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709B1 -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709B1
KR101260709B1 KR1020120012843A KR20120012843A KR101260709B1 KR 101260709 B1 KR101260709 B1 KR 101260709B1 KR 1020120012843 A KR1020120012843 A KR 1020120012843A KR 20120012843 A KR20120012843 A KR 20120012843A KR 101260709 B1 KR101260709 B1 KR 101260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rotary arm
center
guid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웍스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웍스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웍스웰테크
Priority to KR102012001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은 벽체에 고정 결합되는 제1거치대; 좌우 반체 형상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거치대에 형성되는 내경탭부와 나선 결합되는 외경탭부를 형성하는 서포트부재; 상기 서포트부재와 제1거치대 사이에 나선 결합되어 서포트부재의 풀림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제1조임링; 상기 서포트부재의 제1축고정부와 제2축고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회전암; 상기 서포트부재의 제1축고정부 외측에서 회전암의 회전축 중심을 향해 나사 결합되어 회전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고정노브; 감시카메라가 탑재된 상태로 상기 회전암의 나사가공축부에 제2조임링을 매개로 나선 결합되는 제2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와 회전암 사이를 나선결합시켜 제2거치대의 풀림 및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2조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별도의 나사부품을 사용한 조립과정 없이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을 풀거나 조여서 분해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설치방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고, 고정노브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용 브라켓{CCTV BRACKE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나사부품을 사용한 조립과정 없이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을 풀거나 조여서 분해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설치방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고, 고정노브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방범이나 화재를 감시하기 위하여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사고 발생시 사고상태를 녹화함으로써 녹화된 내용을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일반 카메라나 돔형 카메라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돔형카메라는 미관상 미려하여 실내에 주로 사용되고 일반 카메라는 옥외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감시 카메라는 보편적으로 천장이나 벽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실외에 설치할 경우에는 별도의 설치대를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에 설치하고 있으며 감시 카메라의 설치시 카메라를 고정하는 브라켓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고정브라켓, 2는 수평회전구, 3은 상하회전구, 4는 수직회전구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과 상기 고정브라켓(1)에 삽입되어 수평회전하는 수평회전구(2)와, 상기 수평회전구(2)에 내장되어 상하회전하는 상하회전구(3)와, 상기 상하회전구(3)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수직회전구(4)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은 고정브라켓에서 수평회전되는 수평회전구와, 수평회전구에서 회전하는 상하회전구와, 상하회전구에서 회전하는 수직회전구를 고정볼트에 의해서 고정함으로써 수평회전, 상하회전, 수직회전의 제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볼트로만 각도를 설정하여 고정함으로써 고정력이 약하여 설정된 각도가 아닌 각도에서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어와 돌기를 사용하여 카메라의 각도를 고정하는 구성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수평, 수직, 상하회전을 각각 설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카메라의 각도를 설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수평회전구, 상하회전구, 수직회전구의 조립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나사부품을 사용한 조립과정 없이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을 풀거나 조여서 분해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설치방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고, 고정노브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벽체에 고정 결합되는 제1거치대; 좌우 반체 형상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거치대에 형성되는 내경탭부와 나선 결합되는 외경탭부를 형성하는 서포트부재; 상기 서포트부재와 제1거치대 사이에 나선 결합되어 서포트부재의 풀림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제1조임링; 상기 서포트부재의 제1축고정부와 제2축고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회전암; 상기 서포트부재의 제1축고정부 외측에서 회전암의 회전축 중심을 향해 나사 결합되어 회전암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고정노브; 감시카메라가 탑재된 상태로 상기 회전암의 나사가공축부에 제2조임링을 매개로 나선 결합되는 제2거치대; 및 상기 제2거치대와 회전암 사이를 나선결합시켜 제2거치대의 풀림 및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2조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거치대는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앙카홀이 형성되고, 몸체 중앙에 돌출되는 링형상의 돌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가이드부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부재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몸체 하부에 외경탭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경탭부가 형성된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날개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축고정부와 제2축고정부가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임링은,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그립부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에 링 형상으로 함몰되는 홈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가이드부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암은, 서포트부재의 제1축고정부와 제2축고정부 사이에 결합되는 원반형상의 일측 제1축고정부와 대면하는 일측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공 둘레에 방사형요철부가 형성되며, 제2축고정부와 대면하는 타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날개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중심이 관통되는 중공관 형태로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나사가공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노브는 몸체의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노브는 손잡이홈 중앙을 가로지르는 키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거치대는, 감시카메라가 탑재되는 거치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가공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조임링은,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그립부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에 링 형상으로 함몰되는 홈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가이드부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사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을 회전시켜 손쉽게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감시카메라의 설치방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고, 고정노브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여서, 설치시 촬영각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을 풀어서 브라켓을 손쉽게 해체하거나 조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공은 물론 시공후 관리가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감시 카메라용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용 브라켓(100)은 크게 제1거치대(110), 제1조임링(120), 서포트부재(130), 고정노브(140), 회전암(150), 제2조임링(160), 제2거치대(170)를 포함한다.
