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55B1 -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655B1
KR101263655B1 KR1020110039549A KR20110039549A KR101263655B1 KR 101263655 B1 KR101263655 B1 KR 101263655B1 KR 1020110039549 A KR1020110039549 A KR 1020110039549A KR 20110039549 A KR20110039549 A KR 20110039549A KR 101263655 B1 KR101263655 B1 KR 10126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data
evms
dimensi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634A (ko
Inventor
김재홍
김한도
천성범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65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프로젝트(예컨대, 건설공사 등)를 수행함에 있어서 공정과 비용을 웹 기반으로 제공되는 3차원 모델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공정 및 비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에 따른 구조물에 대한 EVMS 데이터(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구조물의 2차원 도면 데이터로부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모델을 웹상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ystem for Cost and Schedule Manag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웹(WEB)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구축을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특정 프로젝트(예컨대, 건설공사 등)를 수행함에 있어서 공정과 비용(예컨대, 공사비)을 웹(WEB) 기반으로 제공되는 3차원 모델(3D 모델)과 연계하여 직관적이고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건설, 건물의 건설 등과 같은 건설공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공사에 필요한 작업들의 진행 상황에 따른 작업 내용(activity), 소요비용(cost), 내역/일정 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관리시스템으로서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와 같은 시스템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상기 EVMS의 경우 건설공사의 진행 상황에 따른 각 작업(또는 프로젝트)의 진행 일정과, 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결합시켜 성과 분석, 프로젝트의 최종 사업비용 및 일정을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EVMS 운용에 의하여, 공사 진행에 대해 성과관리 및 예측관리를 통한 목표관리 강화, 프로젝트 리스크(project risk) 최소화, 일정(time) 및 비용(cost) 통합관리 체제 강화 등의 기대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기존 EVMS의 경우 공사 진행에 대해 관리되는 상황이 단순히 표와 텍스트 형태로만 제공됨에 따라 전체적인 건설 공사의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단순 표와 텍스트 형태로만 지원됨에 따라 공사에 따른 구조물에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전체 또는 세부 부위에 따른 정보(예컨대, 특정 자재에 대한 비용, 설계 일정, 설계 구조에 대한 정보 등)를 한눈에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종래에서는 공사의 진척도를 나타내기 위한 간트 차트(Gantt chart)가 제공되기는 하나, 단순 차트 형식에 국한되어 별개로 제공됨에 따라 공사 일정을 파악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3차원 모델(3D 모델)을 이용하여 공사 진행에 따른 전반적인 사항들(예컨대, 공정, 비용, 자재, 일정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웹 기반의 BIM 시스템 구현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 기반의 BIM 시스템 구현을 통해 공간 및 시간의 제약 없이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공정과 비용을 직관적으로 확인 및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설공사의 진행 상황에 따른 각 작업의 진행 일정과 그에 소요되는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함에 있어서, 전체적인 관리 상황이 건설공사의 진행에 맞추어서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될 수 있는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공정 및 비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에 따른 구조물에 대한 EVMS 데이터(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구조물의 2차원 도면 데이터로부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모델을 웹상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웹 서비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를 공유하는 EVMS와, 수행되는 프로젝트에 대한 구조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모델을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고,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웹상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따르면, BIM 기반의 3차원 모델을 EVMS의 공정 및 비용과 연계하여 일정에 따른 구조물의 진행과정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모델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구조물의 부위정보로 인하여 3차원 정보관리와 3차원 내역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모델에 필요한 속성정보를 연결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시공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트(예컨대, 건설 공사) 진행에 따른 현장, 본사, 그리고 발주처 등과 관련된 이해 관계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3차원 모델링 수행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VMS의 표준정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대한 3차원 모델링 형상과 그에 따른 WBS 코드의 연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3차원 모델과 인터넷 모델의 객체 수 변환에 따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인터넷 모델로의 표면정리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3차원 모델의 경량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인터넷 모델의 객체별 질감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컬러 매핑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렌더링 작업의 결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운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들 간 연동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EVMS와 통합관리서버 간의 연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EVMS 데이터가 전자문서 형태로 추출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화면 구성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3차원 공정을 시뮬레이션한 화면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3차원 시뮬레이션을 위해 구조물과 공정이 연계된 화면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3차원 구조물의 속성 정보를 조회하는 상태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3차원 구조물의 도면/문서 정보를 조회하는 상태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간트 차트와 반향 곡선이 연동된 상태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도급기성 및 서브 액티비티의 하위 내역 관리를 수행하는 화면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기간별 예상 시공부위관리와 예정내역관리에 대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스탠드 얼론(Stand-alone) 방식의 공정/비용 관리 시스템을 웹 기반의 3D 공정/비용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건설 공사에 있어서 효율적인 공정 및 공사비의 통합 관리가 가능한 웹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웹 기반의 BIM 시스템에 따르면 공정과 비용(예컨대, 공사비)에 대한 진행 상황을 직관적이고 실시간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BIM은 프로젝트(예컨대, 건설 공사 등)에 대한 모델링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내부의 설계요소(예컨대, 철근, 설비, 파이프 등과 같은 부재의 종류, 공사 일정, 공사비용 등)를 3D로 설계하여 건물에 대한 모델링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서 BIM은 가장 기본적인 3D로부터, 4차원(4D)(3D에 Time을 고려한 공정관리를 추가한 것)과 5차원(5D)(4D에 Cost를 고려한 견적관리를 추가한 것)까지 하나의 3D 모델을 기반으로 해서 3D의 모델링을 