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407B1 -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407B1
KR101261407B1 KR1020110070098A KR20110070098A KR101261407B1 KR 101261407 B1 KR101261407 B1 KR 101261407B1 KR 1020110070098 A KR1020110070098 A KR 1020110070098A KR 20110070098 A KR20110070098 A KR 20110070098A KR 101261407 B1 KR101261407 B1 KR 10126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upport shaft
shaft
solar cell
ce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191A (ko
Inventor
박희성
조용우
Original Assignee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이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4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반에 박힌 콘크리트 축; 상기 콘크리트 축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콘크리트 축 상면 위로 노출된 플랜지부가 구비된 케이싱; 구조물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축; 상기 지지 축을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및 상기 지지 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설치된 부지가 침하될 경우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내려앉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고, 또한,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미미하게 내려앉을 경우 그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원래의 위치로 쉽게 복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SOLAR ENERGY COLLECTING MODULES}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꾼다.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 하고, 다수 개의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일정 크기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태양전지 모듈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소(일명,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라고도 함)는 다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의 집합체이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육상에 설치된다. 태양전지 모듈은 모듈 지지 구조물에 장착되며, 상기 모듈 지지 구조물은 육상에 설치된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모듈 지지 구조물을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라 한다.
상기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육상에 설치하는 종래 장치는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박힌 콘크리트 구조물(10)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박힌 앵커 볼트(20)들과, 상기 앵커 볼트(20)들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30)들을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은 수평 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이며, 높이 대비 면적이 넓다. 상기 앵커 볼트(20)들은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모듈 지지 구조물(40)의 하면에 플랜지(41)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41)에 관통 구멍들이 구비된다. 상기 모듈 지지 구조물(40)의 플랜지(41)의 관통 구멍들에 상기 앵커 볼트(20)들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20)들에 각각 너트(30)를 체결된다.
상기 모듈 지지 구조물(40)의 상부에 태양전지 모듈(50)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야산에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게 될 경우 공사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짧은 기간 내에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설치될 야산을 평평한 평지로 만들고 그 평지를 다지는 공사를 진행한 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지만 짧은 기간 내에 이루어지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비가오고, 평지가 얼고 녹으면서 지반 침식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장치는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설치된 지반이 침하되어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내려앉거나 기울어지게 될 경우 태양전지 모듈의 각도가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지 못하고 또한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아래로 내려앉은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인접한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위치 차이로 인하여 서로 연결된 송전선의 연결 상태가 불안해지게 된다. 아래로 내려앉은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원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든 다음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므로 복구 작업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설치된 부지가 침하될 경우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내려앉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내려앉을 경우 그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원래의 위치로 쉽게 복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반에 박힌 콘크리트 축; 상기 콘크리트 축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콘크리트 축 상면 위로 노출된 플랜지부가 구비된 케이싱; 구조물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축; 상기 지지 축을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및 상기 지지 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콘크리트 축은 가로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 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절곡 연장된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된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축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을 복개하는 바닥판과,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구조물의 하단이 결합된 결합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와 지지 축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체결 볼트들과, 상기 볼트들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 너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 축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축에 구비되는 주입관과, 상기 지지 축의 하면과 케이싱의 바닥면 사이에 채워지는 채움 가루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 철근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철망으로 이루어진 원통 형태의 매시통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의 하부와 지지 축 사이에 구조물과 지지 축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보강 철판들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 철판들에 각각 지지 바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구조물을 견고하게 설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 축이 케이싱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구조물 및 태양전지 모듈에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어 지지 축에 횡 방향 힘이 작용하게 될 경우 지지 축의 외주면이 케이싱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힘이 분산된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 및 구조물의 지지력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축이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단면적이 작고 길이가 길어 지반속에 깊숙히 박히게 되므로 비가오고 지반이 얼고 녹음에 따라 지반이 침하될 경우 콘크리트 축의 길이에 해당되는 지반 두께에서 발생되는 지반 침하는 콘크리트 축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그 콘크리트 축 끝 아래에서 발생되는 지반 침하만이 콘크리트 축에 연향을 미치게 되므로 지반 침하로 인한 콘크리트 축의 내려앉음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지반 침하에 대한 영향이 미미하므로 야산을 평평하게 평지로 만든 다음 평지에 홀을 파고 그 홀에 콘크리트 축을 만들 수 있게 되므로 평지를 다지는 작업 공정 및 오랜 시간 평지의 지반 침하 과정을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배제하게 되어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는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구비된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부지에 설치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지반 침하로 인하여 콘크리트 축이 미미하게 내려앉을 경우 높이 조절유닛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높이를 원래의 높이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육상에 설치하는 종래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유닛의 작동 과정을 각각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2,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는 콘크리트 축(100), 케이싱(200), 지지 축(300), 고정유닛(400) 그리고 높이 조절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축(100)은 상면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지반에 박힌다. 