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736B1 -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 - Google Patents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736B1
KR101263736B1 KR1020100107569A KR20100107569A KR101263736B1 KR 101263736 B1 KR101263736 B1 KR 101263736B1 KR 1020100107569 A KR1020100107569 A KR 1020100107569A KR 20100107569 A KR20100107569 A KR 20100107569A KR 101263736 B1 KR101263736 B1 KR 101263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tone
artificial
stone
stone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5782A (en
Inventor
정성록
최혜경
Original Assignee
최혜경
정성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혜경, 정성록 filed Critical 최혜경
Priority to KR102010010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736B1/en
Publication of KR2012004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7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7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환경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여 소정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지반 보호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인조돌, 상기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는 연결줄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구조체는 평면형 또는 입체형이고,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반 보호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med by artificial stone bon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med by artificial stone bonding th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uses, such as ground protection by forming a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shape by combin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rtificial stones with each other. .
Constituent means constituting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stone formed with at least two through holes, the connecting line for coupling the artificial stones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s to form a structure by combining the artificial stones with each other It is formed, including, the structure is planar or three-dimensio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id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b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rtificial stone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tructure having a variety of shap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uses such as ground protection while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Description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

본 발명은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환경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여 소정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지반 보호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med by artificial stone bon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med by artificial stone bonding th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uses, such as ground protection by forming a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shape by combin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rtificial stones with each other. .

최근 인조돌을 이용하여 각 종 생활용품(식탁 등), 디자인 제품 및 조경 제품 등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조돌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재료들을 혼합하여 구워내는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환경오염 물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인조돌을 제조하기 위해서 구워내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성형을 통하여 소정 형상의 인조돌을 제조할 필요성이 있다.Recently, various kinds of household goods (dining table, etc.), design products, and landscape products have been made using artificial stones.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n artificial stone, since a process of mixing and baking various materials is performed,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gener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anufacture an artificial stone of a predetermined shape through molding without performing a baking process to produce an artificial stone.

한편, 인조돌을 이용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필요성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인도, 정원, 공원 등에 소정 형상의 인조돌 구조체를 깔아서, 지하수의 공급원인 빗물은 땅속으로 잘 스며들도록 함과 동시에,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며, 각 종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to use artificial stones for the purpose that can be helpful at the national level. For example, by installing artificial stone structures of a certain shape in roads, sidewalks, gardens, and parks, rainwater, which is a source of groundwater, penetrates well into the ground and prevents soil from being lost. There is a need to make it.

또한, 붕괴 우려가 있는 축대 또는 비탈진 산 경사면에 소정 형상의 인조돌 구조체를 감아서, 축대 또는 산 경사면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무너져 내리더라도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wrap the artificial stone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base or non-degraded mountain slope which may be collapsed, to prevent the base or mountain slope from falling down, and to minimize th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even if it falls down.

그러나,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인조돌 구조체를 이용하여 지반 보호 등을 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국가적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지도 않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until now, no attempt has been made to protect the ground using various types of artificial stone structures, and there is no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친환경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여 소정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지반 보호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rtificial stones to form a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shape,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bonding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ground protection To provide that purpose.

또한, 도로, 인도, 정원 및 공원 등의 지반 상에 고정하여 씌움으로써, 토사가 흘러내려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빗물이 땅속으로 잘 스며들도록 하며,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면서 잘 자라도록 할 수 있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fixed on the ground of roads, sidewalks, gardens and parks to prevent soil from flowing out and lost, and to allow rainwater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and protect the roots of pla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formed by artificial stone bonding.

또한, 축대 및 경사진 비탈면에 입체형 형태로 고정설치됨으로써, 축대 또는 경사진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붕괴에 따른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by being fixed in the three-dimensional form on the shaft and inclined slop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shaft or inclined slope, to provide a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of the collapse. The purpo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인조돌, 상기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는 연결줄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구조체는 평면형 또는 입체형이고,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stituent means constituting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the through-hole to form a structure by combining the artificial stones with each other It is formed by including a connecting line for coupling the artificial stones to each other, th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ar or three-dimensional, comprising a void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bond.