이루어가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BIM에 의해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예산과 실행을 비교할 수 있고, 이를 시각화하여 직감적으로 문제 등을 파악 및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BIM에 따른 3D는 설계 오류를 바로 잡고 시각화를 통해 이해를 도우면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4D는 공정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법상, 안전상에 있어서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하면서 일정 등의 효율화와 공종 간의 충돌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5D는 공정과 비용과의 연결 고리를 바탕으로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심각도를 사전에 감지하여 문제의 핵심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BIM(3D, 4D, 5D) 기반의 3D 모델을,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에 미리 저장된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 등과 같은 EVMS 데이터와 연계하고, 또한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된 3D 모델을 웹상에서 시뮬레이션 구동이 가능하도록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웹 기반의 BIM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설 공사의 공정과 비용(예컨대, 공사비)을 통합 관리하는 EVMS와 시공 과정에 대한 3D 모델링된 모델 데이터를 웹상에서 연계시켜 건설 공사의 진행 상황을 3차원적인 그래픽으로 확인 가능하며, 그에 따른 시공 관련 정보를 동시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사에 따른 대상인 구조물에 대한 3D 구조물 모델(모델 데이터)과 EVMS 데이터(예컨대,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를 연계하여 실제 구조물의 단위별로 3D 진행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주어진 디바이스(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웹 서비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공정을 점검할 수 있는 3D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그리고 3D 구조물과 공사 관련 데이터의 연계를 통해 특정 구조물 선택 시 선택된 해당 구조물에 대한 설계도서(도면, 시방서) 및 해당 구간 관련 자료 등을 열람할 수 있는 3D 정보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D 모델이 EVMS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공정 및 비용정보 관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웹 기반 시스템이므로 현장, 본사 및 발주처 간 정보 공유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및 그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및 그의 운용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웹(인터넷) 기반 BIM 구축 단계(10)와 시스템 설계 단계(40)를 주요 단계로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웹 기반 BIM 구축 단계(10)는 구조물의 3D 모델링 단계(20)와 인터넷 모델화 단계(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설계 단계(40)는 시스템 아키텍처(system architecture) 설계 단계(50)와 EVMS 설계 단계(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웹 기반 BIM 구축 단계(10)에 대해 살펴보고, 이후 상기 시스템 설계 단계(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현장을 대상으로 EVMS와 연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구현에 의해 3D의 공정/비용 관리가 가능한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현장에서 구성한 EVMS에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이하, EVMS 데이터)가 사전 설정(setting)될 수 있다. 그리고 4D라고 표현하는 3D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해 구조물의 3D 형상을 모사하는 3D 모델(모델 데이터)이 생성될 수 있으며, 4D와 비용을 연결한 5D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EVMS와 연계된 BIM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특정 공사 현장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위한 3D 모델링과, 상기 3D 모델링에 의한 3D 모델(모델 데이터)을 웹 기반 시스템에 연계하기 위한 변환 즉, 인터넷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기반 BIM 구축 단계(10)에 따른 3D 모델링(20)을 함에 있어서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대해 BIM 기반의 3D 모델링(21)과 상기 3D 모델링에 따른 3D 모델(모델 데이터)에 대한 객체단위 분할(23)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재 BIM 적용을 위하여 구조물에 대한 2D의 도면(예컨대, 2D의 평면도면)으로부터 구조물을 3D의 시각적인 형태로 보여주는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웹 기반 BIM 구축 단계(10)에서 3D 모델을 위한 3D 모델링(20)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구조물의 일예로서 교량의 2D 도면으로부터 3D 모델링을 통해 생성된 교량의 3D 시각적 형상에 대한 3D 모델(모델 데이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2D 도면 데이터로부터 3D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도면 오류의 수정 및 복잡 구조의 형상 검토와 같은 일반도 검토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공기지연 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3D 모델의 경우, 2D 도면 데이터에서 표기된 도면의 오류를 반영하여 정확한 BIM 모델이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3D 모델링의 경우 시점거더부에서 상부플랜지의 공장이음 두께가 균등하게 설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BIM 모델에서는 하중을 고려하여 3D 모델을 반영하고, 또한 내부 도면에 의거한 다이아프램과 보강재와 같은 내부 구조를 3D 모델링에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3D 모델 생성시, 3D 모델의 적용 목적에 따라 객체분할 단위, 모델링 범위, 및 구체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시뮬레이션이 목적인 경우는 최소 단위를 일 단위로 3D 모델을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일 단위 시뮬레이션에 모델부위가 여러 객체로 분할되었다 하더라도 각 객체마다 같은 일정을 부여하면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3D 모델을 통한 비용관리가 목적인 경우는 최소 단위를 부재 및 기성관리 단위로 3D 모델을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많은 객체로 인한 모델 데이터의 용량 증가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3D 모델의 적용 목적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적정수준의 모델의 분할을 결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D 도면 데이터로부터 3D 모델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EVMS의 EVMS 데이터(예컨대, 비용정보와 일정정보)를 생성하는 3D 모델과 연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레벨(Level)별 단위 공정에 대한 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정관리체계인 WBS(Work Breakdown Structure) 단위로 3D 모델을 분할한다. 즉, 본 발명에서 3D 모델의 적용 목적은 EVMS에 사전 설정된 EVMS 데이터의 비용정보 및 일정정보를 3D 모델과 연계하여 3D 시뮬레이션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레벨별 단위 공정에 대한 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정관리체계를 나타내는 상기 WBS 단위로 3D 모델을 분할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예가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VMS에서 구축되는 EVMS 데이터의 표준정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EVMS에는 구조물(또는 시설물)별로 표준내역, 표준공정, 표준연계정보 등이 구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EVMS에는 구조물(또는 시설물)별로 표준내역, 표준공정(WBS), 표준연계정보 등이 구축될 수 있다. 표준공정(WBS)에서 레벨 7단계(또는 레벨 6단계)는 표준내역과 연계되는 서브 액티비티(Sub Activity)의 상위로서 공정과 부위의 내용이 가장 일치하는 단위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사 현장에 대해 설정된 EVMS의 EVMS 데이터를 기준으로 WBS의 레벨 7단계인 서브 액티비티 단위로 3D 모델을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대한 예시로서 교각의 3D 모델링 형상과 그에 따른 WBS 코드의 연동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즉, 앞서 3D 모델의 분할 후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3D 모델의 각 요소들에 대한 명칭과 그에 따른 WBS 코드를 각각 일치시킬 수 있다. 