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453B1 -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453B1
KR101265453B1 KR1020120038809A KR20120038809A KR101265453B1 KR 101265453 B1 KR101265453 B1 KR 101265453B1 KR 1020120038809 A KR1020120038809 A KR 1020120038809A KR 20120038809 A KR20120038809 A KR 20120038809A KR 101265453 B1 KR101265453 B1 KR 10126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user
evaluation
discus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성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06Q50/4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며, 토론자료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게시물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판별하고, 사용자 정보가 동일한 사용자일 경우 접속을 허가하는 사용자 인증부와, 접속을 허가받은 사용자가 강의 주제로 토론을 위해 개설한 게시판의 게시물을 저장 및 관리하고, 게시물을 등록한 사용자에게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게시물 관리부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토론자료를 저장하고, 게시판의 주제에 따라 토론자료를 게시물 관리부에 제공하는 첨부자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SQSA 관리DB를 포함한다. 아울러, 토론자료를 수집 및 정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토론자료를 SQSA 관리DB의 첨부자료 처리부에 제공하며, SQSA 관리DB의 게시물 관리부로부터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SQSA 정보제공DB를 포함한다. 나아가, 사용자의 게시판 개설 횟수, 게시물의 답글 횟수 및 게시물의 추천 횟수에 따라 게시물 가산점을 부여하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게시물 가산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강의 운영자가 강의 항목별 강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강의 평가D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SYSTEM AND METHOD OF CLASS APPRAISAL USING ON-LINE DISCUSSION}
본 발명은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 내용과 관련된 주제로 온라인 상에서 토론을 위한 게시판을 개설하고, 게시판을 내용 정보를 바탕으로 게시판을 개설한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가산점과 오프라인 상에서 부여된 강의 가산점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강의 평가하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초등교육에서 고등교육에 이르기까지 교육방식은 대부분 주입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입식 교육은 학습자의 흥미, 의욕, 능력, 요구, 발달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교사나 교수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주입식 교육은 가치관의 획일화, 창의력 상실 및 의사소통 부재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14609호의 ‘지식기반 커뮤니티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델 및 시스템’은 기 완성된 다양한 지식기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교수-학습(E-러닝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모델과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지식 기반 커뮤니티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델 및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기 구축된 지식 콘텐츠로부터 양질의 콘텐츠를 쉽게 도출하여 교수-학습 콘텐츠 객체로 활용함으로써 지식콘텐츠가 효과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8002호의 ‘인터넷 기반의 실시간 인터액티브 화상 강의 및 학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기반의 실시간 인터액티브 화상 강의 및 학습 방법에 관한 것 기술이다. 이 기술은 학습자와 강사 간의 인터액티브한 강의가 수행될 수 있는 인터넷 기반 실시간 인터액티브 화상 강의 및 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한 학습자 및 강사의 해당 클래스 홈페이지 로그인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제1 단계, 강사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학습자 모듈 상에 온라인 교재를 제공하는 제2 단계, 강사 화상, 학습자 본인 화상 및 제삼자 화상을 학습자 모듈상에 제공하는 제3 단계, 학습자로부터의 질문 입력 신호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4 단계, 제4 단계의 수행 결과, 질문 입력 신호가 있으면 강사가 비지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제5 단계 및 제5 단계의 수행 결과, 강사가 비지 상태가 아니면 강사 모듈로부터의 학습자 지정 신호에 따라 지정된 학습자의 화상이 임시적으로 각 학습자 모듈 상의 제삼자 화상을 대체하도록 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기술들은 인터넷을 이용한 단순 화상 강의이며, 학습자와 강사 사이에 강의 내용의 송수신만 이루어질 뿐, 위의 기술을 이용한 학습방법으로는 학습자 또는 사용자의 창의력, 비판능력, 대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주도적 학습 및 이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은 위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 및 본 발명의 사용자들의 자율적인 다양한 학습이 가능하고, 다양한 창의적인 문제(Self-Question: SQ) 제시 및 토론을 통한 자립적 문제 해결(Self-Answer: SA)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교육 내용 및 주제를 바탕으로 한 자율적 토론을 통해, 교육을 받는 입장의 학생 및 본 발명의 사용자들에게 창조적 협동과 학문적 비판능력 및 대화 능력을 향상시키며, 토론 과정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을 습득할 수 있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시험 평가만으로 학생들을 평가하는 획일적인 평가 방법에서 자율적인 학습, 창의적인 학습과정 및 교육 과정을 통한 자기 평가(Self-Evaluation) 및 강의 평가가 가능한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며, 토론자료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게시물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판별하고, 사용자 정보가 동일한 사용자일 경우 접속을 허가하는 사용자 인증부와, 접속을 허가받은 사용자가 강의 주제로 토론을 위해 개설한 게시판의 게시물을 저장 및 관리하고, 게시물을 등록한 사용자에게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게시물 관리부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토론자료를 저장하고, 게시판의 주제에 따라 토론자료를 게시물 관리부에 제공하는 첨부자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SQSA 관리D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은 