또한, 상기 연결줄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인조돌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튜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uffer tube interposed between the artificial stone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line.

여기서, 상기 인조돌은 구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rtificial st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ical or oval or polygonal shape.

여기서, 상기 인조돌은 구형이고, 상기 관통홀의 입구가 형성된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rtificial stone is spheric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n which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lane.

여기서, 상기 인조돌에 형성된 관통홀은 두개이고, 상기 두개의 관통홀은 서로 직교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is two,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through-holes are formed orthogonal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인조돌은 채석폐토, 마사토, 고로슬러그, 석탄회 및 점토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혼합하여 분쇄하고, 이 혼합물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압출성형기로 성형한 후 건조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rtificial stone is pulverized by mixing at least two or more of quarry waste, masato, blast furnace slug, coal ash and c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ing accelerator is added to the mixture is formed by an extrusion molding machine and dried to form.

여기서, 상기 인조돌 표면에는 방수층, 광반사층 또는 다양한 색상의 나노 입자층 중 적어도 하나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coating at least one of a waterproof layer, a light reflection layer or a nanoparticle layer of various colors.

또한, 상기 구조체는 지반을 보호하고, 상기 공극을 통하여 자라는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지반 상에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on the ground in order to protect the ground, and to protect the roots of plants growing through the voids.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에 의하면, 친환경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반 보호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bo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solving means, since it is possible to form a structure of various shapes by combin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rtificial stones,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t the same time protect the ground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에 의하면, 도로, 인도, 정원 및 공원 등의 지반 상에 고정하여 씌움으로써, 토사가 흘러내려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빗물이 땅속으로 잘 스며들도록 하며,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면서 잘 자라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on the ground, such as roads, sidewalks, gardens, and parks, to prevent the soil from flowing out and lost, and rainwater well into the ground Permeates and protects the roots of the plant has the advantage of growing we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에 의하면, 축대 및 경사진 비탈면에 입체형 형태로 고정설치됨으로써, 축대 또는 경사진 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붕괴에 따른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fixed in the three-dimensional form on the shaft and the inclined slo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shaft or inclined slope, and to minimize th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due to collapse There are advantages to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의 다양한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인조돌의 다양한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인조돌의 바람직한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의 제1 사용 태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의 제2 사용 태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의 제3 사용 태양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exemplary views of various forms of structures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b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various forms of artificial ston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preferred form of artificial ston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understanding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b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irst use diagram of a structure formed by an artificial stone b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ond use diagram of a structure formed by an artificial stone bon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hird use aspect of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b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mb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blems, solving means and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1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100 formed by artificial stone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도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100)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인조돌(10), 상기 인조돌(10)을 서로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키는 연결줄(20) 및 상기 인조돌(10)들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극(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structure 100 formed by the guided stone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rtificial stone 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connecting line for coupling the artificial stone 10 in various forms 20 and the voids 30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artificial stones 10 are configured.

상기 인조돌(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되,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통홀(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통홀(11)은 상기 연결줄(20)이 통과하여 상기 인조돌(10)들을 서로 연결시켜 결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The artificial stone 1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at least two through holes 11 are formed. Such a through hole 11 is necessary for the connection line 20 to pass through and connect the artificial stones 10 to each other.

상기 연결줄(20)은 상기 인조돌(10)들을 서로 결합하여 소정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11)을 통하여 상기 인조돌(10)들을 서로 결합한다. 이러한 연결줄(20)은 상기 인조돌(10)에 형성된 관통홀(11)을 통하여 상기 인조돌(10)들을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기 때문에, 구부러지는 특성을 가짐과 아울러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이 있는 줄이면 모두 해당된다.The connecting line 20 couples the artificial stones 10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11 to form th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y combining the artificial stones 10 with each other. Since the connecting line 20 couples the artificial stones 10 in various forms through the through-holes 11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10, the connection lines 20 have rigidity that is not bent and not broken. If you reduce it all.