이후, 3D 모델(모델 데이터)은 EVMS의 EVMS 데이터와 특정 코드 기반으로 자동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기반 BIM 구축 단계(10)에 따른 인터넷 모델화(3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BIM 기반으로 작성된 3D 모델(모델 데이터)을 인터넷에 게시하기 위해 상기 3D 모델을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BIM 기반으로 작성된 3D 모델(모델 데이터)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한 웹 서비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D 모델링된 모델 데이터를 인터넷 접근이 가능한 형태의 인터넷 모델로 변환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에서 3D 시뮬레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인터넷 모델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D 도면 데이터를 3D의 모델 데이터로 단순히 변화시킬 경우에는 객체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3D의 모델 데이터를 인터넷 모델로 변환시키는 인터넷 모델링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인터넷 모델링 작업(30)의 첫 번째 과정으로, 인터넷 모델링 작업(30) 수행시 단순 변환되는 객체 수의 경량화를 통해 3D 모델 경량화(31)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3D 모델의 경량화(31)는 액티비티에 속한 객체의 개수 경량화, 3D 모델의 표면(Surface) 정리, 그리고 3D 모델 용량의 경량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3D로 CAD 파일을 단순 변환시킬 경우 객체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액티비티에 속한 객체의 개수로 3D 모델링되는 모델 데이터에 대한 경량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3D 모델에서 시뮬레이션 단위로 정리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인터넷 모델로 변환 시 각 모델을 표현하는 요소(Element) 단위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3D 모델과 인터넷 모델의 객체 수 변환에 따른 화면 예시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2D 도면 데이터를 3D 모델 데이터로 변화시킬 경우 모델 데이터의 형상이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3D 모델링된 모델 데이터의 표면정리 작업을 통해 인터넷 모델의 형상을 정리하고 경량화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인터넷 모델의 형상 표면정리에 따른 화면 예시가 도 6에 나타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터넷 모델링 작업 중 인터넷 모델로의 표면정리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3D 모델링된 것을 단순히 형상 모델로 변환(convert) 시킨 것의 예를 나타내며, 도 6의 (b)는 이에 더하여 표면정리 작업을 수행한 후의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3D 모델 데이터를 인터넷 모델로 전환 시 모델 데이터의 구성요소들(점, 선, 면)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D 도면 데이터를 3D 모델 데이터로 변화시킨 후 이를 인터넷 모델로 변환시킬 때 3D 모델을 이루어는 구성요소인 점, 선, 면 등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3D 모델 데이터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찾아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인터넷 모델의 용량을 경량화한다. 이와 같이 인터넷 모델의 전체 표면정리에 따른 화면 예시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 7은 인터넷 모델의 전체 표면정리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단순히 2D 데이터를 3D 데이터로 변환한 상태이지만 아직 경량화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경량화 작업까지 마친 상태의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도 7의 (a)의 상태에서는 약 477MB의 용량을 가지던 데이터가 경량화 작업 수행 후에는 약 150MB의 용량을 가지는 데이터로 변환되어 그 데이터 크기가 변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인터넷 모델링 작업(30)의 두 번째 과정으로, 인터넷 모델 작업(30)을 수행할 때 시뮬레이션 되는 3D 모델 데이터에 대한 그래픽 효과를 부여(33)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3D 모델 데이터에 그래픽적인 효과를 부여하여 실제와 가까운 가상의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그래픽 효과 부여(33)는 질감작업, 컬러 매핑 작업, 렌더링 작업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3D 모델 데이터를 단순히 변환하게 되면 인터넷 모델의 재질감이 단일하게 되어 시각적으로 단조로우며 명확한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 모델로 적용을 위하여 각 객체마다 질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질감작업에 따른 화면 예시가 도 8에 나타나 있다. 도 8은 인터넷 모델의 객체별 질감작업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질감작업의 전, 후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의 (a)에는 질감이 1개일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액티비티별로 질감을 달리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3D 모델링된 모델 데이터(구조물)의 각 객체마다 앞서와 같은 질감작업을 수행한 후, 각 객체에 맞는 컬러 매핑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매핑 작업에 따른 예시가 도 9에 나타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컬러 매핑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9의 (a)는 단색으로 표현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며, 도 9의 (b)는 모델 데이터의 구조물에 맞는 컬러 매핑 작업을 수행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컬러 매핑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인터넷에서 게시가 가능할 수 있도록 각 객체마다 특정 용량(예컨대, 1MB) 미만의 작은 용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와 같은 컬러 매핑 작업 외에,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모델을 시뮬레이션 시 실제와 가까운 가상현장 구현을 위해 모델 데이터의 인터넷 모델로 변환 시 렌더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3D 모델링되어 통합관리서버의 모니터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등에서 보이는 모델 데이터의 구조물 형상이 실제 시공될 구조물을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 작업의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는 렌더링 없이 변환한 결과물의 예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렌더링 하여 변환시킨 후의 결과물의 예를 나타낸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D 모델링이 완료되면 EVMS 데이터(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와 웹 기반 BIM 정보를 연계하는 시스템 아키텍처(system architecture)를 구축하게 된다(도 1의 시스템 설계 단계(40) 중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단계(50)에 해당).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EVMS의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와 인터넷 기반 3D 공정/비용 관리 시스템을 연결하여 자동적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구축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특정 공사 현장에 대해 EVMS에 사전 구축된 EVMS 데이터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웹 기반의 BIM에 따른 모델 데이터를 연계하는 구축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스템 아키텍처는 개방형 아키텍처 구조의 웹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 EVMS와의 유기적인 연동과 호환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시스템 아키텍처는 3-tier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와, 프레젠테이션 레이어(Presentation Layer)와, 데이터 액세스 레이어(Data Access Lay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예를 들면, DirectX나 OpenGL 등의 호환 가능한 3D 플레이어(Player)를 통해 3D 그래픽을 사용하게 되며,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를 표현하는 프레젠테이션 레이어는 웹(WEB) 표준을 따르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ASP.NET, Flex, Silverlight 등과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EVMS 데이터인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는 EVMS와 웹 서비스(WEB Service)를 통해 연동하며, 연동을 통해 가져온 데이터는 데이터 액세스 레이어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예컨대, MS-SQL(MS-Structured Query Language) 