먼저, 벽체(W)에 고정 결합되는 제1거치대(110)가 개시된다.
상기 제1거치대(110)는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앙카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앙카홀(111)을 통해 벽체(W)에 앙카볼트, 콘크리트 못, 나사못 등의 체결수단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거치대(110)의 몸체 중앙에는 링형상의 돌출 가이드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가이드부(113)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 가이드부(113) 외경에는 제1조임링(120)이 결합되도록 하고, 내경탭부(114)에는 서포트부재(130)를 결합하게 된다.
다음, 상기 서포트부재(130)와 제1거치대(110) 사이에 나선 결합되어 서포트부재(130)의 풀림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제1조임링(120)이 개시된다.
상기 제1조임링(1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조임링(120)은 제1거치대(110)의 돌출 가이드부(113) 외경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그립부(121)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에 링 형상으로 함몰되는 홈가이드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홈가이드부(123)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1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다음, 좌우 반체 형상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거치대(110)에 형성되는 내경탭부(114)와 나선 결합되는 외경탭부(131)를 형성하는 서포트부재(130)가 개시된다.
상기 서포트부재(13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포트부재(130)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몸체 하부에 외경탭부(1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경탭부(131)는 제1조임링(120)의 내경탭부(124)와 제1거치대(110)의 내경탭부(114)를 동시에 나선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조임링(120)을 풀거나 조임으로서, 제1거치대(110)와 서포트부재(130) 사이를 분해 및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경탭부(131)가 형성된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날개(13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날개(133)는 제1조임링(120)의 홈가이드부(123) 내부면에 맞닿아 몸체가 좌우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날개(133)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축고정부(135)와 제2축고정부(136)가 대향되는데, 상기 제1축고정부(135)와 제2축고정부(136) 사이에는 회전암(1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축고정부(135)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135a)이 형성되고, 제2축고정부(136)의 대향면에는 관통홀(135a)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형 요철(135b)이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하게 될 회전암(150)과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축고정부(136)에는 원주방향으로 회전가이드홈(136a)이 형성되어 회전암(150)이 결합되어 회전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다음, 상기 서포트부재(130)의 제1축고정부(135)와 제2축고정부(136)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회전암(150)이 개시된다.
상기 회전암(15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암(150)은, 서포트부재(130)의 제1축고정부(135)와 제2축고정부(136) 사이에 결합되는 원반형상의 일측방향에 제1축고정부(135)와 대면하는 일측에 나사결합공(15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결합공(151)은 이후에 설명하게 될 고정노브(140)의 나사부(141)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결합공(151) 둘레에는 방사형요철부(153)가 형성되는데, 상기 방사형 요철부(153)와 서포트부재(130)의 제1축고정부(135)에 형성된 방사형 요철부(135b)가 상호 대합되어 회전암(150)의 회전각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축고정부(136)와 대면하는 타측방향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날개(133)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날개(133)는 서포트부재(130)의 제2축고정부(136)에 형성된 회전가이드홈(136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데, 90~180도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암(150)의 몸체 상부에는 중심이 관통되는 중공관 형태로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나사가공축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서포트부재(130)의 제1축고정부(135) 외측에서 회전암(150)의 회전축 중심을 향해 나사 결합되어 회전암(15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고정노브(140)가 개시된다.
