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018B1 -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 - Google Patents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018B1
KR101262018B1 KR1020110025049A KR20110025049A KR101262018B1 KR 101262018 B1 KR101262018 B1 KR 101262018B1 KR 1020110025049 A KR1020110025049 A KR 1020110025049A KR 20110025049 A KR20110025049 A KR 20110025049A KR 101262018 B1 KR101262018 B1 KR 10126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graph
relationship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385A (ko
Inventor
임윤경
우종범
김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2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1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장치와 출력장치 사이의 상호 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하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장치와 상기 출력장치의 상호 관계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설정하는 입출력 관계 설정부; 상기 입출력관계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상기 입력장치와 상기 출력장치의 상호 관계 그래프를 저장하는 입출력 관계 테이블 저장부; 및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값이 결정되면 상기 상호 관계 그래프에 의해 상기 입력값을 신호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APPARAUTS FOR SETTING RELATION GRAPH OF INPUT AND OUTPUT}
본 발명은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 사이의 상호 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컴퓨터상호작용 시스템 디자인 분야는 세계적으로 그 중요성과 가치를 더욱 더 심화시켜가고 있다. 그것은 현재 “전쟁”이라고도 불리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을 보아도 매우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요소는 너무도 다양하겠지만 사용자와 기기 사이의 상호작용을 어떤 형식으로 돕는가, 즉 상호작용 디자인을 어떻게 해 내는가가 그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있어서 매우 커다란 요소임을 특별히 애플이라는 회사를 통해 실감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터치 인터페이스를 스마트폰의 주류로 만듦으로써 이제는 터치 인터페이스가 아닌 디스플레이를 가진 휴대폰을 사용할 때조차 실수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조작하려는 사례들도 관찰되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터치 인터페이스 기술로써 가능하게 된 현실이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애플의 아이폰(iPhone) 이전에도 이미 터치 인터페이스의 상용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에 의해 이러한 현실이 가능하게 된 것은 애플은 인터페이스를 기능의 조작도구로만 보지 않고 사람과 기기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는 하나의 중요하고 새로운 디자인 요소로 보았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체계와 그것을 조작하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머물지 않고 터치 인터페이스만의 새로운 가능성과 조작 방식을 새롭게 디자인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미 애플의 아이팟(iPod) 때부터 볼 수 있었는데, 버튼만으로 조작하던 데이터를 터치 휠로 조작하게 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했었다.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인터페이스 패러다임들을 볼 때, 기존의 체계에서 채택한 방법들만을 이용하여 그런 새로운 인터페이스 타입들을 디자인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새로운 패러다임들이 대두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을 디자인해야하는 경우에는 눈에 보이는 것들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실에서는 그것들을 구체적으로 다루는 것이 매우 힘든 실정이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눈에 보이거나 구체적으로 느껴지는 물성들을 중심으로 인터랙션(GUI, TUI/PUI, multimodal interaction)을 고안했으나,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분야에서의 인터랙션이라는 것은 입출력간의 소통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적으로 눈에 보이는 개념은 아니다.
본 발명은 눈에 보이지 않는 인터랙션이라는 대상을 눈에 보이는 물리적 물질들을 컨트롤하듯이 컨트롤할 수 있는 시각화 툴을 만듦으로써 인터랙션 디자이너들이나 개발자들이 새롭고 구체적인 인터랙션 아이디어들을 내고 완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입력장치와 출력장치 사이의 상호 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 및 수정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는, 원하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장치와 상기 출력장치의 상호 관계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설정하는 입출력 관계 설정부; 상기 입출력관계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상기 입력장치와 상기 출력장치의 상호 관계 그래프를 저장하는 입출력 관계 테이블 저장부; 및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값이 결정되면 상기 상호 관계 그래프에 의해 상기 입력값을 신호변환하여 상기 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출력 관계 설정부는 터치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의해 상기 상호 관계 그래프를 프리핸드로 변형시키고, 상기 상호 관계 그래프를 라인 또는 곡선으로 설정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템프릿 그래프를 제공하는 프리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출력장치 사이의 상호 관계를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용이하게 그래프 형태로 표현 및 수정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발단계에서부터 상호작용을 검토하고 개발할 수 있어 더욱 양질의 상호작용개발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을 위한 로딩 화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후 상호작용 확인 화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는 입출력 관계 설정부(1)와 입출력 관계 테이블 저장부(2)와 입출력 제어부(3)를 포함한다.