상기와 같이 연결줄(20)에 의하여 상기 인조돌(10)들을 다양한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구조체(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도 2a에 표시됨) 또는 입체형(도 2b에 표시됨)이 될 수 있고, 상기 인조돌(10)들의 결합에 의하여 공극(30)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structure 100 formed by combining the artificial stones 10 in various forms by the connecting line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flat (shown in FIG. 2A) or solid (FIG. 2A). 2b), the void 30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artificial stones (10).

한편, 상기 연결줄(2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인조돌(10)들 사이에는 완충튜브(40)가 개재되어 구조체(1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 튜브(40)는 상기 연결줄(20)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력이 있는 튜브 형태이면 모두 해당될 수 있다.Meanwhile, a buffer tube 4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rtificial stones 10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line 20 to form the structure 100. The buffer tube 40 is a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line 20 can be formed, and any type of tube having elasticity may be applicable.

상기 완충 튜브(40)는 구조체(1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충격을 흡수하여 구조체(10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튜브(40)가 상기 인조돌(1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평면형의 구조체(100)가 말아지거나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the structure 100, the buffer tube 40 may absorb the shock to prevent breakage and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100. In addition, the buffer tube 40 is interposed between the artificial stone 10, so that the flat structure 100 can be rolled or bent to form a structure of various forms, so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do.

상기와 같은 완충튜브(40)는 상기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인조돌(10)들 사이마다 모두 개재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개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buffer tube 40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between all of the artificial stones 10 constituting the structure 100, may be formed by interposing only a part.

한편, 상기 인조돌(1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튜브(40)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조돌(10)들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극(30)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완충튜브(40)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상기 공극(30)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완충튜브(40)의 길이를 감소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buffer tube 40 interposed between the artificial stone 10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voids 30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artificial stones 10, the length of the buffer tube 40 is increased,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voids 30, Reduce the length of the buffer tube (40).

또한, 상기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조체를 용이하게 말기 위해서 상기 인조돌(1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튜브(4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완충튜브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완충튜브(40)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상기 구조체를 용이하게 말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roll up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the length of the buffer tube 40 interposed between the artificial stone 10 can be increased. Since the buffer tube has an elastic force, as the length of the buffer tube 40 increases, the structure can be rolled up easily.

상기와 같이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인조돌(10)은 다양한 재질을 혼합하여 형성되는데, 버려지는 폐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굽는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형성된다. 따라서, 재활용 측면에서 유익하고 굽는 공정이 없어 공기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 측면에서도 유익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rtificial stone 10 constituting the structure 100 is formed by mixing various materials, and is formed using waste materials that are discarded, and is formed without using a baking process.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recycling and does not emit air pollutants because there is no baking process, which is also beneficial in terms of environment.

상기 인조돌(10)은 채석폐토, 마사토, 고로슬러그, 석탄회 및 점토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조돌(10)은 채석폐토, 마사토, 고로슬러그, 석탄회 및 점토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혼합하여 분쇄하고, 이 혼합물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압출성형기로 성형한 후 건조시켜 형성된다.The artificial stone 10 is formed of a mixture of at least two or more of quarry waste, masato, blast furnace slug, coal ash and clay. Specifically, the artificial stone 10 is formed by mixing and grinding at least two or more of quarry waste, masato, blast furnace slug, coal ash and clay, and by adding a curing accelerator to the mixture to form an extrusion molding machine and dried.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인조돌(10)은 상기 압출성형기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조돌(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artificial stone 10 formed by such a process may be made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trusion machine. In detail, the artificial stone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f a spherical shape, an ov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as shown in FIG. 3.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인조돌(1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shape of the artificial stone 10 made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조돌(10)은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관통홀(11)이 적어도 두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조돌(10)은 전체적으로 구형이지만, 일부의 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11)의 입구가 형성된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rtificial stone 10 is preferably spherical, and at least two through-holes 11 are formed. Although the artificial stone 10 is generally spherical, the flat part 13 in which a part surface is formed in the plane is formed. Specifically, the portion in which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11 is formed is formed in a plane.

