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718B1 -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718B1
KR101261718B1 KR1020110006365A KR20110006365A KR101261718B1 KR 101261718 B1 KR101261718 B1 KR 101261718B1 KR 1020110006365 A KR1020110006365 A KR 1020110006365A KR 20110006365 A KR20110006365 A KR 20110006365A KR 101261718 B1 KR101261718 B1 KR 10126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ulley
noise
noise frequency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997A (ko
Inventor
조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0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718B1/ko
Priority to US13/022,196 priority patent/US8766507B2/en
Priority to DE102011010631A priority patent/DE102011010631A1/de
Priority to CN2011100356351A priority patent/CN102148547A/zh
Publication of KR20120084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55/171Toothed belt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8Power assistance, e.g. servo-motors
    • B60Y2400/4187Servo-motors, e.g. electric or fluidic with feedback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진 현상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음 및 진동을 줄여주고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와 이를 포함하는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MOTOR PULLEY AND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진 현상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음 및 진동을 줄여주고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와 이를 포함하는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향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출력만을 고려하여 모터 풀리의 풀리 잇수를 선정하기 때문에, 모터 풀리의 이빨과 벨트의 이빨이 물리면서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 등과 정수배가 되어 공진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문제점을 가진다. 이로 인해, 소음 및 진동이 커지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진 현상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음 및 진동을 줄여주고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풀리 잇수에 대한 선정 방식과, 이러한 선정 방식에 따라 선정된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와 이를 포함하는 조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터 극 및 모터 슬롯을 포함하는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 풀리에 있어서, 상기 모터 극의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의 모터 슬롯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와, 상기 모터 풀리와 벨트가 물릴 때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정수배가 되어 발생하는 소음 공진 주파수를 미리 정의된 임계 주파수보다 높은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풀리 잇수를 갖되, 상기 풀리 잇수는 상기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와 서로소(Relative Pri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풀리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 풀리에 있어서, 상기 모터 풀리는, 상기 모터의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와, 상기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와 모두 서로소(Relative Prime)인 풀리 잇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풀리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 풀리에 있어서, 상기 모터 풀리는 소수(Prime Number)인 풀리 잇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풀리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터와 모터 풀리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풀리는, 상기 모터의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와, 상기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와 모두 서로소(Relative Prime)인 풀리 잇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진 현상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음 및 진동을 줄여주고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와 이를 포함하는 조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모터 장치에 대한 부품 구성도이다.
도 2는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모터 소음 주파수 및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 각각에 대한 관계 인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소음 공진 주파수를 높은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결정된 2개의 예시적인 모터 풀리의 풀리 잇수와 그때의 소음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조향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터 장치(100)에 대한 부품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모터 풀리(Motor Pulley, 101), 회전자 코어 및 마그넷(Rotor Core and Magnet, 102), 회전자 샤프트(Rotor Shaft, 103), 고정자 코어(Rotor Core, 104), 모터 파워 터미널(Motor Power Terminal, 105), 모터 풀리(101) 측 베어링(Bearing, 106),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측 베어링(107), 센싱 마그넷 어셈블리(Sensing Magnet Assembly, 108), 브라켓(Bracket, 109), O-링(O-Ring, 110) 및 하우징(Housing, 111) 등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터 장치(100)에서, 모터 풀리(101)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을 합하여 '모터'라고 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터 장치(100)의 이러한 구성은, 일 예일 뿐, 모터 장치(100)의 기능, 모터 장치(100)가 장착된 조향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모터 풀리(101)는, 6개의 모터 극수 및 9개의 모터 슬롯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Rotor)일 수 있는 모터 극(210)과, 고정자(Stator)일 수 있는 모터 슬롯(220)을 포함하는 모터(Motor)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은 물려진 벨트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모터 풀리(101)의 이빨과 벨트의 이빨이 물리면서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 등과 일치하여 공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진 현상은, 시스템에서의 소음 및 진동이 커지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러한 공진 현상의 발생 가능성을 줄여 시스템에서의 소음 및 진동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즉, 모터 풀리(101)의 산의 개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 선정 방법은, 모터 극(210)의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220)의 모터 슬롯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와, 모터 풀리(101)의 이빨과 벨트의 이빨이 물릴 때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정수배가 되어 발생하는 공진 현상에 의한 소음 공진 주파수를 미리 정의된 임계 주파수(예: 4000Hz)보다 높은 영역으로 이동시켜서, 공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를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된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는,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와 서로소(Relative Prime)이다. 여기서, "서로소(Relative Prime)"는, 1 이외에 공약수를 갖지 않는 두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7과 13은 서로소이다.