입출력 관계 설정부(1)는 원하는 입력장치(4)와 출력장치(5)를 설정하고, 입력장치(4)와 출력장치(5)의 상호 관계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설정한다.
이러한 입출력 관계 설정부(1)는 입력장치(3)와 출력장치(4) 사이의 일차원적인 비례관계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관계를 설정하고 개발자의 의도에 맞는 관계를 설정한다.
여기서, 입출력 관계 설정부(1)는 입력장치(3)와 출력장치(4)의 상호 관계가 시각화될 수 있도록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을 탐색할 수 있고, 더욱 효율적인 시스템 혹은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출력 관계 설정부(1)는 터치 인터페이스(6)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의해 상호 관계 그래프를 프리핸드로 변형시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관계 설정부(1)는 상호 관계 그래프를 라인 또는 곡선으로 설정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템프릿 그래프를 제공하는 프리셋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4)를 아이폰의 가속도센서, 출력장치(5)를 시스템상의 공의 움직임으로 설정하고 상호 관계 그래프를 프리핸드로 설정하면 기울임에 따라서 공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러한 가속도센서와 공의 움직임의 상호 관계를 입출력 관계 설정부(1)는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표현한다.
입출력 관계 테이블 저장부(2)는 입출력관계 설정부(1)로부터 설정된 입력장치(4)와 출력장치(5) 사이의 상호 관계 그래프를 저장하고, 입출력 제어부(3)의 요청시 저장된 입력장치(4)와 출력장치(5) 사이의 상호 관계 그래프를 제공한다.
입출력 제어부(3)는 입력장치(4)로부터 입력값이 결정되면 입출력 관계 테이블 저장부(2)에 설정되어 저장된 상호 관계 그래프에 의해 입력값을 신호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을 위한 로딩 화면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화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후 상호작용 확인 화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입출력 관계 설정부(1)는 터치 인터페이스(6)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의해 원하는 입력장치(4)와 출력장치(5)를 설정한 후 상호 관계 그래프를 프리핸드로 변형시켜 설정한다.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을 위한 로딩 화면은 도 3과 같고,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화면은 도 4 내지 도 7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화면의 아래쪽에 있는 프리셋을 이용하면 보다 쉽게 그래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 그려진 그래프에서 터치스크린에 선을 그리듯 터치하면 그래프가 도 7과 같이 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상호 관계 그래프 설정이 완료되면 도 7의 오른쪽 위쪽에 위치한 프리뷰(preview) 버튼을 통하여 프리뷰 화면으로 넘어가서 볼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를 아이폰의 가속도센서, 출력장치를 시스템상의 공의 움직임으로 설정하여 도 8에서 보여지는 화면은 아이폰을 기울임에 따라서 공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러한 가속도센서와 공의 움직임의 상호 관계를 도5 내지 도 7을 통하여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인터랙티브 제품이 기본적으로 갖는 요소들은 입력과 출력이다. 이들간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시각화함으로써 그것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그 관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는 입출력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설정한다. 출력으로 보내어지는 입력 값에 대응하는 출력 값은 x,y 축으로 대응하여 그래프화 한다.
몇 가지 가장 기본이 되는 템플릿 그래프를 제공할 뿐 아니라 그 그래프를 자유롭게 프리핸드로 변형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호 관계 그래프는 입력신호를 받아서 그것을 그래프로 시뮬레이션 하는 것과는 달리 상호 관계 그래프를 프리핸드로 그려진 것에 따라서 출력 값으로 전송되는 입력 값의 수치가 결정되게 된다.