이와 같이, 상기 인조돌(10)이 구형인 경우에는, 관통홀(11)의 입구가 형성된 부분에 평면부(13)를 형성하여, 인조돌(10)끼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상기 인조돌(10)이 완전 구형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줄(20)에 의한 상기 인조돌(10) 결합이 용이하지 않고, 결합 후에도 안정성이 다소 떨어짐으로, 상기 인조돌(10)에 형성된 관통홀 입구 부분에 평면부(13)를 형성한다.As such, when the artificial stone 10 is spherical, the planar portion 13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11 is formed, so that the artificial stones 10 can b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artificial stone 10 is completely spherical, the artificial stone 10 is not easily coupled by the connecting line 20, and the stability is somewhat reduced after the bonding, so that the artificial stone 10 is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10. The flat part 13 is formed in the through-hole inlet part.

물론, 상기 인조돌(10)이 구형 또는 타원형이 아니고, 평면이 존재하는 다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다각형 면에 관통홀(11) 입구를 형성하여, 관통홀을 만들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평면부는 필요하지 않는다.Of course, when the artificial stone 10 is not spherical or elliptical, and has a polygonal shape in which a plane exists, a through-hole 11 is formed on the polygonal surface to make a through-hole, so that a separate plane is necessary. I never do that.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조돌(10)에 형성된 관통홀(11)은 두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두개의 관통홀(11)은 서로 직교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홀(11)이 두개이고, 두개의 관통홀(11)이 서로 직교 상태로 형성되면, 상기 연결줄(20)에 의한 상기 인조돌(10)의 결합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체(100)를 대부분 만들 수 있다.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wo through holes 11 are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10, and the two through holes 11 are form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wo through holes 11 and two through holes 11 are form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structure 100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artificial stone 10 by the connecting line 20. ) Can be made mostly.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인조돌(10)에 형성되는 관통홀(11)은 한개만 형성될 수도 있고, 세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관통홀들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only one through-hole 11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10 may be formed, or three or more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through holes may be variously changed.

도 5는 상기 인조돌(10)들을 서로 결합하여 평면형 구조체(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줄(20)의 연결 방법을 예시한다.5 illustrates a method of connecting the connecting line 20 to couple the artificial stones 10 to each other to form a planar structure 10.

이 경우에는, 상기 인조돌(10)에 두개의 관통홀(11)이 형성되어 있고, 두개의 관통홀(11)이 서로 직교한 상태로 형성된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표시된 ①에서 시작하여 수평선 상에 있는 인조돌(10)에 형성된 관통홀(11)을 따라 연결하고, 화살표 방향을 따라 수평선 상의 인조돌들을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도 5에 표시된 ②까지 수행한 다음, 연결줄(20)을 90도 꺽어서, 도 5에 표시된 ③에서부터 수직선 상에 있는 인조돌에 형성된 관통홀을 따라 연결하고, 화살표 방향을 따라 수직선 상의 인조돌들을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도 5에 표시된 ④까지 수행함으로써, 평면형 구조체를 완성한다. 이 때, 상기 시작점 ①과 종료점 ④에는 연결줄(2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어, 마감처리가 수행되거나, 연결줄을 소정 형태로 묶어서 마감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wo through holes 11 are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10 and two through holes 11 are form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Specifically, starting from ① shown in Fig. 5, the connection is made along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10 on the horizontal line, and the artificial stones on the horizontal line are zigzag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indicate ② in Fig. 5. Then, by bending the connecting line 20 by 90 degrees, connecting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on the vertical line from ③ shown in Figure 5, and connected to the artificial stone on the vertical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zigzag By performing up to ④ as shown in 5, the planar structure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start point ① and the end point ④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onnecting line 20, the fini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r the connecting line may be bundled in a predetermined form to perform the finishing process.

