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268B1 - 인터포저 소켓 - Google Patents

인터포저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268B1
KR101262268B1 KR1020110135315A KR20110135315A KR101262268B1 KR 101262268 B1 KR101262268 B1 KR 101262268B1 KR 1020110135315 A KR1020110135315 A KR 1020110135315A KR 20110135315 A KR20110135315 A KR 20110135315A KR 101262268 B1 KR101262268 B1 KR 10126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oser
contact
socket
block
b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세트
Priority to KR102011013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4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using dedicated test connectors, test elements or test circuits on the IC under te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양 측의 전기적 접촉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인터포저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블록을 제1 블록부재와 제2 블록부재로 나눔으로써 인터포저를 설치하기가 용이한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인터포저 소켓{INTERPOSER SOCKET}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성이 있는 양 측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터포저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인터포저 소켓은, 예를 들면, 본 출원의 발명자(김혁련)에 의해 선발명되어 출원된 출원번호 10-2011-0022046호(발명의 명칭 : 프로브카드,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서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성이 있는 양 측(예를 들어 선행기술에서는 니들 측과 중계기판 측)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되기 위해 개발되었다. 참고로 선행기술에서는 인터포저 소켓 대신 고무재질의 피씨알 소켓 블록을 사용하고 있는데, 피씨알 소켓 블록의 경우 단가가 높다.
한편, 양 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탄성 압축 및 복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스프링의 압축 및 복원에 의해 양 측 끝단이 진퇴 가능한 포고핀(Pogo Pin)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포고핀은 부품이 많아서 생산성이 떨어지며, 스프링을 구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집적도 높은 많은 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이웃하는 포고핀의 중심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제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프로브카드 등과 같이 매우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단자들에 접촉될 수 있는 인터포저 소켓을 개발하여 출원번호 10-2011-122771호(발명의 명칭 : 인터포저 소켓,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로 앞서 제안한바 있다.
본 발명은 소켓블록에 인터포저를 설치하기가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인터포저 소켓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양 측의 전기적 접촉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인터포저; 및 상기 인터포저가 설치되는 소켓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포저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양 측의 전기적 접촉 단자 중 일 측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한 양 측의 전기적 접촉 단자 중 타 측과 접촉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보다 확장된 폭을 가지는 부분이 있는 확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블록은, 상기 제1 접촉부 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1 블록부재; 상기 제2 접촉부 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2 블록부재; 및 상기 제1 블록부재와 제2 블록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요소; 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블록은 상기 확장부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접촉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삽입구멍보다 넓은 폭으로 확장된 제1 확장 부분; 상기 제2 접촉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삽입구멍보다 넓은 폭으로 확장된 제2 확장 부분; 및 상기 제1 확장 부분과 상기 제2 확장 부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상호 탄성 지지되게 하여 진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분;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및 확장부는 일체로 성형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포저의 중앙부위에 소켓블록의 삽입구멍의 폭보다 확장된 부분을 가지는 확장부를 구비하고, 소켓블록을 제1 블록과 제2 블록으로 나누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켓블록에 인터포저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포저 소켓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인터포저 소켓을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포저 소켓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인터포저 소켓을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에 따른 인터포저 소켓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포저 소켓(100)은 단면상으로 7개의 인터포저(110)와 소켓블록(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인터포저(110)는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소켓블록(120)에 행렬형태로 설치되어진다.
7개의 인터포저(110) 각각은, 도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각각 제1 접촉부(111a), 제2 접촉부(111b) 및 확장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부들이 모두 일체로 성형된다.
제1 접촉부(111a)는 일 측 대상체(A)의 단자(T1)에 접촉되고, 제2 접촉부(111b)는 상기 제1 접촉부(111a)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타 측 대상체(B)의 단자(T2)에 접촉된다.
확장부(112)는, 제1 접촉부(111a)와 제2 접촉부(111b) 사이에 구비되며, 제1 확장 부분(112a), 제2 확장 부분(112b), 탄성 부분(113c)을 가진다.
제1 확장 부분(112a)은, 제1 접촉부(111a)에 인접하고 제1 접촉부(111a)와 탄성 부분(112c)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접촉부(111a)보다 넓은 폭으로 확장되어 있다.
제2 확장 부분(112b)은, 제2 접촉부(111b)에 인접하고 탄성 부분(112c)과 제2 접촉부(111b) 사이에 위치되며, 제2 접촉부분(111b)보다 넓은 폭으로 확장되어 있다.
위와 같은 제1 확장 부분(112a)과 제2 확장 부분(112b)은 인터포저(110)가 소켓블록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성 부분(112c)은, 제1 확장 부분(112a)과 제2 확장 부분(112b) 사이에 구비되고, 제1 접촉부(111a)와 제2 접촉부(111b)가 상호 탄성 지지되게 하여 진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소켓블록(120)은, 중앙부위에 인터포저(110)의 확장부(112)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122)을 가지며, 제1 블록부재(121A), 제2 블록부재(121B) 및 결합요소(123)로 구성된다.
제1 블록부재(121A)는, 인터포저(110)의 제1 접촉부(111a) 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구멍(121a)이 형성되어 있고, 공간(122)의 일 측 일부를 이루기 위한 일 측 공간(122a, 도2 참조)을 가진다.
제2 블록부재(121B)는, 인터포저(110)의 제2 접촉부(111a) 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구멍(121b)이 형성되어 있고, 공간(122)의 타 측 일부를 이루기 위한 타 측 공간(122b, 도2 참조)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블록부재(121A)와 제2 블록부재(121B)가 결합요소(123)에 의해 결합되면, 제1 블록부재(121A)의 일 측 공간(122a)과 제2 블록부재(121A)의 타 측 공간(122b)이 합해져 확장부(112)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122)을 이루게 된다.
결합요소(123)는 제1 블록부재(121A)와 제2 블록부재(121B)를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요소(123)로서 볼트와 너트가 사용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터포저 소켓(100)에 따르면, 제2 블록부재(121B)의 제2 삽입구멍(121b)에 인터포저(110)의 제2 접촉부(111b)를 삽입한 후 제1 블록부재(121A)를 제2 블록부재(121B)에 덮는 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인터포저 소켓(100)의 생산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터포저(110)의 제1 확장 부분(112a)이 제1 삽입구멍(121a)의 폭보다 확장된 폭을 가지고 있고, 인터포저(110)의 제2 확장 부분(112b)이 제2 삽입구멍(121b)의 폭보다 확장된 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터포저(110)가 일 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소켓블록(120)에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포저 소켓(300)은 단면상으로 7개의 인터포저(310)와 소켓블록(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7개의 인터포저 각각은, 도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각각 제1 접촉부(311a), 제2 접촉부(311b) 및 확장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확장부(312)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확장 부분(312a), 제2 확장 부분(312b) 및 탄성 부분(312c)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1 접촉부(311a), 제2 접촉부(311b) 및 확장부(312)와 확장부(312)를 이루는 제1 확장부분(312a), 제2 확장 부분(312b) 및 탄성 부분(312c)은 모두 제1 실시예의 인터포저(110)의 각 부나 부분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소켓블록(320)은, 중앙부위에 인터포저(310)의 확장부(312)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322)을 가지며, 제1 블록부재(321A), 제2 블록부재(321B) 및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결합요소(323)로 구성된다.
제1 블록부재(321A)는, 인터포저(310)의 제1 접촉부(311a) 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구멍(32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블록부재(321B)는 인터포저(310)의 제2 접촉부(311a) 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구멍(32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블록부재(321B)는 소켓블록(320)에 구비되는 공간(322, 도4 참조)을 더 가진다.
즉,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블록부재(321A)는 제1 확장 부분(312a)의 폭보다 좁은 폭의 제1 삽입구멍(321a)만 가지고 있어서 인터포저(310)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300 : 인터포저 소켓
110, 310 : 인터포저
111a, 311a : 제1 접촉부 111b, 311b : 제2 접촉 부분
112, 312 : 확장부
112a, 312a : 제1 확장 부분
112b, 312b : 제2 확장 부분
112c, 312c : 탄성 부분
120, 320 : 소켓블록
121A, 321A : 제1 블록부재
121B, 321B : 제2 블록부재
121a, 321a : 제1 삽입구멍
121b, 321b : 제2 삽입구멍
122, 322 : 공간

