 면적비의 차이값과 상기 각각의 차이값의 절대값의 합계를 연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혀 영상의 중심선과 기설정된 중심선을 비교하여 기울어진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혀 영상의 중심선이 상기 기설정된 중심선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혀 영상을 회전 좌표 변환을 통하여 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혀 영상의 시작점, 중간점 및 끝점의 위치를 기반으로 곡률의 크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곡률의 크기가 기설정된 곡률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혀 영상 촬영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20073169A 2012-07-05 2012-07-05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265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169A KR101265849B1 (ko) 2012-07-05 2012-07-05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169A KR101265849B1 (ko) 2012-07-05 2012-07-05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849B1 true KR101265849B1 (ko) 2013-05-20

Family

ID=4866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169A KR101265849B1 (ko) 2012-07-05 2012-07-05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8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658A1 (ko) * 2013-09-24 2015-04-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진기 재현성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19200A (ko) 2015-08-11 2017-02-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 촬영 장치 및 설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KR20190043776A (ko) 2017-10-19 2019-04-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깊이 정보를 이용한 혀 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JP2019213652A (ja) * 2018-06-12 2019-12-19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撮像装置と撮像プログラムと画像判定装置と画像判定プログラムと画像処理システム
CN113837987A (zh) * 2020-12-31 2021-12-24 京东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舌部图像采集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75B1 (ko) * 2007-04-23 2008-10-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진 영상의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JP2009028058A (ja) 2007-07-24 2009-02-12 Saieco:Kk 舌診システム、舌診装置、舌診方法、舌診プログラム
KR101028999B1 (ko) 2010-07-16 2011-04-14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설진 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063343B1 (ko) 2009-11-24 2011-09-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혀 영상을 이용한 컬러 정보 분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75B1 (ko) * 2007-04-23 2008-10-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진 영상의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JP2009028058A (ja) 2007-07-24 2009-02-12 Saieco:Kk 舌診システム、舌診装置、舌診方法、舌診プログラム
KR101063343B1 (ko) 2009-11-24 2011-09-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혀 영상을 이용한 컬러 정보 분할 방법
KR101028999B1 (ko) 2010-07-16 2011-04-14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설진 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658A1 (ko) * 2013-09-24 2015-04-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진기 재현성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19200A (ko) 2015-08-11 2017-02-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설 촬영 장치 및 설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KR20190043776A (ko) 2017-10-19 2019-04-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깊이 정보를 이용한 혀 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KR102022163B1 (ko) * 2017-10-19 2019-09-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깊이 정보를 이용한 혀 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JP2019213652A (ja) * 2018-06-12 2019-12-19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撮像装置と撮像プログラムと画像判定装置と画像判定プログラムと画像処理システム
JP7104913B2 (ja) 2018-06-12 2022-07-22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撮像装置と撮像プログラムと画像判定装置と画像判定プログラムと画像処理システム
CN113837987A (zh) * 2020-12-31 2021-12-24 京东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舌部图像采集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3837987B (zh) * 2020-12-31 2023-11-03 京东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舌部图像采集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849B1 (ko) 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Humbert et al. 3D reconstruction of the spine from biplanar X-rays using parametric models based on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inferences
CN107106043B (zh) 椎体特征识别
de Menezes et al.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a 3-dimensional stereophotogrammetric imaging system
RU2556783C2 (ru) Комбинация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и рентгеновской систем
Kook et al. A comparison study of different facial soft tissue analysis methods
US20140303522A1 (en) Scoliosis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system
CA2892195A1 (en) Determining the spatial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vertebrae in the spinal column
EP3488782B1 (en) Diagnosis support program
KR101331640B1 (ko) 혀 입체 정보 추출 장치 및 방법
US9629600B2 (en) Medical imaging system
US20150173699A1 (en) Generating an at Least Three-Dimensional Display Data Sheet
JP5878125B2 (ja) 認知症診断支援装置及び認知症診断支援方法
US20140375822A1 (en) Intra-operative quality monitoring of tracking systems
Poredoš et al. Determination of the human spine curve based on laser triangulation
JP2017225644A (ja) 医療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療用画像撮影システム
Bonnet et al. Automatic estimate of back anatomical landmarks and 3D spine curve from a Kinect sensor
US20110026775A1 (en) Method for measurement of a flow in an object, especially a lumen or a vessel
KR101508178B1 (ko) 척추 측만증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JP6128691B2 (ja) 医用画像計測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GB2512697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ophthalmoscopes
Martinez et al. “BAM!” depth-based body analysis in critical care
JP5558800B2 (ja) 骨密度測定装置
KR20160068150A (ko) 2차원 기술자를 이용한 두개골유합증 자동진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두개골유합증 자동진단방법
Al Khudairy et al. Reliability of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measurements for young children with scoli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