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303B1 - 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 - Google Patents

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303B1
KR101264303B1 KR1020110047662A KR20110047662A KR101264303B1 KR 101264303 B1 KR101264303 B1 KR 101264303B1 KR 1020110047662 A KR1020110047662 A KR 1020110047662A KR 20110047662 A KR20110047662 A KR 20110047662A KR 101264303 B1 KR101264303 B1 KR 10126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t
information
project
cost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9420A (en
Inventor
최남현
Original Assignee
(주)알앤디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앤디프로젝트 filed Critical (주)알앤디프로젝트
Priority to KR102011004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303B1/en
Publication of KR2012012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3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프로젝트명, 프로젝트목표, 관리자, 공유사이트, 일정기준, 프로젝트 예산, 프로젝트 달력 정보를 입력가능한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와;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시작일, 완료일, 의존관계, 자원, 예산, 비용 정보를 단계별로 입력가능한 기본테이블과, 상기 프로젝트의 중요작업단계에 해당하는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시작일, 완료일, 의존관계, 자원, 예산, 비용 정보를 입력가능한 마일스톤 차트 테이블과, 상기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자원, 완료시점 예산(BAC), 계획예산(PV), 성과(EV), 실비용(AC) 정보를 입력가능한 비용테이블로 구성된 테이블 입력부와;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자원 배정상태를 막대와 바로 표현하는 기본(NH)차트와, 상기 마일스톤 차트 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자원 배정상태를 막대와 바로 표현하는 마일스톤(MS) 차트와,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분류체계를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나타내는 WBS(작업분류체계) 차트,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간에 대한 일별 작업배정 상태를 블록으로 표현하는 일정표형 차트와, 상기 비용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완료시점예산(BAC), 계획예산(PV), 성과(EV), 실비용(AC)을 선 그래프로 나타내는 비용차트와, 상기 비용테이블에 대한 작업별 노무비, 재료비, 경비, 관리비 정보를 입력가능한 세부비용차트로 구성된 차트부와; 상기 테이블 입력부의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게 하는 테이블 필터부와; 상기 차트부의 차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게 하는 차트 필터부와;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 테이블 입력부, 차트부, 테이블 필터부, 차트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젝트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다양한 공정차트 표현이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 즉, 프로젝트 제약 사항 간의 이슈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for project management, comprising: a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project name, a project goal, a manager, a shared site, schedule criteria, a project budget, and project calendar information; Basic table that can input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start date, completion date, dependency, resource, budget, cost information of the project step by step, and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start date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work stage of the project. Milestone chart table for inputting completion date, dependency, resource, budget, cost informa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resources, completion budget (BAC), planning budget (PV), performance (EV) A table input unit comprising a cost table into which actual cost (AC) information can be input; A basic (NH) chart that directly expresses the daily resource allocation status for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basic table, and a daily resource allocation status for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milestone chart table And a milestone (MS) chart immediately expressed, a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chart showing a work breakdown structure in a network diagram form using the information inputted into the base table, and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ted into the base table. A timeline chart that shows the daily work assignment status for the block and the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cost table for the daily completion point budget (BAC), planned budget (PV), performance (EV), actual cost ( A cost chart showing AC) as a line graph, and detailed cost charts in which labor, material, cost, and management cost information for each job for the cost table can be entered. Chart generated unit; A table filter unit which select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tables of the table input unit; A chart filter unit which select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charts of the char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table input unit, chart unit, table filter unit, and chart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that can represent a variety of process chart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that is, to solve issues or problems between project constraints and effective decision making can do.

Description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

본 발명은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젝트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다양한 공정차트 표현이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capable of representing various process charts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about a project.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PM)란, 어떤 특정 정보 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계획에 대한 관리 업무 전반을 말하는 것으로 관리 기준을 근거로 계획의 내용, 시스템의 품질, 진행 상황, 비용 등의 통제와 평가를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프로젝트 관리의 수행목표는 효과적인 프로젝트 계획 및 관리를 통하여 조직이 높은 성과를 내고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있다.In general, Project Management (PM) refers to overall management tasks for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management criteria, the contents of the plan, system quality, progress, cost, etc. Means control and evaluation. The performance goal of such project management is to enable the organization to achieve high performance and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effective project planning and management.

이를 위하여, 프로젝트 공정에 대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공정차트가 요구되었다.To this end, a process chart was required to monitor the project process in real time and to monitor the progress.

한편, 공정차트는 프로젝트 관리의 3대 제약사항인 범위, 일정, 자원을 나타내어 프로젝트 제약 사항 간의 이슈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종래에 따른 공정차트는 간트차트(Gantt chart),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분류체계)차트, 마일스톤 차트(Milestone chart),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차트, CPM(Critical Path Method) 차트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process charts represent the three major constraints of project management, such as scope, schedule, and resources, to solve issues or problems between project constraints and make effective decisions. The conventional process chart is a Gantt chart.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charts, milestone charts,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PERT) charts, and critical path method (CPM) charts.