상기 인조돌(10)은 다양한 재질들의 혼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채석폐토, 마사토, 고로슬러그, 석탄회 및 점토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혼합하여 분쇄하고, 이 혼합물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압출성형기로 성형한 후 건조시켜 형성된다.The artificial stone 10 may be formed by mixing a variety of materials.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of quarry waste, masato, blast furnace slug, coal ash and clay are mixed and pulverized, and the curing accelerator is added to the mixture to be extruded. It is formed by molding with a molding machine and then drying.

한편, 상기 인조돌(10)들을 상기 연결줄(20)로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구조체(100)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상기 인조돌(10)의 표면에는 다양한 기능층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tructure 100 formed by coupling the artificial stones 10 with the connecting line 20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various functional layer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10 constituting the structure 100.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체(100)가 옥외 또는 물이 있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인조돌(10) 표면에는 수분 및 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방수층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수층에 의하여 상기 인조돌(10)은 수분의 침투에 따라 변형되거가 약해지지 않는다.Specifically, since the structure 100 may be used outdoors or where there is water,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10 is preferably coated with a waterproof layer so as to be protected from moisture and water. By this waterproof layer, the artificial stone 10 is not deformed or weakened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of moisture.

또한, 상기 인조돌(10) 표면에 광반사층을 코팅함으로써, 옥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구조체(100)가 변색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구조체(100)가 실내에서 사용되거나 미관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곳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나노 입자층이 상기 인조돌(10)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In addition, by coating a light reflection layer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ucture 100 used to be installed outdoors to be discolored or deformed, the structure 100 is used indoors or maintain aesthetics When used where needed, a nanoparticle layer, which may exhibit various colors,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10.

정리하면, 상기 인조돌 표면에는 방수층, 광반사층 또는 다양한 색상의 나노 입자층 중 적어도 하나가 코팅되어 형성됨으로써, 인조돌의 변형, 변색, 약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층, 광반사층 및 나노 입자층 중 적어도 두개 층이 상기 인조돌(10) 표면에 연속해서 코팅될 수도 있다.In summary,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is formed by coating at least one of a waterproof layer, a light reflection layer, or a nanoparticle layer of various colors,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discoloration, and weakening of the artificial stone. Meanwhile, at least two layers of the waterproof layer, the light reflection layer, and the nanoparticle layer may be continuously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10.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구조체(10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체(100)는 지반을 보호하고, 상기 공극(30)을 통하여 자라는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지반 상에 고정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structure 100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pecifically, the structure 100 may be fixedly disposed on the ground to protect the ground, and to protect the root of the plant growing through the voids (30).

도 6은 지반 상에 고정 배치되는 상기 구조체(100)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use example of the structure 100 is fixedly disposed on the groun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체(100)는 평면형으로 형성하여, 지반 상에 고정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반은 공원에 형성된 지반일 수도 있고, 정원에 형성된 지반일 수도 있고, 도로 옆에 형성된 지반일 수도 있고, 인도 옆에 형성된 지반일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structure 100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fixedly disposed on the ground. The ground may be ground formed in a park, ground formed in a garden, ground formed beside a road, or ground formed beside a sidewalk.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구조체(100)를 지반(50) 상에 고정배치하게 되면, 지하수 공급원인 빗물이 지반(점토지반(粘土地盤), 사질지반(砂質地盤), 사력지반(砂礫地盤) 등) 내부로 잘 흡수됨과 동시에, 지반의 유실 및 붕괴가 방지되고, 식물들이 공극(30)을 통하여 잘 자랄 수 있고, 뿌리가 보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토지 유실 방지, 식물 성장 유지 및 식물 뿌리 보호 등의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When the planar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placed on the ground 50 as described above, rainwater, which is a groundwater supply source, is made of clay (clay, sand, sand) At the same time, it is well absorbed into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the loss and collapse of the ground is prevented, plants can grow well through the pores 30, and the roots can be protected. As a result, various effects such as land loss prevention, plant growth maintenance and plant root protection can be achiev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10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화분으로 사용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체를 형성하여, 내부에 자갈, 모레 및 토양을 넣은 다음 식물을 심어서 화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토양 등이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구멍이 촘촘한 그물로 구조체를 감쌀 수 있다. Figure 7 shows an example used to form a structure, by forming a cylindrical structure 100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7,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n open top may be formed, and gravel, the day after the soil, and the soil may be planted to be used as a pot. When the soil flows down, the structure can be wrapped by a net with a tight hole.

