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831B1 -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831B1
KR101260831B1 KR1020110133643A KR20110133643A KR101260831B1 KR 101260831 B1 KR101260831 B1 KR 101260831B1 KR 1020110133643 A KR1020110133643 A KR 1020110133643A KR 20110133643 A KR20110133643 A KR 20110133643A KR 101260831 B1 KR101260831 B1 KR 10126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ransmitter
user terminal
audio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돌
Original Assignee
최인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돌 filed Critical 최인돌
Priority to KR102011013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최소화된 최적 FM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받아 기저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받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FM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FM 변조신호를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FM 신호를 생성한 후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트랜스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존재하는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용 FM 주파수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OBILE-BASED FM AUDIO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존재하는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용 FM 주파수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통신 단말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각종 기능이 부가되고 스마트폰과 같은 지능형 단말로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로서의 기능도 휴대 통신 단말에 부가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통신 단말의 주 용도가 음악파일 재생이 아니기 때문에, 휴대 통신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의 품질에 만족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많은 상황이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높은 음향 품질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종래의 수단으로 FM 통신을 이용한 방식이 소개되었다.
이 방식은 FM 트랜스미터를 음악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휴대 통신 단말에 장착한 후, 이 FM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FM 변조하여 주변의 오디오 기기로 전송한 후, 이 오디오 기기에서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첫째, FM 트랜스미터 자체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FM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들과 이 버튼들의 조작을 통해 설정된 FM 주파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FM 트랜스미터의 제조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너무 커져서 점점 슬림(slim)해지는 휴대 통신 단말에 장착하는 경우, 전체적인 미감과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에서 존재하는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용 FM 주파수를 FM 트랜스미터에 구비된 버튼들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직접 찾아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FM 트랜스미터가 오디오 기기로 송출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존재하는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용 FM 주파수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설정된 FM 주파수를 휴대 통신 단말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써, FM 트랜스미터의 필요 부품의 수를 줄여, FM 트랜스미터의 제조비용을 저감하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구축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FM 트랜스미터의 크기를 줄여 점점 슬림(slim)해지는 휴대 통신 단말에 전체적인 미감과 휴대성을 향상시키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최소화된 최적 FM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받아 기저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받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FM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FM 변조신호를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FM 신호를 생성한 후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트랜스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FM 트랜스미터가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최적 FM 주파수로 자동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M 트랜스미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상기 FM 트랜스미터가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절하고 표시하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조작하여 상기 FM 트랜스미터가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서버에는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위치에 대응하는 추천 FM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추천 FM 주파수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추천 FM 주파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추천 FM 주파수들 중 하나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선택하면 상기 FM 트랜스미터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상기 추천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FM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천 FM 주파수 정보는 추천 FM 주파수에 대하여 사용자가 부여한 평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천 FM 주파수 정보의 명칭을 상기 추천 FM 주파수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가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M 트랜스미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상기 FM 변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FM 변조부, 상기 FM 변조부가 생성한 FM 변조신호를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상기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FM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RF 송신부 및 상기 FM 변조부와 상기 RF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M 트랜스미터는 상기 FM 트랜스미터의 정품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M 트랜스미터는 상기 FM 신호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보조 데이터를 중첩하기 위한 RDS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목 정보, 가수 정보 및 가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휴대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고, 상기 RDS부는 상기 FM 신호가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 또는 푸쉬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지능형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디오 기기는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FM 트랜스미터가 오디오 기기로 송출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존재하는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용 FM 주파수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정된 FM 주파수를 휴대 통신 단말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FM 트랜스미터의 필요 부품의 수를 줄여, FM 트랜스미터의 제조비용을 저감하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구축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FM 트랜스미터의 크기를 줄여 점점 슬림(slim)해지는 휴대 통신 단말에 전체적인 미감과 휴대성을 향상시키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함된 FM 트랜스미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하나의 예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최적 FM 주파수 자동 설정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추천 FM 주파수 수동 설정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FM 트랜스미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FM 트랜스미터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FM 트랜스미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FM 트랜스미터가 송출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메인 서버(10), 사용자 단말(20), FM 트랜스미터(30) 및 오디오 기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서버(10)에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최소화된 최적 FM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에는 여러 상용 FM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여러 상용 FM 주파수들을 갖는 FM 신호가 혼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되어 있는 MP3 포맷의 음악 파일을 사용자 단말(20)에 장착된 FM 트랜스미터(30)와 오디오 기기(40) 간의 FM 통신을 통하여 오디오 기기(40)로 전송한 후, 오디오 기기(40)에서 이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이 상용 FM 주파수들과의 간섭에 의하여 오디오 기기(4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하나의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위치에 존재하는 상용 FM 주파수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FM 주파수를 미리 메인 서버(10)에 저장해두고, 후술하는 FM 트랜스미터(30)가 장착된 사용자 단말(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이 최적 FM 주파수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는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어느 지점에 위치하더라도 상용 FM 주파수들과의 간섭에 의한 FM 신호 수신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은 메인 서버(1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받은 후, 기저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와 최적 FM 주파수를 후술하는 FM 트랜스미터(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의 예로, 메인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최적 FM 주파수가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주파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들 즉,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를 FM 트랜스미터(30)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FM 트랜스미터(30)의 제조비용이 저감되고 FM 트랜스미터(30)를 슬림(slim)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이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FM 트랜스미터(30)가 오디오 기기(40)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절하고 표시하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주파수 선택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사용자에 의한 주파수 선택과 조절을 위해 요구되는 부품들 즉, 주파수 조절을 위한 기능 버튼, 회로 등을 FM 트랜스미터(30)에서 삭제할 수 있는 동시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주파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들 즉,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를 FM 트랜스미터(30)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FM 트랜스미터(30)의 제조비용이 보다 더 저감되고 FM 트랜스미터(30)를 보다 더 슬림(slim)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조작하여 FM 트랜스미터(30)가 오디오 기기(40)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파수 조절을 위한 사용자 편의성 및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주는 미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휴대 통신이 가능한 일반적인 휴대 통신 단말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지능형 단말일 수도 있다.