그런데, 이와 같은 공정차트는 해당 차트의 표현기법으로만 공정내용을 표현할 수 있어, 숙련되지 않은 공정차트로 작업하게 되는 경우 프로젝트에 대한 공정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워서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such a process chart can express the process contents only by the expression technique of the corresponding chart, and when working with an inexperienced process char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rocess contents of the project, and thus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cannot be achieved. It wa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젝트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다양한 공정차트 표현이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capable of expressing various process charts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about a project so that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can be achie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은,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프로젝트명, 프로젝트목표, 관리자, 공유사이트, 일정기준, 프로젝트 예산, 프로젝트 달력 정보를 입력가능한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와; A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project name, a project goal, a manager, a shared site, schedule criteria, a project budget, and project calendar information;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시작일, 완료일, 의존관계, 자원, 예산, 비용 정보를 단계별로 입력가능한 기본테이블과, 상기 프로젝트의 중요작업단계에 해당하는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시작일, 완료일, 의존관계, 자원, 예산, 비용 정보를 입력가능한 마일스톤 차트 테이블과, 상기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자원, 완료시점 예산(BAC), 계획예산(PV), 성과(EV), 실비용(AC) 정보를 입력가능한 비용테이블로 구성된 테이블 입력부와; Basic table that can input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start date, completion date, dependency, resource, budget, cost information of the project step by step, and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start date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work stage of the project. Milestone chart table for inputting completion date, dependency, resource, budget, cost informa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resources, completion budget (BAC), planning budget (PV), performance (EV) A table input unit comprising a cost table into which actual cost (AC) information can be input;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자원 배정상태를 막대와 바로 표현하는 기본(NH)차트와, 상기 마일스톤 차트 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자원 배정상태를 막대와 바로 표현하는 마일스톤(MS) 차트와,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분류체계를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나타내는 WBS(작업분류체계) 차트,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간에 대한 일별 작업배정 상태를 블록으로 표현하는 일정표형 차트와, 상기 비용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완료시점예산(BAC), 계획예산(PV), 성과(EV), 실비용(AC)을 선 그래프로 나타내는 비용차트와, 상기 비용테이블에 대한 작업별 노무비, 재료비, 경비, 관리비 정보를 입력가능한 세부비용차트로 구성된 차트부와; A basic (NH) chart that directly expresses the daily resource allocation status for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basic table, and a daily resource allocation status for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milestone chart table And a milestone (MS) chart immediately expressed, a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chart showing a work breakdown structure in a network diagram form using the information inputted into the base table, and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ted into the base table. A timeline chart that shows the daily work assignment status for the block and the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cost table for the daily completion point budget (BAC), planned budget (PV), performance (EV), actual cost ( A cost chart showing AC) as a line graph, and detailed cost charts in which labor, material, cost, and management cost information for each job for the cost table can be entered. Chart generated unit;

상기 테이블 입력부의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게 하는 테이블 필터부와; A table filter unit which select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tables of the table input unit;

상기 차트부의 차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게 하는 차트 필터부와;A chart filter unit which select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charts of the chart unit;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 테이블 입력부, 차트부, 테이블 필터부, 차트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table input unit, chart unit, table filter unit, and chart filter unit.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접속시 인증절차를 통하여 접속을 승인하는 인증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the projec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approving the access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the user is connected.

또한,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는, 프로젝트팀 구성, 프로젝트비용 구성, 산출물 구성, 작업분류체계차트 구성 정보를 더 입력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may further input the project team configuration, project cost configuration, output configura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chart configur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기본테이블은 완료율과 마감일 정보를 더 입력가능하다.In addition, the basic table may further input the completion rate and the deadline information.

또한, 상기 기본차트는 의존관계, 작업의 간격, 완료율 및 마감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표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차트는 기간, 시작일, 완료일, 자원, 의존관계, 작업의 간격, 완료율 및 마감일 정보에 따라 기간상태, 자원배정상태, 의존관계상태, 완료율 상태 및 마감일 상태를 단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Also, the basic chart may further express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f dependency, work interval, completion rate, and deadline information. Preferably, the basic chart can express the period status, resource allocation status, dependency status, completion status status and deadline status according to period, start date, completion date, resource, dependency, work interval, completion rate and deadline information. have.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본테이블의 작업정보에 대한 속성선택시, 기간, 단위, 작업량 정보의 고정체크여부에 따라 자원배정에 대한 비용 변화를 테이블 입력부에 표시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able to display a change in the cost of the resource allocation to the table input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fixed check of the period, unit, and workload information when selecting the attribute for the work information of the basic table.