서버)에서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방형 아키텍처 구조의 웹 시스템으로 기존 EVMS와의 유기적인 연동과 호환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EVMS와 연동하여 단순히 5D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넘어 시공 시 요구되는 도면, 3D의 모델 데이터, 문서, 현장 사진 등을 현장 및 본사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권한 레벨에 따라 각각 다른 화면을 통하여 통합정보의 공유와 보안을 겸한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며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앞서와 같은 시스템 아키텍처 기반의 시스템 설계에 따른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및 그에 따른 EVMS 연계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이하에서는 도 1의 시스템 설계 단계(40) 중 EVMS 설계 단계(6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특히, 도 12는 본 발명에서 운용되는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크게 EVMS(100), 통합관리서버(200), 사용자 디바이스(300), 그리고 네트워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위와 같은 각 구성들 간에 공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와, 웹(web) 기반의 웹 서비스(web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한 웹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EVMS(10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정 및 비용의 통합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건설 공사의 원가 관리, 견적, 공사 관리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EVMS(100)는 실행 예산을 평가하고, 추후 공정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사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비용과 일정 계획 대비 성과를 미리 예측하여 현재 공사 수행의 문제 분석과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즉, 상기 EVMS(100)는 프로젝트별 일정과 비용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성과 분석 및 프로젝트의 최종 사업비용과 일정을 예측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MS(100)에는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와 같은 EVMS 데이터가 사전 구축될 수 있다(1401단계). 그리고 EVMS(100)는 통합관리서버(2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구축된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의 EVMS 데이터를 웹 서비스를 통해 통합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건설공사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서, 도면, 기술 자료 등과 같은 사업 정보를 체계적으로 축적 및 관리하기 위한 서버를 나타낸다. 이러한 통합관리서버(200)는 발주 기관과 시공사, 감리 등 사업 주체 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실시간 공정 관리를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통합관리서버(2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분류체계(WBS)를 바탕으로 작업일보 상에 실질적인 공정에 투입된 자원 정보를 입력받아 전체적인 내역서를 실시간으로 집계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관리서버(200)는 사업관리, 설계관리, 공사관리, 공정관리, 시공관리, 자원관리, 품질/안전/환경관리, 문서관리, 자료관리, 도면관리, 자원관리, 시스템 관리, 그리고 일정관리 등의 다양한 설계요소들에 따른 각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200)는 건설사업의 라이프 사이클(Life-Cycle)인 기획, 조사/설계, 시공, 유지관리 업무의 프로세스를 전자화하고 정보 및 자료를 통합하여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스 전자화는 업무처리를 함에 있어 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문서 처리하는 것을 나타내며, 정보 및 자료 통합관리는 EVMS(100)와의 연계를 통해 정보 및 자료를 통합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200)는 건설사업 관리를 위해 관리되어야 하는 앞서와 같은 설계요소들에 체계적인 식별번호를 부여한 종합적인 관리체계(표준분류체계(Standard Classification))를 지원하며, 이와 같은 표준분류체계를 기반으로 건설사업의 전자화된 프로세스와 건설사업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체계(건설사업관리체계(Construction Management))를 지원하며, 전자문서(예컨대, XML)를 이용하여 발주자 내부 또는 발주자와 수급사(용역사, 시공사 등) 간 결재 또는 유통되는 문서관리체계(전자문서교환체계(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를 지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통합관리서버(200)는 발주기관 내부, 발주기관과 수급사(용역사, 시공사 등) 간 시스템을 통한 정보교환, 표준분류체계에 의한 정보의 검색, 가공 등 데이터 활용, 언제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한 웹 기반 시스템, 업무처리 시 데이터 관리와 문서 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전자문서(예컨대, XML) 지원, 그리고 공개 시스템의 안전을 위한 보안처리에 따른 요건을 충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D 모델링에 의한 모델 데이터와 모델 데이터의 웹상 게시를 위해 변환한 웹 기반의 3차원 모델 데이터(즉, 인터넷 모델)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1403단계).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웹 기반의 3D 모델 데이터와 EVMS(100)의 EVMS 데이터 연계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BIM 기반의 3D 모델을 EVMS(100)의 EVMS 데이터(특히,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와 연계하여 일정에 따른 구조물의 진행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3D 모델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구조물의 부위정보를 통해 3D 정보관리와 3D 내역관리를 지원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3D 모델에 필요한 속성정보를 연결시켜 시공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고, 현동하여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EVMS(100)와 3D 통합관리를 위한 양방향 연계를 통해 웹 기반 3D 공정 및 장과 본사, 발주처 등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사용자 디바이스(300)와 연비용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통합관리서버(200)의 기능 및 그의 운용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동작 예시 및 그의 운용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웹 기반으로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에 접속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통해 웹 기반의 BIM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200)가 상기 EVMS(100)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웹 기반의 3D 모델을 표시하고, 3D 모델과 연계된 EVMS 데이터를 웹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되는 3D 모델을 통해 공정과 비용을 직관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로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하여 통합관리서버(200) 접속을 통한 모델 데이터 확인 과정을 도 14를 참조하여 개략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통합관리서버(200)로 접속하여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예시 및 그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모델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통합관리서버(200)에 관련 모델 데이터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1405단계). 그러면 통합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모델 데이터를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제공할 수 있다(1407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모델 데이터는 상기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인터넷 모델링 작업에 의해 변환된 웹 기반의 3D 모델 데이터 즉, 인터넷 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상기 요청된 관련 모델 데이터가 전달될 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 모델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한다(1409단계). 그러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모델 데이터에 대해, 3D 시뮬레이션, 3D 정보관리, 및 공정/내역 관리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1411단계).
