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851B1 - 근력강화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근력강화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851B1
KR101261851B1 KR1020110000881A KR20110000881A KR101261851B1 KR 101261851 B1 KR101261851 B1 KR 101261851B1 KR 1020110000881 A KR1020110000881 A KR 1020110000881A KR 20110000881 A KR20110000881 A KR 20110000881A KR 101261851 B1 KR101261851 B1 KR 10126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ngth
exercise
movement
sens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606A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11000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8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근력의 약화로 인한 통증해소와 근력을 강화하기위하여 신체의 일부분 또는 특정 부위를 반복적으로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반복적으로 운동한 횟수를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체크하고 표시하면서 반복되는 운동의 지루함을 극복하고 운동의욕을 고취시키는 멘트를 장치내부에 내장하여 여러 단계로 설정된 운동량과 멘트에 따라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여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표에 도달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직육면체 또는 여러 형태의 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1)에 근력 강화를 위해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신체의 한 부분을 센서(2) 또는 스위치(22)로 감지하여 반복 운동한 횟수를 표시창(3)을 통하여 숫자 또는 여러 형태의 문양들로 나타낼 수 있으며 운동하는 사람의 체력에 맞추어 목표를 설정 하기위한 버튼(5)과 반복적인 운동의 지루함을 극복하기위한 멘트를 설정하는 버튼(5)등과 안내멘트를 위한 스피커(4)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부위 및 조건에 따라 센서(2)로 체크가 잘되는 위치의 벽에 고정을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 장치를 부착할 수 있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기둥(11)과 지면 또는 바닥면에 면 접촉되도록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판(14)을 고정시키는 형태로 필요에 따라 이동과 접어서 보관하기 편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력에 맞추어 운동의 강도와 멘트를 버튼(5)으로 설정한 후에 안내멘트에 따라 동작을 계속함으로서 필요한 부위의 근력을 키 우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근력강화운동장치{Muscle strength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사람의 특정부위의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근력강화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복적인 근력강화 운동은 끈기 있게 지속적으로 하기 어려운 문제를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카운터로 표시하고 안내멘트를 내장하는 구조로 간단한 설치와 사용이 간편한 근력강화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는 철재로 만들어져서 크고 무겁고 견고한 형태로 사람이 설치된 기계에 앉거나 누워서 신체의 특정부위를 반복적으로 움직이며 운동의 강도에 따라 부하를 조절하면서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일반적인 운동 기구장치이다.
따라서 기구나 장치의 이동이 어렵고 또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반복적인 운동을 계속하여 근력을 키우기 까지는 많은 인내심이 필요하나 보통사람은 반복적인 운동이 지루하여 운동을 지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특정부위의 근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운동을 하면서 흥미를 끌 수 있고 운동에 만족도와 성취감을 줄 수 있는 장치나 기구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특정 부위의 근력을 키우기 위해 장소와 시간의 제한 없이 재미있게 운동하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벽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케이스 형태의 본체와,
전면부의 전방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센서에서 감지된 운동의 횟수를 숫자로 표시하기위한 표시창과 음성멘트를 전달하기위한 스피커와 운동의 조건과 음성멘트의 선택을 위한 조절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의 본체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의 상부에 고정하고 기둥의 하부는 베이스판에 직각으로 고정시켜 바닥이 편평한 곳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의 본체의 상부에 터치판을 탄성을 가진 부재와 연결하여 아래에서 위로 터치할 때마다 터치판의 하부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를 누룸으로서 운동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근력강화 운동장치로 반복적인 근력강화 운동을 끈기 있게 지속적으로 하기위하여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카운터로 표시하고 안내멘트를 내장하는 구조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며 단순 구조로 용이하게 근력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각 실시 예들에 공통적으로 채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근력강화 운동장치의 제 1실시 예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벽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8)가 구비된 케이스(1)에 전방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2)로 감지된 운동의 횟수를 숫자로 표시하기위한 표시창(3)과 음성멘트를 전달하기위한 스피커(4)와 운동의 조건과 음성멘트의 선택을 위한 버튼(5)으로 구성되며 내부의 건전지로 작동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면, 허리에 통증으로 허리에 근력을 키워야 할 환자가 누워 발을 교대로 올리는 근력강화 운동을 할 때에 발을 높이 올렸을 때에 센서로 감지하기 좋은 위치의 전면 또는 측면의 벽에 케이스(1)를 설치하고 케이스(1) 외부의 버튼(5)을 누르면 내장된 건전지의 전원이 인가되어 준비상태가 되면 다음버튼을 눌러 운동부위를 허리설정하고 운동의 강도 그리고 안내멘트를 설정 하고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발을 교대로 올리면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고 표시창에 카운터로 나타나며 목표 이르면 축하멘트와 함께 "좌측으로 자세를 바꾸어주세요" 좌측으로 누운 다음 우측 다리를 측면으로 올려서 센서가 감지되는 높이까지 올리면 카운트가 올라가고 반복하여 목표 이르면 축하멘트와 함께 "우측으로 자세를 바꾸어주세요" 우측으로 누운 다음 좌측 다리를 측면으로 올려서 센서가 감지되는 높이까지 올리면 카운트가 올라가고 반복하여 목표 이르면 축하멘트와 함께 "엎드려주세요" 엎드려서 다리를 반듯이 편 채로 교대로 한쪽씩 올려서 센서가 감지되는 높이까지 올리면 카운트가 올라가고 반복하여 목표 이르면 축하멘트와 함께 "반듯이 누워주세요" 이와 같은 동작을 여러번 반복하면 지루함을 극복하면서 허리의 근력을 키워 가게 된다.
본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센서로 비접촉센서로는 적외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와 근접 스위치등이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림 도(3)에서와 같이 접촉식으로 리미트 스위치(22)가 사용될 수 도 있습니다.
본 장치에서 운동의 횟수를 표시하기위한 표시창(3)의 형태도 숫자와 여러 형태의 문양들의 증가나 감소되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LED램프등의 점등 또는 소등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시각적인 효과로 반복적인 운동의 지루함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장치에서 안내멘트를 운동부위와 운동량과 연령대에 따라 설정하도록 하여 반복적인 운동의 지루함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장치를 도2에서와 같이 본체인 케이스(1)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으로 세워진 상부기둥(11)의 일측에 고정하고, 상기 상부기둥(11)의 일측을 하부기둥(12)의 상부 내측에 내삽된 상태에서 볼트(13)로 고정하고, 상기 하부기둥(12)의 하부는 베이스판(14)에 직각으로 고정시켜 바닥이 편평한 곳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기둥(11)의 상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판(21) 및 리미트 스위치(22)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끝이나 운동부위로 터치판(21)을 터치하여 카운트를 올리는 형태로 형성되며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터치하는 느낌이 발생되므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터치판(21)의 일측에는 스프링부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터치판(21)의 타측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에 의해 터치판(21)의 타단이 위로 올라갔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판(21)의 타측 저면에는 리미트 스위치(22)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터치판(21)이 위로 올라갔다 내려오면서 리미트 스위치(22)를 누르게 되므로 운동 횟수를 카운터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에 내장된 스피커(4)에서 운동부위와 운동의 강도를 선택하고 카운터가 올라가면서 단계별로 입력하여놓은 멘트를 소리로 알려줌으로서 단순하게 반복되는 근력운동의 지루함을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계속하여 근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력강화운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3의 부품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센서
3 : 카운터 표시창 4 : 스피커
5 : 버튼 8 : 고정구
11 : 상부기둥 12 : 하부기둥
13 : 볼트 14 : 베이스판
21 : 터치판 22 : 리미트스위치