또한, 상기 일정표형 차트는, 상기 기간에 대한 일별 작업배정 상태를 작업별 혹은 자원별로 구분하여 블록으로 표현가능하다.In addition, the schedule chart can be expressed in blocks by dividing the daily work assignment status for the period by job or by resour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젝트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다양한 공정차트 표현이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 즉, 프로젝트 제약 사항 간의 이슈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that can represent a variety of process chart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that is, to solve issues or problems between project constraints and effective decision making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을 표시화면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입력부의 기본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입력부의 MS 차트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입력부의 비용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트부의 기본(NH)차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트부의 MS 차트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트부의 WBS 차트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트부의 일정표형차트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트부의 비용차트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트부의 세부비용차트를 나타낸다.
도 12(a),(b),(c),(d),(e)는 본 발명의 기본 차트에서 입력정보에 따른 표현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a),(b)는 본 발명의 MS차트에서 입력정보에 따른 표현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for project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display screen.
3 illustrates a basic table of a table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MS chart table of a table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shows a cost table of a table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basic (NH) chart of a cha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 MS chart of a cha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 WBS chart of a cha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schedule chart of a chart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llustrates a cost chart of a cha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etailed cost chart of a cha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 (b), (c), (d), and (e) show an example of a method of expression based on input information in the basic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 and 13 (b) show an example of a re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in an MS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known configurations or obvious matter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100)은, 크게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110), 테이블 입력부(120), 차트부(130), 테이블 필터부(140), 차트 필터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process chart design system 100 of the projec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10, the table input unit 120, the chart unit 130, the table filter unit 140 ), The chart filter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60 is configured.

여기서,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명, 프로젝트목표, 관리자, 공유사이트, 일정기준, 프로젝트 예산 및 프로젝트 달력 정보를 입력가능한 구성으로서, 프로젝트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계획하기 전에 프로젝트의 기본 정보와 프로젝트 기획 및 계획시 필요한 기본 요소의 입력 및 설정을 하게 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달력정보는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젝트 전체 달력과 특정 작업/자원에 대한 달력을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basic project information input unit 110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inputting a project name, a project goal, a manager, a sharing site, a schedule standard, a project budget and project calendar information, as shown in FIG. Before planning the project,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project and the basic elements necessary for project planning and planning are entered and set up. Here, the calendar information may display a project-wide calendar and a calendar for a specific task / resource required to execute the project.

또한, 상기 테이블 입력부(120)는 크게 기본테이블(122), 마일스톤 차트 테이블(124) 및 비용테이블(1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프로젝트의 3대 제약사항인 범위, 일정, 자원 정보 및, 비용 정보를 다양한 테이블 형식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the table input unit 120 includes a basic table 122, a milestone chart table 124, and a cost table 126, and the three limitations of the project range, schedule, resource information, and Cost information is managed in various table formats.

여기서, 상기 기본테이블(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작업, 기간, 시작일, 완료일, 의존관계, 자원, 예산, 비용 정보를 단계별로 입력할 수 있다. 즉, 기본테이블(122)은 기본적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범위, 일정, 자원 및 비용에 대한 기본 정보를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본테이블(122)의 각 정보들은 제어부(160)를 통해 설정된 속성요소들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의존관계는 해당 작업의 선행작업을 의미하며, WBS의 분류기호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ase table 122 includes a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a work, a period, a start date, a completion date, a dependency, a resource, a budget, and a cost information of a project. You can enter That is, the basic table 122 basically means configured to input all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cope, schedule, resources and costs of the project. In addition, each piece of information in the base table 122 may change attribute elements set through the controller 160. In this case, the dependency means a predecessor of the corresponding task, and may be expressed by a classification symbol of the WBS.

또한, 상기 마일스톤(MS; Milestone) 차트 테이블(1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의 중요작업단계에 해당하는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시작일, 완료일, 의존관계, 자원, 예산, 비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본테이블(122)에서 입력된 전체작업 중 중요작업단계를 체크하면 마일스톤 차트 테이블(124)에 해당 중요작업단계에 해당하는 정보들이 입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ilestone (MS) chart table 124, as shown in Figure 4,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s, period, start date, completion date, dependency, resources, budget, Cost information can be entered. Alternatively, when the important work step of the entire work inputted from the basic table 122 is check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work step may be input to the milestone chart table 124.

또한, 상기 비용테이블(12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자원, 완료시점 예산(BAC), 계획예산(PV), 성과(EV), 실비용(AC)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t table 126, as shown in Figure 5,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of the project, work, period, resources, completion budget (BAC), planning budget (PV), performance (EV), actual cost (AC) Information can be entered.

또한, 상기 차트부(130)는 크게 기본(NH)차트(131), 마일스톤(MS) 차트(132), 작업분류체계(WBS) 차트(133), 일정표형차트(134), 비용차트(135), 세부비용차트(136)를 포함하여 구성으로서, 테이블 입력부(120)의 입력정보를 연산 등을 통하여 다양한 차트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이외에 네트워크, 캘린더 형태의 다양한 차트 등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hart unit 130 is large (NH) chart 131, milestone (MS) chart 132,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chart 133, schedule chart 134, cost chart 135 ), And the detailed cost chart 136 is configured to express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table input unit 120 in various chart formats through calcul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various charts in the form of networks, calendars, and the like may be further added.