상기 콘크리트 축(100)의 아래 끝 부분은 지내력이 높은 부분까지 박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축(100)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그 가로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축(10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싱(200)은 상기 콘크리트 축(10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케이싱(200)은 상기 지지 축(3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210)와, 상기 원통부(210)의 상단에 절곡 연장된 플랜지부(220)와, 상기 원통부(210)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된 바닥판(2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부(210)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상기 원통부(210)의 두께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외경은 상기 콘크리트 축(100)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바닥판(230)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원판이다. 상기 바닥판(230)은 용접에 의해 원통부(210)의 끝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200)은 상기 플랜지부(220)와 원통부(210)의 상부 일부분만이 상기 콘크리트 축(100)의 상면 위로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축(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케이싱(200)의 바닥판(230)의 하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 철근(250)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철근(250)은 티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티자 형상의 윗부분의 양단은 상기 바닥판(230)의 하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철근(250)은 상기 케이싱(200)의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상기 케이싱(200)의 고정력을 증가시켜주게 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축(100)의 강도를 보강시켜주게 된다. 상기 고정 철근(250) 대신에 상기 케이싱(200)의 바닥판(230)에 철망으로 이루어진 원통 형태의 매시통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 축(100)과 케이싱(200)을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반에 콘크리트 축(100)과 상응하는 형성된 홀(H)에 콘크리트 반죽을 적정량 붓는다. 상기 케이싱(200) 또는 고정 철근(250)이 결합된 케이싱(200)을 홀(H)에 채워진 콘크리트 반죽에 삽입하되, 플랜지부(220)와 원통부(210)의 상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삽입한다. 상기 케이싱(20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반죽을 굳힌다.
상기 콘크리트 축(100)과 케이싱(200)을 결합하는 다른 방법으로, 원통 형상의 거푸집(미도시)에 콘크리트 반죽을 적정량 붓는다. 상기 케이싱(200) 또는 고정 철근이 결합된 케이싱(200)을 거푸집에 채워진 콘크리트 반죽에 삽입하되, 플랜지부(220)와 원통부(210)의 상부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삽입한다. 상기 케이싱(20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반죽을 굳힌다. 거푸집으로부터 케이싱(200)이 결합된 콘크리트 축(100)을 분리시킨다. 상기 케이싱(200)이 결합된 콘크리트 축(100)을 지반에 형성된 홀(H)에 삽입시킨다.
상기 지지 축(300)은 구조물(600)의 끝부분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 축(300)은 상기 케이싱(200)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지지 축(300)은 상기 케이싱(20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310)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을 막는 바닥판(330)과, 상기 원통부(31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판(3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축(300)의 원통부(31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두께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축(300)의 바닥판(330)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원판으로 원통부(310)의 하단에 용접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축(300)의 원통부(310)가 상기 케이싱(200)의 원통부(21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지지 축(300)의 결합판(320)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판(320)의 하면이 용접에 의해 상기 지지 축(300)의 원통부(310)의 상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판(320)의 크기는 상기 원통부(310)의 단면적보다 크다. 상기 결합판(320)의 상면에 상기 구조물(600)의 하면이 용접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고정유닛(400)은 상기 지지 축(300)을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200)의 플랜지부(22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유닛(400)은 상기 케이싱(200)의 플랜지부(220)와 지지 축(300)의 결합판(320)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체결 볼트(410)들과, 상기 체결 볼트(410)들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 너트(420)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축(300)의 원통부(310)가 상기 케이싱(200)의 원통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 축(300)의 결합판(320)과 케이싱(200)의 플랜지부(220)가 서로 대면되며, 상기 결합판(320)과 플랜지부(22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 볼트(410)들과 체결 너트(420)들이 체결될 수 있고, 또한 결합판(320)과 플랜지부(220)가 간격을 둔 상태에서 체결 볼트(410)들과 체결 너트(420)들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유닛(500)은 상기 지지 축(3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높이 조절유닛(500)은 상기 지지 축(300)에 구비되는 주입관(510)과, 상기 주입관(510)을 통해 주입되어 상기 지지 축(300)의 바닥판(330) 하면과 케이싱(200)의 바닥판(230)의 상면 사이에 채워지는 채움 가루(520)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관(510)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의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관(510)은 지지 축(300)의 결합판(320)과 원통부(310)와, 바닥판(330)을 관통한다. 상기 주입관(510)의 입구를 통해 채움 가루(520)를 삽입하게 되면 그 채움 가루(520)는 주입관(510)을 통해 지지 축(300)의 바닥판(330)의 하면과 케이싱(200)의 바닥판(230)의 상면 사이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주입관(510)의 상단부에 주입관(510)의 입구를 열고 닫는 마개(5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물(600)의 하부와 지지 축(300) 사이에 구조물(600)과 지지 축(300)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보강 철판(610)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철판(610)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 두 개는 상기 결합판(320)의 한쪽에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나머지 두 개는 상기 결합판(320)의 다른 한쪽에 서로 나란하게 위치한다. 상기 결합판(32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두 개의 보강 철판(610)들에 각각 지지 바(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611)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 바는 후술된다.
