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511B1 -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 Google Patents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511B1
KR101260511B1 KR1020100063660A KR20100063660A KR101260511B1 KR 101260511 B1 KR101260511 B1 KR 101260511B1 KR 1020100063660 A KR1020100063660 A KR 1020100063660A KR 20100063660 A KR20100063660 A KR 20100063660A KR 101260511 B1 KR101260511 B1 KR 10126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reinforcement
longest
needles
emb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041A (ko
Inventor
신용균
Original Assignee
신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균 filed Critical 신용균
Priority to KR102010006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5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8Needles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적인 눈썹의 선(線)을 만들기 위하여, 눈썹 문신에 사용하는 엠보침에 있어서,탄성력이 있는 가는 침(針)들로 이루어지며, 제일 긴 침부터 점차 길이가 짧아지는 침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침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는 침부 세트; 상기 침부 세트의 외측에 형성된 제일 긴 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두부(頭部)가 침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침들로 이루어진 보강침부; 및 상기 침부세트와 보강침부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감싸되, 침부세트와 보강침부의 머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시술의 용이함을 위하여 일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케이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The embo-needle combined with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반영구화장의 눈썹 문신에 사용되는 도구로써, 인공적인 눈썹의 선(線)을 그리는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에 관한 것이다.
반영구 눈썹화장은 눈썹이 적거나 뚜렷하기 않은 사람들에게 더욱 뚜렷한 눈썹을 반영구적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널리 시행되어 왔으며, 보통 눈썹문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눈썹문신의 방법 중에는 전동장치가 들어간 기계적인 기술과, 비기계적인 기술(엠보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엠보 기술이란 엠보침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눈썹의 선(線)을 곡율(曲率)의 공식에 의하여 한 올씩 만들어 냄으로서, 기계로 만들어 내는 눈썹보다 자연스러운 눈썹을 만드는 기술이다.
종래의 엠보침은 침부(10)와 케이스(20)로 구성되는데, 그 침(針)의 개수가 다양하게 구성되며 적게는 4-5개, 많게는 19-21개 정도의 침으로 구성된다.(도1참조)
삭제
이때 침의 길이는 길이가 긴 것부터 짧은 순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시술을 할 때에는 상기 엠보침을 보조기구(엠보펜)에 끼워 약간의 색소를 묻혀서 사용하게 되는데, 엠보침의 머리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수직으로 세운 다음, 상대적으로 짧은 침(c)이 피부에 먼저 닿도록 한 후 긴 침(a)이 피부에 닿는 순서로 하여(A방향) 선이 그려진다.
그러나 종래의 엠보침은 A방향으로 시술이 반복되다 보니, 제일 긴 침(12)과 그 다음에 배열된 침(14)의 경우 쉽게 탄력성을 잃어버리고, 장시간 사용을 하다 보면 양 침 간(12,14)의 사이가 벌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한 개의 완전한 선을 만들어 내기가 어렵고 좋지 않은 시술 결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일부 시술자들은 이를 위하여 종래의 엠보침을 엠보펜에 10~20°절곡되게 끼워서 사용하였는데, 이와 같이 엠보침을 일정각도로 기울여서 끼울려면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하여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엠보침이 엠보펜에 완전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적이게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침의 탄력성을 최대한으로 보장하고, 또한 시술의 용이함을 위하여 케이스를 절곡되게 형성하여 눈썹을 그리기가 용이하고 작업자의 기술 및 고도의 테크닉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공적인 눈썹의 선(線)을 만들기 위하여, 눈썹 문신에 사용하는 엠보침에 있어서,탄성력이 있는 가는 침(針)들로 이루어지며, 제일 긴 침부터 점차 길이가 짧아지는 침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침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는 침부 세트;상기 침부 세트의 외측에 형성된 제일 긴 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두부(頭部)가 침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침들로 이루어진 보강침부; 및 상기 침부세트와 보강침부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감싸되, 침부세트와 보강침부의 머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시술의 용이함을 위하여 일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보강침들은,상기 침부 세트의 외측에 형성된 제일 긴 침을 기준으로 하여, 침부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일 긴 침에 가장 인접하는 보강침은, 제일 긴 침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일 긴 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침부에 있어서, 침들 간의 벌어짐을 방지하며, 침의 탄력성을 최대한 보장하여 전체적인 눈썹의 모양이나 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작업하기가 수월하며, 뜯는 기법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작업자의 기술 및 테크닉을 구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의 엠보침에 관한 사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침부 세트(100),케이스(200), 보강침부(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침부 세트(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침부 세트(100)는 탄성력이 있는 가는 침(針)들로 이루어지며, 제일 긴 침부터 점차 길이가 짧아지는 침(針)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침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된다.
