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816B1 -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816B1
KR101260816B1 KR1020110050156A KR20110050156A KR101260816B1 KR 101260816 B1 KR101260816 B1 KR 101260816B1 KR 1020110050156 A KR1020110050156 A KR 1020110050156A KR 20110050156 A KR20110050156 A KR 20110050156A KR 101260816 B1 KR101260816 B1 KR 10126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pe
condenser
protective tube
circulating wat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756A (ko
Inventor
심야섭
이병석
김성엽
임태식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81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1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는: 복수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공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와, 가이드파이프에 삽입되어 복수기의 순환수와 접촉되고,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는 보호관과, 보호관에 내장되는 온도계 및 보호관과 가이드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보호관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진동감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CIRCULATING WATER IN CONDENENSER}
본 발명은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기의 순환수와 접촉되어 발생되는 고진동을 저감하여 고진동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 또는 원자력 발전소 등의 보일러(Boiler)에는 보일러 내에서 가열된 후 증기로 변화하여 발전기의 터빈(Turbine)을 회전시키기 위한 급수가 공급된다. 보일러 급수는 보일러에서 가열되어 증기로 변환된 후 터빈을 회전시키고 배출된다. 터빈에서 배출된 증기는 복수기에서 냉각, 응축되어 다시 보일러 급수로 사용된다.
복수기는 터빈 배기 증기를 응축시켜 대기압 이하로 낮춤으로써 터빈에서 증기가 보유한 열낙차를 크게 하여 터빈 효율을 향상시키며, 응축된 복수를 재사용함으로써 급수 처리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복수기에는 증기와 냉각수가 직접 접촉하는 혼합 복수기와 전열면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표면 복수기가 있다. 발전소에서는 튜브 전열면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표면 복수기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복수기의 출구단 MOV(Motor Operated Valve)하단에는 복수기의 순환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장치가 마련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는 복수기 출구단 MOV 궤도 운전에 따른 고진동에 의해 온도측정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기의 순환수와 접촉되어 발생되는 고진동을 저감하여 고진동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경상정비 및 예산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는: 복수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공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와, 가이드파이프에 삽입되어 복수기의 순환수와 접촉되고,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는 보호관과, 보호관에 내장되는 온도계 및 보호관과 가이드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보호관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진동감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파이프와 복수기의 연결부위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파이프는 복수기의 둘레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감소부재는 보호관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진동감소부재의 둘레면에는 가이드파이프의 내경에 접하는 복수개의 접면 및 접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가이드파이프의 내경과 이격되는 이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감소부재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는 온도계가 내장된 보호관이 가이드파이프 내에 고정되고, 가이드파이프와 보호관 사이에 진동저감부재가 구비되어 순환수와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고진동을 저감하므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파이프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복수기의 둘레에 구비되어 부식 및 토목분야 간섭사항을 해소할 수 있고, 가이드파이프와 복수기의 연결부위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저감부재의 둘레면에 가이드파이프와 접하는 접면과 가이드파이프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면이 형성되어 순환수와 접촉되는 보호관의 진동이 방지하고, 가이드파이프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100)는 가이드파이프(110), 보호관(130), 온도계(140) 및 진동감소부재(150)를 포함한다.
가이드파이프(110)는 복수기(10)의 출력단 둘레면에 내부와 연동되도록 중공되어 형성된다.
가이드파이프(110)는 복수기(10)의 출력단 둘레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기(10)와 가이드파이프(110)의 연결부위에는 별도의 고정부재(120)가 형성된다. 고정부재(12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가이드파이프(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파이프(110)의 선단에는 보호관(130)과 연결되도록 플랜지(112)가 형성된다. 보호관(130)은 가이드파이프(110)에 삽입되어 복수기(10)의 순환수와 접촉되고, 가이드파이프(110)에 결합된다.
보호관(130)의 선단에는 가이드파이프(110)의 선단에 형성되는 플랜지(112)와 접하는 플랜지(132)가 형성되고, 각각의 플랜지(112,132)는 볼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보호관(130) 내부에는 온도계(140)가 내장된다. 온도계(140)는 온도차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봉타입으로 이루어져 보호관(130)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관(130)의 단부에 접촉되는 복수기(10)의 순환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온도계(140) 내부에는 다른 두 종류의 금속선이 구비되고, 접합 양단의 온도가 서로 다르면 두 금속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위차를 이용하여 온도를 계산,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보호관(130)의 선단 내경에는 나사부(134)가 형성되어 온도계(140)는 보호관(130)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보호관(130)과 가이드파이프(110) 사이에는 보호관(130)과 순환수의 접촉 시 발생하는 고진동을 감소시키는 진동감소부재(150)가 구비된다.
진동감소부재(150)는 보호관(13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진동감소부재(150)의 둘레면에는 가이드파이프(110)의 내경에 접하는 복수개의 접면(152) 및 접면(152)에 연이어 형성되고, 가이드파이프(110)의 내경과 이격되는 이격면(154)이 형성된다.
진동감소부재(15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진 링형상이며, 보호관(130)의 둘레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둘레면이 가이드파이프(110) 내경에 접하는 접면과 내경과 이격되는 이격면(154)으로 이루어져 가이드파이프(110)의 삽입 시 공차관리가 용이하여 조립불량을 해소할 수 있고, 순환수와 접촉되는 보호관(13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호관(130)의 진동이 가이드파이프(11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기(10)의 출력단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파이프(11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물과 접촉을 방지하므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파이프(110)와 복수기(10)의 연결부위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20)에 의해 지지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가이드파이프(110)에 보호관(130)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먼저, 보호관(130)에 온도계(14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보호관(130)의 선단 내경에는 나사부(134)가 형성되어 온도계(140)는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후, 보호관(130)을 가이드파이프(11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보호관(130)의 둘레면에는 순환수와 접촉되어 발생하는 고진동을 감소시키도록 진동감소부재(150)가 구비된다.
진동감소부재(150)는 스틸재질의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보호관(130)에 끼워지며,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진동감소부재(150)가 고정되는 보호관(130)은 가이드파이프(1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파이프(110)와 보호관(130)의 선단에 상호 접하는 플랜지(112,132)를 이용하여 볼팅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가이드파이프(110)는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내부에 삽입되는 보호관 또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낙하하는 순환수와 경사지게 접촉되어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순환수의 접촉되는 보호관(130)은 가이드파이프(110)와 보호관(130) 사이에 개재되는 진동저감부재(150)에 의해 진동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진동저감부재(150)의 둘레면은 가이드파이프(110)의 내경에 접하는 접면(152)과 내경에 이격되는 이격면(154)으로 이루어져 보호관(130)의 삽입 시 공차관리가 용이하여 조립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호관(130)을 견고히 지지함은 물론, 보호관(130)에 전달되는 충격을 타부품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이는 보호관(130)에 내장되는 온도계(140)를 보호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각각의 플랜지(112,13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도측정장치(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경상정비 횟수 및 예산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110 : 가이드파이프
112, 132 : 플랜지 120 : 고정부재
130 : 보호관 134 : 나사부
140 : 온도계 150 : 진동감소부재
152 : 접면 154 : 이격면