토론자료를 수집 및 정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토론자료를 SQSA 관리DB의 첨부자료 처리부에 제공하며, SQSA 관리DB의 게시물 관리부로부터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SQSA 정보제공DB, 사용자의 게시판 개설 횟수, 게시물의 답글 횟수 및 게시물의 추천 횟수에 따라 부여된 게시물 가산점이 저장되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게시물 가산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부여된 강의 항목별 강의 가산점이 저장되는 강의 평가DB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SQSA 관리DB의 사용자 인증부로부터 접속을 허가받은 사용자가 SQSA 관리DB에 접속하는 S1단계, SQSA 관리DB에 접속한 사용자가 강의 내용을 주제로 토론을 위해 개설한 게시판이 게시물 관리부에 등록 및 저장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게시물 관리부에 등록된 일 사용자의 게시판에 타 사용자가 게시판 주제를 선택하여 토론에 참여하고, 게시판을 개설한 일 사용자의 게시물에 타 사용자가 답글을 기재하고 추천하면, 게시물 관리부에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가 게시물 관리부에 등록 및 저장되는 S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SQSA 정보제공DB가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SQSA 관리DB의 첨부자료 처리부로 제공하며, SQSA 관리DB의 첨부자료 처리부가 게시물 관리부에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S4단계 및 강의 평가DB가 사용자의 게시판 개설 횟수, 게시물의 답글 횟수, 게시물의 추천 횟수에 대한 정보를 SQSA 관리DB로부터 제공받아 게시물 가산점을 부여하고, 사용자의 게시물 가산점을 기준으로 강의 항목별 강의 가산점이 사용자에게 부여되어, 사용자를 강의 평가하는 S5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S3단계에서 게시판에 답글이 등록하면, 게시물을 작성한 사용자에게 게시물 관리부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S6단계를 더 포함한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의 내용과 관련된 주제로 토론을 위해, 일 사용자가 게시판을 SQSA 관리DB에서 생성하고, 타 사용자가 게시판의 게시물에 답글을 기재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자유로운 토론 및 자율적인 다양한 학습이 가능하며,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SQSA 정보제공DB가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 및 게시물을 관리하는 SQSA 관리DB로 토론의 자유로운 주제 도출을 위한 강의자료 및 강의 내용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게시판에 게시물 및 답글을 기재하는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창조적 협동성과 학문적 비판 능력 및 대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강의 평가DB가, SQSA 관리DB에서 본 발명의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개설횟수, 게시물 내용, 게시물의 답글정보, 게시물의 추천 횟수와 같은 게시판의 정보를 제공받아,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자율적 학습에 대해 평가하여 평과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도출된 온라인 상의 평가 결과와 오프라인 상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강의 평가DB가 사용자를 강의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QSA 관리D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QSA 정보제공D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 평가D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교육과 관련하여,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를 하는 시스템으로서, 학교, 학원 등의 교육관련 기관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육관련 기관으로서의 학교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100)은 강의 내용과 관련된 주제로 토론하고, 토론의 진행 및 참여 정도에 따라, 토론의 참여자인 사용자를 강의 운영자가 강의 평가하는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은 인터넷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며, 토론자료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게시물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101), 접속을 허가받은 일 사용자가 강의 내용을 주제로 개설된 게시판의 게시물을 저장 및 관리하고, 타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게시물에 기재한 답글을 저장 및 관리하며, 게시물에 답글이 등록될 경우에 게시물을 등록한 일 사용자에 답글정보를 알림 서비스하는 SQSA 관리DB(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평가 시스템은, 토론자료를 수집 및 정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토론자료를 SQSA 관리DB의 첨부자료 처리부에 제공하며, SQSA 관리DB의 게시물 관리부로부터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SQSA 정보제공DB(1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의자료, 토론자료 및 첨부 자료는 사용자 또는 강의 운영자가 게시판에 기재된 게시물의 주제, 게시물 내용, 답글의 주제 및 답글 내용과 관련된 자료를 통칭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 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의 SQSA 관리DB(102), SQSA 정보제공DB(103), 강의 평가DB(104), 국공립 기관DB(106)는 컴퓨터에 포함되는 기술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 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1)와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온라인 토론 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위한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의 전용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평가 시스템은, 사용자의 게시판 개설 횟수, 게시물의 답글 횟수 및 게시물의 추천 횟수에 따라 게시물 가산점을 부여하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게시물 가산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강의 항목별 강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강의 평가DB(104)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 교사 등에 해당되는 강의 운영자가 강의 평가DB(104)로부터 사용자들의 게시판에 기재된 게시물, 답글 내용, 게시물에 대한 추천 수, 사용자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며, 강의 평가DB(104) 및 SQSA 정보제공DB(103)에 운영자가 직접 관련 정보들을 입력하는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국공립 기관DB(106)를 더 포함한다. 