상기 고정노브(140)에 대해 설명하면, 몸체의 일측에 나사부(14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에는 손잡이홈(14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노브(140)의 나사부(141)는 제1축고정부(135)의 관통홀(135a)를 관통하여 회전암(150)의 나사결합공(151)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몸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암(150)과 제1축고정부(135) 사이를 압착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노브(140)는 손잡이홈(143) 중앙을 가로지르는 키홈(145)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키홈(145)은 동전 두께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별도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고 있는 동전이나 이와 유사한 도구를 이용해 고정노브(140)를 회전시켜 체결력을 향상시키거나 쉽게 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암(150)의 나사가공축부(157) 상에는 제2조임링(160) 및 상기 제2조임링(160)을 매개로 하는 제2거치대(170)가 나선 결합된다.
먼저, 감시카메라(C)가 탑재된 상태로 상기 회전암(150)의 나사가공축부(157)에 제2조임링(160)을 매개로 나선 결합되는 제2거치대(170)가 개시된다.
상기 제2거치대(170)에 대해 설명하면, 감시카메라(C)가 탑재되는 거치플레이트(17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171)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가공축부(17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가공축부(175)는 중공관 형태로서, 케이블이 관통되며, 축상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수공(175a)을 형성함으로써, 브라켓(100) 몸체를 타고 물기가 감시카메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거치대(170)와 회전암(150) 사이를 나선결합시켜 제2거치대(170)의 풀림 및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2조임링(160)이 개시된다.
상기 제2조임링(160)에 대해 설명하면,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그립부(161)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에 링 형상으로 함몰되는 홈가이드부(163)가 형성되고, 상기 홈가이드부(163)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16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조임링(160)은 회전암(150)의 나사가공축부(157)에 먼저 끝부분까지 나선 결합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감시카메라가 탑재된 제2거치대(170)의 나사가공축부(175)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감시카메라(C)의 설치방향을 임시 설정하여 위치되도록 하는데, 나사가공축부(175)와 회전암(150)의 나사가공축부(157)이 일직선 상에 대면하게 된다.
이때, 제2조임링(160)을 체결반대반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2개의 나사가공축부(157)(175)를 동시에 나선결합하게 된다.
이때, 제2조임링(160)은 거치플레이트(171)에 맞닿아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때까지 회전시켜 회전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나사부품을 사용한 조립과정 없이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을 풀거나 조여서 분해조립이 가능하고, 상기 제1조임링과 제2조임링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설치방향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고, 고정노브의 조작을 통해 감시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110: 제1거치대
111: 앙카홀 113: 돌출 가이드부
114: 내경탭부 115: 케이블 인입구
120: 제1조임링 121: 그립부
123: 홈가이드부 124: 내경탭부
130: 서포트부재 131: 외경탭부
133: 가이드날개 135: 제1축고정부
135a: 관통홀 135b: 방상형 요철
136: 제2축고정부 136a: 회전가이드홈
140: 고정노브 141: 나사부
143: 손잡이홈 145: 키홈
150: 회전암 151: 나사결합공
153: 방사형 요철 155: 회전가이드날개
157: 나사가공축부 160: 제2조임링
161: 그립부 163: 홈가이드부
164: 내경탭부 170: 제2거치대
171: 거치플레이트 173: 체결공
175: 나사가공축부

Claims (9)

  1. 벽체(W)에 고정 결합되는 제1거치대(110);
    좌우 반체 형상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1거치대(110)에 형성되는 내경탭부(114)와 나선 결합되는 외경탭부(131)를 형성하는 서포트부재(130);
    상기 서포트부재(130)와 제1거치대(110) 사이에 나선 결합되어 서포트부재(130)의 풀림 및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제1조임링(120);
    상기 서포트부재(130)의 제1축고정부(135)와 제2축고정부(136)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회전암(150);
    상기 서포트부재(130)의 제1축고정부(135) 외측에서 회전암(150)의 회전축 중심을 향해 나사 결합되어 회전암(15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고정노브(140);
    감시카메라(C)가 탑재된 상태로 상기 회전암(150)의 나사가공축부(157)에 제2조임링(160)을 매개로 나선 결합되는 제2거치대(170); 및
    상기 제2거치대(170)와 회전암(150) 사이를 나선결합시켜 제2거치대(170)의 풀림 및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2조임링(16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110)는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앙카홀(111)이 형성되고, 몸체 중앙에 돌출되는 링형상의 돌출 가이드부(113)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가이드부(113)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130)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진 몸체 하부에 외경탭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외경탭부(131)가 형성된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확장된 가이드날개(133)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날개(133)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축고정부(135)와 제2축고정부(136)가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임링(120)은,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그립부(121)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에 링 형상으로 함몰되는 홈가이드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홈가이드부(123)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150)은,