여기서, 상기 기본차트(1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테이블(122)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자원 배정상태를 막대와 바로 나타낸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basic chart 131 shows a daily resource allocation state for a period using a bar and a bar.

또한, 상기 MS 차트(1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일스톤(MS) 차트 테이블(124)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자원 배정상태를 막대와 바로 나타낸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MS chart 132 shows the daily resource allocation status for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milestone (MS) chart table 124.

또한, 상기 WBS 차트(1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테이블(122)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분류체계(WBS)를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나타낸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WBS chart 133 represents a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in a network diagram form by using information input to the basic table 122.

또한, 일정표형(또는 MT; Month Time) 차트(13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테이블(122)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작업배정 상태를 블록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기간에 대한 내용을 달력을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작업내용을 손쉽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일정표형 차트(134)는, 기간에 대한 일별 작업배정 상태를 작업별 혹은 자원별로 구분하여 블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위작업 혹은 하위작업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자원별로 해당 자원에 대한 작업을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schedule table (or MT; month time) chart 134 represents a daily work assignment state for a period in a block by using information input to the basic table 122. Here, the content of the period is displayed using a calenda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overall work content of the project. In particular, the schedule chart 134 may be expressed in blocks by dividing the daily work assignment status for the period by job or resource. Accordingly, the task may be displayed by the upper task or the lower task, or the task for the resource may be displayed by the resource.

또한, 비용차트(13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용테이블(126)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완료시점예산(BAC), 계획예산(PV), 성과(EV), 실비용(AC)을 선 그래프로 나타낸다. 이에 따라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비용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투입될 비용과 예산, 일정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것은 PERT 차트 및 CPM 차트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cost chart 135 uses the information input into the cost table 126 to calculate the daily completion point budget (BAC), plan budget (PV), performance (EV), Actual cost (AC) is shown as a line graph.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ost status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and to monitor the cost, budget, and schedule to be put in the future. This is done using the PERT chart and CPM chart method.

또한, 상기 세부비용차트(13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용테이블(126)에 대한 작업별 노무비, 재료비, 경비, 관리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무비는 간접노무비, 직접노무비, 소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재료비는 직접재료비, 간접재료비, 작업설물, 잔급재료비, 소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경비는 직접경비, 간접경비, 소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비는 시설, 기자재, 소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런 정보들은 테이블 또는 차트 상에서 변경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세부비용차트(136)는 사용자가 비용테이블(126)과 함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차트부(130)의 구성으로 포함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테이블입력부(120)의 구성으로 포함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EVMS 차트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세부적인 비용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detailed cost chart 136 may input labor cost, material cost, expense, and management cost information for each job for the cost table 126. Here, the labor costs can be entered indirect labor costs, direct labor costs, subtotal information, material costs can be input direct material costs, indirect material costs, work materials, residual material costs, subtotal information, the expenses are direct expenses, indirect expenses, subtotals You can ent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fee can enter the facility, equipment, subtotal information. This information can be changed in a table or chart. 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cost chart 136 i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t unit 130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with the cost table 126, but may be set to be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able input unit 120 according to the situation have. This is using the EVMS chart method. As a result, detailed cost status can be identified.

또한, 상기 테이블 필터부(140)는 테이블 입력부(120)의 테이블(122, 124, 12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콤보상자(combobox) 등을 이용하여 필터처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차트 필터부(150)도 차트부(130)의 차트(131,132,133,134, 135,13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콤보상자 등을 이용하여 필터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 filter unit 140 is configured to select and display any one of the tables 122, 124, and 126 of the table input unit 120. The table filter unit 140 may filter by using a combo box or the like. . Similarly, the chart filter unit 150 is also configured to select and display any one of the charts 131, 132, 133, 134, 135, and 136 of the chart unit 130. The chart filter unit 150 may filter using a combo box or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110), 테이블 입력부(120), 차트부(130), 테이블 필터부(140), 차트필터부(15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어부(160)는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프로젝트의 기본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10, the table input unit 120, the chart unit 130, the table filter unit 140, and the chart filter unit 15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provide a basic baseline of the project based on the current date.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100)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접속시 인증절차를 통하여 접속을 승인하는 인증처리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cess chart design system 100 of the projec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0, and further comprises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70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when the user connects.

또한,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팀 구성, 프로젝트비용 구성, 산출물 구성, 작업분류체계(WBS) 차트 구성 정보를 더 입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110)에 하위프로젝트 삽입기능, 페이지 설정기능, 프로젝트 요약정보 보기 기능 등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10, as shown in Figure 2, may further input the project team configuration, project cost configuration, output configura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chart configuration information, preferably The subproject insertion function, page setting function, and project summary information viewing function may be further added to the basic project information input unit 110.