다음으로,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앞서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해당 기능에 대한 정보를 통합관리서버(200)로 요청한다(1413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어진 모델 데이터를 이용한 3D 시뮬레이션, 3D 정보관리, 및 공정/내역 관리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기능을 식별하고, 식별된 기능에 대한 모델 데이터의 정보를 요청한다.
다음으로,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로부터 모델 데이터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요청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1415단계). 그리고 통합관리서버(200)는 식별된 정보에 따라 내부 처리에 의해 모델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식별된 정보에 따라 EVMS(100)와 연동하여 관련 정보를 획득한 후 사용자 디바이스(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관리서버(200)는 요청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요청 정보가 EVMS(100)와의 연동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예컨대, EVMS 데이터)인 경우 해당 정보에 대한 정보 제공을 EVMS(100)로 요청할 수 있다(1417단계).
다음으로, EVMS(100)는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특정 모델 데이터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할 시 해당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통합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VMS(100)는 요청된 모델 데이터에 대한 공정 데이터, 비용 데이터, 또는 모델 데이터의 특정 부위에 대한 상세내역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통합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합관리서버(200)는 EVMS(100)로부터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시 즉, 모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시 해당 정보를 모델 데이터에 반영하고(1421단계), 그에 따른 모델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1423단계). 이때, 통합관리서버(200)는 EVMS(100)와 연동에 의해 획득된 정보(예컨대, EVMS 데이터)를 웹 기반의 3D 모델 데이터(즉, 인터넷 모델)에 적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모델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1425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따라, 3D 시뮬레이션, 3D 정보관리, 및 공정/내역 관리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결과가 반영된 모델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건설 공사 등과 같은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예산과 실행을 실시간 비교할 수 있고, 이를 시각화하여 직감적으로 문제 등을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 및 해결할 수 있다. 즉, 구조물의 3D 모델과 EVMS 데이터를 연계하여 단위별 구조물의 3D 진행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하여 공정의 시각적인 점검을 위한 3D 시뮬레이션 기능과, 3D 모델에서 특정 구조물 선택 시 선택된 특정 구조물의 해당 설계도서 및 해당 구간 관련 자료를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3D 정보관리 기능과, 상기 3D 모델을 통해 상기 EVMS 데이터의 조회를 위한 공정/내역 관리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상기 네트워크(400)는 유선방식의 네트워크 환경 및 무선통신 방식의 네트워크 환경 중 EVMS(100), 통합관리서버(200), 그리고 사용자 디바이스(400) 간에 상호 약속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VMS(100)와 통합관리서버(200) 간의 연결은 유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유선 네트워크에 의해 유선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네트워크)에 의해 무선 연결(예컨대, 웹 기반의 무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200)와 사용자 디바이스(300) 간의 연결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무선 연결(예컨대, 웹 기반의 무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특정 공사 현장을 대상으로 EVMS(100)와 연계한 웹 기반의 3D 공정/비용 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현장에서 구성한 EVMS 데이터가 EVMS(1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4D라고 표현하는 3D 공정 시뮬레이션을 위해 3D 모델이 생성되어야 하고, 3D 모델과 비용을 연결한 5D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웹 기반의 3D 모델링을 이용한 공정과 비용의 통합 관리를 위한 구성 즉, 도 1에 나타낸 EVMS 연계 단계(60)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12 내지 도 14에 따른 EVMS(100)와 통합관리서버(200) 간의 연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서 EVMS 데이터가 전자문서 형태로 추출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EVMS(100)에서 공정 데이터 및 비용 데이터 등을 웹 서비스로 받아들여 3D 시뮬레이터와 연계하는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 단위로 분할된 3D 모델과 EVMS(100)의 액티비티 정보(공통정보)(110), 공정정보(120), 및 비용정보(130) 등과 같은 EVMS 데이터의 코드를 액티비티 코드로 일치시켜 자동연계를 구현한다. 따라서 EVMS 데이터는 웹 서비스(WEB Service)를 사용하여 전자문서 형식(예컨대, XML 형식)으로 연동된다.
예를 들어, 통합관리서버(200)는 웹 서비스를 통해 EVMS(100)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한 요청(Request)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EVMS(100)는 웹 서비스를 통해 공사의 진행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전자문서 형식(예컨대, XML 형식)의 응답(Response)을 제공한다.