이러한 화분은 화단에 놓여져서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이 옆으로 자라게 하여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도 있다.These flower pots can be placed on the flower beds to beautify the aesthetics, and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7, the plants can grow to the side to beautify the aesthetics.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10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사용 용도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tructure 100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ts use is as follows.

1. 도로, 인도, 정원, 공원 등에 깔아 지하수의 공급원인 빗물이 잘 스며들고, 흙이 흘러내리지 않으며 풀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인조돌과 인조돌 사이의 공극이 있어 풀의 뿌리를 보호할 수 있다.1. Laying roads, sidewalks, gardens, and parks, rainwater, which is a source of groundwater, penetrates well, creates an environment where grass does not flow, and there is a gap between artificial stones and artificial stones. I can protect it.

2. 하천의 제방, 산비탈 등 폭우로 사토가 염려되는 곳에 설치를 하여 흙, 모래, 돌 등이 흘러내리지 않게 축대 형태 또는 사면으로 설치를 할 수 있다. 이 때 가운데 공간은 자갈, 모레, 흙 및 거름을 넣어 경계벽 역할을 하면서 빗물이 스며들며 풀과 나무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며 풀과 나무 뿌리의 자람으로 더욱더 단단한 경계벽을 만들 수 있다.2. It can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shaft or slope so that soil, sand, stones, etc. do not flow down by installing in places where there is concern about Sato due to heavy rain such as river banks and mountain slopes. At this time, the space in the middle acts as a boundary wall with gravel, moire, soil, and manure,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rainwater can penetrate, grass and trees grow, and a stronger boundary wall can be made by growing grass and tree roots.

3. 하천의 수중보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원통형의 구조체를 수중에 고정시키고, 밑부분은 무거운 돌을 넣고 상부로 올라오면서 공간을 만들어 물고기의 산란을 도울 수 있는 공간과, 상면은 공기와 물의 접촉면을 많이 만들어 물에 산소 함유량을 높여 물을 정화시킬 수 있는 수중보를 제공할 수 있다.3. It can be used as a submerged river stream. In other words, the cylindrical structure is fixed in the water, and the bottom part puts a heavy stone to the upper part to make a space to help the fish spawn, and the upper surface creates a lot of contact surface between air and water to increase oxygen content in the water. It can provide an underwater beam to purify.

4. 세로형 밭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입체형의 구조체를 만들어서, 그 내부에 흙과 거름을 넣어 세로형 밭을 조성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수확과 일의 능률을 올리며, 세로형과 세로형 사이에 그물망을 설치하여 위생적이며 상품의 가치를 높이 수 있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고, 재배식물과 풀을 구분할 수 있어 풀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다.4. Can provide vertical fields. In other words, it create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puts soil and manure inside to form a vertical fiel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harvesting and work in a narrow space, and installing a net between the vertical and vertical types to increase hygiene and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 It is possible to grow crops and to distinguish between cultivated plants and grasses, so it is easy to remove grasses.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형의 화단을 만들 수 있다. 즉, 다단 형태이면서 세로로 형성된 구조체를 만들어서, 그 안에 자갈, 모래 및 토양을 넣고, 세로 방향의 입체형인 화단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다양한 식물을 옆으로 심을 수도 있다.5. As shown in Figure 8, it is possible to make a vertical flower bed. That is, it is possible to create a multi-stage and vertically formed structure, to put gravel, sand and soil therein, an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flower b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various plants may be planted sideways.