국공립 기관DB(106)는 전국의 시청, 구청, 도청 및 군청과 같은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전국 및 외국의 학교들을 서버일 수 있으며, 사설 또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도서관의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 및 국공립 기관DB(106)는 이더넷(Ethernet), 전용망을 이용해 SQSA 정보제공DB(103) 및 강의 평가DB(104)와 접속된다.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 및 국공립 기관DB(106)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과 접속되어 SQSA 정보제공DB(103) 및 강의 평가DB(104)와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1)는 개인용 PC, 태블릿 PC, PDA 또는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1)는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적외선 통신 또는 유선 전화 통신망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SQSA 관리DB(102), 강의 평가DB(104), SQSA 정보제공DB(103)와 접속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101)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일반 기업체에서 강의를 청취/시청한 강의 청취/시청자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101)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입력이 가능하고, 토론과 관련된 토론자료의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SQSA 관리DB(102), 강의 평가DB(104), SQSA 정보제공DB(103)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론자료'는 사용자 단말기(101)에 입력되거나, 학술정보서버 또는 외부정보서버를 통해 수집 및 저장되는 자료를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토론자료는 토론자료 제공부를 통해 저장, 관리 및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토론자료는 강의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강의자료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강의자료'는 강의 운영자가 제공하는 자료를 의미한다. 강의자료는 강의 내용, 강의 시 참조자료, 동영상 강의자료, 강의 내용의 녹음자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QSA 관리DB(102)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사용자의 접속 을 허가 또는 불허하고, 사용자에 의해 개설된 토론방 형식의 게시판을 관리한다. SQSA 관리DB(102)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QSA 관리DB(10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100)의 SQSA 관리DB(102)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판별하고, 사용자 정보가 동일한 사용자일 경우 접속을 허가하는 사용자 인증부(102a)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102a)를 통해 접속을 허가받은 사용자가 강의 주제로 토론을 위해 개설한 게시판의 게시물을 저장 및 관리하고, 게시물을 등록한 사용자에게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게시물 관리부(102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답글정보'는 일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에 타 사용자가 답글을 작성하여 등록했을 때, 해당 답글의 내용, 답글이 등록된 횟수, 답글 등록자, 답글 등록 시간 등의 답글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확인정보'는 일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을 타 사용자가 확인한 횟수, 게시물 확인 횟수, 게시물 확인 시간 등을 의미한다. 아울러, '추천정보'는 일 사용자가 등록한 게시물을 타 사용자가 추천한 횟수, 어떤 타 사용자가 추천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 추천 시간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해 업로드된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게시판의 주제에 따라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를 게시물 관리부(102b)에 제공하는 첨부자료 처리부(102b)를 포함한다.
SQSA 관리DB(102)는 사용자가 개설한 토론방 형식의 게시판의 게시물을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각 사용자별로 게시판의 개설 숫자, 개설 날짜, 개설 주제, 게시판에 첨부된 자료를 저장한다. 이는 게시물 관리부(102b)에서 이루어지는데, 게시물 관리부(102b)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기(101)에 제공되는 게시물들은 강의자료, 토론자료, 게시물의 답글, 게시물 등의 형태이다. 게시물 관리부(102b)는 사용자 인증부(102a)에 의해 SQSA 관리DB(102)에 접속을 허가받은 사용자에게 게시판 개설 기능의 사용을 허용한다.
게시물 관리부(102b)는 첨부자료 처리부(102c)로부터 토론을 위한 자료, 게시판에 등록된 게시물과 관련된 게시물 정보, 사용자 단말기(101)에서 업로드된 다양한 자료 및 정보들을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게시물 관리부(102b)는 일 사용자가 게시판에 등록한 게시물에 타 사용자가 답글을 등록하면, 사용자 단말기(101)에 문자 메세지 서비스 및 메일링 서비스와 같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게시물을 등록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장소의 제한없이 게시물 및 게시물에 등록된 답글을 확인하고, 이 답글에 대해 재답글을 등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101)를 이용하는 일 사용자는 타 사용자와 자유로운 의견 및 주장의 교환이 가능하고, 자연스러운 토론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자료 처리부(102c)는 사용자 인증부(102a)에서 접속을 허가받은 사용자의 게시물을 관리하는 게시물 관리부(102b)의 요청에 따라, 게시판의 주제, 게시판 내용, 답글의 내용, 게시판을 개설한 사용자, 강의 주제 및 강의 내용에 부합되는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를 게시물 관리부(102b)에 제공한다. 첨부자료 처리부(102c)는 강의 운영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준, 날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게시물 관리부(102b) 요청에 따라서 다양한 자료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부자료'는 사용자 또는 강의 운영자가 게시물 내용, 토론주제 등에 관련되어 게시물 관리부(102b)에 첨부하는 자료를 의미한다. 나아가, 토론자료가 게시물 관리부(102b)에 저장된 경우에도 이를 첨부자료라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첨부자료 처리부(102c)에 저장 및 관리되는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 중 적어도 하나의 자료는 SQSA 정보제공DB(103)에서 제공받을 수 있으며, SQSA 정보제공DB(103)는 SQSA 관리DB(102)의 첨부자료 처리부(102c)의 자료 요청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자료를 요청 사항에 따라 제공한다. SQSA 정보제공DB(103)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QSA 정보제공D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QSA 정보제공DB(103)는 강의 운영자의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와 접속되고, 강의 주제로 게시판 개설 시 필요한 강의자료를 저장하는 강의자료 제공부(103a)를 포함한다.
