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906B1 -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906B1
KR101262906B1 KR1020100097897A KR20100097897A KR101262906B1 KR 101262906 B1 KR101262906 B1 KR 101262906B1 KR 1020100097897 A KR1020100097897 A KR 1020100097897A KR 20100097897 A KR20100097897 A KR 20100097897A KR 101262906 B1 KR101262906 B1 KR 10126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ess control
room mirro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173A (ko
Inventor
유윤식
장종욱
김창영
전영준
김태준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9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84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ommunication systems other than radio-receivers, e.g. keyless entry systems, navigation systems; with 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룸미러에 차량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고, 차량 정보를 갖는 칩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차량내에 설치되고 전면부에 룸미러가 구성되는 룸미러 본체;상기 룸미러 본체에 구성되어 외부의 차량 출입 통제 서버와 차량 확인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는 모듈부;상기 모듈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차량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는 카드;상기 룸미러 본체의 후면부에 구성되어 차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량 확인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oing in and out of Vehicle Using Room Mirror}
본 발명은 차량 출입 제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의 룸미러에 차량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고, 차량 정보를 갖는 칩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집단 거주지역)에는 입주민들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주차장의 출입구 측에는 차량의 출입 관리를 위한 차량 출입 통제수단, 예컨대 차단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차단기는 인접 지역에 위치하는 경비실(또는 통제실)에 근무하는 경비원의 스위치 조작을 통해 개폐된다.
이와 같이 경비원의 직접적인 통제를 통해 주차장으로의 차량 출입을 관리하는 방식은 경비원의 근무를 위한 경비실 및 인원 채용등의 비용 측면에서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실에 따라 최근 건설되고 있는 공동 주택의 경우, 자동으로 차량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차량 출입 관리를 위한 경비원을 줄여 입주민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리모컨을 사용하거나 RF 태그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량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리모컨을 사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차단기의 소정 위치에서 소지한 리모컨의 키를 조작하면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데이터가 송출되고, 차단기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수신기에서 이를 수신한 후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입주민 차량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입주민 차량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차단기를 열어주는 방법으로 차량 출입을 통제하게 된다.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차량 출입을 자동으로 통제하는 방법은 해당 입주민의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RFID 태그에 기록한 후 차량의 특정 위치에 이를 부착한다. 이후 RFID 태그를 부착한 차량이 차단기의 특정 위치에 근접하면 차단기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제어장치에서 RFID 태그의 정보를 읽어와 미리 등록된 정보이면 입주민 차량으로 인식하고 자동으로 차단기를 동작시키게 된다.
즉, 차량의 출입을 위하여 별도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나 무선장치를 이용하여 카드를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사등으로 인하여 다른곳에서 사용시는 기존 태그는 제거하고 새로운 RFID 태그를 새로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추가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RFID 태그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은 아파트나 빌딩의 출입을 위하여 차량이 출입문에 진입하면 아파트 리더기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차량의 RFID 태그의 신호를 확인하고 자동으로 차단기가 올라가는 방식과, 차량에서 운전자가 RFID 스위치 조작을 하여 차단기가 올라가도록 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완전자동 방식의 경우 RFID 태그를 차량에 붙이거나 장착하여야 하며, 반자동의 경우는 RFID 스위치가 있는 장치를 항상 운전자가 차량에 부착하고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모두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이사등으로 인하여 다른곳에서 사용시는 관리실에서 발급 받거나 구매 설치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추가비용 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주거지를 옮긴 경우에는 RFID 태그 설치 위치가 아파트 및 빌딩 마다 달라서 새롭게 장착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주민의 차량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아파트(빌딩등)마다 별도의 스티거를 붙여 주민차량임을 확인 방식의 경우에는 스티커 부착 및 제거 과정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룸미러에 차량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고, 차량 정보를 갖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칩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축에 소요되는 추가 설치 비용 문제, 설치 또는 부착 장소 문제 등을 카드 타입으로 