FM 트랜스미터(3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와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받고,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FM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FM 변조신호를 최적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FM 신호를 생성한 후 오디오 기기(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M 트랜스미터(30)가 오디오 기기(40)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는 사용자 단말(20)이 메인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최적 FM 주파수로 자동 설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 따라 상용 FM 주파수들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가용 FM 주파수를 수동으로 찾아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FM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0)에 전장된 음악 파일을 오디오 기기(40)에서 재생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가용 FM 주파수 설정의 측면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오디오 기기(40)는 FM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한 수단이며, 예를 들어,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FM 트랜스미터(3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함된 FM 트랜스미터(3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함된 FM 트랜스미터(30)는 FM 변조부(310), RF 송신부(320), 인증부(340), RDS(Radio Data System)부(35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M 변조부(3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FM 변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RF 송신부(320)는 FM 변조부(310)가 생성한 FM 변조신호를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메인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최적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FM 신호를 생성한 후 오디오 기기(40)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인증부(340)에는 FM 트랜스미터(30)의 정품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FM 트랜스미터(30)를 동작시키면 후술하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이 정품인증정보가 사용자 단말(20)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20)에서 인증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인증과정에 실패하는 경우, FM 트랜스미터(30)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RDS부(350)는 FM 신호에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보조 데이터를 중첩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이 보조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즉, 음악 파일의 제목 정보, 가수 정보 및 가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보조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와 최종적으로 FM 신호를 전송받아 재생하는 오디오 기기(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고, RDS부(350)는 FM 신호가 오디오 기기(40)로 전송되는 도중에 사용자 단말(20)로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 또는 푸쉬 데이터가 오디오 기기(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30)는 앞서 설명한 FM 변조부(310), RF 송신부(320), 인증부(340) 및 RDS부(35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하나의 예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최적 FM 주파수 자동 설정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FM 트랜스미터(30)가 장착된 사용자 단말(20)이 메인 서버(10)로 최적 FM 주파수의 전송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단계 S120에서, 메인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로 사용자 단말(20)의 위치에서 존재하는 상용 FM 주파수들과의 간섭이 최소화된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한다. 이 최적 FM 주파수는 메인 서버(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FM 트랜스미터(30)로 기저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와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 S140에서, FM 트랜스미터(30)에 구비된 FM 변조부(310)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FM 변조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 S150에서, FM 트랜스미터(30)에 구비된 RF 송신부(320)가 FM 변조신호를 최적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 즉, 반송파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FM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160에서, 오디오 기기(40)가 FM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추천 FM 주파수 수동 설정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FM 트랜스미터(30)가 장착된 사용자 단말(20)이 메인 서버(10)로 추천 FM 주파수의 전송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0에서, 메인 서버(10)가 사용자 단말(20)로 사용자 단말(20)의 위치에서의 추천 FM 주파수들과 이 추천 FM 주파수들에 대하여 사용자가 부여한 평점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FM 주파수 정보를 전송한다. 이 추천 FM 주파수들도 메인 서버(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이 추천 FM 주파수들은 여러 위치에서 FM 통신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이 메인 서버(10)로 전송한 정보이다. 추천 FM 주파수 정보의 명칭은 이 추천 FM 주파수 정보를 메인 서버(10)로 전송하는 사용자가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천 FM 주파수 정보의 명칭을 광고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30에서, 추천 FM 주파수들과 이 추천 FM 주파수들에 대한 평점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FM 주파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4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추천 FM 주파수들 중 하나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250에서, 사용자 단말(20)이 FM 트랜스미터(30)로 기저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FM 주파수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 S260에서, FM 트랜스미터(30)에 구비된 FM 변조부(310)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FM 변조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 S270에서, FM 트랜스미터(30)에 구비된 RF 송신부(320)가 FM 변조신호를 사용자가 선택한 추천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 즉, 반송파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FM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80에서, 오디오 기기(40)가 FM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한편, FM 트랜스미터(30)는 사용자 단말(2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20)과 FM 트랜스미터(3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20)과 FM 트랜스미터(3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20)과 FM 트랜스미터(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FM 트랜스미터(30)가 송출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FM 트랜스미터(30)를 애플사의 아이폰 등과 같은 휴대 통신이 가능한 단말에 구비된 커넥터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FM 통신을 위하여 FM 트랜스미터(30)를 액세서리 형태로 활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휴대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FM 트랜스미터가 오디오 기기로 송출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존재하는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가용 FM 주파수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정된 FM 주파수를 휴대 통신 단말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FM 트랜스미터의 필요 부품의 수를 줄여, FM 트랜스미터의 제조비용을 저감하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구축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FM 트랜스미터의 크기를 줄여 점점 슬림(slim)해지는 휴대 통신 단말에 전체적인 미감과 휴대성을 향상시키면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메인 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FM 트랜스미터