또한, SQSA 정보제공DB(103)는 사용자정보서버, 학술정보서버 또는 외부정보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서버와 접속되고,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토론의 주제에 따른 토론자료를 검색 및 저장하는 토론자료 제공부(103b) 및 SQSA 관리DB(102)의 요청에 따라, 강의자료 제공부(103a)의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 제공부(103b)의 토론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를 첨부 자료 처리부(102c)에 제공하는 정보제공처리부(103c)를 포함한다.
SQSA 정보제공DB(103)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SQSA 관리DB(102)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일반 기업체에서 공개하는 다양한 자료들을 강의자료 제공부(103a) 및 토론자료 제공부(103b)에 저장한다.
토론자료 제공부(103b)는 사용자정보서버, 학술정보서버 또는 외부정보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서버와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정보서버'란 학교의 사용자(학생)들의 학번, 수강 과목 등의 학생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학술정보서버'란 해당 학교에서 사용자인 학생에게 제공되는 학술자료, 도서 자료 등을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외부정보서버'란 타 학교 또는 타 기간의 서버를 의미한다. 이러한 서버들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100)과 접속하게 된다.
정보제공처리부(103c)는 강의 운영자가 강의한 자료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 및 정보는 강의자료 제공부(103a)에 저장되도록 분류하여 제공하고, 일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게시물 및 답글과 관련된 자료들은 토론자료 제공부(103b)에 저장되도록 분류하여 제공한다.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의 분류는 특정 키워드를 설정하여, 키워드에 따라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로 분류 가능하다. 또한, 강의 운영자가 자신의 강의 주제에 맞춰 미리 자료 및 정보들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강의 운영자에 의한 자료 및 정보의 분류를 위해,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의 저장전에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카테고리별로 저장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강의 운영자에 의한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의 저장은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는 SQSA 정보제공DB(103)에 접속하기 위해 학교, 기업의 이더넷(Ethernet) 또는 전용망 형식의 네트워크 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유선 네트워크 망과 무선 네트워크 망,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SQSA 정보제공DB(103)에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SQSA 정보제공DB(103)는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와 접속을 위해 이용하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국공립 기관DB(106)와 접속되어, 다양한 정보들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국공립 기관DB(106)는 전국의 시청, 구청, 도청 및 군청과 같은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국공립 기관DB(106)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료와 관련된 자료들을 제공받을 수 있는 다양한 서버 또는 DB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의 평가DB(104)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SQSA 관리DB(102) 및 SQSA 정보제공DB(103)와 접속되어 사용자들의 게시판 활용도, 사용자 간의 답글을 통한 토론현황 및 내용에 관한 자료들을 제공받는다. 또한, 강의 운영자가 입력한 강의 평가 자료를 SQSA 관리DB(102)에 제공한다.
또한, 강의 평가DB(104)는 접속 가산점, 레포트 가산점, 게시판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의 각 가산점 기준에 따른 평가 점수와 강의 가산점을 이용해,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강의 평가 점수(Cost)를 산출한다. 강의 평가DB(104)는 사용자별로 취득한 상기 강의 평가 점수(Cost)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별로 상대평가하여 강의 평가한다.
또한, 강의 평가DB(104)는 게시판의 게시물 내용과 답글 내용으로 강의 평가할 수 있다. 게시물 내용 또는 답글 내용을 이용한 강의 평가는 강의 평가DB(104)가 게시물 내용의 텍스트 수, 강의 내용 키워드 포함 여부, 강의 내용 키워드 포함 횟수 등의 기준을 설정하여 강의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시판에 일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을 주제로 작성된 레포트를 저장하고, 레포트의 내용을 따라 타 사용자가 레포트를 등록한 일 사용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며, 레포트를 등록한 일 사용자가 자신의 레포트에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강의 평가DB(104)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 평가D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의 평가DB(104)는 SQSA 관리DB(102)의 사용자 인증부(102a)로부터 사용자의 접속 여부, 접속 횟수 또는 접속 장소에 관한 접속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접속 여부, 접속 횟수 및 접속 장소에 따라서 접속 가산점을 부여하는 사용자 평가 처리부(104a)를 포함한다.
또한, 강의 평가DB(104)는 SQSA 관리DB(102)의 게시물 관리부(102b)로부터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개수, 내용 및 답글 개수의 게시판 정보를 제공받아, 게시물에 따라서, 게시물 가산점을 부여하는 게시물 평가 처리부(104b)를 포함한다.
또한, 강의 평가DB(104)는 사용자 평가 처리부 및 게시물 평가 처리부가 사용자에게 부여한 게시물 가산점 및 접속 가산점과 강의 가산점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강의 평가하는 강의 평가 처리부(104c)를 포함한다.
강의 평가는 컴퓨터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기능, 연산기능 등을 수행하는 강의 평가DB(104)가 게시물 가산점 및 강의 가산점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강의 가산점은 강의 운영자가 소정의 기준에 따라 기입력한 값이 될 수 있다.