또한, 상기 기본테이블(122)은 완료율과 마감일 정보를 더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ic table 122 may further input the completion rate and the deadline information.

또한, 상기 기본(NH)차트(131)는 의존관계, 작업의 간격, 완료율 및 마감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의 간격 정보는 기본테이블(122)로 입력되는 작업별 기간, 시작일, 완료일 정보에 의해 계산되어지며 간격값을 별도로 입력할 수 있는 정보이다. In addition, the basic (NH) chart 131 may further represent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dependency, work interval, completion rate and deadline information. Here, the interval information of the job is calculated based on the period, start date, an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for each job input to the base table 122, and is information for inputting the interval value separately.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기본차트(131)는 기간, 시작일, 완료일, 자원, 의존관계, 작업의 간격, 완료율 및 마감일 정보에 따라 기간상태, 자원배정상태, 의존관계상태, 완료율 상태 및 마감일 상태를 단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간, 시작일, 완료일 정보에 의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의 막대(131a)와 바(131b)로 기간상태가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막대(131a)는 일(day), 주, 월, 분기를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자원 정보에 의해 도 12(b)와 같이 상기 막대의 단부와 이격된 막대의 단부를 이어 형성된 구획으로 자원배정상태가 표현된다. 또한, 의존관계 정보에 의해 도 12(c)와 같이 상기 구획의 단부와 다른 구획의 단부를 이은 형태로 의존관계상태(131c)가 표현될 수 있다. 이때, 계산값이 작업의 간격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완료율 정보에 의해 도 12(d)와 같이 완료율 상태를 상기 구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색처리(131e)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마감일 정보에 의해 도 12(e)와 같이 상기 구획을 이루는 막대로부터 연장 이격된 형태로 마감일상태(131f)를 표시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본차트(131)는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업무일과 휴무일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시 평일작업과 휴일작업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sic chart 131 is a period status, resource allocation status, dependency status, completion rate status and deadline status according to the period, start date, completion date, resources, dependency, work interval, completion rate and deadline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step by step.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a), the period state may be represented by the bar 131a and the bar 131b of the rectangular column shape by the period, start date, an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Here, the bar 131a may be displayed based on day, week, month, and quarter. In addition, the resource allocation state is represented by a partition formed by connecting the end of the bar and the end of the bar spaced apart by the resource information, as shown in Figure 12 (b). In addition, the dependency state 131c may be represented by the dependency information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end of the partition with the end of the other partition as shown in FIG. 12 (c). In this case, the calculated value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nterval information of the job. Further, as shown in FIG. 12 (d), the completion rat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by color processing 131e of any one or more of the above sections. In addition, the deadline state 131f may be displayed in a form spaced apart from the bar forming the partition as shown in FIG. 12 (e) by the deadlin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basic chart 131, as shown in Figures 2 and 6, and displays the work day and non-work days. Accordingly, the weekly work and the holiday work can be set separately in project management.

또한, 상기 MS 차트(132)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차트와 구별될 수 있는 다른 형식인 원추 형상의 막대(132a)와 바(132b)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도 13(b)와 같이, 상위 작업 들을 막대(132a)와 바(132b)로 표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S chart 132 may be represented by a cone-shaped bar 132a and a bar 132b, which are different types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basic chart, as shown in FIG. 13 (a).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3 (b), it is also possible to represent the upper tasks by the bar (132a) and bar (132b).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표 1]에서와 같이, 기본테이블(122)의 작업정보에 대한 속성선택시, 기간, 단위, 작업량 정보의 고정체크여부에 따라 자원배정에 대한 비용 변화를 테이블 입력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간은 해당 작업의 계획되어진 기간이며, 단위는 자원의 최대단위(일일 작업시간)를 말하며, 작업량은 해당 작업의 기간에 일일 작업시간을 곱하여 표현되는 값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PERT/CPM 차트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Table 1], the control unit 160 lists the cost change for resource alloc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fixed check of period, unit, and workload information is performed when selecting attributes for the task information of the basic table 122. It may be displayed on the input unit 120. Here, the period is the planned period of the work, the unit is the maximum unit of the resource (daily work time), the work amount is the value expressed by multiplying the work time by the daily work time. This method uses the PERT / CPM chart method.

workwork 기간term 단위unit 작업량Workload 1명투입기간1 person 1명투입비용1 person input fee 2명투입기간2 people 2명투입비용2 people AA 고정fixing 3일 24시간3 days 24 hours 4,8004,800 3일 48시간3 hours 48 hours 9,6009,600 BB 고정fixing 고정fixing 3일 24시간3 days 24 hours 4,8004,800 3일 24시간3 days 24 hours 4,8004,800 CC 고정fixing 3일 24시간3 days 24 hours 4,8004,800 3일 48시간3 hours 48 hours 9,6009,600 DD 고정fixing 고정fixing 3일 24시간3 days 24 hours 4,8004,800 1.5일 24시간1.5 days 24 hours 4,8004,800 EE 고정fixing 3일 24시간3 days 24 hours 4,8004,800 1.5일 24시간1.5 days 24 hours 4,8004,800