이때, EVMS(100)에서 불러들여올 데이터의 목록은 하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11031346496-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액티비티 정보(공통정보)(110)에서는 액티비티 ID, 액티비티 명칭, 서브 액티비티 코드 및 서브 액티비티 명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티비티 코드를 3D 모델과 부재별로 일치시켜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설정(setting)할 때 자동으로 연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3D 모델링 과정에서 입력한 액티비티 코드는 EVMS 데이터의 WBS에서 부위정보를 나타내는 레벨 6(Level 6) 또는 레벨 7(Level 7)의 정보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EVMS(100)는 공정정보(120)와 비용정보(130)를 연계시킨 시스템이기 때문에 일정으로 실적을 입력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예상금액과 실투입금액, 그리고 이 두 가지 금액의 차인 잔여금액이 비용정보(13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모든 금액들은 도급기준 금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EVMS(100)의 EVMS 데이터가 전자문서(예컨대, XML) 형태로 추출된 예시는 상기 도 16과 같이 웹 기반을 위한 XML 문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통합관리서버(300)는 상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WBS 관리부(210), PBS 관리부(230), 프로젝트 관리부(250), 그리고 시뮬레이션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WBS 관리부(210)는 웹 서비스를 통해 EVMS(100)와 연동하여 액티비티 정보(공통정보)(110), 공정정보(120), 및 비용정보(130) 등의 EVMS 데이터 획득하고, 그를 WBS 코드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WBS 관리부(210)는 EVMS 데이터와 연동된 웹 기반 3D 모델 데이터(인터넷 모델) 기반으로 공사, 공정, 및 비용 등과 관련된 기초자료의 범위(Scope) 및 종류를 정의하고, 공정별 위계구조를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WBS 관리부(210)는 공정 계획을 효율적으로 작성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공사 및 공정에 관련된 기초자료의 범위 및 종류를 정의할 수 있다.
PBS 관리부(230)는 WBS 관리부(210)에서 제공되는 WBS 코드정보와 프로젝트 관리부(250)에서 제공되는 프로젝트 정보(특히, 웹 기반의 3D 모델 데이터(인터넷 모델))를 연계하여 공정관리, 공정율 관리, 및 시뮬레이션 코드관리를 담당한다. PBS 관리부(230)는 공사(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업무분류 및 관리의 기준이 되는 최종 구조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프로젝트 관리부(250)는 모델 데이터를 이용한 공정관리, 웹 기반의 3D 모델관리를 담당한다. 프로젝트 관리부(250)는 공정 및 웹 기반의 3D 모델 데이터를 연계하여 프로젝트(공사) 진행에 따른 전반적인 프로젝트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며, 생성된 프로젝트 정보를 PBS 관리부(230)와 WBS 관리부(210)로 제공한다. PBS 관리부(230)는 WBS 관리부(210), 프로젝트 관리부(250 및 시뮬레이션부(270)로부터 주어지는 정보를 기반으로 3D 모델링에 따른 구조물의 부위정보를 통해 3D 정보관리와 3D 내역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70)는 웹 기반의 3D 모델 데이터에 의한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부(270)는 PBS 관리부(230)에서 WBS 코드정보를 기반으로 공정에 따른 구조물의 진행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그에 따른 시뮬레이션 코드정보를 PBS 관리부(230)와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축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3D 시뮬레이션 기능, 3D 정보관리 기능, 공정/내역 관리 기능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도 17 내지 도 2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300)에서 통합관리서버(20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운용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3D 통합관리 시스템의 화면 구성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한 웹 서비스를 통해 통합관리서버(200)에 접속함으로써, 도 17과 같은 화면을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되는 3D 통합관리 시스템 화면은 3D 시뮬레이션에 따라 특정 구조물이 3D로 도식화된 인터넷 모델 표시를 위한 제1화면, 상기 제1화면에서 주어진 구조물에 대한 3D 정보관리를 위한 제2화면, 상기 제1화면에서 주어진 구조물에 대한 공정/내역 관리를 위한 제3화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뮬레이션 요청에 응답하여 단위별 구조물의 3D 진행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하는 3D 시뮬레이션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3D 시뮬레이션 기능 요청에 응답하여 단위별 구조물의 3D 진행상황의 연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3D 정보 관리 기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3D 모델에서 선택된 특정 구조물의 설계도서 및 해당 구간 관련 자료를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여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공정/내역 관리 기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3D 모델에서 요청된 EVMS 데이터를 조회하여 출력하는 일련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먼저, 도 17에 나타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3D 시뮬레이션 기능 운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3D 시뮬레이션 기능은 3D 구조물 모델과 공정을 연계하여 단위별 구조물의 3D 진행 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공정을 점검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능을 나타낸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3D 시뮬레이션 작동을 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3D 구조물 모델(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 모델링 작업을 통해 변환된 인터넷 모델)과 공사 진행에 따른 공정을 연계하여 단위별 구조물의 3D 진행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공사 진행에 따른 공정을 직관적이고 실시간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제1화면을 통해 주어진 "공정진행 바"를 이용한 스크롤 제어(예컨대, 드래그 앤 드롭 기능)를 수행하여 수동 공정 진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화면을 통해 주어진 "특정일자 공정 보기" 버튼을 이용하여 공사 기간 중 특정 일자를 입력하면 해당 특정일의 공정 상황을 비주얼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화면을 통해 주어진 "공정진행 버튼"을 이용하여 공정 진행에 따른 동적인 영상의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인 영상의 재생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뒤로 특정 배수(예컨대, 2배)만큼 재생, 뒤로 1배 재생, 앞으로 1배 재생, 앞으로 특정 배수(예컨대, 2배)만큼 재생, 월별 재생, 주별 재생, 일별 재생 등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주어진 조건에 따라 공정진행 상황을 동적인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주어진 3D 모델의 줌인(Zoom-in), 줌아웃(Zoom-out), 회전, 이동, 단면 등을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3D 공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화면의 예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3D 시뮬레이션을 위해 구조물과 공정을 연계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개략도가 도 19에 나타나 있다.