나아가, 강의 평가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100)을 통해 산출된 게시물 가산점에 강의 운영자가 기 입력한 강의 항목별 강의 가산점이 합산되어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다. 강의 가산점은 강의 운영자가 소정의 기준에 따라 기입력한 값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접속장소에 따라서 접속가산점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평가 처리부(104a)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100)에 접속한 회수에 따른 접속 가산점을 접속한 사용자에게 부여한다. 또한, 게시물 관리부(102c)에 게시판을 개설한 사용자별 추천 수를 기준으로 추천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 평가 처리부(104a)는 접속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을 부여한 후, 사용자별로 접속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을 누적하여 일정 기간 후에 정산하여, 사용자별로 최종적인 접속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을 산출할 수 있다.
게시물 평가 처리부(104b)는 SQSA 관리DB(102)의 게시물 관리부(102b)에서 일 사용자가 등록한 게시물의 내용 정보, 게시물 수, 게시판 개설 날짜, 게시판 개설 수, 게시판의 접속된 타 사용자 수, 타 사용자가 등록한 답글 수 및 답글 내용, 타 사용자가 게시물을 등록한 일 사용자를 추천한 횟수에 대한 자료 및 정보를 제공받는다.
게시물 평가 처리부(104b)는 게시물 관리부(102b)에서 제공받은 자료 및 정보를 바탕으로 강의 운영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게시물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평가 처리부(104a)와 함께, 추천 가산점을 강의 운영자가 부여할 수 있다.
한편, 강의 운영자가 미리 설정한 게시물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게시물 평가 처리부(104b)는 사용자의 게시판 현황이 일정 기준에 도달했을 때, 강의 운영자가 정한 게시물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을 자동 부여하게 된다. 사용자의 게시판 현황에 대한 기준은 강의 운영자가 임의 적으로 정할 수 있으며, 교체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게시판 현황에 대한 기준과 이에 따른 가산점의 범위도 설정 및 교체 가능하다.
강의 평가 처리부(104c)는 사용자 평가 처리부(104a) 및 게시물 평가 처리부(104b)에서 사용자에게 부여된 게시물 가산점, 접속 가산점, 강의 가산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온라인 토론방식에 대한 평가를 한다. 강의 평가 처리부(104c)는 강의 운영자가 직접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에서 일부분을 직접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 강의 평가 처리부(104c)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게시판을 통해 토론한 결과를 레포트 형식으로 SQSA 관리DB(102) 또는 강의 평가DB(104)에 등록하면, 레포트 가산점이 레포트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부여된다. 최종적으로 등록된 일 사용자의 레포트는 타 사용자 및 강의 운영자에게 공개될 수 있으며, 타 사용자는 레포트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레포트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나아가, 레포트를 등록한 사용자 자신이 자신의 레포트를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 평가(Self-Evaluation) 방식으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 간에 자유로운 토론 및 자율적인 다양한 학습이 가능하며,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게시판에 게시물 및 답글을 기재하는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창조적 협동성과 학문적 비판 능력 및 대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SQSA 관리DB(102)에 등록된 게시판을 통한 사용자 간의 토론 기간은 한정되어 정해지지 있지 않으며, 참여 사용자의 수도 한정되어 정해져 있지 않다. (토론기간은 사용자 또는 강의운영자에 의해 임의로 정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간이 가감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참여 사용자의 수도 사용자 또는 강의 운영자에 의해 임의로 정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참여 사용자의 수는 가감될 수 있을 것이다.
토론을 위해 토론방 형식의 게시판을 개설한 일 사용자는 자신이 정한 게시판 주제에 대한 토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결론에 대한 레포트를 SQSA 관리DB(102) 또는 강의 평가DB(104)의 강의 평가 처리부(104c)에 제공한다. 여기서, 토론은 사용자 간의 게시물에 등록과 게시물에 대한 답글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답글과 답글에 대한 재답글의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강의 평가 처리부(104c)에 제공되어 저장된 레포트는 강의 운영자가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를 이용해 확인하고, 강의 운영자가 사용자에게 레포트 가산점을 부여한다. 레포트 가산점은 강의 운영자의 주관적인 점수일 수 있으며, 강의 운영자가 미리 정해놓은 기준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 있는 가산점이다.
또한, 레포트 가산점은 강의 운영자가 정해놓은 게시판 개설 수,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한 답글 수, 게시판 참여 인원 수 및 답글을 등록한 사용자의 추천 수의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평가 처리부(104c)는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주제와 관련되어 작성된 레포트의 정보를 저장하고, 레포트의 내용에 따라 강의 운영자가 부여하는 레포트 가산점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강의 평가한다. 또한, 강의 평가 처리부(104c)는 게시판에 일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을 타 사용자가 추천할 경우, 추천수에 따라서 게시물을 게시한 사용자를 우수 사용자로 지정하고 게시판 가산점을 부여하며, 우수 사용자의 추천 가산점과 강의 운영자가 입력하는 강의 가산점을 기반으로 강의 평가할 수 있다.