여기서 각 침부는 탄성력이 있는 가는 침(針)이 적게는 4~5개, 많게는 19~21개로 구성되며, 시술시에 침부의 사용 방향은 짧은 침에서부터 긴 침 방향(A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침부가 복수개로 배치됨에 따라, 엠보침을 한 번만 긋더라도 복수 회를 긋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침부가 두 개면 두 번, 침부가 세 개면 세 번을 긋는 효과를 가진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첫 번째 침부가 피부에 그어지는 순간, 피부 표면이 천공되면서 미세한 선이 그려지고, 두 번째 침부가 피부에 그어지는 순간 피부가 좀더 깊게 패이면서, 염료성분이 피부 표피층 내로 깊게 주입되게 된다.
이로 인해 눈썹의 선이 명료해지고 반영구적으로 보존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침부의 상단부는 사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일 긴 침부터 점차 길이가 짧아지는 침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침부의 상단부가 사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나, 각 침부의 상단부가 곡선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눈썹의 곡선 라인을 만들기가 보다 쉽다.
다음은 보강침부(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보강침부(300)는 상기 침부 세트(100)의 외측에 형성된 제일 긴 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두부(頭部)가 침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침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술할 케이스(200)에 의해, 상기 침부세트(100)와 보강침부(30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감싸지며, 침부세트(100)와 보강침부(300)의 머리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케이스(2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보강침부(300)를 설치하는 이유는, 시술이 A방향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주로 마지막 침부(120)의 제일 긴 침(針)과 그 다음에 배열된 침(針)은 반복되는 시술로 인하여 쉽게 탄력성을 잃어버리고 침들 간의 벌어짐 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는 보강대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보강침들은 상기 침부 세트(100)의 외측에 형성된 제일 긴 침을 기준으로 하여, 침부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일 긴 침에 가장 인접하는 보강침은, 제일 긴 침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일 긴 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식으로 보강침부(300)를 설치하는 이유는, 보강침부(300)가 일종의 침의 역할을 대행하도록 하여 A의 역방향으로도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선을 그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침이 먼저 피부에 닿고 점차 긴 침이 피부에 닿아야지 미끄러지듯이 곡선을 그릴 수 있으므로, A의 역방향으로 선을 긋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침이 시술하고자 하는 방향을 향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보다 살펴보면, 시술자는 침부 세트(100)를 이용하여 A방향으로 선을 그은 후에는 마지막으로 "일명 꺽어치기"(A의 역방향으로 짧게 쳐올리기)을 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엠보침을 180°회전할 필요가 없이 기존에 엠보침을 잡은 상태에서도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보강침부(300)가 일종의 침(針)역할을 대행하도록, 침부 세트(100)와는 반대방향으로, 길이가 긴 보강침부터 점차 길이가 짧아지는 보강침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보강침이 시술하고자 하는 방향(A의 역방향)을 향해 있으므로, 시술자는 보강침부(300)를 침(針)을 삼아 A의 역방향으로 선을 그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침부(300)가 침(針)으로써의 역할을 대행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침부 세트(100)가 보강대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시술자는 침부 세트(100)또는 보강침부(300)를 이용하여 엠보침의 양방향으로 눈썹을 그릴 수 있다.
그리고 보강침부(300)의 상단부는 사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보강침부(300)의 상단부가 곡선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눈썹의 곡선 라인을 만들기가 보다 쉽다.
그리고 케이스(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침부세트(100)와 보강침부(300)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감싸되, 침부세트(100)와 보강침부(300)의 머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시술의 용이함을 위하여 일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200)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뜯는 기법에 매우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엠보침을 사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에는 크게 긋는 기법과 뜯는 기법이 있다.
여기서, 긋는 기법은 선을 긋기 위하여 엠보침을 수직으로 세워서 주로 긴침을 사용하여 시술이 진행되는 반면, 뜯는 기법은 피부의 표피층을 짧게 뜯는 식으로 진행되며 주로 중간 정도의 침과 짧은 침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엠보침은 뜯는 기법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발명으로 케이스가 일정 각도로 절곡 되어 있어 작업자가 일부러 엠보침을 기울일 필요가 없이 잡은 상태 그대로 시술을 할 수 있는 최대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절곡된 형상의 케이스로 제작되면,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이 엠보펜에 절곡된 상태로 끼울 수 있으며, 작업자가 뜯는 기법을 용이하게 시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200)는 가운데 부분이 10~20°정도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시술하기에 가장 용이하다.