Claims (3)

  1. 케이스(1)와,
    전방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2)와,
    감지된 운동이 횟수를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3)과,
    음성멘트를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4)와,
    운동의 조건과 음성멘트의 선택을 위한 조절버튼(5)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8)를 이용하여 벽에 직접 설치하거나,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둥의 상부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22)와 터치판(21)을 더 구비함으로서, 상기 센서(2) 및 리미트 스위치(2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운동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운동의 횟수를 표시하기위한 표시창(3)은 숫자와 여러 형태의 문양들의 증가나 감소되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LED램프등의 점등 또는 소등으로 나타내어 시각적인 효과를 강조한 근력강화운동장치 .
KR1020110000881A 2011-01-05 2011-01-05 근력강화운동장치 KR101261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881A KR101261851B1 (ko) 2011-01-05 2011-01-05 근력강화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881A KR101261851B1 (ko) 2011-01-05 2011-01-05 근력강화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606A KR20120079606A (ko) 2012-07-13
KR101261851B1 true KR101261851B1 (ko) 2013-05-07

Family

ID=4671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881A KR101261851B1 (ko) 2011-01-05 2011-01-05 근력강화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7582A (zh) * 2019-07-19 2019-10-15 浙江恒巨电子有限公司 一种利用磁旋钮控制的健身器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773Y1 (ko) 2001-05-24 2001-10-15 이병돈 카운트 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773Y1 (ko) 2001-05-24 2001-10-15 이병돈 카운트 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606A (ko) 201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0381B2 (ja) 歩行訓練装置、歩行訓練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58475B1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US20170304675A1 (en) Adbominal and core exerciser device
US7874958B1 (en) Leg exercising apparatus
CN105796328A (zh) 一种多功能、多穴位探测按摩治疗仪
KR100657716B1 (ko)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하중제거장치
KR102044774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구비한 스텝퍼
US20080194389A1 (en) Physical Training and Activity Center for Children
KR100994815B1 (ko) 웨이트 운동기구
KR101261851B1 (ko) 근력강화운동장치
CN208678266U (zh) 一种静态平衡训练装置
KR20120121330A (ko) 윗몸굽히기 운동기구를 구비한 벤치
KR101438054B1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KR102168762B1 (ko) 실내 운동기구
KR101564296B1 (ko) 상하왕복 운동이 가능한 트위스트 운동기구
GB2502083A (en)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KR200334044Y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WO2013160859A2 (en) An abdominal muscles training device
JP6777943B2 (ja) 歩行訓練装置
KR101384966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겸한 전신운동기구
EP2630996A1 (en) Balancing exerciser combination
CN201906174U (zh) 健身锤
JP6270115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JP3185542U (ja) エアロバイクマシンの仰臥台座
KR200414290Y1 (ko) 재활치료 및 체력단련을 위한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