상기 높이 조절유닛(5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콘크리트 축(100)이 미미하게 내려앉은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보강 철판(610)들의 관통 구멍(611)에 지지 바(B)를 삽입하고, 다른 두 개의 보강 철판(610)의 관통 구멍(611)에 또 하나의 지지 바(B)를 삽입한 다음 그 두 개의 지지 바(B)를 각각 잭(F)으로 지지한다. 고정유닛(400)을 푼다. 콘크리트 축(100)이 내려앉은 만큼 잭으로 지지 축(300)을 위로 올린다. 주입관(510)을 통해 채움 가루(520)를 지지 축(300)의 바닥판(330) 하면과 케이싱(200)의 바닥판(230) 상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넣는다. 상기 주입관(510)을 통해 채움 가루(520)를 공간에 적정량 채워넣은 후 채움 가루(520)가 다져지도록 물을 소량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잭(F)을 제거한 후 지지 축(300)의 결합판(320)과 케이싱(200)의 플랜지부(220)를 고정유닛(400)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콘크리트 축(100)이 내려앉은 만큼 지지 축(300)의 높이를 높인다. 상기 지지 축(300)을 위로 미는 것은 잭(F) 이외에 다른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600)의 상부에 태양전지 모듈(700)이 설치된다. 상기 구조물(600)과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는 태양전지 모듈(700)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 구조물이다. 상기 모듈 지지 구조물과 태양전지 모듈(700)은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성한다. 상기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들이 부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들 간에는 송전선이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축(100)이 지반에 깊숙이 박히고 케이싱(200)이 콘크리트 축(100)에 삽입 고정되고 구조물(600)과 연결된 지지 축(300)이 케이싱(200) 내부에 삽입되고 케이싱(200)과 지지 축(300)이 고정유닛(400)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태양전지 모듈(700)이 설치된 구조물(600)이 견고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지지 축(300)이 케이싱(2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구조물(600) 및 태양전지 모듈(700)에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어 지지 축(300)에 횡방향 힘이 작용하게 될 경우 지지 축(300)의 외주면이 케이싱(200)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힘이 분산된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700) 및 구조물(600)의 지지력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축(100)이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비해 단면적이 작고 길이가 길어 지내력이 높은 지반속까지 박히게 되므로 비가 오고 지반이 얼고 녹음에 따라 지반이 침하될 경우 콘크리트 축(100)의 길이에 해당되는 지반 두께에서 발생되는 지반 침하는 콘크리트 축(100)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만일, 콘크리트 축의 아래 끝부분이 지내력이 높은 지반에 근접한 부분까지 박히더라도 그 콘크리트 축(100) 끝 아래에서 발생되는 지반 침하만이 콘크리트 축(100)에 연향을 미치게 되므로 지반 침하로 인한 콘크리트 축(100)의 내려앉음이 극히 최소화된다. 일반적으로 지반 침하는 지반의 상층부에서 주로 발생되므로 콘크리트 축(100) 끝 아래에서 발생되는 지반 침하는 극히 미미하다. 상기 케이싱(200)에 삽입된 지지 축(300)과 그 지지 축(300)에 연결된 구조물(600) 및 태양전지 모듈(700)은 횡방향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주로 자중에 의해 콘크리트 축(100)에 수직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축(100)의 단면적이 적어도 그 작용하는 수직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반 침하에 대한 영향이 미미하므로 야산을 평평하게 평지로 만들고 그 평지에 바로 홀을 파고 그 홀에 콘크리트 축(100)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공정과 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즉, 종래에는 지반 침하를 고려하여 야산을 평평하게 평지로 만들고 그 평지를 다짐 작업한 다음 평지가 자연 침하되도록 일정 시간 지난 후에 그 평지에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게 되어 작업 공정이 많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작업 공정 및 시간을 배제하게 되어 많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구비된 단위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부지에 설치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지반 침하로 인하여 콘크리트 축(100)이 미미하게 내려앉을 경우 높이 조절유닛(500)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높이를 원래의 높이로 복귀시키게 된다.