보다 구체적으로 [표 1]을 이용하여 작업의 특성에 따라 자원 배정과 비용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E라는 작업이 모두 해당 기간이 3일이고, 일일 작업시간이 8시간이며, 투입되는 자원은 시간당 200원의 비용이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자원이 1명 배정된 경우, 기간, 단위, 작업량에 관계없이 같은 기간과 같은 비용이 투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자원이 2명 배정된 경우, 기간을 고정하면 자원이 1명 배정될 때보다 비용이 2배 증가한다.(단, 작업량도 고정하면 비용이 줄어든다.) 또한, 자원이 2명 배정된 경우, 단위를 고정하면 자원이 1명 배정된 경우보다 비용이 2배 증가한다.(단, 작업량도 고정하면 비용과 시간이 줄어든다.) 마지막으로, 자원이 2명 배정된 경우, 작업량을 고정하면 해당작업의 기간만 줄어든다. 이를 통하여, 해당 작업의 속성에 따른 자원 배정시 비용의 변화를 검토할 수 있는 주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able 1]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 allocation and co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work. If all of the tasks A ~ E are 3 days in duration, 8 hours in daily work, and the input resource costs 200 won per hour, the time, unit, It can be seen that the same periods and costs are charged regardless of the workload. If two resources are allocated, fixed periods increase the cost twice as much as when one resource is allocated (but if the workload is fixed, the cost is reduced). In other words, fixing a unit doubles the cost than if it had been assigned to one resource (however, fixing workload would reduce costs and time). Finally, if two resources were allocated, fixing the workload would Only the duration of work is reduc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ain function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cost of resource allocation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work.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젝트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 다양한 공정차트 표현이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 즉, 프로젝트 제약 사항 간의 이슈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that can represent a variety of process chart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that is, to solve issues or problems between project constraints and effective decision making can do.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what is possible. In addition, the drawings are show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공정차트 설계시스템
110 :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 120 : 테이블입력부
122 : 기본테이블 124 : MS 차트테이블
126 : 비용테이블 130 : 차트부
131 : 기본차트 132 : MS 차트
133 : WBS 차트 134 : 일정표형차트
135 : 비용차트 136 : 세부비용차트
140 : 테이블필터부 150 : 차트필터부
160 : 제어부 170 : 인증처리부
100: process chart design system
110: basic project information input unit 120: table input unit
122: basic table 124: MS chart table
126: cost table 130: chart
131: basic chart 132: MS chart
133: WBS chart 134: schedule chart
135: Cost Chart 136: Detailed Cost Chart
140: table filter unit 150: chart filter unit
160: control unit 170: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Claims (8)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으로서,
프로젝트명, 프로젝트목표, 관리자, 공유사이트, 일정기준, 프로젝트 예산, 프로젝트 달력 정보를 입력가능한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시작일, 완료일, 의존관계, 자원, 예산, 비용 정보를 단계별로 입력가능한 기본테이블과, 상기 프로젝트의 중요작업단계에 해당하는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시작일, 완료일, 의존관계, 자원, 예산, 비용 정보를 입력가능한 마일스톤 차트 테이블과, 상기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작업, 기간, 자원, 완료시점 예산(BAC), 계획예산(PV), 성과(EV), 실비용(AC) 정보를 입력가능한 비용테이블로 구성된 테이블 입력부;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자원 배정상태를 막대와 바로 표현하는 기본(NH)차트와, 상기 마일스톤 차트 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자원 배정상태를 막대와 바로 표현하는 마일스톤(MS) 차트와,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분류체계를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나타내는 WBS(작업분류체계) 차트, 상기 기본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작업배정 상태를 블록으로 표현하는 일정표형 차트와, 상기 비용테이블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간에 대한 일별 완료시점예산(BAC), 계획예산(PV), 성과(EV), 실비용(AC)을 선 그래프로 나타내는 비용차트와, 상기 비용테이블에 대한 작업별 노무비, 재료비, 경비, 관리비 정보를 입력가능한 세부비용차트로 구성된 차트부;
상기 테이블 입력부의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게 하는 테이블 필터부;
상기 차트부의 차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되게 하는 차트 필터부; 및,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 테이블 입력부, 차트부, 테이블 필터부, 차트필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에서 상기 달력 정보는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젝트 전체 달력과 특정 작업 및 자원에 대한 달력이 표시되고;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에 하위프로젝트 삽입기능, 페이지 설정기능, 프로젝트 요약정보 보기 기능이 더 포함되며;
상기 기본테이블에는 프로젝트에 대한 범위, 일정, 자원 및 비용에 대한 기본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본테이블의 각 정보들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속성요소들이 변경되고, 상기 의존관계는 해당 작업의 선행작업을 의미하며 WBS의 분류기호로 표현되며;
상기 기본차트에서 상기 작업의 간격 정보는 기본테이블로 입력되는 작업별 기간, 시작일, 완료일 정보에 의해 계산되며, 간격 값이 별도로 입력할 수 있는 정보이며;
상기 기본차트는 기간, 시작일, 완료일 정보에 의해 일, 주, 월, 분기를 기준으로 표시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막대와 바로 기간이 표현되고, 자원 정보에 의해 상기 막대의 단부와 이격된 막대의 단부를 이어 형성된 구획으로 자원배정상태가 표현되고, 의존관계 정보에 의해 상기 구획의 단부와 다른 구획의 단부를 이은 형태로 의존관계상태가 표현되고, 완료율 정보에 의해 완료율 상태가 상기 구획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색처리 되어 표시되고, 마감일 정보에 의해 구획을 이루는 막대로부터 연장 이격된 형태로 마감일상태가 표시되며;
상기 기본차트는 업무일과 휴무일을 구분 표시하여, 프로젝트 관리시 평일 작업과 휴일작업을 구분하여 설정하며;
상기 MS 차트는 원추 형상의 막대와 바로 표시되며;
상기 일정표형 차트에서 기간에 대한 내용은 달력을 이용하여 표시되고, 상기 기간에 대한 일별 작업배정 상태를 작업별 혹은 자원별로 구분하여 블록으로 표현가능함에 따라 상위작업 혹은 하위작업별로 구분하여 표시가능하고, 자원별로 해당 자원에 대한 작업이 표시되며;
상기 비용차트에서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비용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투입될 비용과 예산, 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세부비용차트에서 상기 노무비는 간접노무비, 직접노무비, 소계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재료비는 직접재료비, 간접재료비, 작업설물, 잔급재료비, 소계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경비는 직접경비, 간접경비, 소계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관리비는 시설, 기자재, 소계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기본테이블의 작업정보에 대한 속성선택시, 기간, 단위, 작업량 정보의 고정체크여부에 따라 자원배정에 대한 비용 변화를 테이블 입력부에 표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간은 해당 작업의 계획되어진 기간이고, 상기 단위는 자원의 최대단위를 말하고, 상기 작업량은 해당 작업의 기간에 일일 작업시간을 곱하여 표현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
As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A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project name, a project goal, a manager, a shared site, a schedule standard, a project budget, and a project calendar information;
Basic table that can input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start date, completion date, dependency, resource, budget, cost information of the project step by step, and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start date corresponding to the important work stage of the project. Milestone chart table for inputting completion date, dependency, resource, budget, cost informa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task, period, resources, completion budget (BAC), planning budget (PV), performance (EV) A table input unit comprising a cost table into which actual cost (AC) information can be input;