예를 들어, 모터 극수는 6 또는 8이고, 모터 슬롯수는 9 또는 12일 수 있는데, 만약, 모터 극수가 6이고 모터 슬롯수가 9인 경우, 풀리 잇수는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인 6, 9 및 18과 모두 서로소이어야 한다. 또한, 모터 극수가 8이고 모터 슬롯수가 12인 경우, 풀리 잇수는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인 8, 12 및 24와 모두 서로소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는 풀리 잇수는, 일 예로, 31, 37, 41, 43,47, 53 및 59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에서 언급한 모터 소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관계 인자에는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가 있으며,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도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 인자일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관계 인자에는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가 있다.
즉,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는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와,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 간의 최소 공배수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터 소음 주파수는, 모터 극수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와, 모터 슬롯수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와,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의 최소 공배수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를 참조하면, 모터 극수가 6이고, 모터 슬롯수가 9인 경우,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는 6차, 9차 및 18차(18은 6과 9의 최소공배수)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터 극수가 6이고 모터 슬롯수가 9인 경우의 모터 소음 주파수는 6차 모터 소음 주파수(6개의 모터 극수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와, 9차 모터 소음 주파수(9개의 모터 슬롯수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와, 18차 모터 소음 주파수(6과 9의 최소 공배수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 따르면,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는,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인 6, 9 및 18과 모두 서로소가 되고, 그 예로서,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는 31, 37, 41, 43,47, 53 및 59 등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도 4는 소음 공진 주파수를 높은 영역(예: 4000Hz 이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즉, 공진 현상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와 서로소가 되게 결정된 2개의 예시적인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41, 43)와, 그때의 소음 공진 주파수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를 모터 커뮤테이션(Motor Commutation)의 리플(소음)의 차수를 의미하기도 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6차 모터 소음 주파수(99Hz)와, 41개의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674Hz)에 대하여 소음 공진 주파수를 계산하면 4047Hz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를 41개로 선정함으로써, 6차 모터 소음 주파수(99Hz)와, 41개의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674Hz)에 대하여 소음 공진 주파수가 4047Hz가 되는 것을 도 4의 (a)와,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11005199695-pat00001
Figure 112011005199695-pat00002
모터 회전 주파수 계산식인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모터 회전 주파수를 계산하면, 모터속도 987[rpm]에서 60[sec/min]을 나누어 16.45[Hz]의 모터 회전 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모터 회전 주파수와 소음 공진 주파수 계산식인 수학식 2를 이용하여 6차 모터 소음 주파수에서의 소음 공진 주파수를 계산하면,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인 6과 풀리 잇수인 41의 최소 공배수인 246과, 앞서 계산된 모터 회전 주파수인 16.45[Hz]를 곱하면 대략 4047[Hz]의 소음 공진 주파수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인 6과 플리 잇수인 41이 서로소가 되기 때문에,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와 풀리 잇수의 최소 공배수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소음 공진 주파수가 높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진 현상의 영향이 줄어들게 된다.
전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9차 모터 소음 주파수와 41개의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의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에 대한 소음 공진 주파수와, 18차 모터 소음 주파수와 41개의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의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에 대한 소음 공진 주파수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6차 모터 소음 주파수(120Hz)와, 43개의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8584Hz)에 대하여 소음 공진 주파수를 계산하면 5146Hz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를 43개로 선정함으로써, 6차 모터 소음 주파수(120Hz)와, 43개의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858Hz)에 대하여 소음 공진 주파수가 5146Hz가 되는 것을 도 4의 (b)와,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터 회전 주파수 계산식인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모터 회전 주파수를 계산하면, 모터속도 1197[rpm]에서 60[sec/min]을 나누어 19.95[Hz]의 모터 회전 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모터 회전 주파수와 소음 공진 주파수 계산식인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6차 모터 소음 주파수에서의 소음 공진 주파수를 계산하면, 모터 소음 주파수 차수인 6과 풀리 잇수인 43의 최소 공배수인 258과, 앞서 계산된 모터 회전 주파수인 19.95[Hz]를 곱하면 대략 5146[Hz]의 소음 공진 주파수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인 6과 플리 잇수인 43이 서로소가 되기 때문에,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와 풀리 잇수의 최소 공배수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소음 공진 주파수가 높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진 현상의 영향이 줄어들게 된다.