룸미러에 장착하여 어디에서든지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LCD를 통해 주민임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을 함께 설치하여 차량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룸밀러 통합형 하이패스와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을 통합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및 관리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차량내에 설치되고 전면부에 룸미러가 구성되는 룸미러 본체;상기 룸미러 본체에 구성되어 외부의 차량 출입 통제 서버와 차량 확인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는 모듈부;상기 모듈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차량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는 카드;상기 룸미러 본체의 후면부에 구성되어 차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량 확인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룸미러 본체에는,차량 출입 제어 과정에서 차량 출입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창은,차량이 시동 off상태인 경우에만 on되어 차량 확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룸미러 본체에는,표시창을 on시키거나, 차량의 메인 전원 이상시에 상기 모듈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드는,차량 정보를 갖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듈부는,ODBⅡ커넥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수신부와,상기 블루투스(Bluetooth)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초 출입 차량 등록 과정에서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비교부를 포함하고 차량 출입 과정에서 정보 비교,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차량 출입시나 주차시에 차량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LCD 출력부와,차량 출입시에 차량 확인 정보를 무선 전송하기 위한 RF 송수신부와,카드의 차량 확인 정보를 리드하여 제어부에 제공하는 RF 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방법은 차량내에 설치되고 전면부에 룸미러가 구성되는 룸미러 본체에 구성되어 외부의 차량 출입 통제 서버와 차량 확인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는 모듈부를 갖는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있어서,차량 출입 통제 서버에서 전송되는 출입 게이트 확인 신호가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모듈부에 수신되면, 출입 게이트 근접 상태를 음성 안내하는 단계;상기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모듈부에서 출입 게이트의 열림/닫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차단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모듈부에서 저장된 차량 확인 정보를 차량 출입 통제 서버로 전송하여 차량 확인 과정을 거쳐 등록 차량이면 차단기를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차량 통과가 이루어지면 차량 통과 정보를 차량 출입 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차량 통과가 이루어지면,차량의 ODBⅡ커넥터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차량 시동 off 상태이면,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모듈부에서 표시창의 전원을 on하여 차량 확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상기 차량 확인 정보 표시중에 차량 시동 on이 되면, 표시창의 전원을 off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출입 통제 서버에 차량을 등록하는 과정은,ODBⅡ커넥터를 통하여 확인되는 차대번호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쳐 등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차량의 룸미러에 차량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관리 및 운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 차량 정보를 갖는 칩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차량의 출입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태그나 표시장치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다.
셋째, 차량 자동출입을 위한 미관상 좋지 않은 스티커나 태그를 차량 전면 유리 등에 붙일 필요가 없다.
넷째, 차량의 룸미러에 차량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하이패스 등과 결합 가능하여 시스템 확장성이 우수하다.
다섯째, 차량 출입 통제 장치를 카드 타입으로 룸밀러에 장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어디에서든지 재활용이 가능하다.
여섯째, 룸미러 후면의 LCD 표시창을 통해 외부에서도 주민임을 확인할 수 있어 출입 관리 효율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룸미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룸미러 후면에 구성되는 LCD 표시창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차량 출입 제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차량 주차시의 LCD 표시창 제어를 위한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룸미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룸미러 후면에 구성되는 LCD 표시창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룸미러에 차량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고, 차량 정보를 갖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칩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차량내 룸미러의 전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카드부(100), 모듈부(110), 스피커(120), 룸미러 거울(130)로 구성된다.
카드부(100)는 RFID(또는 DSRC) 칩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칩에는 차량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 확인을 위한 정보는 아파트명, 동호실 및 전화번호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듈부(110)는 RFID 기능과 수신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으며, 스피커(120)에서는 출입구 안내등의 음성 메시지를 안내한다.