여기서 케이스(200)의 결합방식은 통상 용접결합하며, 침부세트(100)와 보강침부(300)가 유동적이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적용 실시예를 살펴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보강침부(300)가 결합된 엠보침을 보조기구(엠보펜)에 끼워 약간의 색소를 묻혀서 눈썹 문신을 실시한다.
침부 세트(100)가 2개의 침부로 이루어진 경우, 엠보침을 피부에 한번 그음으로 총 2번을 긋는 효과를 보인다.
즉, 시술자는 A방향으로 선을 그어주면, 각 침부는 같은 곳을 2회에 걸쳐 지나가면서, 피부 표면을 천공시키므로 염료성분이 피부 표피층으로 잘 스며들게 된다.
이때 시술자는 엠보침의 케이스가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작업이 수월하며, 힘을 들이지 않고 뜯는 기법을 잘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침부
12: 제일 긴 침
14: 두번째로 긴 침
20: 케이스
100: 침부 세트
200: 케이스
300: 보강침부

Claims (6)

  1. 인공적인 눈썹의 선(線)을 만들기 위하여, 눈썹 문신에 사용하는 엠보침에 있어서,
    탄성력이 있는 가는 침(針)들로 이루어지며, 제일 긴 침부터 점차 길이가 짧아지는 침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침부가,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일렬로 배치되는 침부 세트;
    상기 침부 세트의 외측에 형성된 제일 긴 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되, 두부(頭部)가 침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침들로 이루어진 보강침부; 및
    상기 침부세트와 보강침부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감싸되, 침부세트와 보강침부의 머리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시술의 용이함을 위하여 일측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강침들은,
    상기 침부 세트의 외측에 형성된 제일 긴 침을 기준으로 하여, 침부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일 긴 침에 가장 인접하는 보강침은,
    제일 긴 침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일 긴 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63660A 2010-07-02 2010-07-02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KR10126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660A KR101260511B1 (ko) 2010-07-02 2010-07-02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660A KR101260511B1 (ko) 2010-07-02 2010-07-02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41A KR20120003041A (ko) 2012-01-10
KR101260511B1 true KR101260511B1 (ko) 2013-05-06

Family

ID=4561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660A KR101260511B1 (ko) 2010-07-02 2010-07-02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507B2 (en) 2020-12-14 2023-05-09 Black Claw LLC Needle modules and associate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092B1 (ko) * 2016-06-15 2017-03-20 손정희 축회전식 반영구 화장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332A (ja) 2000-07-27 2000-12-12 Yu Sakamoto 入れ墨用の刺針
JP3128488B2 (ja) 1995-10-04 2001-01-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488B2 (ja) 1995-10-04 2001-01-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0342332A (ja) 2000-07-27 2000-12-12 Yu Sakamoto 入れ墨用の刺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507B2 (en) 2020-12-14 2023-05-09 Black Claw LLC Needle modules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41A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884B1 (ko) 보강대가 결합된 3d엠보침
KR101371948B1 (ko) 매선용 침술기
WO2008072229A3 (en) Methods for dermal filling using microneedles
KR100978561B1 (ko)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KR101631763B1 (ko) 실 삽입기
KR101565340B1 (ko) 눈썹 등의 반영구 문신 시술방법
KR101260511B1 (ko) 보강침부가 결합된 엠보침
KR102425950B1 (ko) 유동침을 이용한 뜯기 기법에 사용되는 엠보 수지 니들
KR101321521B1 (ko) 엠보핀을 구비한 엠보부재
CN219307385U (zh) 一种针灸针
KR101236525B1 (ko) 이형(異形)의 엠보침
KR200463245Y1 (ko) 눈썹화장 시술용 니들 카트리지
KR20140094200A (ko) 연이은 점형태로 이루어진 점선긋기를 위한 반영구화장용 엠보디자인침
KR101352127B1 (ko) 피부용 액체 투입장치
JP2018529459A (ja) マッサージ及び美容ケア装置
CN209984584U (zh) 一种改良式针灸针
CN209548384U (zh) 一种针灸针
JP5315534B2 (ja) 施術具
KR20090121009A (ko) 눈썹화장 시술방법
CN201008687Y (zh) 一种注射用针头
CN202637060U (zh) 一种平刺刃针
CN216703112U (zh) 一种增强碎脂作用的医用注射针头
CN212490746U (zh) 针灸针
CN219557500U (zh) 一种中面部埋线复位固定针
KR101487448B1 (ko) 특수 메이크업 전용 니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