100; 콘크리트 축 200; 케이싱
250; 고정 철근 300; 지지 축
400; 고정유닛 500; 높이 조절유닛
600; 구조물 610; 보강 철판

Claims (10)

  1. 지반에 박힌 콘크리트 축;
    상기 콘크리트 축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단에 상기 콘크리트 축 상면 위로 노출된 플랜지부가 구비된 케이싱;
    구조물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축;
    상기 지지 축을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및
    상기 지지 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축은 가로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 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절곡 연장된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된 바닥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축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을 막는 바닥판과,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구조물의 하단이 결합된 결합판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와 지지 축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체결 볼트들과, 상기 볼트들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 너트들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은 상기 지지 축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축에 구비되는 주입관과, 상기 지지 축의 하면과 케이싱의 바닥면 사이에 채워지는 채움 가루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 가루는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 철근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철망으로 이루어진 원통 형태의 매시통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부와 지지 축 사이에 구조물과 지지 축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보강 철판들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 철판들에 각각 지지 바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 구멍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KR1020110070098A 2011-07-14 2011-07-14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KR10126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98A KR101261407B1 (ko) 2011-07-14 2011-07-14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98A KR101261407B1 (ko) 2011-07-14 2011-07-14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91A KR20130009191A (ko) 2013-01-23
KR101261407B1 true KR101261407B1 (ko) 2013-05-10

Family

ID=4783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098A KR101261407B1 (ko) 2011-07-14 2011-07-14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4011B2 (en) * 2013-04-02 2019-04-09 Energy Related Devices, Inc. Photovoltaic module mounting to rubber tires
KR101362434B1 (ko) * 2013-08-23 2014-02-14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연약지반 침하대응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192552B1 (ko) * 2018-06-12 2020-12-17 주식회사 정한 접이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49224B1 (ko) * 2022-03-18 2022-09-29 성호티에스(주) 염전부지 및 간척지와 같은 매립지 설치용 태양광 패널의 지지 파일 및 설치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754B1 (ko) 2008-08-05 2010-10-29 김봉규 태양열집열기의 집열각도 조절장치
JP2011108854A (ja) 2009-11-18 2011-06-02 Fuji Pureamu Kk 太陽光発電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754B1 (ko) 2008-08-05 2010-10-29 김봉규 태양열집열기의 집열각도 조절장치
JP2011108854A (ja) 2009-11-18 2011-06-02 Fuji Pureamu Kk 太陽光発電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91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8445B (zh) 风力发电机塔架基础成型方法
KR101108269B1 (ko) 앙카볼트 고정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용 지주의 시공방법
KR101261407B1 (ko)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
US8499513B2 (en) Tower foundation
US8607517B2 (en) Tower foundation
JP2013112926A (ja) 太陽光発電装置の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15679B1 (ko) 태양광 모듈 조립체
CN104878835A (zh) 条形基础房屋后增地下室结构
JP4906931B2 (ja) 土木用ブロック
KR20100073881A (ko) 모래를 이용한 가설받침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구조 지지방법
CN210288419U (zh) 一种用于大跨距逆作基坑的反立柱斜撑加固系统
CN111119222A (zh) 一种用于高寒地区特高压直流输电线路铁塔的装配装置
CN215483087U (zh) 一种可装配式挡土墙
CN211646635U (zh) 截污栈道悬挑支架结构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CN111244825A (zh) 一种跨路电缆铺设结构及其施工方法
CN201459752U (zh) 电杆预制基础
CN218813845U (zh) 适用于高灵敏度淤泥土的风力发电塔基础安装结构
CN219528568U (zh) 一种太阳能光伏车棚
CN214614158U (zh) 一种装配式建筑地基
JP6279892B2 (ja) 壁面構築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の構築方法
CN215211953U (zh) 预制板屋面平铺式光伏安装系统
CN219060077U (zh) 一种顶管施工支护设施
CN220080041U (zh) 一种地下工程上的斜桩支撑装置
CN218570137U (zh) 一种光伏组件的支撑装置及光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