강의 평가 처리부(104c)는 강의 평가 점수(Cost)를 산출하고, 각 사용자별로 부여된 강의 평가 점수(Cost)를 기준으로 사용자들을 상대평가하여 강의 평가할 수 있다. 강의 평가를 위한 강의 평가 점수(Cost) 산출을 위한 항목, 기준, 각 가산점들은 사용자 평가 처리부(104a) 및 게시물 평가 처리부(104b)에서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100)을 이용한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SQSA 관리DB의 사용자 인증부로부터 접속을 허가받은 사용자가 SQSA 관리DB에 접속하는 S1단계, SQSA 관리DB에 접속한 사용자가 강의 내용을 주제로 토론을 위해 개설한 게시판이 게시물 관리부에 등록 및 저장되는 S2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게시물 관리부에 등록된 일 사용자의 게시판에 타 사용자가 게시판 주제를 선택하여 토론에 참여하고, 게시판을 개설한 일 사용자의 게시물에 타 사용자가 답글을 기재하고 추천하면, 게시물 관리부에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가 게시물 관리부에 등록 및 저장되는 S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SQSA 정보제공DB가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SQSA 관리DB의 첨부자료 처리부로 제공하며, SQSA 관리DB의 첨부자료 처리부가 게시물 관리부에 강의자료 또는 토론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S4단계 및 강의 평가DB가 사용자의 게시판 개설 횟수, 게시물의 답글 횟수, 게시물의 추천 횟수에 대한 정보를 SQSA 관리DB로부터 제공받아 게시물 가산점을 부여하고, 사용자의 게시물 가산점을 기준으로 강의 항목별 강의 가산점이 사용자에게 부여되어, 사용자를 강의 평가하는 S5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S3단계에서 게시판에 답글이 등록하면, 게시물을 작성한 사용자에게 게시물 관리부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S6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S1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사용자가 학번, 주민번호, 전화번호, 패스워드, 비밀번호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의 입력을 통해 SQSA 관리DB(102)의 사용자 인증부(102a)에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다. 사용자 인증부(102a)에서 인증을 실패한 사용자는 회원 가입을 통해 인증을 받을 수 있고, 강의 운영자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S2 단계에서는 인증을 통해 접속 허가를 받은 사용자는 자신의 담당 교수 및 상사 등에 해당되는 강의 운영자의 강의 주제와 관련된 토론방 형식의 게시판을 개설한다. 이 게시판의 주제는 강의 주제, 강의 내용 및 자유주제의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시판과 관련된 정보 및 자료들은 SQSA 관리DB(102)의 게시물 관리부(102b)에 저장 및 관리된다.
S3 단계에서 사용자는 게시판의 개설 기간 및 참여 인원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며, 답글을 등록하는 타 사용자에게 추천 또는 점수를 부여한다. 또한, 게시판을 개설한 일 사용자에게 타 사용자가 게시판의 주제 및 내용을 참조하여, 추천 또는 점수를 부여하여 우수 회원의 지정을 위한 점수를 제공한다. 게시판을 개설한 일 사용자 역시, 답글을 등록하는 타 사용자에게 답글의 내용 및 답글 수에 따라서 우수 참여자 지정을 위한 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3 단계는 S2 단계에서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개설 기간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게시물의 내용 및 답글의 내용을 참조하여, 레포트를 인터넷 상에서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된 레포트는 SQSA 관리DB(102)의 게시물 관리부(102b)에 저장하여 관리 가능하다.
S4 단계에서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주제와 관련된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를 SQSA 정보제공DB(103)의 강의자료 제공부(103a) 및 토론자료 제공부(103b)에서 제공받는다. 자료를 제공받으면, 사용자는 게시판의 첨부 파일 첨부란과 같은 형식으로 자료 및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자료가 등록되면 답글을 등록하는 타 사용자는 게시판의 주제에 맞는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게시판을 개설한 사용자는 게시판의 주제, 게시물 내용, 답글 내용, 참여자의 수 및 참여자의 전공학과를 고려하여, SQSA 정보제공DB(103) 및 강의 운영자에 관련 게시판 자료 및 토론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공받는 게시판 자료 및 토론 정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유로운 토론 주제의 도출, 창의적인 게시판 운영, 자기주도적 학습 및 레포트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S5 단계는 강의 운영자가 게시판의 주제, 게시물 내용, 답글 내용, 참여자의 수, 추천 수, 답글 수, 게시판 개설 수와 같은 토론 현황, 게시판을 주제로 작성한 레포트를 참조하여 사용자를 강의 평가하는 단계다.
S5 단계에서 강의 운영자는 SQSA 관리DB의 게시물 관리부에서 게시판 정보를 제공받아, 강의 평가DB가 게시물 가산점을 게시판 개설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사용자 인증부에서 사용자 접속 정보를 제공받아, 접속 가산점을 접속 사용자에게 부여하며, 오프라인 강의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된 강의 가산점을 기반으로 강의 평가한다.
또한, 강의 평가DB가 게시판의 주제를 바탕으로 작성된 레포트 정보와 레포트 가산점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강의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강의 평가DB가 일 사용자의 게시물에 타 사용자가 추천함으로써, 발생되는 추천수에 따라 우수 사용자를 지정하고, 우수 사용자에게 게시판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을 부여하며, 강의 운영자가 입력하는 강의 가산점을 각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게시판 가산점, 추천 가산점 및 강의 가산점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를 강의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5단계는 강의 평가DB 및 강의 운영자가 접속 가산점, 레포트 가산점, 게시판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의 각 가산점 기준에 따른 평가 점수와 강의 가산점을 이용해,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강의 평가 점수(Cost)를 산출한다.