도 2는 룸미러 후면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룸미러 후면부에는 LCD 표시창이 구성되어 차량 출입시나 주차시에 확인 정보(아파트명, 동호실, 전화번호)를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LCD 표시창을 통하여 확인 정보가 표시되면 외부에서 경비원이나 다른 사람들이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이 LCD 표시창은 차량이 운전중이거나 차량시동중에는 작동이 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은 도 3에서와 같이, 차량 진단을 위해 대쉬보드 아래에 구성되는 ODBⅡ커넥터(200)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수신부(210)와, 상기 블루투스(Bluetooth)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초 출입 차량 등록 과정에서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비교부(220)를 포함하고 차량 출입 과정에서 정보 비교,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50)와, 차량 전원 이상시에 장치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60)와, 상기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차량 출입시나 주차시에 차량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LCD 출력부(370)와, 차량 출입시에 차량 확인 정보를 무선 전송하기 위한 RF 송수신부(380)와, RF 송수신부(380)의 송신 데이터를 차량 출입시에 출입 게이트에 설치된 차량 출입 통제 서버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RF 안테나(330)와, 차량 출입 통제 서버에 인증 및 등록된 차량 확인 정보를 저장하는 RF 카드(340)와, RF 카드(340)의 차량 확인 정보를 리드하여 제어부(350)에 제공하는 RF 카드부(3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은 차량 진단을 위해 대쉬보드 아래에 구성되는 ODBⅡ커넥터(200)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ODBⅡ로부터 올라오는 차대번호와 아파트 관리실에서 발급한 RF카드(340)를 비교부(220)에서 분석하여 초기 차대값으로 자동인식하고 설정하여 아파트에서 등록한 차량만이 RF카드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 받는 일종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차대번호가 다름)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 기능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ODBⅡ커넥터(200)의 데이터를 이용한 보안 기능에 의해 RF 카드의 분실 등의 사고시나 재등록은 반드시 관리실에서 확인을 거쳐야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차량이 운행시에는 LCD 표시창이 OFF하고 주차시에만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전원부(160)는 차량 주차시에 LCD 표시창에 차량 확인 정보가 표시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의 메인 전원에 이상 발생시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차량 출입 제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차량 주차시의 LCD 표시창 제어를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차량 출입 제어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RF 안테나(330)를 통하여 차량 출입 통제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출입 게이트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출입 게이트를 확인하고 음성으로 출입 게이트에 근접하였음을 안내한다.(S401)
그리고 RF 안테나(330) 및 RF 송수신부(380)를 통하여 출입 게이트의 열림/닫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차단기 상태를 확인한다.(S402)
만약, 차단기가 닫힘 상태이면 RF 안테나(330) 및 RF 송수신부(380)를 통하여 RF 카드(340)에 저장된 차량 확인 정보를 차량 출입 통제 서버로 전송하여 차량 확인 과정을 거쳐 차단기를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한다.(S403)
차단기가 열려 차량 통과가 이루어지면 차량 통과 정보를 차량 출입 통제 서버에 저장한다.(S404)
이와 같은 차량 출입 과정은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된다.
그리고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한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관리인 등에 의해 외부에 주차 가능한 차량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 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차량이 도 4에서와 같은 정당한 과정을 거쳐 주차장에 진입하여 주차를 하면, ODBⅡ커넥터(200) 및 블루투스(Bluetooth)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를 확인하여(S501) 차량 시동 off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502)
차량 시동 off 상태이면, 카드 본체(300)의 LCD 표시창(320)의 전원을 on하여 차량 정보를 표시한다.(S503)
이와 같이 차량 주차중에는 계속하여 LCD 표시창(320)에 차량 정보를 표시하고, 만약 차량의 이동을 위하여 차량 시동 on이 되면(S504), LCD 표시창(320)의 전원을 off한다.(S505)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룸미러에 차량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고, 차량 정보를 갖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칩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차량 출입 통제 시스템의 구축에 소요되는 추가 설치 비용 문제, 설치 또는 부착 장소 문제 등을 카드 타입으로 룸미러에 장착하여 어디에서든지 재활용이 가능하고, LCD를 통해 주민임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을 함께 설치하여 차량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ODBⅡ커넥터 210. 블루투스 수신부
220. 비교부 300. 카드 본체
320. LCD 표시창 330. RF 안테나
340. RF 카드 350. 제어부
360. 전원부 370. LCD 출력부
380. RF 송수신부 390. RF 카드부

Claims (9)

  1.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차량내에 설치되고 전면부에 룸미러가 구성되는 룸미러 본체;
    상기 룸미러 본체에 구성되어 외부의 차량 출입 통제 서버와 차량 확인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여,
    차량 통과가 이루어지면 차량 통과 정보를 차량 출입 통제 서버로 전송하고, 차량의 ODBⅡ커넥터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를 확인하여 차량 시동 off 상태이면, 차량 주차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창의 전원을 on하여 차량 확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차량 출입 통제 서버에 차량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ODBⅡ커넥터를 통하여 확인되는 차대번호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쳐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듈부;
    상기 모듈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차량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는 카드;
    상기 룸미러 본체의 후면부에 구성되어 차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량 확인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 본체에는,
    차량 출입 제어 과정에서 차량 출입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 본체에는,