A basic (NH) chart that directly expresses the daily resource allocation status for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basic table, and a daily resource allocation status for the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milestone chart table And a milestone (MS) chart that is directly expressed and a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chart representing a work breakdown structure in a network diagram form using the information inputted into the base table, and the information inputted into the base table. Daily completion schedule (BAC), planned budget (PV), performance (EV), actual cost (AC) ) Is composed of a cost chart showing a line graph) and a detailed cost chart in which labor, material, cost, and management cost information for each job for the cost table can be input. Chart unit;
A table filter unit which select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tables of the table input unit;
A chart filter unit which select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charts of the chart unit;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table input unit, chart unit, table filter unit, and chart filter unit.
In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the calenda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project-wide calendar and a calendar for a specific task and resource required to execute the project;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further includes a subproject insertion function, a page setting function, and a project summary information viewing function;
The basic table is configured to input basic information about a range, schedule, resources, and costs of the project, each of the information of the basic table is changed attribute elements set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dependency relationship is preceded by the corresponding task Work, represented by the classification code of WBS;
The interval information of the task in the basic chart is calculated by period, start date, an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for each task input to the basic table, and the interval value is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separately;
The basic chart includes a bar and a bar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column displayed on the basis of day, week, month, and quarter by period, start date, and completion date information, and ends of the bar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bar by resource information. The resource allocation state is represented by a partition formed next to the dependency state, and the dependency state is expressed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end of the other end with the end of the partition by the dependency information. The color is displayed and the deadline state is displayed in a form spaced apart from the bar forming the partition by the deadline information;
The basic chart distinguishes between work days and non-work days, and sets and separates weekday work and holiday work in project management;
The MS chart is displayed directly with a cone-shaped bar;
In the schedule chart, the contents of the period are displayed using a calendar, and the daily work assignment status for the period can be displayed in blocks by dividing the task or resource by task or the task. For each resource, the operations for that resource are displayed;
In the cost char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ost status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and to monitor the cost, budget, and schedule to be put in the future;
In the detailed cost chart, the labor costs include indirect labor costs, direct labor costs, subtotal information, and the material costs include direct materials costs, indirect materials costs, work items, remaining materials costs, subtotal information, and the expenses include direct expenses, indirect expenses, Sub-total information is inputted, and the management fee is inputted to facilities, equipment, sub-total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change in the cost of resource allocation in the table input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period, unit, and workload information is fixedly checked when the attribute is selected for the task information of the basic table, wherein the period is a plan of the task. And a unit is a maximum unit of a resource, and the amount of work is a value expressed by multiplying a daily work time by a period of a corresponding 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접속시 인증절차를 통하여 접속을 승인하는 인증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the project management,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for approving the connec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when the user connec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기본정보입력부는, 프로젝트팀 구성, 프로젝트비용 구성, 산출물 구성, 작업분류체계차트 구성 정보를 더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ject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is a project chart process management system desig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input of the project team configuration, project cost configuration, output configura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chart configur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테이블은 완료율과 마감일 정보를 더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table is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input of the completion rate and deadline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차트는 의존관계, 작업의 간격, 완료율 및 마감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표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sic chart is a process chart design system of projec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further represent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dependency, work interval, completion rate and deadline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차트는 기간, 시작일, 완료일, 자원, 의존관계, 작업의 간격, 완료율 및 마감일 정보에 따라 기간, 자원배정, 의존관계, 완료율 및 마감일을 단계적으로 표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관리의 공정차트 설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sic chart is a process chart of projec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xpressed in stages, resource allocation, dependency, completion rate and deadline according to the period, start date, completion date, resources, dependency, work interval, completion rate and deadline information Desig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47662A 2011-05-20 2011-05-20 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 KR1012643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62A KR101264303B1 (en) 2011-05-20 2011-05-20 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62A KR101264303B1 (en) 2011-05-20 2011-05-20 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420A KR20120129420A (en) 2012-11-28
KR101264303B1 true KR101264303B1 (en) 2013-05-22