Figure 112012029659604-pat00001
(여기서, a는 강의 운영자가 부여하는 강의 가산점이며, c는 각 가산점 기준에 따른 평가 점수이고, n은 각 가산점이 부여되는 항목 수이다)
S5단계는 사용자별로 부여된 강의 평가 점수(Cost)를 이용해 사용자별로 상대평가하여 강의 평가를 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의 운영자가 강의 평가DB에 미리 설정한 강의 평가 점수(Cost)를 기준으로 절대평가할 수 있다. 강의 평가 점수(Cost)의 산출을 위한 평가 점수(c)는 강의 운영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강의 평가 점수(Cost)의 산출을 위한 평가 점수(c) 및 강의 가산점(a)는 강의 운영자가 강의 운영자 단말기(105)를 이용해 강의 평가DB(104)에 접속하여 입력한다. 또한, 각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1)를 통해 강의 평가DB(104)에 접속하여 스스로 다양한 가산점들을 입력하여 자기 평가(Self-Evaluation)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S2단계에서 일 사용자가 주제를 정하고, 주제에 따른 게시물을 등록하여 타 사용자와 토론하는 것은 다양하고 분산적인 토론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적 의미를 담고 있다.
나아가, S5단계에서 강의 평가DB에 등록되는 토론의 결과물인 최종 레포트는 토론의 구체적 성과물이다. S5단계에서 사용자 간에 레포트에 대한 가산점을 부여하며, 레포트를 공유하는 것은 토론에 참여한 사용자(토론 구성원)들에게 본 발명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 사용자가 게시판의 주제에 해당되는 창의적인 문제(Self-Question: SQ)를 제시하고, 타 사용자와 토론을 통해 자립적 문제 해결(Self-Answer: SA)하는 것은 본 발명과 종래의 토론방식을 통한 학습방법이 구분되는 차이점이다.
또한, S5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강의 평가는 사용자간의 토론을 통한 자율적 학습의 구체적인 성과화를 이룬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종래의 토론방식을 통한 학습방법과 차별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의 내용과 관련된 주제로 토론을 위해, 일 사용자가 게시판을 SQSA 관리DB에서 생성하고, 타 사용자가 게시판의 게시물에 답글을 기재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자유로운 토론 및 자율적인 다양한 학습이 가능하며,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SQSA 정보제공DB가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 및 게시물을 관리하는 SQSA 관리DB로 토론의 자유로운 주제 도출을 위한 강의자료 및 강의 내용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게시판에 게시물 및 답글을 기재하는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창조적 협동성과 학문적 비판 능력 및 대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강의 평가DB가, SQSA 관리DB에서 본 발명의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개설횟수, 게시물 내용, 게시물의 답글정보, 게시물의 추천 횟수와 같은 게시판의 정보를 제공받아,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자율적 학습에 대해 평가하여 평과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도출된 온라인 상의 평가 결과와 오프라인 상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강의 평가DB가 사용자를 강의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게시판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는 최종 레포트를 사용자 간에 확인하고, 레포트를 평가함으로 자기 평가(Self-Evaluation)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자기 평가(Self-Evaluation) 방식으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 간에 자유로운 토론 및 자율적인 다양한 학습이 가능하며,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101: 사용자 단말기 102: SQSA 관리DB
102a: 사용자 인증부 102b: 게시물 관리부
102c: 첨부자료 처리부 103: SQSA 정보제공DB
103a: 강의자료 제공부 103b: 토론자료 제공부
103c: 정보제공처리부 104: 강의 평가DB
104a: 사용자 평가 처리부 104b: 게시물 평가 처리부
104c: 강의 평가 처리부 105: 강의 운영자 단말기
106: 국공립 기관DB

Claims (16)

  1. 토론의 진행 및 참여 정도에 따라, 토론의 참여자인 사용자를 평가하는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으로서,
    인터넷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며, 토론자료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게시물을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판별하고, 사용자 정보가 동일한 사용자일 경우 접속을 허가하는 사용자 인증부와,
    접속을 허가받은 사용자가 강의 주제로 토론을 위해 개설한 게시판의 게시물을 저장 및 관리하고, 게시물을 등록한 사용자에게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를 제공하는 게시물 관리부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토론자료를 저장하고, 게시판의 주제에 따라 토론자료를 게시물 관리부에 제공하는 첨부자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SQSA 관리DB;
    토론자료를 수집 및 정리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토론자료를 SQSA 관리DB의 첨부자료 처리부에 제공하며, SQSA 관리DB의 게시물 관리부로부터 게시물의 답글정보, 확인정보 및 추천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SQSA 정보제공DB;
    사용자의 게시판 개설 횟수, 게시물의 답글 횟수 및 게시물의 추천 횟수에 따라 부여된 게시물 가산점이 저장되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게시물 가산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부여된 강의 항목별 강의 가산점이 저장되는 강의 평가DB를 포함하되,
    상기 강의 평가DB는, SQSA 관리DB의 사용자 인증부로부터 사용자의 접속 여부, 접속 횟수 또는 접속 장소에 관한 접속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접속 여부, 접속 횟수 및 접속 장소에 따라서 접속 가산점을 부여하는 사용자 평가 처리부; SQSA 관리DB의 게시물 관리부로부터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개수, 내용 및 답글 개수의 게시판 정보를 제공받아, 게시물에 따라서, 게시물 가산점을 부여하는 게시물 평가 처리부; 및 사용자 평가 처리부 및 게시물 평가 처리부가 사용자에게 부여한 게시물 가산점 및 접속 가산점과 강의 가산점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강의 평가하는 강의 평가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의 평가DB는, 사용자가 개설한 게시판의 주제로 작성된 레포트의 정보를 저장하고,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한 답글수, 게시판 참여 인원수 또는 답글을 입력한 사용자의 추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레포트 가산점이 부여되어 사용자를 강의 평가하며,
    상기 강의 평가DB는, 게시판에 일 사용자가 게시한 게시물을 타 사용자가 추천할 경우, 추천수에 따라서 게시물을 게시한 사용자를 우수 사용자로 지정하고 게시판 가산점을 부여하며, 우수 사용자의 추천 가산점과 강의 가산점을 합산하여 강의 평가하고,