    서포트부재(130)의 제1축고정부(135)와 제2축고정부(136) 사이에 결합되는 원반형상의 일측 제1축고정부(135)와 대면하는 일측에 나사결합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공(151) 둘레에 방사형요철부(153)가 형성되며, 제2축고정부(136)와 대면하는 타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날개(133)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는 중심이 관통되는 중공관 형태로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나사가공축부(1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브(140)는 몸체의 일측에 나사부(14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에는 손잡이홈(1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브(140)는 손잡이홈(143) 중앙을 가로지르는 키홈(1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대(170)는,
    감시카메라(C)가 탑재되는 거치플레이트(17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171)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가공축부(17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임링(160)은
    원반형 몸체의 외주연 둘레에 일정간격 그립부(161)가 형성되며, 몸체 중앙에 링 형상으로 함몰되는 홈가이드부(163)가 형성되고, 상기 홈가이드부(163)의 중심이 관통되도록 내경탭부(16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1020120012843A 2012-02-08 2012-02-08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101260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843A KR101260709B1 (ko) 2012-02-08 2012-02-08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843A KR101260709B1 (ko) 2012-02-08 2012-02-08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709B1 true KR101260709B1 (ko) 2013-05-15

Family

ID=4866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843A KR101260709B1 (ko) 2012-02-08 2012-02-08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7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402B1 (ko) 2014-05-09 2016-05-11 (주)인천측기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2069203B1 (ko) * 2019-03-20 2020-01-22 주식회사 신흥판금 감시카메라용 마운트 장치
KR20210063910A (ko) * 2019-11-25 2021-06-02 엘에스일렉트릭(주)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83Y1 (ko) 2001-08-28 2001-12-13 고윤화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68748Y1 (ko) 2004-09-02 2004-12-03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81698Y1 (ko) 2005-01-11 2005-04-14 강희근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83Y1 (ko) 2001-08-28 2001-12-13 고윤화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68748Y1 (ko) 2004-09-02 2004-12-03 제이더블유일렉트로닉스(주)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81698Y1 (ko) 2005-01-11 2005-04-14 강희근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402B1 (ko) 2014-05-09 2016-05-11 (주)인천측기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2069203B1 (ko) * 2019-03-20 2020-01-22 주식회사 신흥판금 감시카메라용 마운트 장치
KR20210063910A (ko) * 2019-11-25 2021-06-02 엘에스일렉트릭(주)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102293002B1 (ko) 2019-11-25 2021-08-24 엘에스일렉트릭 (주)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US11310429B2 (en) 2019-11-25 2022-04-19 Ls Electric Co., Ltd. Thermal image monitoring apparatus and distributing panel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410B2 (en) Equipment security apparatus
AU782708B2 (en) Ball shaped camera housing with simplified positioning
US9942639B2 (en) Articulating, self retained on-wall bracket mounting system
KR101260709B1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CN203656513U (zh) 三轴转向云台结构及具有其的摄像机
CN108071655A (zh) 指示松退量的紧固件
KR20190002434U (ko)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20170125648A (ko) 착탈이 용이한 가로등 지주
KR101459640B1 (ko) 파라솔 고정장치
JP2012105251A (ja) カメラ取付装置
CN203322676U (zh) 监控摄像机支架和监控摄像装置
CN205331134U (zh) 一种便于装拆并可调节角度的固定装置
EP3162970B1 (en) Covering rosette for a concealed sanitary fitting
TWM629725U (zh) 支架
KR20160024491A (ko) 고 중량 감시 카메라용 조립 설치장치
US8100566B2 (en) Light fixture with adjustable and fixable mount
KR101436356B1 (ko) 감시카메라 설치대
KR200361958Y1 (ko) 감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 모듈 고정용 홀더
KR200340988Y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KR200141568Y1 (ko) Ccd카메라의 고정 브라켓트
TWI554706B (zh) 可傾式吸頂支架
CN206398293U (zh) 一种用于安防设备的安装机构
KR200299183Y1 (ko) 회전과 각도 조절이 편리한 텔레비젼 걸이장치
CN201786176U (zh) 一种淋浴门边框
KR101018881B1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