Family

ID=4751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662A KR101264303B1 (en) 2011-05-20 2011-05-20 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30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537A (en)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에스이든 Project control and cutover management system
WO2018112398A1 (en) * 2016-12-15 2018-06-21 Solar Turbines Incorporated Assessment of industrial machines
KR20200106856A (en) * 2019-03-05 2020-09-15 디지테크정보 주식회사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emplate
KR20210055391A (en) *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사람과가치연구소 Application service system for managing project and comunic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537A (en)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에스이든 Project control and cutover management system
WO2018112398A1 (en) * 2016-12-15 2018-06-21 Solar Turbines Incorporated Assessment of industrial machines
US10466677B2 (en) 2016-12-15 2019-11-05 Solar Turbines Incorporated Assessment of industrial machines
KR20200106856A (en) * 2019-03-05 2020-09-15 디지테크정보 주식회사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emplate
KR102284094B1 (en) 2019-03-05 2021-07-30 디지테크정보 주식회사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emplate
KR20210055391A (en) *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사람과가치연구소 Application service system for managing project and comunication
KR102256072B1 (en) 2019-11-07 2021-05-26 주식회사 사람과가치연구소 Application service system for managing project and co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420A (en)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hraee et al. Lean manufacturing implementation through value stream mapping: A case study
US7921405B2 (en) Facilitation of multi-project management using throughput measurement
Frantzén et al. A simulation-based scheduling system for real-time optimization and decision making support
US82908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time banking and workforce scheduling
Mo The role of lean i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manufacturing
KR101264303B1 (en) designed System of Process chart for Project management
Huang et al. SimMan—A simulation model for workforce capacity planning
Olivella et al. Task assignment considering cross-training goals and due dates
CN111108454A (en) Production plan making auxiliary system
Du Plessis et al.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hrough building contracts, a South African perspective
US20040068427A1 (en) Four-dimensional resource allocation system
Dzhusoev et al. Selection of Software Products for the Development of a Calendar Plan for High-Rise Construction
KR101171214B1 (en) Activity Process Management System
JP2005267488A (en) Process management system
WADHWA et al. Project Management Using Primaverap68. 2
CA2832806C (en) Method for optimizing schedule compression in projects using accelerating and overlapping of activities
Al-Shayea Maintenance capacity planning: Determination of maintenance workforce
Abd RESOURCES SUAINABILITY PLANNING MODEL USING HIERARCHICAL APPROACH FOR CONSTRUCTION PROJECT
Satyadi Lean Six Sigma Applications in Healthcare.
US20230342722A1 (en) Toc-based system for continuously improving productivity in project management
Kostelac et al. Relationship between processes and project management
Pathak Manpower planning, scheduling and tracking of a construction project using Microsoft Project software
JP2017174241A (en) Ccm administration management technology
Tiezzi et al. Case Study of Efficiency Improvements Using Matrix Methods of Production Management in Building Construction
Attia et al.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considering performance evolution: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