    상기 강의 평가DB는, 접속 가산점, 레포트 가산점, 게시판 가산점 및 추천 가산점의 각 가산점 기준에 따른 평가 점수와 강의 가산점을 이용해,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강의 평가 점수(Cost)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3019229977-pat00009

    (여기서, a는 강의 운영자가 부여하는 강의 가산점이며, c는 각 가산점 기준에 따른 평가 점수이고, n은 각 가산점이 부여되는 항목 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QSA 정보제공DB는,
    강의 운영자의 강의 운영자 단말기와 접속되고, 강의 주제로 게시판 개설 시 필요한 강의자료를 저장하는 강의자료 제공부;
    사용자정보서버, 학술정보서버 또는 외부정보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서버와 접속되고,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토론의 주제에 따른 토론자료를 검색 및 저장하는 토론자료 제공부; 및
    SQSA 관리DB의 요청에 따라, 강의자료 제공부의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 제공부의 토론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상기 강의자료 및 토론자료를 첨부 자료 처리부에 제공하는 정보제공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평가DB는,
    게시물 내용의 텍스트 수, 강의 내용 키워드 포함 여부 또는 강의 내용 키워드 포함 횟수 중 하나 이상의 기준을 기초로 일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에 의한 가산점이 상기 일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평가DB는,
    설정기준에 따라 기입력된 강의 항목별 강의 가산점이 게시물 가산점에 추가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평가DB는,
    사용자별로 부여된 상기 강의 평가 점수(Cost)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별로 상대평가하여 강의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038809A 2012-04-13 2012-04-13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126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09A KR101265453B1 (ko) 2012-04-13 2012-04-13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09A KR101265453B1 (ko) 2012-04-13 2012-04-13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453B1 true KR101265453B1 (ko) 2013-05-16

Family

ID=4866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809A KR101265453B1 (ko) 2012-04-13 2012-04-13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826B1 (ko) 2022-07-28 2023-07-20 주식회사 메타비티 인공지능 기반의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혼합 교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826B1 (ko) 2022-07-28 2023-07-20 주식회사 메타비티 인공지능 기반의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혼합 교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es et al.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synchronous hybrid learning: gaps identified
Khalil et al. MOOCs completion rates and possible methods to improve retention-A literature review
Uellendahl et al. Supervision training, practices, and interests of California site supervisors
KR1010124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수준별 다자간 그룹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Hochtritt et al. Public pedagogy and social justice in arts education
Chikurteva et al. E-learning: technologies, application and challenges
Parra Virtual teaching in postgraduate programmes: the importance of social collaboration in virtual communities
Reineck et 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A human rights-based approach in developing countries
Beatty Teaching a hybrid-flexible course
Brookman‐Byrne et al. Future avenues for educational neurosc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EARLI SIG 22 conference attendees
KR20010103243A (ko)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원격 화상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Sharples Visions for the future of educational technology
KR101265453B1 (ko) 온라인 토론방식을 통한 강의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Sideris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MOOC technologies: The case of Hellenic Open University
Ryznar Lessons from Teaching Tax Online
KR101681404B1 (ko) 사전체험 강의 제공 장치 및 사전체험 강의 제공 방법
Baskaran MOOCS Applications in Open Distance Leaning (ODL): Issues and Challenges
Tarasova et al. Engineering Education and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through MOOCs: Student Assessment.
Ogannisy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stant educational technologies for bachelors
Yeung Synchronous web conferencing: Towards a pedagogical model for effective learning
Parga et al. Beyond the online versus on-campus debate: Leveraging technology in a CoI framework to enhance student and faculty presence in the MSW classroom
Zhukova et al. Development of Educators’ Digital Skill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During Covid-19 in Ukraine and the World: A Comparative Aspect
Rakhimovich Possibilities of Using Moder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Services
Rodriguez Instructional Note: Engaging the Quiet Student: Digital Back-Channeling in the Composition Classroom
Koessoy et al. Digital Literacy Learning Management Innovation at State Vocational Schools in Manado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