10 : 인조돌 11. 관통홀
13 : 평면부 20 : 연결줄
30 : 공극 40 : 완충튜브
50 : 지반
10: artificial stone 11.through hole
13: flat part 20: connecting line
30: void 40: buffer tube
50: ground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적어도 두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인조돌;
상기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인조돌을 서로 결합하는 연결줄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구조체는 평면형 또는 입체형이고,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줄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인조돌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튜브가 포함되며,
상기 인조돌은 구형이고, 상기 관통홀의 입구가 형성된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
An artificial stone having at least two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In order to form the structure by combining the artificial stones to form a structure comprising a connecting line for coupling the artificial stones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structure is planar or three-dimensional, comprising a void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bond, It includes a buffer tube interposed between the artificial ston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line,
The artificial stone is spherical,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rtificial stone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portion of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a plan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조돌에 형성된 관통홀은 두개이고, 상기 두개의 관통홀은 서로 직교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4,
And two through holes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and the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조돌은 채석폐토, 마사토, 고로슬러그, 석탄회 및 점토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혼합하여 분쇄하고, 이 혼합물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압출성형기로 성형한 후 건조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artificial stone is formed by mixing and grinding at least two or more of quarry waste, masato, blast furnace slug, coal ash and clay, and adding a curing accelerator to the mixture to form an extruder and then dry. Formed structur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조돌 표면에는 방수층, 광반사층 또는 다양한 색상의 나노 입자층 중 적어도 하나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6,
The artificial stone surface is a structure formed by bonding an artificial sto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coating at least one of a waterproof layer, a light reflection layer or a nanoparticle layer of various colors.
삭제delete
KR1020100107569A 2010-11-01 2010-11-01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 KR101263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569A KR101263736B1 (en) 2010-11-01 2010-11-01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569A KR101263736B1 (en) 2010-11-01 2010-11-01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782A KR20120045782A (en) 2012-05-09
KR101263736B1 true KR101263736B1 (en) 2013-05-13

Family

ID=4626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569A KR101263736B1 (en) 2010-11-01 2010-11-01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73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252A (en) 1999-07-06 2001-01-23 Daikure Co Ltd Stone-filled panel and work method therefor
KR100745439B1 (en) 2007-02-23 2007-08-02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Environmental friendly block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252A (en) 1999-07-06 2001-01-23 Daikure Co Ltd Stone-filled panel and work method therefor
KR100745439B1 (en) 2007-02-23 2007-08-02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Environmental friendly block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782A (en)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40614B (en) A kind of hard side slope lattice ecological afforestation structure and method
CN208266847U (en) Quickly repair structure in Gullied suitable for Canal in Loess Area
CN203113374U (en) Strengthening type verdurization retaining wall
CN208486277U (en) A kind of high stability side slope vertical planting system
JP2007159477A (en) Culture soil for greening water-impermeable base, and structure of greening culture medium
CN109837916A (en) The wooden sash side slope ecological renovation method of assemble type
KR100826512B1 (en) Vegetation structure using lattice nets,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fforestation process using it thereof
JP2987568B2 (en) Greening method in arid or desert area
CN205670935U (en) Curved vegetation tapetum fibrosum device
KR101263736B1 (en)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rtificiality stone
CN207904939U (en) A kind of ecological revetment grass planting plane
CN202587921U (en) Planting device in desert
JP2012110249A (en) Gree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CN107810777A (en) A kind of trees curing means, its application and maintenance process
CN207812465U (en) A kind of landscape ecology bank protection
CN203040314U (en) Large-scale nursery stock transplant construction equipment
CN206646353U (en) A kind of grass-planting brick for Ecological landscape
CN206629528U (en) A kind of bamboo planting pergola easily moved
JPH11178436A (en) Artificial gardening equipment
KR100993448B1 (en) The environmental flower bed for the terraced retaining wall
CN205296178U (en) Fish scales slope planting grid
CN207672514U (en) A kind of gardens double-row pile bank structure
CN211703066U (en) Cavernosum afforestation scene wall in municipal garden
CN206971037U (en) A kind of garden layout multifunctional brick
JP4192270B2 (en) Tree planting structure and plan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