도 19는 도 17에서 3D 시뮬레이션을 위해 3D 구조물과 공정이 연계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물에 대한 공정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단위별 3D 모델링 분할을 수행하고, 분할된 각 객체마다 모델정보와 공정정보 간의 연결정보로 3D 공정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 나타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3D 정보관리 기능 운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3D 정보관리 기능은 3D 구조물과 공사 관련 데이터의 연계, 그리고 특정 구조물 선택 시 해당 설계도서(예컨대, 도면, 시방서 등) 및 해당 구간 관련 자료 열람 기능을 포함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3D 정보관리 기능을 가지는데, 구체적으로 3D 모델과 공사 진행에 따른 공사 관련 데이터를 연계하고, 주어진 화면의 구조물에서 사용자가 특정 구조물을 선택할 경우 선택된 특정 구조물에 대한 해당 설계도서(예컨대, 도면, 시방서) 및 해당 구간 관련 자료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나 있다.
도 20은 도 17에서 3D 구조물의 속성정보를 조회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내고, 도 21은 도 17에서 3D 구조물의 도면정보 및 문서정보를 조회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3D 정보관리 기능을 통해 3D 구조물의 속성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속성 정보를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도 20의 예시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구조물과 공사 데이터의 연결을 통하여 BIM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3D 정보관리 기능을 통해 3D 구조물의 도면/문서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도면/문서 정보를 검색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도 21의 예시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과 구조물에 해당하는 설계관련 도면, 시방서, 현장사진 등 시공에 필요한 문서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 나타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공정/내역 관리 기능 운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3D 시각화를 기반으로 한 공정관리가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정과 3D 모델을 연계하고 EVMS(100)의 EVMS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3D 모델이 공정정보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EVMS(100)에서 연계한 공정 및 비용정보의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대한 화면 예시들이 도 22 내지 도 24에 나타나 있다.
도 22는 도 17에서 공정/내역 관리 기능 운용에 따라 간트 차트(Gantt chart)와 반향 곡선(S-Curve)이 연동된 상태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17에서 공정/내역 관리 기능 운용에 따라 도급기성 및 서브 액티비티 하위 내역 관리 수행에 따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도 17에서 공정/내역 관리 기능 운용에 따라 기간별 예상 시공부위 관리와 예정내역 관리에 따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공정관리에서는 복잡한 CPM(Critical Path Method) 네트워크상에서 액티비티 명칭을 통해 수정해야 할 곳을 일일이 찾아내고 변경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 객체를 선택하여 공정을 변경하게 되면 그 부위의 정확한 위치정보 및 선/후행 공정을 눈으로 직관적인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EVMS 비용데이터의 서브 액티비티와 하위 내역정보를 3D 구조물별로 조회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다중선택으로 유관구조물의 통합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3에서는 도급기성 및 서브 액티비티의 하위 내역 관리를 수행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간별로 3D 구조물의 시공 부위를 예상하여 볼 수 있으며, 기간별 예정 기성 및 실행기성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4에서는 기간별 예상 시공부위관리와 예정내역관리를 수행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 스탠드 얼론 방식의 5D 시스템에 기초한 웹 기반의 3D 통합 시스템이 제공된다. 따라서 BIM 기반의 3D 모델을 EVMS의 공정 및 비용과 연계하여 일정에 따른 구조물의 진행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3D 모델링을 통하여 얻어지는 구조물의 부위정보로 인하여 3D 정보관리와 3D 내역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3D 모델에 필요한 속성정보를 연결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시공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현장과 본사, 발주처 등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커뮤니케이션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EVMS
110: 공통정보
120: 공정정보
130: 비용정보
200: 통합관리서버
210: WBS 관리부
230: PBS 관리부
250: 프로젝트 관리부
270: 시뮬레이션부
300: 사용자 디바이스
400: 네트워크

Claims (5)

  1.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웹 서비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를 공유하는 EVMS와,
    수행되는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구조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모델을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고,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된 상기 3차원 모델을 웹상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구조물의 3차원 모델과 상기 EVMS 데이터를 연계하여 단위별 구조물의 3차원 진행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하여 공정의 시각적인 점검을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기능과, 3차원 모델에서 특정 구조물 선택 시 선택된 특정 구조물의 해당 설계도서 및 해당 구간 관련 자료를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3차원 정보관리 기능과,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상기 EVMS 데이터의 조회를 위한 공정/내역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2차원 도면 데이터로부터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되,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EVMS와 연동하여 EVMS 데이터를 획득하고 관리하는 WBS 관리부(210)와, 수행되는 건설 프로젝트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프로젝트 관리부(250)와, 상기 WBS 관리부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에서 제공되는 프로젝트 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하는 PBS 관리부(230)와, 웹 기반의 3차원 모델 데이터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부(270)를 구비하여, 상기 3차원 모델 생성 시 상기 3차원 모델을 WBS 단위로 객체 분할하고, 3차원 모델의 각 요소들에 대한 명칭과 그에 대한 WBS 코드를 각각 일치시킴으로써 분할된 3차원 모델의 각 객체를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여 관리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3차원 모델의 웹 상 게시를 위한 상기 3차원 모델의 인터넷 모델 변환을 수행하되, 상기 인터넷 모델 변환 시에는, 3차원 모델에서 시뮬레이션 단위로 정리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각 모델을 표현하는 요소 단위로 전환하여 상기 3차원 모델의 객체의 개수 경량화 작업을 수행하고, 3차원 모델의 표면 정리작업을 수행하며, 3차원 모델 용량의 경량화 작업을 수행하고, 질감작업과 컬러 매핑작업 및 렌더링 작업을 포함하는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의 인터넷 모델링 작업에 의해 상기 인터넷 모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3차원 모델링을 통한 공정 및 비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공정 및 비용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젝트에 따른 구조물에 대한 EVMS 데이터(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구조물의 2차원 도면 데이터로부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는 과정과;
    상기 3차원 모델에서 시뮬레이션 단위로 정리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각 모델을 표현하는 요소 단위로 전환하여 3차원 모델의 객체의 개수 경량화 작업을 수행하고, 3차원 모델의 표면 정리작업을 수행하며, 3차원 모델 용량의 경량화에 따른 경량화 작업을 수행하고, 질감작업과 컬러 매핑작업 및 렌더링 작업을 포함하는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의 인터넷 모델링 작업에 의해 상기 인터넷 모델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3차원 모델을 웹상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인터넷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과;
    시뮬레이션 요청에 응답하여 단위별 구조물의 3차원 진행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하는 3차원 시뮬레이션 과정과;
    3차원 시뮬레이션 기능 요청에 응답하여 단위별 구조물의 3차원 진행상황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3차원 정보 관리 기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3차원 모델에서 선택된 특정 구조물의 설계도서 및 해당 구간 관련 자료를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과정과;
    공정/내역 관리 기능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3차원 모델에서 요청된 EVMS 데이터를 조회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는 과정은, 상기 3차원 모델을 WBS 단위로 객체 분할하는 과정과, 3차원 모델의 각 요소들에 대한 명칭과 그에 대한 WBS 코드를 각각 일치시킴으로써 분할된 3차원 모델의 각 개체를 상기 EVMS 데이터와 연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3차원 모델링을 통한 공정 및 비용 관리 방법.