전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9차 모터 소음 주파수와 43개의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의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에 대한 소음 공진 주파수와, 18차 모터 소음 주파수와 43개의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의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에 대한 소음 공진 주파수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
한편, 6차/9차/18차 모터 소음 주파수(6차/9차/18차 리플 소음 주파수)와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도 4의 (a) 및 (b)에 표시된 값으로 얻어지는 것을 참고적으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모터 소음 주파수와 관련하여, 6차 모터 소음 주파수(모터 극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주파수)는, 모터 극수와 모터 회전 주파수(수학식 1)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9차 모터 소음 주파수(모터 슬롯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주파수)는, 모터 슬롯수와 모터 회전 주파수(수학식 1)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18차 모터 소음 주파수(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의 최소 공배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주파수)는,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의 최소 공배수와, 모터 회전 주파수(수학식 1)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와 관련하여,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는, 모터 풀리(101)의 이빨에 벨트의 이빨이 물리면서 발생하는 소음 주파수로서, 풀리 잇수와 모터 회전 주파수(=모터 속도[rpm]/60[sec/min])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모터 소음 주파수 및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를 구하는 수학식을 정리하면 하기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1005199695-pat00003
모터 소음 주파수를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모터속도가 987rpm인 경우의 도 4의 (a)에서, 6차 모터 소음 주파수(6차 리플 소음 주파수), 9차 모터 소음 주파수(6차 리플 소음 주파수) 및 18차 모터 소음 주파수(6차 리플 소음 주파수)를 계산해보면, 각각 99Hz(=6*16.45), 148Hz(=9*16.45) 및 296Hz(=18*16.45)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터속도가 1197rpm인 경우의 도 4의 (b)에서, 6차 모터 소음 주파수(6차 리플 소음 주파수), 9차 모터 소음 주파수(6차 리플 소음 주파수) 및 18차 모터 소음 주파수(6차 리플 소음 주파수)를 계산해보면, 각각 120Hz(=6*19.95), 180Hz(=9*19.95) 및 359Hz(=18*19.95)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를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41개의 풀리 잇수인 경우의 도 4의 (a)에서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674Hz(=41*16.45)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43개의 풀리 잇수인 경우의 도 4의 (b)에서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858Hz(=43*19.95)인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6차/9차/18차 모터 소음 주파수와 정수배가 되는 경우, 공진 현상이 크게 발생하여 소음 및 진동이 켜지게 되고, 이는 시스템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를 선정할 때, 공진 현상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즉, 소음 공진 주파수가 시스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높은 영역(이는, 시스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설정 값 일 수 있음)이 되도록, 모터 소음 주파수 차수(모터 극수, 모터 슬롯수,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의 최소 공배수)와 서로소가 되는 풀리 잇수를 선정하기 때문에, 도 4의 (a) 및 (b)에서와 같이 소음 공진 주파수가 공진 현상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임계 주파수인 4000Hz 이상이 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는,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와 서로소일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소수(Prime Number)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 선정 방법을 적용하여, 공진 현상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를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모터 풀리(101)를 포함하는 모터 장치, 그리고 이러한 모터 장치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터 극(210) 및 모터 슬롯수(220)을 포함하는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 풀리(101)를 제공하되, 모터 풀리(101)는, 모터 극(210)의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220)의 모터 슬롯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와, 모터 풀리(101)와 벨트가 물릴 때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정수배(예: 1배, 2배, 3배, ......)가 되어 발생하는 소음 공진 주파수를 미리 정의된 임계 주파수보다 높은 영역(예: 4000Hz 이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풀리 잇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풀리 잇수는,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와 서로소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일정 모터 극수를 갖는 모터 극(210)과, 일정 모터 슬롯수를 갖는 모터 슬롯수(220)을 포함하는 모터와, 공진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결정된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 등을 포함하는 모터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모터 풀리(101)는,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와,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를 포함하는 3개의 값과 모두 서로소가 되는 풀릿 잇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터와 모터 풀리(101)를 포함하는 조향 시스템(조향 장치)을 제공하되, 여기서, 모터 풀리(101)는,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와,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를 포함하는 3개의 값과 모두 서로소가 되는 풀리 잇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공진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터 풀리(101)의 풀리 잇수를 선정함에 있어서, 모터의 모터 극수 및 모터 슬롯수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소수(Prime Number)가 되게 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모터와 연결되고 소수인 풀리 잇수를 갖는 모터 풀리(10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방식에 따라 풀리 잇수를 선정함으로써, 모터 풀리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공진 현상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여주고 장치 또는 시스템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모터 극 및 모터 슬롯을 포함하는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 풀리에 있어서,
    상기 모터 극의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의 모터 슬롯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모터 소음 주파수와, 상기 모터 풀리와 벨트가 물릴 때 발생하는 모터 풀리 소음 주파수가 정수배가 되어 발생하는 소음 공진 주파수를 미리 정의된 임계 주파수보다 높은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와 서로소(Relative Prime)인 풀리 잇수를 갖고,
    상기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는, 상기 모터 극수와, 상기 모터 슬롯수와, 상기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수 간의 최소 공배수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모터 극수는 8이고 상기 모터 슬롯수는 12이며, 상기 풀리 잇수는 상기 모터 소음 주파수의 차수인 8, 12 및 24와 모두 서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풀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잇수는,
    31, 37, 41, 43,47, 53 및 59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풀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잇수는 소수(Prime Nu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풀리.
