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572B1 -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572B1
KR101265572B1 KR1020110067455A KR20110067455A KR101265572B1 KR 101265572 B1 KR101265572 B1 KR 101265572B1 KR 1020110067455 A KR1020110067455 A KR 1020110067455A KR 20110067455 A KR20110067455 A KR 20110067455A KR 101265572 B1 KR101265572 B1 KR 10126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lide member
height
bicycle
suppor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820A (ko
Inventor
이예라
Original Assignee
이예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라 filed Critical 이예라
Priority to KR102011006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5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조건, 지형, 주행 스타일 등에 따라 안장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안장이 구비된 자전거 프레임에 높이조절부와 위치조절부를 구비하되, 높이조절부는 안장의 밑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슬라이드부재, 제 1슬라이드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공부를 가지는 지지포스트, 및 이들 결합을 고정시키는 제 1고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위치조절부는 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지지포스트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제 2슬라이드부재와, 제 2슬라이드부재와 프레임 간 결합을 고정시키는 제 2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지형, 주행 스타일 등에 맞게 자전거의 안장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신체조건이 각각 다른 다양한 연령층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자전거의 다양한 목적과 기능에 맞게 자전거의 안장 높이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릎에 무리를 주거나 다치지 않게 안전한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Saddle Height and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정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신체조건 및 지형, 주행스타일 등에 따라서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레저 스포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받고 있는 대표 레저 스포츠로는, 자전거, 인라인 스케이트 등이 있다.
이중, 자전거는 예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 및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많은 사람으로부터 인기를 받고 있으며,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 및 운동 효과를 동시에 즐길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인기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자전거의 형태는 일반 자전거에서부터 산악 자전거에 이르기까지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종류 및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효율적이고 편안하게 이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안장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자전거에 대해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포스트(110)에 안장(120)이 설치되며, 안장(120) 밑면에는 지지포스트(110)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부재(130)가 일체로 설치된다. 이 슬라이드부재(130)는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포스트(11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별도의 고정수단(14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고정수단(140)은 지지포스트(110)와 슬라이드부재(130)가 체결된 외주면을 커버하되, 슬라이드부재(130)의 슬라이드 동작을 단속하는 조작레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안장위에 앉은 상태에서 자전거의 안장 높이를 별도의 도구없이 자신의 신체특성에 가장 알맞게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자전거를 즐길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하 수직으로만 안장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신체조건이나 지형, 주행 스타일에 따라 안장 높이 설정할 때 안장의 위치도 함께 조절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체조건, 지형, 주행 스타일 등에 따라 안장의 위치와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는,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되, 상단부에 안장이 체결고정되는 제 1슬라이드부재와, 제 1슬라이드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공부를 가지는 지지포스트, 및 서로 정렬된 제 1슬라이드부재와 지지포스트를 고정시키는 제 1고정수단을 구비한 높이조절부, 및 안장의 위치를 조절하되, 자전거 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드 되게 끼워지며 상단부에 지지포스트가 돌출형성되는 제 2슬라이드부재와, 서로 정렬된 프레임과 제 2슬라이드부재를 고정시키는 제 2고정수단이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는, 탑승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지형, 주행 스타일 등에 맞게 자전거의 안장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조건이 각각 다른 다양한 연령층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자전거의 다양한 목적과 기능에 맞게 자전거의 안장 높이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릎에 무리를 주거나 다치지 않게 안전한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전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자전거는 상부에 안장(10)이 구비된 프레임(20)에 높이조절부(30)와 위치조절부(40)가 구비되되, 높이조절부(30)는 안장(10)의 밑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1슬라이드부재(31), 제 1슬라이드부재(31)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공부를 가지는 지지포스트(33), 및 서로 정렬된 지지포스트(33)와 제 1슬라이드부재(31)를 고정시키는 제 1고정수단(35)으로 구성된다.
위치조절부(40)는 프레임(20)의 상부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포스트(33)로부터 돌출형성된 관형상의 제 2슬라이드부재(41)와, 서로 정렬된 프레임(20)과 제 2슬라이드부재(41)를 고정시키는 제 2고정수단(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수단(35,43)은 체결되는 외주부를 커버하여 슬라이드부재(31,41)의 슬라이드 동작을 단속하는 조작레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자전거에 대한 작용관계를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자전거는 먼저, 높이조절부(30)를 통해 안장(10)의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조절부(30)는 평소에는 제 1슬라이드부재(31)가 지지포스트(33)의 내부에서 끼워진 상태에서 제 1고정수단(35)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가 자전거 안장(1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1고정수단(35)의 조작레버를 이동시키면 지지포스트(33)와 제 1슬라이드부재(31)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탑승자는 상승유동하는 제 1슬라이드부재(31) 및 안장(10)을 손으로 가압하여 원하는 높이에 정지시킨 다음 제 1고정수단(35)의 작동레버를 원위치시켜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위치조절부(40)를 통해 안장(1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제 2고정수단(43)의 조작레버를 이동시켜 프레임(20)과 제 2슬라이드부재(41)의 고정을 해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2슬라이드부재(41)는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프레임(20)의 경사를 따라 일정각도 기울진 상태로 상하 자유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탑승자는 제 2슬라이드부재(41)를 이동시켜 안장(10)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제 2고정수단(43)의 작동레버를 원위치시켜 안장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안장 20 : 프레임
30 : 높이조절부 40 : 위치조절부
31,41 : 슬라이드부재 33 : 지지포스트
35,43 : 고정수단