입출력장치의 상호 관계 그래프는 입력신호를 가시화하는 것이 아닌 입력장치와 출력장치 사이에서 신호전환함수 역할을 하며, 그래프를 통해서 쉽게 함수를 표현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상호 관계 그래프대로 인터랙션이 반응되는 하나의 예로, 아이폰과 같은 가속도 센서가 들어있는 제품에 개발하여 기울기를 입력 값으로, 공의 움직이는 속도를 출력 값으로 하여 기울기의 변화에 따라 속도가 변하는 인터랙션 예를 개발함으로써 그래프로 시각화된 인터랙션 형태를 경험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적용 예로 볼 수 있고, 상호 관계 그래프의 적용은 어떤 인터랙션 형태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로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이 제작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적용가능 예시로 사용된다. 적용가능 분야로는 컴퓨터 SW, 안드로이드용 SW 등이 있다.
새로운 형식의 인터페이스에서의 활용가능성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이폰과 같이 터치, 제스쳐, 기울기 센싱 등이 가능한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툴이 간단하게 휴대될 수 있음으로써 사용 공간의 제약이 없고, 무선으로 다른 가능한 입출력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는 가능성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입출력 관계 설정부 2 : 입출력 관계 테이블 저장부
3 : 입출력 제어부 4 : 입력장치
5 : 출력장치 6 : 터치인터페이스부

Claims (3)

  1. 원하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를 설정하고, 상기 입력장치와 상기 출력장치의 상호 관계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설정하는 입출력 관계 설정부;
    상기 입출력관계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상기 입력장치와 상기 출력장치의 상호 관계 그래프를 저장하는 입출력 관계 테이블 저장부; 및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값이 결정되면 상기 상호 관계에 의해 상기 입력값을 신호변환하여 상기 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출력 관계 설정부는 터치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의해 상기 상호 관계 그래프를 프리핸드로 변형시키고, 상기 상호 관계 그래프를 라인 또는 곡선으로 설정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템프릿 그래프를 제공하는 프리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25049A 2011-03-21 2011-03-21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 KR10126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49A KR101262018B1 (ko) 2011-03-21 2011-03-21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49A KR101262018B1 (ko) 2011-03-21 2011-03-21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85A KR20120107385A (ko) 2012-10-02
KR101262018B1 true KR101262018B1 (ko) 2013-05-08

Family

ID=4727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49A KR101262018B1 (ko) 2011-03-21 2011-03-21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762A (ja) 2002-09-30 2004-04-22 Casio Comput Co Ltd 図形表示制御装置、データ形式変換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6762A (ja) 2002-09-30 2004-04-22 Casio Comput Co Ltd 図形表示制御装置、データ形式変換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85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295B1 (ko) 파라미터 관성 및 apis
CN103729136B (zh) 用于视觉反馈删除的方法和设备
JP6659644B2 (ja) 応用素子の代替的グラフィック表示の事前の生成による入力に対する低レイテンシの視覚的応答およびグラフィック処理ユニットの入力処理
KR20160046150A (ko) 도형 컨텐트를 생성 및 해석하는 방법 및 장치
US9933922B2 (en) Child container control of parent container of a user interface
US105721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totyping too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392936B1 (ko)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WO2014079289A1 (zh) 一种触摸定位方法、装置及终端
KR102373451B1 (ko) 동적으로 구성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요소들
KR2016013948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081500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装置和系统
JP2019087284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ための対話方法
JP2013534345A (ja) ディスプレイ上のオブジェクトの強調
EP4006699A1 (en) Haptic effect on a touch input surface
KR20150080741A (ko) 연속 값 입력을 위한 제스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1403175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screen by Using Virtual Trackball
KR101262018B1 (ko) 입출력 관계 그래프 설정 장치
CN10388569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885556A (zh) 控制数字输入
KR20150073100A (ko) 모델링된 오브젝트들을 복사 및 조작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바이스
KR20140105961A (ko) 2차원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3차원 에어 마우스
JP6076864B2 (ja) 操作性評価尺度に基づくgui変換プログラム、装置及びgui変換方法
CN104808849A (zh) 一种在电视上模拟触摸事件的方法、装置、电视和系统
US115372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ands in a computer-graphics software environment
KR20150009377A (ko) 터미널 환경의 서버 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 동적 표시되는 마우스 ui 지원을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 장치 및 마우스 ui 지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