Claims (5)

  1. 복수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공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
    상기 가이드파이프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기의 순환수와 접촉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는 보호관;
    상기 보호관에 내장되는 온도계; 및
    상기 보호관과 상기 가이드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보호관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진동감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복수기의 연결부위에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복수기의 둘레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진동감소부재는 상기 보호관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감소부재의 둘레면에는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내경에 접하는 복수개의 접면; 및
    상기 접면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내경과 이격되는 이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소부재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KR1020110050156A 2011-05-26 2011-05-26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KR10126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156A KR101260816B1 (ko) 2011-05-26 2011-05-26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156A KR101260816B1 (ko) 2011-05-26 2011-05-26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56A KR20120131756A (ko) 2012-12-05
KR101260816B1 true KR101260816B1 (ko) 2013-05-06

Family

ID=4751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156A KR101260816B1 (ko) 2011-05-26 2011-05-26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4979A1 (en) * 2015-12-21 2017-06-28 ENDRESS + HAUSER WETZER GmbH + Co. KG Temperature sensor for recording the temperature of a flowing medium in a vessel or a pipe
CN117287997A (zh) * 2023-11-09 2023-12-26 连云港江海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高效换热凝汽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56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6411B (zh) 高效给水加热器
RU2554679C2 (ru) Подогреватель воздуха топочным газом,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а также воздушный трубный компонент для подогревателя воздуха топочным газом
KR101260816B1 (ko)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
JP5021041B2 (ja) 管継手の構造一体性を確保するための機械的アセンブリ
US9922740B2 (en) Nuclear power generation system
WO2011113973A4 (es) Economizador en planta solar de torre y método de funcionamiento de dicha planta
CN202066096U (zh) 一种超临界直接空冷供热机组热网疏水系统
JP2013092260A (ja) 廃熱ボイラ
CN105444413A (zh) 一种电力燃烧装置
CN104534453A (zh) 一种冷壁式高温高压过热器
CN208889338U (zh) 一种核电厂嵌套式反应堆冷却剂管道
CN204554786U (zh) 降温效率高的面式减温器
WO2016093739A3 (ru)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парогенератор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CN204255703U (zh) 高温架上用预置式排污冷却装置
CN104498699A (zh) 一种锅炉膜式水冷壁局部焊后热处理装置和工艺
KR20150119075A (ko) 폐열 증기 발전기용 응축물 예열기
CN105822363B (zh) 空冷系统以及用于空冷系统的控制方法
CN204629469U (zh) 一种用于秸秆粉体燃料喷烧的螺旋喷嘴
CN204460178U (zh) 冷壁式高温高压过热器
CN203052614U (zh) 新型废热锅炉
RU2371631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CN203605202U (zh) 高效废热锅炉
CN215967121U (zh) 一种用于余热锅炉受热管片与外置集箱的连接固定装置
KR101161588B1 (ko) 배열회수 보일러의 비진동형 배플의 핀드 튜브 지지장치
RU101778U1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