40: 오디오 기기
310: FM 변조부
320: RF 송신부
330: 제어부
340: 인증부
350: RDS(Radio Data System)부

Claims (16)

  1.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용 FM 주파수와의 간섭이 최소화된 최적 FM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는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받아 기저 대역의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전송받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FM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FM 변조신호를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FM 신호를 생성한 후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트랜스미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M 트랜스미터가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최적 FM 주파수로 자동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M 트랜스미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제공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상기 FM 트랜스미터가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절하고 표시하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조작하여 상기 FM 트랜스미터가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FM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에는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된 위치에 대응하는 추천 FM 주파수들을 포함하는 추천 FM 주파수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추천 FM 주파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추천 FM 주파수들 중 하나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선택하면 상기 FM 트랜스미터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상기 추천 FM 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FM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FM 주파수 정보는 추천 FM 주파수에 대하여 사용자가 부여한 평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FM 주파수 정보의 명칭을 상기 추천 FM 주파수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가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M 트랜스미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FM 변조하여 상기 FM 변조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FM 변조부;
    상기 FM 변조부가 생성한 FM 변조신호를 상기 최적 FM 주파수를 상기 캐리어 주파수로 하는 RF 대역으로 상향 변환하여 상기 FM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RF 송신부; 및
    상기 FM 변조부와 상기 RF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FM 트랜스미터는 상기 FM 트랜스미터의 정품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M 트랜스미터는 상기 FM 신호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보조 데이터를 중첩하기 위한 RDS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제목 정보, 가수 정보 및 가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휴대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고,
    상기 RDS부는 상기 FM 신호가 상기 오디오 기기로 전송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수신되는 문자 데이터 또는 푸쉬 데이터가 상기 오디오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지능형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기기는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10133643A 2011-12-13 2011-12-13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26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643A KR101260831B1 (ko) 2011-12-13 2011-12-13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643A KR101260831B1 (ko) 2011-12-13 2011-12-13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831B1 true KR101260831B1 (ko) 2013-05-06

Family

ID=4866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643A KR101260831B1 (ko) 2011-12-13 2011-12-13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8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0256A (ja) 2004-07-05 2006-01-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0256A (ja) 2004-07-05 2006-01-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317B2 (en) Playing synchronized mutichannel media on a combination of devices
US8923928B2 (en) Audio playback apparatus, control and usage method for audio playback apparatus, and mobile phone terminal with storage device
WO20070051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audio management
JP6015265B2 (ja) 近接通信システム
US20130059538A1 (en) Vehicle multimedia head unit with two bluetooth antennas and two receivers
JP4673473B2 (ja) 周波数ホップした無線周波数通信を提供するための基地局、端末、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80065879A (ko) 오디오신호의 에프엠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3559902A (zh) 移动终端设备与车载影音系统之间的交互控制的方法
CN102037747A (zh) 用于传送音频信号的装置和方法
US20130030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video devices via control keys on steering wheel
CN202358004U (zh) 能与移动装置连结的汽车影音播放主机
US2013033108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of other electronic devices
KR101260831B1 (ko) 모바일 기반의 에프엠 오디오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702988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Bluetooth and FM Radio Communication
CN104580722B (zh) Fm发射频率设置方法、移动终端及系统
KR101618457B1 (ko) 인터넷 라디오 청취가 가능한 차량용 오디오 장치
KR20070080381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JP2001358599A (ja) 送信装置及び送信装置を備えた信号発生装置
KR20100043702A (ko) 블루투스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용 오디오 장치의 동작 조건자동 설정 시스템
US8428660B2 (en) Sharing at least one functional block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16010016A (ja) 無線通信装置
KR101449322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송데이터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0665033B1 (ko) 오디오/음성 및 가사 신호의 선택적인 출력이 가능한휴대용 무선 송신 장치
CN100472482C (zh) 具有收音机功能的移动存储装置
JP2016535546A (ja) デジタル受信信号を提示する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