Claims (5)

  1.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된 자전거 프레임;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되, 상단부에 안장이 체결고정되는 제 1슬라이드부재와, 제 1슬라이드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중공부를 가지는 지지포스트, 및 서로 정렬된 제 1슬라이드부재와 지지포스트를 고정시키는 제 1고정수단을 구비한 높이조절부; 및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드 되게 끼워지며 상단부에 지지포스트가 돌출형성되는 제 2슬라이드부재와, 서로 정렬된 프레임과 제 2슬라이드부재를 고정시키는 제 2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자전거 프레임 내를 제 2슬라이드부재가 프레임의 경사를 따라 일정각도 기울여져 상하유동하여 안장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지포스트 내를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가 상하유동하여 안장의 높이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수단은 지지포스트와 제 1슬라이드부재가 체결된 외주면을 커버하되 제 1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을 단속하는 조작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수단은 프레임과 제 2슬라이드부재가 체결된 외주면을 외주면을 커버하되 제 2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을 단속하는 조작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110067455A 2011-07-07 2011-07-07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65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55A KR101265572B1 (ko) 2011-07-07 2011-07-07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455A KR101265572B1 (ko) 2011-07-07 2011-07-07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20A KR20130005820A (ko) 2013-01-16
KR101265572B1 true KR101265572B1 (ko) 2013-05-20

Family

ID=4783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455A KR101265572B1 (ko) 2011-07-07 2011-07-07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023B1 (ko) 2015-04-28 2017-04-14 이상수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290A (ja) * 2002-01-25 2003-09-02 Hung Chang Chao 伸縮式自転車
KR100737299B1 (ko) 2005-10-20 2007-07-09 한기진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290A (ja) * 2002-01-25 2003-09-02 Hung Chang Chao 伸縮式自転車
KR100737299B1 (ko) 2005-10-20 2007-07-09 한기진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20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674B2 (en) Scooter with removable toy
US9694869B2 (en) Adjustable bicycle frame for the change in the riding modes
US20030062697A1 (en) Multifunctional shoe
CA2904991C (en) Slackline balance board
US7678026B2 (en) Mobile physic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702005B2 (en) Sports shoe
KR101758902B1 (ko) 미끄럼방지와 선택적으로 무게조절이 가능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킨 밸런스보드
KR101265572B1 (ko)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US4199162A (en) Snow sport vehicle
US20140327224A1 (en) Unicycle with inner leg supports
US9511808B1 (en) Motorcycle control pads
KR20160000784U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WO2018075348A1 (en) Binding and support assembly for a snow sports board
US20180333634A1 (en) Hybrid board and methods of riding the same
US9833687B2 (en) Foot-deck-based vehicle with increased potential energy for ollie-type manoeuvers
US10183714B2 (en) Motorcycle control pads
KR200491355Y1 (ko) 신발커버가 구비된 말안장용 등자
KR101922728B1 (ko) 어린이용 안전 승마 장치
KR102620990B1 (ko) 충격방지용 슬라이드 활강매트
US10765915B2 (en) Stationary jumping and trick bike
KR100769330B1 (ko) 슬라이딩 스키보드
KR20140047957A (ko) 빙판용 썰매
JP2017504402A (ja) スポーツシューズ
KR200265756Y1 (ko) 퀵 스노보드
TWI358368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