  6.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 풀리에 있어서,
    상기 모터 풀리는,
    상기 모터의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와, 상기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와 모두 서로소(Relative Prime)인 풀리 잇수를 갖되,
    상기 모터 극 수는 8이고 상기 모터 슬롯수는 12이며, 상기 풀리 잇수는 상기 모터 극 수인 8과, 상기 모터 슬롯수인 12와, 상기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인 24와 모두 서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풀리.
  7. 삭제
  8. 모터와 모터 풀리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풀리는,
    상기 모터의 모터 극수와, 모터 슬롯수와, 상기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와 모두 서로소(Relative Prime)인 풀리 잇수를 갖되,
    상기 모터 극 수는 8이고 상기 모터 슬롯수는 12이며,
    상기 풀리 잇수는 상기 모터 극 수인 8과, 상기 모터 슬롯수인 12와, 상기 모터 극수 및 상기 모터 슬롯수의 최소공배수인 24와 모두 서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KR1020110006365A 2010-02-10 2011-01-21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 KR10126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65A KR101261718B1 (ko) 2011-01-21 2011-01-21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
US13/022,196 US8766507B2 (en) 2010-02-10 2011-02-07 Motor pulley
DE102011010631A DE102011010631A1 (de) 2010-02-10 2011-02-08 Motorriemenscheibe
CN2011100356351A CN102148547A (zh) 2010-02-10 2011-02-10 电动机滑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65A KR101261718B1 (ko) 2011-01-21 2011-01-21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997A KR20120084997A (ko) 2012-07-31
KR101261718B1 true KR101261718B1 (ko) 2013-05-07

Family

ID=4671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365A KR101261718B1 (ko) 2010-02-10 2011-01-21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7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3136B2 (en) 2002-07-11 2006-08-0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retractor
KR101134705B1 (ko) * 2010-02-10 2012-04-13 주식회사 만도 모터 풀리, 모터 장치 및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3136B2 (en) 2002-07-11 2006-08-0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retractor
KR100913499B1 (ko) 2002-07-11 2009-08-25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권취장치
KR101134705B1 (ko) * 2010-02-10 2012-04-13 주식회사 만도 모터 풀리, 모터 장치 및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997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7740B2 (ja) トルクリップルの低減構造を備える3相交流電動機
JP5796569B2 (ja) 回転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
US8461739B2 (en) Stator for an electric machine
JP5329005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JP5787190B2 (ja) 回転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
Khan et al. Review of switched flux wound-field machines technology
US7876063B2 (en) Axial gap type motor/generator
Jafarboland et al. Optimum design of the stator parameters fo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in BLDC motor
JP6407524B2 (ja) モータ
EP2363699A1 (en) Vibration monitoring of a magnetic element in an electrical machine
US20160336821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for vehicles
JP2014039461A (ja) Afpmモータ
CN104836348A (zh) 电动马达
US8766507B2 (en) Motor pulley
KR101261718B1 (ko) 모터 풀리 및 조향 시스템
JP6018940B2 (ja) ロータおよびモータ
KR101134705B1 (ko) 모터 풀리, 모터 장치 및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Min et al. Investigation of electromagnetic noise on pole and slot number combinations with possible fractional-slot concentrated windings
JP4062269B2 (ja) 同期型回転電機
JP2006515740A (ja) 電動機のコギング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永久磁石電動機
Kim et al. Vibration analysis according to stator shape design in a PMSM
Stachowiak Edge element analysis of brushless motors with inhomogeneously magnetized permanent magnets
CN106787320B (zh) 一种齿槽转矩脉动抑制方法
Mouttouvelou et al. An optimal selection of slot/pole combination and its influence on energy efficient PMSM for submersible water pumping applications
EP2458712B1 (en) Magnet for a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