    표시창을 on시키거나, 차량의 메인 전원 이상시에 상기 모듈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차량 정보를 갖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ODBⅡ커넥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수신부와,
    상기 블루투스(Bluetooth)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초 출입 차량 등록 과정에서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비교부를 포함하고 차량 출입 과정에서 정보 비교,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차량 출입시나 주차시에 차량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LCD 출력부와,
    차량 출입시에 차량 확인 정보를 무선 전송하기 위한 RF 송수신부와,
    카드의 차량 확인 정보를 리드하여 제어부에 제공하는 RF 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7. 차량내에 설치되고 전면부에 룸미러가 구성되는 룸미러 본체에 구성되어 외부의 차량 출입 통제 서버와 차량 확인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는 모듈부를 갖는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있어서,
    차량 출입 통제 서버에서 전송되는 출입 게이트 확인 신호가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모듈부에 수신되면, 출입 게이트 근접 상태를 음성 안내하는 단계;
    상기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모듈부에서 출입 게이트의 열림/닫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차단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모듈부에서 저장된 차량 확인 정보를 차량 출입 통제 서버로 전송하여 차량 확인 과정을 거쳐 등록 차량이면 차단기를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차량 통과가 이루어지면 차량 통과 정보를 차량 출입 통제 서버로 전송하고,차량의 ODBⅡ커넥터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를 확인하여 차량 시동 off 상태이면, 차량 주차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의 모듈부에서 표시창의 전원을 on하여 차량 확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출입 통제 서버에 차량을 등록하는 과정은, ODBⅡ커넥터를 통하여 확인되는 차대번호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쳐 등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차량 통과가 이루어지면,
    상기 차량 확인 정보 표시중에 차량 시동 on이 되면, 표시창의 전원을 off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방법.

  9. 삭제
KR1020100097897A 2010-10-07 2010-10-07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6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897A KR101262906B1 (ko) 2010-10-07 2010-10-07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897A KR101262906B1 (ko) 2010-10-07 2010-10-07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173A KR20120036173A (ko) 2012-04-17
KR101262906B1 true KR101262906B1 (ko) 2013-05-09

Family

ID=4613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897A KR101262906B1 (ko) 2010-10-07 2010-10-07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5370B2 (en) 2015-09-14 2017-11-1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007150U1 (de) * 2015-10-14 2017-0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rückspieg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380B1 (ko) * 2000-10-19 2003-06-25 권태국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자동차의 백미러
KR100803060B1 (ko) * 2006-10-30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강화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380B1 (ko) * 2000-10-19 2003-06-25 권태국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자동차의 백미러
KR100803060B1 (ko) * 2006-10-30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강화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5370B2 (en) 2015-09-14 2017-11-1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173A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0830B2 (en) Upgrade kit for an ignition key and methods
EP2575091B1 (en) Unattended fleet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9858735B2 (en) User proximity detection for activating vehicle convenience functions
US200701266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parked cars
JPWO2019180855A1 (ja) 車両起動制御システム、車載器、車両、サーバ、車両起動方法、車両起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20208830A1 (ja) 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車載器ないし通信モジュール、車両、サーバ、車両遠隔制御方法、車両遠隔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989531A (zh) Wi-fi房屋到交通工具的远程信息处理接口
KR20110139252A (ko) Id-송신 장치의 정보 표시 방법
EP2529983A1 (en) Vehicle security system for vehicle fleets
KR101011800B1 (ko)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2642A (ko) 운전자 인증 시스템
CN106340086A (zh) 一种智能门禁系统及控制方法
KR101262906B1 (ko) 차량 룸미러를 이용한 차량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026266B2 (en) Method for checking the use of the functions of a provided vehicle
KR102040040B1 (ko) 스마트 건물시스템과 차량블랙박스간의 통신을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
JP2007034902A (ja) 車両異常通知装置、車両異常通知システム、車両異常通知方法、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管理方法
KR102006802B1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JP6861568B2 (ja) 車載装置
KR100789099B1 (ko) 장애인 차량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0792999B1 (ko) Rfid를 이용한 택시 안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945130B2 (ja) 駐車場の車両管理システム
KR20080023055A (ko) 차량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2016108768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7475212B2 (ja) 駐車位置情報伝達システム、音響通信スピーカー及び通信端末
KR101672258B1 (ko) 차고 문 자동 개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