Claims (4)

  1.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양 측의 전기적 접촉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인터포저; 및
    상기 인터포저가 설치되는 소켓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포저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양 측의 전기적 접촉 단자 중 일 측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한 양 측의 전기적 접촉 단자 중 타 측과 접촉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보다 확장된 폭을 가지는 부분이 있는 확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블록은,
    상기 제1 접촉부 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1 블록부재;
    상기 제2 접촉부 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2 블록부재; 및
    상기 제1 블록부재와 제2 블록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요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포저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블록은 상기 확장부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포저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접촉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삽입구멍보다 넓은 폭으로 확장된 제1 확장 부분;
    상기 제2 접촉부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삽입구멍보다 넓은 폭으로 확장된 제2 확장 부분; 및
    상기 제1 확장 부분과 상기 제2 확장 부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상호 탄성 지지되게 하여 진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포저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 제2 접촉부 및 확장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포저 소켓.



KR1020110135315A 2011-12-15 2011-12-15 인터포저 소켓 KR10126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15A KR101262268B1 (ko) 2011-12-15 2011-12-15 인터포저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15A KR101262268B1 (ko) 2011-12-15 2011-12-15 인터포저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268B1 true KR101262268B1 (ko) 2013-05-08

Family

ID=4866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315A KR101262268B1 (ko) 2011-12-15 2011-12-15 인터포저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19B1 (ko) * 2015-06-26 2017-05-23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Rf 인터포저 유닛 및 이의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19B1 (ko) * 2015-06-26 2017-05-23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Rf 인터포저 유닛 및 이의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6693B2 (en) Probe member for pogo pin
US9461425B2 (en) Connector with easily positionable parts
US7182608B2 (en) Chessboard electrical connector
WO2019073933A1 (ja) コネクタ
TW201607155A (zh) 卡連接器
CN102509982A (zh) 具有连接器扩展模块的连接器组件
US9379489B2 (en) Contact, connector, and connecting device
UA86965C2 (ru) Разъем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печатных плат 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TWI709749B (zh) 檢查具、檢查單元以及檢查裝置
KR10243092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101682803A (zh) 用于电信和数据系统的端子板和接触件元件
US9711877B2 (en) Plug and connector module
JP7314633B2 (ja) プローブピン、検査治具および検査ユニット
US20130323969A1 (en) Socket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1262268B1 (ko) 인터포저 소켓
CN103022789A (zh) 耳机插座连接器
US9184528B2 (en) Electronic component socket
KR20140127446A (ko) 번-인 소켓 조립체
TW201405055A (zh) 發光二極體燈條組
TW200735485A (en) Electrical socket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1306516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2565787B1 (ko) 전원 연결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유닛
KR20130064920A (ko) 인터포저 소켓용 인터포저 및 인터포저 소켓
KR102224744B1 (ko) 다중 연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