  5. 삭제
KR1020110039549A 2011-04-27 2011-04-27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26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549A KR101263655B1 (ko) 2011-04-27 2011-04-27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549A KR101263655B1 (ko) 2011-04-27 2011-04-27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34A KR20120121634A (ko) 2012-11-06
KR101263655B1 true KR101263655B1 (ko) 2013-05-22

Family

ID=4750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549A KR101263655B1 (ko) 2011-04-27 2011-04-27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28B1 (ko) * 2015-09-23 2017-07-06 현대건설 주식회사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795B1 (ko) 2013-04-29 2018-10-2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3차원 정보제공장치
CN103295100A (zh) * 2013-05-28 2013-09-11 机械工业第六设计研究院有限公司 项目管理进度编排方法和系统
CN103500371A (zh) * 2013-08-08 2014-01-08 机械工业第六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bim的变更控制方法
KR102457765B1 (ko) * 2015-06-01 2022-10-20 주식회사 두올테크 공사 유형에 따른 소요 자원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N107918831A (zh) * 2017-11-23 2018-04-17 深圳拎得清软件有限公司 基于浏览器的bim进度计划管理方法及其系统
CN107958330A (zh) * 2017-11-23 2018-04-24 深圳拎得清软件有限公司 基于浏览器的bim造价预算管理方法及其系统
CN108009758B (zh) * 2018-01-09 2022-04-15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现场施工材料智能管理方法
CN108280281A (zh) * 2018-01-18 2018-07-13 宋强 一种基于bim技术的施工成本控制方法和系统
KR102085271B1 (ko) 2018-06-12 2020-03-05 (주)태성에스엔아이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CN109115262A (zh) * 2018-09-25 2019-01-01 郑州市泰科工控自动化有限公司 一种搅拌厂生产线监测方法及系统
CN109388910A (zh) * 2018-10-31 2019-02-26 广西路桥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工程建设施工工艺管理系统和方法
KR102017075B1 (ko) * 2018-12-28 2019-09-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102298260B1 (ko) * 2020-11-25 2021-09-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증강현실 기반의 시공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관리 방법
CN112488654B (zh) * 2020-12-02 2024-04-16 宁波市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电力物资设计一体化智能协同方法和装置
KR102354181B1 (ko) * 2020-12-31 2022-01-21 주식회사 나인티나인 비쥬얼라이징 구현 가능한 건설 사업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38803B1 (ko) * 2021-01-11 2024-02-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4d 시뮬레이션 장치
CN117541023B (zh) * 2024-01-05 2024-04-05 山东金呈阳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桥梁施工进度管理方法及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641-644page(2008.10.2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28B1 (ko) * 2015-09-23 2017-07-06 현대건설 주식회사 Bim기반 건설공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34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655B1 (ko)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Lee et al. Context-aware risk management for architectural heritage using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virtual reality
Piaia et al. BIM-based cultural heritage asset management tool. Innovative solution to orient the preservation and valorization of historic buildings
Abdirad Metric-based BIM implementation assessment: a review of research and practice
Xu et al. A framework for BIM-enabled life-cycle information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
McCuen et al. Evaluating award-winning BIM projects using the nat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 standard capability maturity model
Wang et al. GIS-based framework for supporting land use planning in urban renewal: Case study in Hong Kong
Reddy BIM for building owners and developers: making a business case for using BIM on projects
Lee et al. V3DM+: BIM interactive collaboration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Kim et al. Evaluation framework for BIM-based VR applications in design phase
Potseluyko et al. Game-like interactive environment using BIM-based virtual reality for the timber frame self-build housing sector
KR100593716B1 (ko) 4차원 건설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관리정보제공방법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Tarandi The BIM collaboration hub: A model server based on IFC and PLCS for virtual Enterprise collaboration
Forbes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oulihan Wiberg et al. Advanced visualization of neighborhood carbon metrics using virtual reality: Improving stakeholder engagement
Zaker Hosein BIM implementation in architectural practices: towards advanced collaborative approaches based on digital technologies
Gerçek BIM execution process of construction companies for building projects
Djuedja Information modelling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nstruction (MINDOC)
Lazar et al. BIM for Corporate Real Estate Data Visualization from Disparate Systems
Makkonen Semantic 3D modelling for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Chen et al. Fro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digital twin: the core for sustainable smart campus at HKUST
Potseluyko et al.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Potseluyko et al. Prototype Development for Game-Like Interactive Environment
May et al. Digitalization Trends in Real Estate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